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반노래방/각종 기록
1. 개요
쟁반노래방에서 나온 각종 기록들을 정리한 문서.
2. 성공 및 실패 부문
2.1. 성공 최단 기록
- 특이사항으로는 1위와 2위에 랭크되어 있는 74회, 131회, 147회는 도전곡을 빨리 끝내 예비곡까지 도전했고 그 세 사례 모두 성공했다. 이 중 147회는 예비곡도 빨리 끝내 본 랭크에 등재되었다. 후술하는 다른 부문의 기록들에서도 이 세 회차는 1회 출연에 2승으로 취급한다.
- 6인 기준에서는 5번만에 성공한 161회 <라라라>가 최고 기록이다. 그 다음이 24회 <검은 고양이 네로>와 174회 <행진>의 7번째 시도 성공.
2.2. 연승 및 연패
- 최다 연승
- 최다 연패
2.3. 게스트 최다 성공
2.4. 게스트 최다 실패
3. 쟁반 부문
3.1. 쟁반 갯수
쟁반 4개 이하 에피소드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5개와 6개는 정규 에피소드에서 다수 등장했기 때문에 집계에서 제외한다.
3.2. 한 회차 내 쟁반을 맞은 횟수
- 한 회차 안에서 맞은 횟수를 기준으로 집계하며, 한 소절 가르쳐주기 찬스에서 실수로 피하지 못한 것, 번외 시도의 NG, 제작진 혹은 출연진의 실수로 추가로 맞은 것까지 포함한다.
- 한 사람이 여러 번 출연한 경우 해당 도전자가 달성한 최고 기록만 집계한다.
- 출연자 전원이 11회 이상 맞은 회차는 해당 회차에서 가장 많이 맞은 사람만 기록한다.(등재 기준은 12회 이상)
3.3. 누적 쟁반을 맞은 횟수
고정 MC를 제외한 복수 회차에 출연한 사람들이 쟁반을 맞은 누적 횟수를 집계한 것이다.
등재 기준은 복수 출연자들 중 출연 횟수에 관계 없이 쟁반을 '''40회''' 이상 맞은 사람들만 기재한다.
조건에 미달되었지만, 평균 1위는 김승수로 무려 한 번 출연당 14회 쟁반을 맞았다. 40회 이상으로 한정하면 1위는 이혁재로 '''10.83회.'''[15]
4. 기타 출연자 부문
4.1. 최고령 및 최연소
- 본방송일과 생년월일의 차로 집계하며, 모든 방영분을 대상으로 한다.
- 한 사람이 여러 번 출연한 경우 해당 도전자가 달성한 최고 기록만 집계한다.
- 등재 기준은 방송일 기준 최고령 만 60세 이상, 최연소 만 20세 미만으로 한다.
- 최고령 출연자
- 최연소 출연자
쟁반노래방 역대 출연자 중 최고령은 1937년생인 원로 탤런트 김영옥이고, 최연소 출연자는 2001년생인 가수 전소미다. 두 사람의 나이 차는 무려 '''64년'''이며, 특히 전소미는 이 쟁반노래방 프로그램과 동갑이다. 단, 방송 출연 당시 나이를 기준으로 하면 만 13세 7개월에 처음 출연했던 가수 죠앤(1988년생)이 최연소며 이 기록은 깨지지 않았다.
최고령 출연자 중 여운계와 최연소 출연자 죠앤은 안타깝게도 2021년 현재 고인이다. 여운계는 2009년 5월에 지병으로 향년 만 69세로 타계했고 죠앤은 2014년 12월에 교통사고로 인해 향년 만 26세로 타계했다.
4.2. 최다 출연
4.3. 최다 실수
- 한 회차 안에서 출연자 한 명이 틀린 횟수를 기준으로 집계하며, 다함께 부르는 소절 및 번외 시도는 제외하고 집계한다.
