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97 농구대잔치

 


1995-96 농구대잔치
우승팀: 기아자동차
MVP: 김유택

'''1996-97 농구대잔치'''
우승팀: 연세대학교
MVP: 서장훈

1997-98 농구대잔치
우승팀: 연세대학교
MVP: 서장훈
1. 개요
2. 참가팀
3. 운영방식
4. 대회결과
4.1. 조별 리그
4.2. 6강 플레이오프
4.3. 대회 결산


1. 개요


1996년 11월 30일부터 1997년 1월 6일까지 펼쳐진 당시 대한민국 농구대회 중 최정상 레벨의 대회. 이 대회가 끝나자마자 KBL 원년시즌이 개막하였고, 이후 농구대잔치는 규모나 권위가 급격하게 축소되었다. 그런고로 스폰서가 없었다.
우승팀
준우승팀
MVP
신인상
'''연세대학교'''
상무
서장훈(연세대)
임재현(중앙대)
전희철(동양제과)

2. 참가팀


  • 실업팀 (8팀)

가드
포워드
센터
기아자동차
강동희, 정회조, 허기영
허재(출장정지)[1]
김영만, 이훈재, 심상문, 권종오
전수훈, 김유택, 조현일, 김동언, 배성우, 박강제
나래이동통신
박희성, 이인규, 이석찬
정인교, 김상준, 장윤섭, 지형근, 이승학, 이민우, 최호
강병수, 김영래
대우증권
조성훈, 김성헌, 이원혁
우지원, 김훈, 석주일, 주영준, 이주열
정재헌, 구장환
동양제과
김광운, 정재훈, 김승민
김병철[2]
이현주, 박영진,이창욱, 배상우
전희철, 허남영, 이흥섭
삼성전자
윤호영, 김희선, 정성조
노기석, 강양택, 서동철, 고상준, 장기명
박상관
(부상)[3]
상무
이상민, 김승기, 최명도
문경은, 조성원, 양경민
김재훈, 조동기, 장창곤
SBS
오성식, 이상범, 박성수, 오영춘, 문필호
김재열, 정재근, 전경배, 양형석
표필상, 안병익, 유승수
현대전자
유도훈, 정진영, 김지홍, 이영주, 이환우
이지승, 임근배, 김광은, 박재현
정경호
  • KBL 출범을 앞두고 금융 3팀(기업은행, 산업은행, 한국은행)이 농구팀 해체를 선언했다.[4] 이중 산업은행 농구단은 나래이동통신에 매각되어 팀을 이어나가게 되었고, 한국은행 출신 선수 3명(김영래, 김상준, 이승학)도 나래이동통신으로 합류하게 되었다.[5] 한국은행의 나머지 선수들(김재득, 황상하, 신창남, 김도완 등)은 모두 선수생활을 접고 한국은행의 일반 행원으로 남았다. 나래이동통신에 공식 인수된 산업은행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기존 산업은행 선수단 중 10명만 나래이동통신으로 이적했고 안세환, 김동현 등은 은퇴 후 일반 행원으로 남았다. 뭐 국책은행은 그냥 취업하기도 어려운 곳들이니 언제 은퇴할지 모르는 농구선수보다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판단이긴 했다. 실제로 나래이동통신 소속으로 KBL에 진출한 선수 중 정인교, 이인규, 강병수, 최호를 제외하곤 3년 이내에 모두 은퇴했다.
  • 신생 실업팀인 동양제과대우증권이 새로 참가하였다. 동양제과는 고려대와 한양대, 대우증권은 연세대와 명지대 출신 졸업생들을 주축으로 창단되었다.
  • 기업은행은 마지막 농구대잔치가 끝나면 나산그룹에 농구팀을 매각하여 팀을 존속시키려고 했으나, 내심 상무를 KBL에 참가시키고자 했던 프로농구연맹 측에서 기업은행 농구단의 인수를 불허하였다. 기업은행은 이에 반발하여 1996-97 농구대잔치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후 상무의 KBL 참가 불가 통보를 받은 프로농구연맹은 부랴부랴 기업은행과 나산그룹을 달래었고, KBL 개막직전 광주나산 플라망스를 겨우 참가시켜 8개 팀으로 프로 원년시즌을 시작했다.[6]
  • 대학팀 (9팀)[7]

