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부호

 

[image]
로마자 모스 부호와 숫자 모스 부호
[image]
한글 모스 부호
1. 개요
2. 형식
3. 개발 및 역사
3.1. 한국에서의 개발 및 역사
4. 쇠퇴
5. 실제 무선상 교신법
5.1. 교신 예문
5.1.1. 용어 해석
5.1.2. 전문 해석
5.2. 한글 교신 예문
5.2.1. 용어 해석
5.2.2. 기타 사항
6. 매체에서의 등장
6.1. 영화/드라마
6.2. 게임
6.3. 만화/애니메이션
6.4. 기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1]


1. 개요


Morse Code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Samuel Finley Breese Morse, 1791-1872)가 고안하여 1844년에 완성한 전신 기호로, 짧은 발신 전류와 긴 발신 전류만을 가지고 전신부호를 구성하여 문장을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하였다. 통신기술이 발달한 지금에도 가장 기초적인 비상통신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지금까지 라틴 문자(유럽 대륙이나 베트남어 등의 diacritic 포함)[2], 한글, 한자[3], 주음부호, 가타카나[4], 현대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 태국 문자로 이루어진 모스 부호 체계가 있다.
보통 짧은 발신 전류를 점(·), 3단점 정도의 긴 발신 전류를 선(―)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영어로는 각각 dit와 Dah로 읽는다.[5] 한국과 북한에서는 점을 '돈(トン)', 선을 '(ツー)'로 읽는데 이는 일본에서 쓰던 말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짧은 발신신호 하나 보낼 정도의 시간을 1단점이라 해서 시간 기호로 사용한다. 문장의 구성은 1개의 점이나 선 사이에는 1단점의 길이로 간격을 가지고[6], 영어를 모스 부호로 표기할 경우 단어마다 7단점 길이의 간격을 두고 표시하며[7], 한글을 모스 부호로 표기하려 할 경우 음운와 음운 사이에 5단점의 간격을 둔다. 각 글자에 대한 부호 지정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영어 e, 한글 ㅏ)를 가장 짧은 부호(.)로 정하여 타전하기 쉽도록 한다.
참고로 SOS 신호는 · · · - - - · · · (돈돈돈 쯔쯔쯔 돈돈돈)이다. 모스 부호로 입력하는 방법은 짧게 세번, 길게 세번, 다시 짧게 세번으로 알면 된다. 상식 겸해서 혹시 모르니 이정도는 외워두자. 영화 엑시트에서는 영화 중후반 내내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로 등장하는데 이게 바로 SOS 모스부호다. OSO로 보내지더라도 수신자가 의도를 파악한다면 상관없지만, SOS · · · - - - · · ·와 OSO - - - · · · - - - 가 헷갈린다면 SOS를 보내야 하는 급박한 순간에 조금이라도 더 빨리 쳐야 한다는 식으로 유념해 두자. 참고로 HAM(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SOS(조난 신호: 중대하고 급박한 위험에 처해 있을 때)와 OSO(비상 통신: 천재지변 등으로 유선 통신을 사용할 수 없을 때)는 뜻이 약간 다르지만 어찌되었던 간에 위급상황이라는 의미는 똑같다.
[image]
역사적으로 매우 유명한 모스 부호 사용례로, 영상의 주인공은 전직 미국 상원의원 제레미아 덴튼(1924~2014) 제독이다. 미합중국 해군 항공대A-6J 인트루더 공격기 조종사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그는 중령 계급이던 1965년 북베트남 방공포병에 격추되어 포로가 되었는데, 북베트남이 미군의 잔인함을 선전하기 위해 그를 동원해 찍은 1966년 인터뷰 영상에서 눈으로 '''T-O-R-T-U-R-E, 고문'''이라는 단어로 북베트남이 포로를 학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렸다. 의심받지 않기 위해 평상시에도 눈을 자주 깜빡거려 버릇인 것처럼 연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북베트남 측도 이걸 알아차려서 독방에 갇혀 더더욱 고생해야 했다고 한다. 1973년 석방되어 미군으로 복귀, 해군 소장까지 진급해 1977년 30년 동안 해군에 남았으며, 3년 뒤 1980년 앨라배마 주에서 상원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했다.