- 단, 다함께 부르는 소절에서 특정 도전자 1~2명이 틀린 경우에는 해당 사람만 포함한다.[21]
- 한 사람이 여러 번 출연한 경우 해당 도전자가 달성한 최고 기록으로 집계한다. 등재 기준은 개인 5회 이상이다.
4.4. 한 번도 못 불러보고 실패한 출연자
진도가 끔찍하게 안 나가는 날엔 마지막 자리에 앉은 출연자가 단 한 번도 못 불러보고 실패하는 경우도 몇 차례 있었다. 정규 시도 10번 시도 내에서 한 번도 못 불러보고 끝난 경우에만 등재한다. 번외 시도에서 불러봤다고 하더라도 정규 시도에서 못 불러본 경우에도 등재 대상이 된다.
5. 한 소절 보여주기 역대 방식
40회부터 도입된 찬스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출연진에게 가사를 보여준다. 이 방식은 신동엽, 이효리 체제 때는 대부분 찬스가 적힌 판을 잠깐동안 보여주다 닫는 식으로 진행했다면 유재석, 김제동 체제로 넘어온 뒤로는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선보였다. 간혹 찬스로는 나왔는데 뽑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취소선 표시.
5.1. 신동엽, 이효리 체제
5.2. 유재석, 김제동 체제
6. 한 사람만 쟁반 맞고 한 소절 가르쳐주기 맞은 사람
7. 역대 "한 사람만 쟁반 맞고 한 소절 가르쳐주기" 물음표 일람
75회 <바닷가에서> 편부터는 "한 사람만 쟁반 맞고 한 소절 가르쳐주기" 찬스 앞에 특정 조건을 붙이고, 그 내용을 물음표로 가려놓았다. 각 회차별 문서에 흩어진 물음표 속 내용들을 아래 표로 정리했다.
7.1. 신동엽, 이효리 체제
7.2. 유재석, 김제동 체제
7.3. 가위바위보 쟁반맞기
7.3.1. 방식
- 162회부터 당시 게스트였던 김태우의 제안으로 도입된 방식이며, 168회를 제외하면 계속 이 방식으로 진행했다. 물음표 내용 'A가 한 사람 데리고'의 A가 한 사람 B를 지목하거나, 'C가 찍은 두 사람'의 C가 A, B를 지목한다. 'A랑 B랑'이 나오거나 PD가 A, B를 선택한 적도 있다.
- A와 B가 가위바위보를 실시한다.
- 이긴 쪽은 고개를 살짝 숙여 쟁반을 회피하고, 진 쪽은 쟁반을 맞는다. 가위바위보에서 이겨도 못 숙이면 당연히 쟁반을 맞는다.
7.3.2. 역대 전적
8. 찬스 획득게임 '뻥이요' 역대 주제 일람
9. 최다 소절 노래
[1] 유재석-김제동 체제 최다 연승. 131회는 노래를 두 곡(달, 노래는 즐겁다) 성공했으므로 이 경우는 두 번 성공한 것으로 간주한다.[2] 신동엽-이효리 체제 최다 연승. 60회는 송년특집이라 제외.[3] 32회는 특집 방송이라 제외. 147회는 2곡 도전.[4] 100회는 특집 방송, 173회는 책가방 토크만 방영해서 제외.[5] 89회는 특집 방송이라 제외.[6] 2곡 성공.[7] 이 때는 god로 출연.[8] 이 특집에서 4번 자리(엔젤석)에는 쟁반이 내려오지 않도록 했다.[A] A B 마지막 시도에서 성공했으나, 차승원이 중간에 음악을 정지하는 바람에 아홉번째 시도에서 쟁반이 내려올 틈이 없었다.[9] 차승원과 가위바위보는 10승 9패로 승리했으나, 한 번 쟁반을 피하지 못해서 총 10회 맞았다.[10] 김승수와의 가위바위보에서 개인전 5전 전패, 팀전 1승 3패, 합계 1승 8패로 완패했다. 