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 Mohammed V International Airport
프랑스어 : Aéroport Mohammed-V de Casablanca
아랍어 : مطار محمد الخامس الدولي
[1]1. 개요
'''
모로코'''의 주요 항공 관문 역할을 하는 공항으로,
카사블랑카 광역권에 위치해 있다. 연간 이용객은 2018년 기준 9,748,567명을 기록했으며,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
모로코 국적기인 로얄 에어 모로코의 국내외 허브공항이며, 유럽 항공사와 중동내 항공사 또한 찾아온다. 유럽과 중동에서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2. 역사
처음에는
1943년 미군 비행장으로 시작. 제2차 세계대전시 연합군의 북아프리카 작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종전후 냉전시에도 잠시 미군 폭격기가 주둔하는 주요 기지였다. 하지만 모로코가
1956년에 프랑스에서 독립을 쟁취하고, 당시 군주였던 무함마드 5세는 미군의 철군을 요구해서 결국
1963년 미공군은 완전히 철수한다. 결국
무함마드 5세의 이름을 따 공항이 개칭되기에 이른다.
3. 시설
아스팔트 혼합
콘크리트로 포장된 길이 3,720m의 활주로가 2본 있다.
4. 교통
카사블랑카와 아가디르를 잇는 A7번 고속도로를 이용해 접근할수 있다. 혹은 카사블랑카와 누아세를 잇는 지역 도로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터미널 1의 지하에 기차역이 위치해있으며, ONCF의 알 비다우이 행 열차를 타면
카사블랑카 시내에 있는 카사-부아이아죄르 역과 카사-포르 역
[2] Casa-Voyageurs / Casa-Port
으로 향할수 있다. 열차는 공항 출발 기준 오전 4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행하며, 배차간격은 1시간이다. 카사-포르 출발로는 오전 5시~오후 10시까지 운행한다. 공항과 카사-부아이아죄르 역간 운행 소요시간은 30분가량이며, 요금은 1등석은 64디르함, 2등석은 43디르함이다.
승강장은 터미널식 2면 4선이다. 공항 지선은 단선이지만, 승강장 모양이나 노반을 보아서 복선을 전제하고 설계한 듯. 본선에 합류할 때도 입체교차를 하는 등 차후 수요 증가에 대비한 설계가 되어있다.
터미널 1의 0층에서 택시 정거장을 찾을수 있으며, 택시 번호판과 흰색 차량으로 쉽게 구분할수 있다. 카사블랑카 시내까지의 요금은 짐의 무게에 따라 250디르함~300디르함 정도이다.
4.4. 사설 셔틀
3인승과 7인승의 시내행 소형 셔틀을 공항에서 이용할수 있으며, 가격은 각각 329디르함/439디르함이다. 이 서비스는
라바트나
마라케시같은 다른 중요 도시로 이동하는데 사용할수도 있다.
CTM(유로라인)과 RAM버스가 공항과 시내를 잇는다. 소요시간은 약 1시간 가량이다.
5. 운항 노선
5.1. 여객 항공편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아프리키야 항공
| [image]
| 8U
| 벵가지, 미스라타, 트리폴리
|
에어 알제리
| [image]
| AH
| 알제, 오랑
|
에어 아라비아 모로코
| [image]
| 3O
| 바르셀로나, 유로 에어포트, 베르가모, 볼로냐, 브뤼셀, 카타니아, 코니, 라바트,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리옹, 몽펠리에, 나폴리, 툴루즈, 베네치아
|
아메리칸 항공
| [image]
| AA
| '''계절편''': 필라델피아
|
에어 캐나다
| [image]
| AC
| 몬트리올
|
에어 프랑스
| [image]
| AF
| 파리(샤를 드골)
|
에어 몰타
| [image]
| KM
| 몰타
|
알리탈리아
| [image]
| AZ
|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
Naysa
| [image]
| ZN
| 그란 카나리아/라스 팔마스
|
코렌돈 항공
| [image]
| XC
| '''계절편''': 안탈리아
|
이집트 항공
| [image]
| MS
| 카이로
|
에미레이트 항공
| [image]
| EK
| 두바이
|
에티하드 항공
| [image]
| EY
| 아부다비
|
저먼윙스
| [image]
| 4U
| '''계절편''': 쾰른
|
플라이나스
| [image]
| XY
| 제다
|
이베리아 항공
| [image]
| IB
| 마드리드
|
리비아 항공
| [image]
| LN
| 벵가지, 미스라타, 트리폴리 '''계절편''': 세바
|