2. 형식


모스 부호는 단점, 장점, 각 각의 점을 구분하는 무음의 길이, 각 문자를 구분하는 무음의 길이, 각 각의 문자열을 구분하는 무음의 길이가 있다.
단점을 1의 길이로 보았을 때 장점은 3의 길이를 갖고, 이 점을 구분하는 무음의 길이는 1이고, 각 문자를 구분하는 무음의 길이는 3 이다. 또 각 각의 문자열을 구분하는 길이는 7 이다.
모스 부호의 속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WPM(Word per minute)이다. 모스 부호는 각각의 문자별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WPM 속도의 문자열(워드)는 'PARIS' 라는 다섯 개의 문자열로 측정한다.

3. 개발 및 역사


모스가 모스 부호를 처음으로 만든 것은 맞지만, 독창적 아이디어는 아니었고, 사실은 다른 사람이 만든 것을 가로챈 것이었다.[8] 전신을 실제로 발명한 사람은 물리학자이자 프린스턴 대학의 조지프 헨리(Joseph Henry) 교수로 1831년에 발명했다.[9] 그는 '전선을 통한 암호화된 전기 자극으로 의사소통을 한다'라는, 전신의 기초적 개념을 고안했고 장치 실용화에 필요한 필수적 구조를 다 설계했다. 그러나 그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특허를 신청할 생각을 하지 않았고, 그 대신 우리가 아는 모스가 그것을 가로채 자신의 이름으로 특허를 받았다. 모스는 헨리의 논문 대부분을 표절했으며 여의치 않을 때에는 아무 거리낌 없이 헨리를 찾아가 조언을 구했다. 헨리는 수년동안 그를 격려하고 도왔지만 훗날 모스가 전신으로 엄청난 부자가 되고 명예를 쌓은 이후에는 자신의 멘토에게 진 빚을 전혀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모스는 안 좋은 인격으로도 유명했었는데, 지나치게 보수적이었고 노예제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데다 당시 사람들에게서도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다. 조부가 프린스턴 대학 학장이라 뒷배경도 빵빵하고 이름이 잘 알려진 성공한 화가이자 영국왕립학회 회원이었던 그가 왜 자신의 생업을 관두고 전신에 뛰어들었는지는 미스터리다.[10] 거기에다 파리 방문 당시 사진술을 발명한 루이 다게르(Louis Daguerre)를 찾아가 새로 발명한 사진 촬영술을 보여달라고 설득한 뒤 미국에 돌아와 그 방식대로 사진을 찍고 판매하는 짓을 저지르는가 하면,[11] '''한가할 때 연구하려고''' 루이 브레게(Louis Breguet)가 발명한 장거리 통신에 중요한 자석을 훔치기도 했다. 그렇다. 빌린 것도 아니고 훔쳤다. 이 정도면 뇌물에 깡패까지 동원했던 에디슨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그렇게 모스는 5년동안 꾸준히 악행을 해서 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 약 64km 구간에 대한 전신 가설 비용으로 3만 달러의 예산을 얻어냈고, 1844년 5월 24일 전신선이 완공됐다. 모스와 지지자들은 국회의사당의 구 대법원 판사실에 모여 모스가 모스부호를 사용해 처음으로 전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지켜보았는데 모스는 특허청장의 딸인 일곱 살 어린이에게 최초의 메시지를 부탁했고 그 어린이는 민수기 23장 23절의 구절 "하느님께서 이렇듯이 큰일을 하셨구나(what hath God wrought)[12]'"를 선택했다.
모스는 남북전쟁 때도 열렬히 남부를 지지했기에 남북전쟁이 끝나고 정치적으로 매장되었지만 그동안 벌어들인 막대한 돈으로 편히 살다가 천수를 누렸다.

