김포시/교통

 



1. 개요
2. 도로
2.2. 간선도로
2.3. 지선도로
3. 철도
4. 버스
4.1. 시내버스
4.2.1. 관련 문서
5. 기타


1. 개요


경기도 김포시의 교통 환경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인구 40만 명을 돌파하며 중형 도시로 성장한 김포시지만, 인구에 걸맞지 않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사정이 어려운 편이다. 신도시 쪽은 아침마다 매우 혼잡한 수준이었으나, 2019년 9월 김포 도시철도 개통으로 사정이 이전보다 나아진 편이다.

2. 도로



2.1.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고촌읍을 경유하며, 일산대교 개통 이전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김포대교고양시와의 유일한 연결 통로였다.
(인천광역시 계양구) → 김포IC → (경기도 고양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인천 방면으로 갈 수 있으며 추후 파주 방면으로 터널을 통해 이어질 예정이다.
(인천광역시 서구) → 대곶IC - 서김포통진IC

2.2. 간선도로


김포시의 대표적인 간선도로로는 서울특별시강화군으로 이어지는 48번 국도가 있다. 과거에는 서울에서 강화도에 가는 유일한 길이었고, 김포시의 시가지는 이 도로의 김포시내 구간에 밀집되어 있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헬게이트가 열리곤 했다. 2006년 김포 우회도로가, 2011년 김포 한강로가 개통되면서 이러한 정체는 조금 완화되었으나, 2014년부터 2017년 하반기까지 도시철도 공사로 정체가 극심했었으나 현재는 공사 완료 후 개통되어 숨통이 트였다.
김포한강로한강신도시의 교통 대책으로 건설된 김포시의 두 번째 간선도로이다. 김포한강로는 48번 국도(김포대로)의 교통량을 분담하며 교통체증 완화에 큰 기여를 했으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을 갖고 있다. 시에서는 영사정IC를 만들어 제1순환고속도로와 한강로를 직접 연결할 계획이다.

2.3. 지선도로


지선도로는 주로 인천광역시로 연결된다. 서구 불로동으로 이어지는 검단로, 서구 원당동으로 이어지는 원당대로, 계양구로 이어지는 장제로 등이 있다.

3. 철도


김포 도시철도가 2019년 9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원래 고가 경전철을 세우려다가 백지화되었고, 지방 선거 후 시장이 바뀌면서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새롭게 시도했지만 재정 부족으로 좌절되었다. 이후 지하 경전철 계획을 세워서 2014년 3월 26일 착공한 후, 2차례 연기 끝에 개통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김포 도시철도 문서 참조.
이 밖에도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연계되는 광역 철도인 김포한강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인천 검단신도시를 넘어 김포 도시철도 걸포북변역을 경유하여 고양시 일산신도시까지 연장될 계획도 있다.

4. 버스



4.1. 시내버스


'경기도 시내버스의 모든 운행체계가 모인 '

