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당

 

1. 合當
2. 合黨
2.1. 개요
2.2. 상세
2.3. 사례
2.3.1.1. 신설합당
2.3.1.2. 흡수합당


1. 合當


어떤 기준, 조건, 용도, 도리 따위에 꼭 알맞은 것.
  • 질문에 합당한 답변
  • 그것은 부모님의 뜻에 합당한 결정이다.
  • 그 이론은 실제에 합당하지 않다.

2. 合黨



2.1. 개요


복수의 정당(政黨)을 하나의 정당으로 합치는 것을 말한다. 반대의 개념은 분당(分黨).
대한민국의 정당법에는 흡수합당과 신설합당 두 가지 방식이 규정돼 있다. 흡수합당은 다른 정당에 합당되는 것, 즉, 한 정당이 1개 이상의 다른 정당을 흡수해 버리는 것을 의미하고, 신설합당은 새로운 당명으로 합당하는 것, 즉, 복수의 정당이 합당해 새로운 정당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즉 A와 B라는 정당이 합당한다고 가정을 하고 설명하자면, 흡수 합당은 A + B → A이고, 신설 합당은 A + B → C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세 개 이상의 정당이 참여하는 A + B + C → A(흡수 합당), A + B + C → D(신설 합당) 같은 경우도 가능하다.
다만 법적으로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나 법외[1] 정치 조직은 합당의 주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정당이 아닌 창준위나 기타 세력이 기존에 결성된 정당이나 창준위에 합류하고 합당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법적인 의미의 합당이 아니라 정치적 의미의 간접 합당으로 봐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는 종종 갈등의 소지를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존 정당에 다른 정치 세력이 합류하면서 기존 정당이 새 세력을 배려해 당헌·당규를 고치기로 했었지만 약속을 안 지키고 기존의 것을 계속 존치시켜서 문제가 된다든지 등등.[2] 그래서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시간, 인원과 자금이 충분할 경우 가급적 가설(假設, 임시) 정당을 만든 뒤 법적으로 합당하는 절차를 밟는 게 일반적이다.

2.2. 상세


정당이 신설합당하거나 흡수합당될 때에는 합당을 하는 정당들의 대의기관이나 그 수임기관의 합동회의의 결의로써 합당할 수 있다(정당법 제19조 제1항).
정당의 합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신설합당의 경우) 또는 신고(흡수합당의 경우)함으로써 성립한다. 다만, 정당이 공직선거의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선거일까지의 사이에 합당된 때에는 선거일 후 20일에 그 효력이 발생한다(같은 조 제2항).
합당된 경우의 등록 또는 신고 절차는 다음과 같다(정당법 제20조).
  • 신설합당의 경우 : 정당의 대표자가 합동회의의 결의가 있은 날부터 14일 이내에 그 회의록 사본을 첨부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중앙당의 등록신청사항의 등록신청을 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1항).
    이 경우에, 시·도당의 소재지와 명칭, 시·도당의 대표자의 성명·주소는 등록신청일부터 120일 이내에 보완할 수 있는데(같은 조 제2항), 그 기간 이내에 보완이 없는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회 이상 상당한 기간을 두어 보완을 명하고, 보완이 없는 때에는 그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같은 조 제3항).
  • 흡수합당의 경우 : 흡수합당으로 존속하는 정당의 대표자가 14일 이내에 그 회의록 사본을 첨부하여 합당된 사유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하여야 한다.
정당의 합당이 성립한 경우에는 그 소속 시·도당도 합당한 것으로 본다(정당법 제19조 제3항 본문).
다만, 신설합당인 경우에는 합당등록신청일부터 3월 이내에 시·도당 개편대회를 거쳐 변경등록신청을 하여야 하며(같은 항 단서), 신설합당된 정당이 이 기간 이내에 변경등록신청을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만료일의 다음 날에 당해 시·도당은 소멸된 것으로 본다(같은 조 제4항).
합당으로 신설 또는 존속하는 정당은 합당 전 정당의 권리·의무를 승계하며(같은 조 제5항), 합당 전 정당의 당원은 합당된 정당의 당원이 된다. 이 경우 합당 전의 입당원서는 합당된 정당의 입당원서로 본다(정당법 제21조).

2.3. 사례


정당간에 합당 된 사례만 기술하며, 기존 정당이외에 창준위나 단체가 참여한 것은 비고란에 기재.

2.3.1. 대한민국



2.3.1.1. 신설합당

연도
원정당
통합 정당 명칭
연관된 주요 정치적 사건
비고
1967년
신한당
민중당
'''신민당'''
민주공화당 견제를 위한 통합

1982년
신정당
민주사회당
'''신정사회당'''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민주자유당'''
3당 합당
노무현 등 일부 통일민주당 의원과 당원들은 통합에 불참하여 민주당 창당
1991년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민주당'''
민주자유당 견제를 위한 통합
박찬종 등 일부 민주당 의원 통합 불참
1994년
통일국민당
신정치개혁당
'''신민당'''


1995년
자유민주연합
신민당
'''자유민주연합'''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a]
1995년
민주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7년
신한국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
제15대 대통령 선거
노무현 등 일부 통합민주당 당원들은 새정치국민회의 합류
2004년
한국사회민주당
녹색평화당
'''녹색사회민주당'''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7년
중도개혁통합신당
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
열린우리당 집단 탈당 사태