3.1. 한국에서의 개발 및 역사


한글 모스 부호를 개발한 사람은 김학우로, 함경북도 경흥 출신으로 외국어에 능통했고 1884년부터 1886년까지는 기기국위원과 전환국위원 등을 지냈다. 그러다 1884년에 일본에서 부산-나가사키 간 해저 전선을 개통시킨 것을 보고 고종에게 전신 가설을 건의하여 이를 받아들인 고종의 명령으로 전신 기술을 배우러 일본에 갔다. 그는 매일같이 전신 본국을 찾아가 연구하여 전신부호를 개발하였으며 이 당시에 한글 전신부호를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김학우가 만든 한글 전신부호는 1888년 조선전보총국이 설립되면서 <전보장정>에서 한글 전신부호의 모체로 채택되었고 이후 이 부호에 'ㅔ'와 'ㅐ'만 더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출처

4. 쇠퇴


모스 부호는 한동안 통신언어로서의 굳건한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만들어진지 16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모스 부호는 점차 현 세대의 첨단 통신 기술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13]
일례로 국제 해사 기구(IMO)는 2000년 원양에서 긴급 상황이 터졌을 때, SOS를 알리는 유일한 수단이었던 모스 부호를 이용한 무선 전신 체제를 폐지했고 대신 인공위성을 적용한 해상 조난 안전 제도를 도입하였다.
[image]
하지만 무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특히 군사작전 중 무선침묵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통신을 위해 해군 함정에는 아직도 빛을 이용하여 모스 부호를 보내는 발광신호기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발광신호기를 못 쓰더라도 탐조등이나 별도의 전등 혹은 함 자체의 전원 등을 이용해 모스 부호를 보낼 수 있다. 그 외에 깃발을 사용한 기류, 수기 신호도 있다.
모스 부호는 경우에 따라서 이진법으로 볼수도 있고, 삼진법이나 사진법 혹은 오진법까지도 볼 수 있다. 우선 이진법인 경우, dot은 1을, dash는 111을, 시그널 간격을 0, 글자 간격을 000, 단어 간격을 0000000으로 규정할 수 있다. 즉, 단어 son은 101010001110111011100011101이 되는 것이다. 삼진법인 경우에는 dot=1, dash=2, 글자 간격=000, 단어 간격=0000000 으로 한다. 즉 삼진법에서 단어 son은 11100022200021이 된다. 사진법에서는 글자 간격=0, 단어 간격=1, dot=2, dash=3으로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진법에서는 시그널 간격을 0, 글자 간격을 1, 단어 간격을 2, dot를 3, dash를 4로 본다. 오진법에서 단어 son은 303031404041403로 나타낼 수 있다

5. 실제 무선상 교신법


이 문단은 '아마추어 무선'을 기반으로 교신방법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모스부호가 전문용어로 CW인 관계로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통상 모스부호 교신을 CW교신이라고 한다.(이하 CW) CW는 모스부호가 길기 때문에 단축해서 사용하는 단어가 많으며, 음성이 변조되어야만 출력이 나가는 SSB나,AM과는 달리 모스부호 키를 누르기만 하면 완전한 출력이 나가기 때문에 해외교신(DX)이나, 혼신 등에 유리한 편이다. 실제로 무선교신을 청취하고 싶으면 단파 라디오 기종중 SSB나, SSB/CW 수신을 지원하는 라디오를 구비하거나, HF무전기(단파 무전기)와 안테나를 구비하여야 한다.(라디오에는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으나, 무전기는 안테나를 따로 구비해야함) 국내에서 모스부호는 통상 7000~7030KHz, 3500~3525KHz 대역에서 많이 교신하기 때문에 쉽게 교신하는것을 들을 수 있다. 이 대역은 실내에서만 수신하면 수신이 대단히 힘들기 때문에 야외에서 수신하거나, 야외에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을 강력히 권한다.
또한 라디오는 상관이 없으나, 무전기의 경우 수신은 위법이 아니나 키를 잡게되면(즉 허가없이 전파를 송신할 경우) 국내 전파법에 의거, 적합성평가를 받은 경우 100만원 이하의 벌금, 적합성평가를 받지 않은 경우 3년 이하 징역 혹은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국내는 북한의 영향으로 벌칙이 센 편이다. 무전기를 구비하는 경우 꼭 유념하도록 하자.
여기서는 DS4HGB와 6M0OK가 영문으로 짧은 교신하는것을 예로 들겠다.