위에서 볼 수 있듯 김포시는 2량 서울 행 경전철 노선만 존재하고, 자가용을 이용하기에는 서울과의 다소 먼 거리로 인한 유류비 부담과 교통체증 등이 만만치 않아서 그 어떤 수도권 도시보다 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도시이다. 그래서인지 타 지역(경기도 내의 타 지역)에선 잘 안 쓰는 노선 등급도 김포시는 적극적이다. 현대와 대우를 제외한 나머지 메이커의 차량의 적극적인 도입도 덤.
김포시 시내버스를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선진네트웍스의 텃밭'''. 2000년대 초만 해도 강화운수가 시내 및 시외버스를 독점하다시피 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선진네트웍스 계열의 김포운수선진버스가 강화운수의 몇몇 노선들을 인수하며 성장하기 시작하더니, 2010년대에 들어와서는 버스 노선 신설에 김포운수·선진버스만 참여하는 등 전세가 완전히 역전되었다. 2013년에는 강화운수가 선진네트웍스에 인수, 김포 면허 시내버스를 모두 선진네트웍스가 독점하게 되었다. 김포시에 진입하는 관외 업체의 노선들도 상당수가 선진네트웍스 계열사의 노선으로, 선진 계열사가 아닌 업체에서 운영하는 노선은 극소수이다.[1]
이와 별개로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서울 면허 노선이 폐선[2] 되고 지하철도 없어서 교통비에 어느정도 부담이 되었으나 김포 도시철도의 개통으로 인해 교통비 부담은 줄 것으로 보인다.
김포시의 버스 환승거점은 다음과 같다.
  • 김포 원도심(김포본동, 사우동, 풍무동, 고촌읍)
    • 김포초교: 김포본동(북변동)에 위치한 정류소로, 1990~2000년대 사우지구 및 풍무지구 건설 이전, 과거 김포군 김포읍의 거점 지역으로 인근에 김포군청, 김포경찰서, 김포시외버스터미널, 김포우체국이 위치했었던 곳이다. 2021년 기준으로 인근에 김포초등학교, 김포5일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5일장이 열리면 왕복 2차선인 북변중로 및 이 정류소가 혼잡해진다. 김포뉴타운 사업이 추진 중에 있어, 사업 완료 시 도로 폭이 왕복 2차선에서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현재도 원도심 주요 거점지역과 한강신도시를 오고가는 버스가 다수 정차하고 있다.
    • 홈플러스.산림조합 / 홈플러스: 김포본동(감정동)에 위치한 정류소로, 홈플러스 김포점이 인근에 위치한다. 인천광역시 서구(검단) 지역에서 오고 가는 버스와 옹주물 및 구두물 등의 자연부락, 감정동 택지지구(감정3지구 등), 북변지구를 경유하여 원도심 주요 거점과 한강신도시로 향하는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간 환승 거점이다.
    • 걸포북변역 / 걸포북변역(걸포초교방면): 김포본동(걸포동)에 위치한 정류소로, 각종 직행좌석버스와 시내버스, 마을버스가 정차하며 걸포지구, 걸포2지구, 걸포3지구, 북변지구, 감정동 택지지구를 경유하는 다수의 마을버스가 이 정류소를 경유한다. 김포 도시철도 걸포북변역과 연계된다. 바로 인근에 위치한 걸포초교 정류소에서는 388번, 81-1번, 9000번인천공항, 이음1번심야, 이음2번심야도 정차한다.
    • 사우역.김포고 : 완정사거리 ↔ 풍무동 ↔ 서울 노선(1002번, 1004번)을 제외한 김포 원도심 경유 노선은 대부분 이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김포 원도심 시내/광역 버스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풍년마을 아파트 단지 앞에 정류소가 2개 있는데, 하나는 북변중로를 경유하는 김포초교방면 정류장(ID : 35918, 80380)과, 나머지 하나는 김포대로를 경유하는 걸포사거리방면 정류장(ID : 35247, 80064)이 있으니 잘 구분하여 이용해야 한다. 또한 서울 등지로 나가는 직행(광역)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행 전용 정류소(ID : 35693, 80043)[3]를 이용해야 한다. 김포 도시철도 사우역과 연계된다.
    • 풍무역 / 풍무역.트레이더스: 풍무역이마트 트레이더스 김포점 앞에 위치한 정류소로 완정사거리 ↔ 풍무동 ↔ 서울 노선인 1002번, 1004번이 정차하며, 풍무지구(유현/당곡/양도/수행마을), 향산지구와 풍무2지구 내부를 경유하는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의 환승 거점이다. 김포 도시철도 풍무역과 연계된다.
    • 고촌역: 간선도로가 2개에 불과한 김포시 도로 사정 상, 김포 한강로 경유 노선을 제외하면 김포 ↔ 서울 노선은 반드시 48번 국도를 경유해야 하며, 이에 따라 대부분 고촌역 정류소에 정차하게 되어있다. 신곡리에 위치한 각종 택지지구, 김포터미널물류단지와 고촌역 정류소를 순환하는 마을버스가 다수 정차한다. 김포 도시철도 고촌역과 연계된다. 추가로 아라대교 정류장 같은 경우 김포터미널물류단지 통근 수요로 인해 김포시 시내버스 등이 대부분 다니면서도, 고양시(일산신도시)와 부천시(중동신도시/상동지구)를 오가는 고양 1001번 직행좌석버스도 중간에 정차하고 있다.
  • 김포 한강신도시(구래동, 마산동, 장기동, 장기본동, 운양동)
    • 구래역: 한강신도시 C지구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한 곳이며 대규모 교통 허브로 계획된 곳으로, 이에 따라 한강신도시 B, C지구 경유 노선은 거의 이 정류장에 정차하게 되어 있다. 인천 서구(검단), 강화군김포시 대곶면, 통진읍 지역에서도 이 정류소를 이용하며, 김포 도시철도 구래역과 연계된다. 본래 이 정류장의 명칭은 '복합환승센터.한가람.솔터마을'이라는 긴 명칭이었다가, 구래환승센터로 변경된 뒤, 김포 도시철도 개통 이후 구래역으로 재차 변경되었다.
    • 마산역: 금빛마을(인근 양촌산업단지 및 학운산업단지 위치)에서 출발해서 마산역을 거쳐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로 향하는 G6004번이 정차한다. 마산동의 버스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김포 도시철도 마산역과 연계된다.
    •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 / 장기역.주공아파트 / 장기역.신영아파트: 한강신도시 B지구와 연담화되는 장기지구의 중심상업지역(장기상가) 앞 사거리에 있는 버스 정류장으로서, 장기동의 버스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김포 도시철도 장기역과 연계된다.
    • 운양역: 한강신도시 A지구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해있으며, 김포 한강로 경유 서울행 광역급행버스가 거의 마지막[4]으로 정차하는 정류장이다. 김포 도시철도 운양역과 연계된다.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 장기사거리.전원마을: 장기동과 운양동 사이에 있는 장기사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강신도시 방면 버스와 강화도 방면 버스간 환승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김포 버스 3000번, 고양 버스 96번과 같은 강화도 행 버스와 김포 버스 22번, 김포 버스 81번과 같은 한강신도시 행 버스로 환승하는 거점이다.
다만, 김포시 시내버스는 다른 지역과 달리 노선들이 틀에 박혀 있는 편이다.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지 않고 계속 기존 경로로만 가고, 수요는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특히 서울 구간은 대부분 직행좌석버스들이 당산역, 합정역 쪽으로만 간다. 또한 개화역~영등포역은 겹치는 노선이 너무 많은데, 60, 60-3, 69, 88번이 똑같은 경로로 다니고 있다.