루프트한자
| [image]
| LH
| 프랑크푸르트
|
모리타니아 국제항공
| [image]
| L6
| 누악쇼트 '''계절편''': 누아디브, 주에라트
|
에어 세네갈
| [image]
| HC
| 다카르(블레즈-디아뉴)
|
카타르 항공
| [image]
| QR
| 도하
|
로얄 에어 모로코
| [image]
| AT
| 아가디르, 알제, 암스테르담, 바르셀로나, 볼로냐, 보스턴 로건, 카이로, 다클라, 도하[3] 카타르 항공과 공동운항중으로 아시아행 승객들이 도하에서 환승하게 위해 주로 탑승하는 노선이다. , 페스, 이스탄불, 제다, 엘아이운, 마드리드, 말라가, 밀라노 말펜사, 메디나, 몬트리올, 뉴욕(JFK), 리우데자네이루, 리야드,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상파울루, 탕헤르, 트리폴리, 튀니스, 토리노, 발렌시아, 베네치아, 아비장, 아부자, 아크라, 바마코, 반줄, 베이루트, 베니멜랄, 베를린(테겔), 빌바오, 비사우, 보르도, 브라자빌, 브뤼셀, 코나크리, 코펜하겐, 코토누, 다카르, 두알라, 프랑크푸르트, 프리타운, 제네바, 라스팔마스/그란 카나리아,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킨샤사, 라고스, 리브르빌, 리스본, 로메, 런던 개트윅, 런던(히드로), 루안다, 리옹, 말라보, 맨체스터, 마라케시, 마르세유, 몬로비아, 몽펠리에, 모스크바 도모데도보, 뮌헨, 마이애미, 은자메나, 나이로비, 낭트, 나폴리, 니아메, 니스, 누악쇼트, 와가두구, 우아르자자트, 우지다, 파리(샤를 드골), 파리 오를리, 푸앙트누아르, 포르투, 프라이아, 이스파르구스, 스톡홀름, 스트라스부르, 툴루즈, 워싱턴 덜레스, 야운데, 취리히, 베이징(다싱) '''계절편''': 알호세이마, 카노, 테투안
|
로얄 에어 모로코 익스프레스
| [image]
| FN
| 아가디르, 알호세이마, 다클라, 에사우이라, 페스, 지브롤터, 리스본, 마드리드, 말라가, 마라케시, 나도르, 우지다, 라바트, 탕헤르, 남 테네리페, 테투안 '''계절편''': 겔밈, 탄탄(플라주 블랑슈), 우아르자자트, 자고라
|
사우디아 항공
| [image]
| SV
| 제다, 메디나, 리야드
|
TAP 포르투갈 항공
| [image]
| TP
| 리스본
|
TAP 익스프레스
| [image]
| TP
| 리스본
|
트란사비아
| [image]
| HV
| 암스테르담
|
트란사비아 프랑스
| [image]
| TO
| 파리(오를리), 낭트
|
TUI 플라이 벨기에
| [image]
| TB
| 보르도, 샤를루아, 메츠 낭시 로렌, 리에주, 파리 오를리, 낭트 '''계절편''':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
튀니스에어
| [image]
| TU
| 튀니스 '''계절편''' : 모나스티르
|
터키항공
| [image]
| TK
| 이스탄불 '''계절편''' : 안탈리아
|
부엘링
| [image]
| VY
| 바르셀로나
|
5.2. 화물 항공편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에어 프랑스 카고
| [image]
| AF
| 나이로비, 파리 샤를 드골
|
DHL
| [image]
| QY
| 암스테르담, 브뤼셀, 프랑크푸르트, 마드리드, 파리 샤를 드골
|
메드 항공
| [image]
| M8
| 바마코, 다카르, 리스본, 파리 오를리, 탕헤르
|
로얄 에어 모로코 카고
| [image]
| AT
| 아디스아바바, 알제, 바르셀로나, 베이징 수도, 브뤼셀, 카이로, 두바이, 엘아이운, 홍콩, 리브르빌, 리스본, 런던 히드로, 밀라노 말펜사, 몬트리올, 파리 오를리, 뉴욕 JFK, 헤시피,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탕헤르, 워싱턴 덜레스, 사라고사
|
터키 항공 카고
| [image]
| TK
| 이스탄불, 마드리드
|
UPS
| [image]
| 5X
| 런던 개트윅, 루이빌, 마드리드, 뉴어크 리버티,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
6. 미래 확장 프로젝트
현재 공항은 수많은 미래 대비 확장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알려진 것들은 다음과 같다:
- 터미널 2를 연간 1200만명까지 수용 가능하게 확장
- 터미널 1의 화물처리장을 증축
- 연간 7백만명 수용이 가능한 제 4터미널 건설
- 터미널 1에 약 250개의 객실을 갖춘 호텔과 쇼핑센터 건설
- A380급의 항공기를 맞기 위한 3,600m 길이의 3번째 활주로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