5.1. 교신 예문


DS4HGB : CQ CQ CQ DE DS4HGB DS4HGB K
6M0OK : DS4HGB DE 6M0OK 6M0OK K
DS4HGB : R R 6M0OK DE DS4HGB BT
GA DR OM TNX FER UR CALL BT
UR RST IS 599 599 BT
ES MY QTH IS GWANGYANG-CITY BT
HW? AR 6M0OK DE DS4HGB KN
6M0OK : DS4HGB DE 6M0OK BT
GA DR OM HI HI UR RST ALSO 599 5NN BT
ES MY QTH IS GUMI-CITY BT
CU AGN AR DS4HGB DE 6M0OK 73 TU TU E E
DS4HGB : R R CU AGN 73 TU E E
6M0OK : E E
DS4HGB : E
DS4HGB : QRZ? DE DS4HGB K

5.1.1. 용어 해석


교신 상황에 맞춰 필요 최소 사항만 서술했으며, 이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항은 인터넷에 검색을 요함.
CQ는 프랑스어로 집중하라는 뜻의 sécurité에서 앞의 두 음절이 CQ라는 알파벳의 프랑스어 이름과 같아서 축약되었으며 C'est qui (누구 있나요?)와도 발음이 같다. CQ는 무선상에서 '본 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모든 무선국을 일괄적으로 호출'하는 단어이다.
DE는 프랑스어로 of, 즉 '여기는'이라는 의미이다.
K는 모든 전문을 마무리하고 상대에게 송신을 종료하겠다고 알리는 의미이다.
R는 Received의 약자로 알아들었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14]
BT는 키보드에서 문서작성 시 엔터를 누른 것과 같은 줄 바꿈을 의미하며, 연속으로 이어서 송신한다.(-***-)
GA는 GOOD AFTERNOON, 변형으로 GM GE가 있다.
DR는 DEAR.
OM는 OLD MAN. 여기서 주의사항은 OM은 무조건 늙은 사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존칭으로 사용된다. 변형으로 YB(Young Boy), YL(Young Lady), OT(Old Timer) 등이 있다.
TNX는 THANKS.
FER는 FOR인데, 모스부호상 빠르게 치기 위해 변형되었다. **-* --- *-* → **-* * *-*
UR는 YOUR.
CALL는 호출.
RST는 군에서 감명도와 유사한 것으로 아마추어 무선상에서는 '리포트'라고도 부른다. R(readability) S(signal strength)에 CW에서만 사용하는 T(tone: 발진 음질)가 붙어서 표현된다. 아마추어 무선 참고.
599는 간단히 말해 신호가 강력하고 깨끗하다는 뜻이다.[15]
ES는 AND의 축약형.
QTH는 위치를 의미한다. 자세한 내용은 Q부호참고.
HW? 는 HOW COPY? 의 줄임말로 이것이 HW CPI? 가 되었다가 더 줄여서 HW? 만 치는 경우도 많다.
AR는 '본문 내용 끝'으로 BT와 같이 연속으로 송신한다. (*-*-*)
KN은 K랑 똑같은데 뒤에 N을 붙이면 다른 상대의 끼어들기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오로지 1:1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종료 구.
HI는 CW상에서의 웃음으로 'ㅋㅋㅋㅋ'와 흡사한 의미를 지닌다. 전신상 타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쉬운 부호로 만들어져 있다.(**** **)
5NN는 599를 모스부호로 칠 때 ***** ----* ----*인데, 이 9에 해당하는 숫자의 반복되는 곳을 줄여서 영문 N과 같이 만든 것이다. (-*) 이는 숫자 축약형으로 아마추어 무선에서는 보편적으로 5NN을 많이 쓴다.
CU AGN는 SEE YOU AGAIN의 발음상 축약형.
73 유래는 다이폴 안테나의 임피던스인 73옴, 안테나에서 날아가는 마지막 전파라는 점에서 유래하였다. 종료 구로 사용된다.
TU는 THANKYOU의 줄임말로 이것이 굳어져 종료구로 사용된다.
E는 BYE BYE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안녕이다. 이것또한 TU와 마찬가지로 굳어져 종료구로 사용된다.
QRZ는 누가 나를 호출하고 있습니까?라는 뜻을 가진 Q부호이다. 교신이 끝날 때까지 대기하는 무선국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러한 무선국이 있거나, 계속 교신을 이어가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