그것도 '''8연패 끝에 막판에 1승했으나, 이마저도 쟁반을 피하지 못해서 9번 맞았다.''' 덤으로 김제동은 12번, 나머지 4명은 10번 맞았다.[11] 김제동과 가위바위보는 9승 10패로 패배했으나, 유재석이 차승원과 김제동의 폭주를 막으려다 오히려 한 번 대신 맞은 덕에 쟁반은 9번만 맞았다.[12] 가위바위보가 진행된 회차를 제외하고 최고 기록.[13] 원래는 가위바위보로 맞기로 했지만, 둘 다 결과에 상관없이 같이 맞았다.[14] 이 회차에선 모두 쟁반을 1대 맞아야 한 소절을 가르쳐주었다.[15] 김승수는 첫 출연인 '얼굴' 편에서 실패했고, 두 번째 출연에서는 가위바위보에서 계속 져서 쟁반 맞은 횟수가 늘어난 거며, 이혁재는 가위바위보로 인해 쟁반을 맞은 건 없고, 시험이나 도발해서 맞은 것도 있지만, 번외 시도에서 맞은 3번 때문에 쟁반 맞은 횟수가 늘어났다.[16] 1984년 6월 19일 생, 악동클럽 출신의 가수.[17] 1983년 3월 8일 생, 미스코리아 출신 방송인.[18] 유재석-김제동 체제에서의 최연소 출연자.[19] 14~16회는 스페셜 MC[20] 17~19회는 스페셜 MC[21] 예를 들어, 104회 <새색시 시집가네> 편 여섯번째 시도의 마지막 소절(다함께)에서 나온 유재석의 "소꿉동무 새색시가 쌀(!!!)일 줄이야(...)"는 유재석 혼자 틀린 것으로 카운트한다.[22] 낙화도다로 부르기로 해놓고 일부 출연자들이 맞는 가사인 '''낙화로다'''로 불렀다. 단, 김C가 낙화로다로 맞게 불렀을 경우 6회.[23] 특히 5~7번째 시도는 같은 가사로 세 번이나 NG냈다.[24] 마지막 시도는 판정 보류로 일단 노래를 끝까지 불렀지만, 천정명 박자가 늦었기 때문에 본인이 틀린 것으로 카운트.[25] 이 둘은 후에 번외 시도에서 노래를 부를 수가 있었다.[26] 괄호 안은 변장한 모습이다.[27] 이 방영분에서 주번이 가사를 애매하게 보여주는 바람에 출연진에 의해 가사판이 절도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이 찬스는 10주간 종적을 감췄다.[28] 바로 사용하지는 않고 보류했다가 일곱번째 시도 이후에 사용했다.[29] 배에 가사를 적어놨다. 74회와 더불어 신동엽, 이효리 체제에서 나온 특이사례다.[30] 김건모에 의해 첫번째 도전곡이 두 번만에 끝나고 두번째 도전곡 시도 중에 뽑혔는데 가사판이 없어서 공책에다 직접 적어서 보여줬다.[31] 이 날 찬스는 한 소절 보여주기가 아니라 지우개 찬스였는데 사용 방식이 한 소절 보여주기와 큰 차이가 없다.[32] 등에 가사가 적힌 종이를 붙여놓고 돌면서 발레를 했다.[33] 사실 최민수가 기습적으로 뽑은 찬스였으나 MC들에 의해 제지당했고 강제 무효처리.[34] 그 후 전곡 다시 듣기를 뽑아서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35] 처음엔 성시경이, 그 다음엔 신동엽이 자진해서 맞겠다고 했는데 아유미가 신동엽을 지목하여 신동엽이 맞았다.[36] 후술할 눈치 게임으로 정하긴 했으나 물음표는 없었다.[B] A B 이 때는 한소절을 들러주는 형식으로 나왔다.[37] 원래는 한 소절이었다가 유재석의 제안으로 두 소절로 바뀌었다.[38] →는 본래 맞기로 했다가 대상이 변경된 경우를 의미한다.[39] 장나라가 같이 맞을 한 사람을 추가로 선택했다.[40] 쟁반 한 개만 떨어질 줄 알고 넋 놓고 있다가 졸지에 같이 맞았다.