4.2. 시외버스


시외버스는 거의 없다. 사실 서울/인천에서 출발하여 강화도를 들어가는 노선 상당수[5]는 시외버스 출신이긴 하나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된 상황. 그래서 지금은 극히 일부 노선만 운행하는데, 김포 ~ 청주, 김포 ~ 광주, 김포 ~ 강릉 이렇게 딱 3개 노선만 운행하며[6], 운행 횟수는 드물게 운행한다. 타는 곳은 북변동의 북변환승센터인데, 흔히 '''북변 구터미널(김포 구터미널)'''로 불린다. 정류장 이름 때문에 북변삼거리에 있는 공영주차장이 옛 터미널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원래 김포터미널은 지금 김포 5일장 부근에 있는 터미널 주차장 자리로, 주차장과 붙어있는 4층짜리 건물에 아직도 '종합정류장'이라고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로 강화 가는 시외버스들이 중간 정차하던 터미널이었는데 2002년에 터미널 운영주체인 김포개발과 강화운수 간 사용료 협상이 결렬되면서 폐쇄 크리를 맞이했다. 시에서 2006년부터 대체 터미널을 짓겠다고 했지만 현재는 그냥 감감무소식이다.관련 기사 그 외에 양촌읍에도 양촌터미널이 있었으며 여기서 김포공항, 영등포 방면으로 가던 버스가 시외버스로 운행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 시외버스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아 시내버스만 정차하고 있다. 과거 터미널 자리는 택시 대기장소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 매표소로 사용되던 가건물이 아직도 남아있다. 김포시민들이 지방으로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를 이용하려면 어쩔 수 없이 서울, 부천, 고양 등지로 나가야 승차할 수 있기 때문이다.[7]

4.2.1. 관련 문서



5. 기타


김포국제공항이라는 공항이 있으나 이 공항은 김포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존재한다. '김포'국제공항인 이유는 1942년 김포비행장으로 개장하여 1958년 국제공항으로 승격할 때까지는 행정구역이 김포군 양서면이었기 때문이다. 김포공항 일대가 서울특별시에 편입된 것은 그 이후인 1963년이다. 현재는 서울 관할이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에서 '서울국제공항'으로 개명을 추진 중이나 '서울공항'이라는 대외명을 쓰는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과의 마찰이나 비용, 행정 문제 등으로 인해 좌초된 상황이다.

[1] 관외업체도 선진네트웍스 계열 노선은 선진버스의 동생인 인천의 강화선진버스가 대표적이며, 신강교통이나 청라교통은 물론 서울시 시내버스 업체의 계열사인 고촌교통, 김포 선진운수 등과 같은 김포시 마을버스도 있다. 이들은 관외 업체가 아니며, 그 밖에도 선진네트웍스의 방계 회사인 고양교통도 와주게 된다. 다른 업체는 시흥시와 비슷한 행보로 가는 상태.[2]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서울 면허 버스가 대다수 민영제인 경기 면허 버스에 비하여 요금이 저렴하다.[3] 사우역.김포고(ID : 35246) 정류장에서 강화 방면으로 조금 걸어 돌문마을 입구 쪽에 있는 육교 아래에 위치해있다. 로드뷰 참고[4] 광역급행버스(M버스)만 해당된다.[5] 인천 70, 김포 2, 88, 90, 388, 2000, 3000[6] 수원 가던 8426번 버스가 있었으나 이용객이 저조하여 폐선했다.[7]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센트럴시티터미널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김포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김포공항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으로 환승한 뒤 고속터미널역에서 하차하거나, 버스로는 한강신도시에서는 광역급행버스 M6427번 버스를, 김포 원도심에서는 인천 버스 9501번 버스를 타고 고속터미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접근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고양종합터미널 이용 시 김포 버스 33, 33-1번을 이용하여 대화역 또는 일산동구청(정발산역)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환승한 뒤 백석역에서 하차하거나, 고양 버스 96, 97번 버스를 이용하여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고양종합터미널도 이용 가능하며, 부천종합터미널을 이용하려면 김포시에서 김포 버스 9008번을 통해 부천터미널소풍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갈 수 있다. 그 외에도 김포공항에 정차하는 공항버스시외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김포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김포공항역에 하차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