5.1.2. 전문 해석


DS4HGB : 수신범위 내 모든 무선국에게 호출 중.. 여기는 DS4HGB 무선국 수신합니다.
6M0OK : DS4HGB 여기는 6M0OK 수신합니다.
DS4HGB : 알겠습니다. 6M0OK 여기는 DS4HGB입니다. 줄 바꿈.
좋은 오후입니다. 오엠님 응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줄 바꿈
신호 리포트는 599입니다. 줄 바꿈
그리고 위치는 광양시입니다. 줄 바꿈
그쪽은 어떻습니까? 본문 내용 끝. 6M0OK 여기는 DS4HGB 수신합니다
6M0OK : DS4HGB 여기는 6M0OK. 줄 바꿈.
좋은 오후입니다. 오엠님 ㅎㅎ. 그쪽 신호도 599입니다. 줄 바꿈
제 위치는 구미시입니다. 줄 바꿈
나중에 뵙겠습니다. 본문 내용 끝. DS4HGB 여기는 6M0OK. 안녕히 계세요.
DS4HGB : 네 나중에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6M0OK : E E
DS4HGB : E
DS4HGB : 누가 저를 호출하고 있습니까? 여기는 DS4HGB 수신합니다.

5.2. 한글 교신 예문


DS4HGB : CQ CQ CQ DE DS4HGB DS4HGB K
6M0OK : DS4HGB DE 6M0OK K
DS4HGB : R R 6M0OK DE DS4HGB KA? BK
6M0OK : R R DS4HGB DE 6M0OK BT
KA KA KA 안녕하세요 오엠님 만나 뵙게 되어 대단히 반갑습니다.
본국 현재 신호는 599로 입감 되고 있습니다.
여기 위치는 구미 구미입니다.
귀국은 어떻습니까? KA KA KA
AR DS4HGB DE 6M0OK KN
DS4HGB : 6M0OK DE DS4HGB
KA KA KA 안녕하세요 오엠님 저도 만나서 대단히 반갑습니다
귀국 신호도 마찬가지로 599 입감 되고 있습니다.
여기 위치는 광양 광양입니다.
감사드리며 다음에 온 에어에서 뵙겠습니다.
KA KA KA AR 6M0OK DE DS4HGB 73 TU VA E E
6M0OK : DS4HGB DE 6M0OK
KA KA KA 알겠습니다 오엠님 다음에 뵙겠습니다. KA KA KA
DS4HGB DE 6M0OK 73 TU E E
DS4HGB : TU E E
DS4HGB : QRZ? DE DS4HGB K

5.2.1. 용어 해석


BK : 브레이크라는 것으로 상대방에게 급히 키를 터닝할 때 사용한다. 연속으로 붙여 송신한다.(-***-*-)
KA : 한영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법으로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KA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연속으로 붙여 송신한다.(-*-*-)
이하 위 6.1.1 용어 해석 참고.

5.2.2. 기타 사항


너무 당연하지만 내용 안에 적힌 국어는 당연히 한글 모스부호에 기반하여 타전한다.
모스부호에 없는 ㅖ같은 경우에, 천지인 키보드 타입 하듯 ㅕ ㅣ를 순서대로 타전하전하면 된다.
타전 순서는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의 경우 'ㅇ ㅏ ㄴ ㄴ ㅕ ㅇ ㅎ ㅏ ㅅ ㅔ ㅇ ㅛ'로 타전하면 된다.
수신 측에서 수신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한 음절마다 조금의 여유를 두고 타전하는 것이 좋다.

6. 매체에서의 등장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은 SOS. 이런 경우는 전신기로 직접 입력하는 것보다, 무전기 등 다른 통신수단이 고장은 났는데, 소음이나 기기를 작동 및 중지시킬 때 발생하는 잡음은 송신이 가능할 경우, 그걸 이용해서 모스 부호를 보내는 형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SOS의 모스부호는 평소에 알아둘 것이라는 언급도 자주 나온다.
현대 배경의 작품에서는 비상 상황에서 최후의 통신 수단 역할인 경우가 많으나 19세기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의 경우 유일한 원거리 실시간 통신수단으로써 굉장한 하이테크 신기술로 등장한다. 그러나 이렇게 등장하는 경우 스토리 상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그냥 통신 수단 역할. 현대 배경 작품에서는 어지간히 급박한 상황이 아니면 모스 부호까지 쓸 일이 없지만 이런 작품의 경우 실제로 원거리 통신은 이것뿐이라서 쓰는 것이다. 등장인물이 적으로 잠입하거나 곤란한 상황에 처해 주변의 적들에게 들키기 않고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때 손가락 등으로 모스 부호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6.1. 영화/드라마