2008년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11년
자유선진당
국민중심연합
'''자유선진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a]
2011년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통합진보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새진보통합연대(진보신당 탈당파)의 합당[3] 참여
2011년
민주당
시민통합당
'''민주통합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한국노총 일부 인사 통합 참여
2017년
새민중정당
민중연합당
'''민중당'''
진보 통합(NL)

2018년
국민의당
바른정당
'''바른미래당'''
국민의당 분당
바른정당 탈당사태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국민의당의 합당 반대파는 민주평화당 창당
2020년
자유한국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
'''미래통합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바른미래당 일부 원외인사 및 원외 군소정당 합당 참여
한선교, 정운천 등 일부 의원 미래한국당 입당[4]
2020년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민생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바른미래당내 안철수계 통합불참 국민의당 창당 참여,
일부 의원 미래통합당 입당
2020년
우리공화당
자유통일당
'''자유공화당'''
우리공화당 조원진·홍문종 공동대표 간 갈등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홍문종 대표 측은 친박신당 창당

2.3.1.2. 흡수합당

연도
원정당
흡수정당
통합 정당 명칭
연관된 주요 정치적 사건
비고
1986년
사회민주당
신정사회당
'''사회민주당'''


1995년
민주당
새한국당
'''민주당'''

일부 인원 자유민주연합 합류
2000년
새천년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b]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열린우리당
'''대통합민주신당'''
열린우리당 집단 탈당 사태

2008년
자유선진당
국민중심당
'''자유선진당'''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기독사랑실천당
사랑실천당
'''기독사랑실천당'''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한나라당
미래희망연대
'''한나라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진보신당
사회당
'''진보신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국민행복당
평화민주당
'''국민행복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정통민주당
제3신당
'''정통민주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기독자유민주당
기독사랑실천당
'''기독자유민주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새누리당
선진통일당
'''새누리당'''
제18대 대통령 선거
권선택, 류근찬 등 일부 인원
민주통합당 합류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철수를 비롯한 새정치연합 개별 합류
[b]
2016년
국민의당
국민회의
'''국민의당'''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통합신당[5], 박준영[6] 등 합류
2016년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약칭 사용[7]
2020년
더불어민주당
더불어시민당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시민당 용혜인(기본소득당), 조정훈(시대전환) 원소속 정당 복귀, 양정숙 제명[8]
2020년
미래통합당
미래한국당
'''미래통합당'''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1] 여기서 '법외'는 법적으로 따로 등록하지 않았다는 의미이지 불법이라는 뜻이 아니다.[2] 2012년에 창당한 원외 정당 한나라당이 그 예시이다.[a] A B 그냥 보기에는 흡수합당처럼 보이지만, 법적으로는 신설합당으로 처리되어 있다. 참조[3] 법적 의미가 아닌 정치적 의미. 법적으로는 그냥 새진보통합연대에 참여한 인사들이 개별적으로 통합진보당에 입당한 것이다.[4] 미래한국당은 법적으로는 별개의 정당이나, 사실상 이 당의 위성정당 취급받고 있다.[b] A B 정치적 의미로는 계승으로 보나, 법적인 의미에서는 창당과 동시에 기존 정당을 흡수 합당하는 형식으로 창당되었다.[5] 박주선이 주도하여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가 창준위를 해산하고 국민의당에 개별 합류.[6] 박준영을 중심으로 신민당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가 창준위를 해산하고 김민석이 이끄는 민주당에 개별 합류하였으나, 이후 박준영계가 다시 이탈하여 국민의당에 개별 입당한다. 김민석의 민주당은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되면서 '민주당'이 더불어민주당의 약칭 중 하나로 추가된다.[7] 이전까지는 원외 민주당의 존재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이 부득이 더민주를 공식 약칭으로 썼으나, 이 합당과 동시에 선관위에 더민주와 민주당을 함께 약칭으로 등록하게 되었다. 다만 이전에도 더불어민주당원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더불어민주당을 비공식적으로 민주당으로 불렀으며(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도 거의 민주당으로 불렀다) 실제로 선관위에 등록됐던 민주당은 '원외 민주당'(국회의원이 한 명도 없었기 때문)이나 '마포 민주당'(중앙당사가 마포구에 있었기 때문), '김민석파 민주당'(김민석의 당 대표 취임 이후) 등으로 강제 개명(...)됐다. 다만 원외 민주당은 신기남이 현역 국회의원으로 입당했었을 때 사용할 수 없었지만 신기남이 이후 낙선함에 따라 다시 원외 민주당으로 롤백됐다. 그러다가 더불어민주당이 원외 민주당을 흡수합당하면서 공식적으로 민주당을 약칭으로 쓰게 되었고, 더민주는 선관위에 다른 약칭으로 등록만 돼 있지 이때부터 사실상 전혀 안 쓰이게 되었다. 또한 합당과 동시에 더불어민주당이 (The) Minjoo Party of Korea라는 영문 당명을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로 변경하였다. 다만 대한민국공용어한국어 뿐이므로 법적으로 변경된 건 아니고 단지 대외 표기만 임의로 바꾼 것이다.[8] 해당 문서 논란 사유로 인한 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