[41] 찬스를 모두 소진하고 남은 찬스. 이 찬스를 본 신동엽은 '''"괜히 맞을 뻔했다"'''며 너스레를 떨었다.[42] 찬스를 모두 소진하고 남은 찬스. 이 찬스를 본 조혜련은 '''"어우, 나네~"''' 하면서 섹시포즈를 취했다.[43] 찬스를 모두 소진하고 남은 찬스였지만, 찬스 내용은 '''누가 봐도 신동엽이다.''' [S] A B 신동엽이 자진해서 같이 맞음.[44] 이효리가 자진해서 같이 맞음.[45] 결국 남성 출연진 중 세리가 맞을 사람으로 유재석을 골랐다. 사실상 '''세리가 찍은 한 사람'''으로 봐도 무방할 듯.[46] 권상우에게 전화하려 했는데 번호를 바꿔서 강호동에게 전화 했는데 이 분 또한 한 사람을 찍을 '''결정적인 순간에 배터리가 방전돼서...''' 결국 마지막 내용으로 가장 잘생긴 김제동이 자진해서 맞았다. [47] 처음에는 김제동이 후배대신 맞으면 안되냐고 묻자 제작진이 안 된다고 했는데 유재석이 다시 한 번 묻자 인정한다고 했다.[48] 선택되지는 않았으나 방심하고 있다가 졸지에 살짝 맞았다.[49] 처음엔 심지호가 뽑혔는데, 김빈우가 두 명이 맞고 두 소절 가르쳐주기로 협상을 해 남궁민도 뽑혔다.[50] 좌측으로 하면 유재석을 거쳐 김제동이 맞지만, 우측으로 가면 류승수를 거쳐 다시 돌아와서 이범수가 맞게 된다.[51] 쟁반아저씨의 기습 공격으로 맞았다.[52]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다가 '''앞쪽 쟁반에 맞았다...'''[53] 한 명을 결정하기가 힘들어서 7이 붙여진 숟가락을 뽑는 사람이 당첨되는 거로 바꾸었다.[54] 쟁반 가까이 있다가 같이 맞았다.[55] '''진짜로 업었다.''' 그 후 '''천하장사 만만세'''라는 환호는 덤.[56] 물음표에 적혀있지는 않지만 김태우가 이 방법으로 정했다. god의 첫 출연 때도 이 방법을 사용했다.[57] 방송에서는 첫판을 빼고 짤막하게 편집했다.[58] 처음 5판은 개인전, 6번째 판부터 팀전.[59] 실제로는 2승 3패로 은지원이 졌는데, PD는 마지막판만 정식으로 인정했다. 그 이유는 그 전에 두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할 때 계속 고개를 숙여서 쟁반을 피하려고 했기 때문. 어떨 때엔 둘다 피하지 못해 같이 맞기도 했다.[60] 이 방영분까지는 '뻥이요'의 자막이 '''펑이요'''로 나왔다.[61]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김종국이 마지막에 말을 못 이어나가 사실상 실패다.[62] 일단 풍선에 바람을 넣어보고 터뜨린 다음 바로 실전을 시작했다.[63] 분위기에 맞게 세트도 어두워졌다.[64] 이 회차는 쟁반노래방에서 번외 시도를 '''3번''' 했기 때문에 분량 관계상 편집되었으며 찬스를 3개 밖에 못 써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65] 연습때도 풍선이 터진다고 하니까 강호동이 바로 실전을 하자고 했다.[66] 연습라운드는 1승 7패 12.5%며 첫 회만 성공했다.[67] 실질적으로는 6소절짜리 노래에서 한 소절을 절반씩 나눴다.[68] 실질적으로는 8~9소절짜리 노래에서 초반부 두 소절을 6소절로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