  • 아이리스 13회에서 북한공작원들에게 붙잡힌 승희를 살리기 위해서 현준이 사용한다. 겉으로는 NSS 보안코드를 심문하는 척했지만 손으로 모스부호를 보내 승희에게 진짜 의도를 전달했다.
  • 자이언트 34회에서 조필연의 비자금을 빼돌리려던 이성모가 조필연에 의해 방 안에 감금되었을 때 `함정`이라는 신호를 이강모에게 알리기 위해 방 창가에서 볼에 손을 올리고 툭툭 치는 형식으로 모스 부호를 보내 차 안에 있는 유찬성에게 전달했다.
  • 새벽의 7인에서 체코에서 영국과 교신하는 영국 특공대원들이 나오고 낙하산 투하씬에서 모스가 나온다. 그런데 자막과 내용이 전혀 틀리다고 한다.
  • 파이널 디씨전에서는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여객기의 꼬리날개 등으로 모스 부호를 보내서 여객기를 격추하려는 미군 파일럿에게 주인공 일행이 계속 작전을 수행 중이라는 신호를 보내서 여객기의 격추를 막는다.
  • 무간도에서 경찰학교 수석 출신 진영인이 삼합회에 잠입, 황국장에게 한침이 계획하는 정보를 보내주기 위해 모스 부호를 사용한다.
  • 트랜스포머 1편 후반부 디셉티콘메가트론과 큐브가 있는 곳을 공격함에 따라 섹터7 시몬스 요원과 미국방장관이 디셉티콘 공격에 맞서기 위해 미공군에게 공습 요청을 한다. 하지만 통신 두절로 요청이 되지 않자 긴급 공습 명령을 모스 부호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 인터스텔라에서도 이야기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시공간과 차원을 뛰어넘어 전달하는 수단으로 등장한다. 초반 머피가 떨어진 책장의 빈 곳을 모스부호로 해독하니 STAY가 나왔고 후반부 블랙홀에 들어간 타스와 쿠퍼가 블랙홀 양자 데이터를 모스 부호로 전환, 쿠퍼가 머피에게 준 시계의 초침을 움직여서 양자 데이터를 전송한다.
  • 이소룡용쟁호투에서는 후반부에 최종보스 한의 마약 공장에 잠입한 이소룡이 모스 부호를 이용해서 위치를 알리는 장면이 나왔다.
  • 패닉 룸에서 모스 부호로 조난신호를 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 렛미인에서 주인공들이 모스 부호를 통해 소통하는 장면이 나온다.
  • 소설 및 영화 붉은 10월에서 붉은 10월호의 미국 망명 의사를 타진할 때 함장 외의 다른 승조원들이 알 수 없게 잠망경을 통한 발광신호 모스 부호로 통신하는 모습이 나온다.
  • 영화 기생충에서 근세와 기택이 지하실에서 모스 부호를 통해 메세지와 편지를 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 영화 엑시트에서 의주(윤아)가 용남(조정석)의 가족들에게 구조신호라면서 따따따 따-따-따- 따따따[16]를 외치고 박자에 맞춰 핸드폰 플래시를 점멸시키게 한다.
  • 영화 커런트 워에서도 소리를 이용한 모스 부호가 잠깐 나온다. 에디슨의 아들이 주로 이용하는데, 식탁에서 숟가락으로 접시를 두드려 "저 사람 코가 체리 같다"는 메세지를 보내거나 에디슨의 아내가 죽은 후 침대에 누운 에디슨의 신발 밑창을 두드려 "사랑해요"라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한다. 에디슨은 이에 아들의 밑창을 두드려 답신을 준다.[17]
  • 영화 타이타닉에서도 통신원들이 카르파티아호에게 비상신호를 발신한다. 영화에서도 실제 타이타닉 침몰사고 당시에도 잭 필립스를 비롯한 무선사들은 가라앉는 순간까지 구조신호를 타전하고 있었다.
  • 영화 터널에서 주인공이 자동차 경적을 울릴 때 사용되었다.

6.2. 게임


  • 타이토의 게임 중화대선체이스 HQPC엔진 이식판에서 게임을 시작한 뒤 포즈 상태에서 10분 40초를 기다리면 모스부호음이 들리는데, 이 모스부호음은 여기뿐만 아니라 롬 헤더에서도 일종의 코드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JN1KTJ는 이식 프로그래머로 추정되는 테라다라는 성씨를 가진 사람 그외에도 확인불명의 프로그래머나 코시나카(카타카나로 コシナカ라고 쓰임)라는 사람의 이름이 언급되기도 한다. # #
  • 1943의 패미컴 이식판에서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모스 부호음은 "CQ DE CAPCOM DN SK" 무선약어를 풀어쓰면 "Calling any station. This is CAPCOM. Down and out."[18]이 된다.#
  • GTA 5에서 사이비 종교 조직 알트루이즘의 홈페이지는 전부 모스 부호로 적혀 있다.
  • 디 오더: 1886에서는 공중지원을 위해 비행선에 모스 부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 크림슨 룸 시리즈의 4번째 작품 화이트 챔버에서 모스 부호를 이용한 퍼즐이 등장한다. 부호를 몰라서 못 푸는 일이 없도록 A부터 Z까지의 부호표를 제공한다. 총 2번을 풀어야 하는데, 첫 번째 키워드는 OPEN이고 두 번째는 HELP다.
  • 큐브 이스케이프 시리즈의 Cube Escape: The Cave에서도 모스 부호를 이용한 퍼즐이 있다.
  • Go morse go 는 모스부호에 익숙해지기 위한 게임이다 한컴게임과 같다고 보면 될듯
  • 고전 PC게임 울펜슈타인 3D의 3번째 에피소드 맵 1, 5 등에서 쓰이는 배경 음악을 자세히 들어보면 비프음이 깔려있는데 이게 모스 부호 메시지로 해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To Big Bad Wolf." "De Little Red Riding Hood." "Eliminate Hitler. Imperative. Complete mission within 24 hours. Out."
"늑대에게" "빨간 두건으로부터"[19] "히틀러를 24시간내에 반드시 제거하고 임무를 완수하라. 통신 완료."


6.3. 만화/애니메이션


  • 하이브에서도 주인공의 아내가 사용한다.
  • 나비효과에서 테러리스트가 방송에 대고 욕설을 하는데, 검열을 위해 넣은 삐 효과음이 모스 부호가 되어 본진에 정보를 알리게 된다.
  • 패트와 매트에서 매트가 벽지에 붙어버릴때 밀대로 SOS를 친다.
  • 스타크래프츠 시즌5 마지막화인 27화 마지막부분에서 집정관이 부관에게 그간 독점한 미네랄을 건내주는데 이때 부관에게서 모스부호가 출력된다 모스부호를 해석하면 'RED IS NOT DEAD'
  • 약속의 네버랜드에서 엠마 일행의 탈출구가 된 윌리엄 미네르바의 책과 펜의 암호가 부엉이를 둘러싼 모스부호의 형태를 띄고 있다. 후에 윌리엄 미네르바의 하수인인 '지원자'가 엠마 일행에게 모스부호로 전화를 걸어 앞으로의 방침을 말해주기도 한다.
  • 날씨의 아이 의 삽입곡인 愛にできることはまだあるかい(사랑이 할 수 있는 일이 아직 있을까) 마지막 부분에 삐삐 거리는 소리가 나오는데 이를 해석하면 노래 제목인 사랑이 할 수 있는 일이 아직 있을까(愛にできることはまだあるかい) 이다.

6.4. 기타


  • 기아 K5 의 광고에도 모스 부호가 등장한다.
  • 러시의 연주곡 'YYZ' 인트로 부분의 기타 스트로크는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IATA 코드 'YYZ'를 모르스 부호로 형상화한 것이다. 단, 인트로 부분만큼은 박자가 꼬이는 감이 있어서 5/4박자로 처리했다고 한다.
  • 마션에서 패스파인더로 지구와의 교신에 성공하고 와트니가 공부한다. 이후 패스파인더를 태워먹고 나사에게 상태를 전달하기위해 사용한다.
  • 일본 보컬로이드 곡인 M'AIDER조난 걸에서도 중간에 모스부호가 나온다.

[1] 상기된 한글 모스 부호에 기반하여 작성하였다.[2] 단, 미 해군은 다른 모스 부호 체제를 쓴다고 한다.[3] 중국에서는 각 한자에 숫자 네 자리로 이루어진 코드를 부여해 놓고 그 숫자들을 보냈다고 한다. 예를 들어 天安门은 1131 1344 702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이었다(코드북).[4] 모스 부호가 쓰였던 시절의 일본에서는 히라가나보다 가타카나를 더 자주 썼다. 히라가나 대응 모스 부호는 따로 없는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문자가 1:1로 대응되어 가타카나로 써도 그대로 읽어 버리면 되므로 따로 있을 필요가 없다.[5] 각 부호의 명칭은 Dot와 Dash이며 이렇게 읽을 때도 있다.[6] 아래 언급되는 s의 경우는 ·1단점 쉬고·1단점 쉬고·의 형식이 된다.), 1개의 문자나 기호 단위로 3단점 길이로 간격을 가지며(다시 한번 s와 o 사이에는 · · ·3단점 쉬고 - - -. 물론 중간 중간에 1단점이 포함된다. 네모칸으로 표시하면 ■□■□■□□□■■■□■■■□■■■□□□■□■□■.[7] 그래서 1,3,7의 법칙이라고 한다.[8] 이런 사례는 역사에 무수히 많은데, 진공청소기를 최초로 발명한 머레이 스팽글러(영국의 가죽 세공업자 후버가 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초의 전화기 장치를 발명한 이탈리아 이민자 안토니오 무치(알렉산더 벨이 발명한 게 아니다. 나중에 문제가 불거지자 그는 변호사를 고용해 무치와 법정에서 공방을 벌였고, 가난한 이민자였던 무치는 변호사를 고용하지 못해 패소했다) , 재봉틀을 최초로 만들어낸 하우저(재봉틀 브랜드로도 유명한 아이작 싱어가 가로챘다. 훗날 소송 끝에 하우저에게 재봉틀 하나를 팔 때마다 일정 금액을 제공하라는 판결이 나오긴 했지만 하우저 사후의 판결이었다) 등 넘치고 넘친다.[9] 전기공학도나 물리학도라면 다 아는 인덕턴스의 단위인 H(헨리)가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다.[10] 어린이용 위인전으로 많이 알려진 이야기는 파리에 있을 때 아내가 병들었다는 편지를 받고 미국으로 돌아갔더니 아내가 이미 세상을 떠난 후여서 편지보다 빨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수단이 있었다면....하고 화가 일을 그만두고 전신 연구에 뛰어들었다고 하나, 사실과 전혀 다른 미화된 이야기이다.[11] 그 과정에서 최초의 실물 사진을 찍은 사람으로 유명해지기까지 했다.[12] 공동번역 기준. 개역개정/개역한글로는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이 어찌 그리 크냐"[13] 그러나 아직은 대륙을 넘나드는 무전통신에 사용되고 있으며 아마추어 무선통신에서도 3급 전신부터 모스부호 시험을 친다.[14] 영화 등에서 무전을 받고는 roger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을 텐데 이게 Received의 약자, R의 옛 음성 기호다.[15] R이 1에서 5, S와 T는 1에서 9의 값을 가진다. 즉 최대치인 599는 “잘 들린다”는 말과 동의어이다.[16] SOS의 모스부호 · · · – – – · · ·를 말로 표현한 것이다.[17] 영화 속에서의 모스 부호들은 아래에 자막이 뜨는데, 이 답신은 자막이 나오지 않는다.[18] 해석하자면 "응답 바람. 여기는 캡콤, 격추 당함. 교신 종료". SK는 무선통신에서 교신 종료를 의미하는 약어(silent key)이다. 또한 down and out을 하나의 표현으로 보면 빈털터리라는 뜻이 되기 때문에, "응답 바람. 여기는 캡콤, 빈털터리다."로 풀 수도 있다.[19] 늑대는 정황상 블라츠코빅츠를, 빨간 두건은 연합군 사령부를 지칭하는 암호로 추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