가드
포워드
센터
건국대
박영진(3), 김상우(2), 김완수(1)
손창환(2), 황문용(3)
변청운(3), 신현식(4)
경희대
박성배(4), 강혁(2), 하상윤(2)
손규완(4), 김성철(2)
윤영필(3), 윤훈원(1)
고려대
신기성(3), 이정래(1), 주희정(2), 강대협(1), 박규현(4)
양희승(4), 현주엽(3), 박훈근(4)
박재헌(4), 이규섭(1)
단국대
김동환(1)
김정인(4)
곽기완(4), 남진우(3)
명지대
표명일(3), 김태진(4)
박재일(3), 윤제한(4), 최훈석(2), 황인성(3), 이병석(1)
장영재(2)
성균관대
이흥배(1), 김종흥(1)
허훈(4)
전재경(4)
연세대
황성인(2), 조동현(2), 은희석(1), 김승관(4)
조상현(2), 김택훈(3), 신석(4), 최병훈(1)
서장훈(3), 구본근(3)
중앙대
임재현(1), 구병두(3), 이세범(4)
정종선(2), 조우현(2), 신종석(3)
이은호(3), 박도경(3)
한양대
정락영(3), 강기중(3), 이홍수(2), 김성모(1)
추승균(4), 이상영(4), 최성우(3)
민병희(2)

3. 운영방식


  • 조별리그: 대학 9팀, 일반부 8팀씩 2조로 나뉘어 조별 풀리그를 통해 각 조 3위까지 6강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부여했다.
  • 6강 플레이오프: 각조 상위 3팀 씩 총 6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했다. (6강, 4강전, 결승전 모두 3전 2선승)

4. 대회결과



4.1. 조별 리그


순위
대학부
일반부
1위
'''연세대'''
8 - 0
'''상무'''
7 - 0
2위
'''고려대'''
7 - 1
'''현대전자'''
6 - 1
3위
'''경희대'''
6 - 2
'''SBS'''※
4 - 3
4위
건국대
5 - 3
삼성전자※
4 - 3
5위
중앙대
4 - 4
대우증권※
4 - 3
6위
한양대
3 - 5
동양제과
2 - 5
7위
명지대
2 - 6
나래이동통신
1 - 6
8위
단국대
1 - 7
기아자동차
0 - 7
9위
성균관대
0 - 8

※ 승패 동률 시 골득실차로 순위 결정.

4.2. 6강 플레이오프


6강전
4강전
결승전
-
'''연세대학교''' (대학 1위)
'''76''' : 72
71 : '''59'''
경희대학교
'''연세대학교'''
'''93''' : 87
'''93''' : 75
상무
현대전자 (실업 2위)
65 : '''68'''
'''68''' : 65
52 : '''68'''
'''경희대학교''' (대학 3위)
-
'''상무''' (실업 1위)
'''62''' : 60
'''97''' : 89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대학 2위)
'''81''' : 77
'''93''' : 70
SBS (실업 3위)

4.3. 대회 결산


순위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1
정인교(나래이동통신)
29.57
서장훈(연세대)
12.75
강동희(기아)

김상우(건국대)
3.50
2
전희철(동양제과)
29.28
이은호(중앙대)
11.62
이상민(상무)

이상민(상무)

3


김유택(기아자동차)
10.7




[1] 에이스 허재가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음주파문에 이어, 음주운전 & 뺑소니 사건까지 터뜨리며 구속된 상태였다. 곧 훈방되긴 했지만, 당연히 선수자격정지 먹고 농구대잔치에 참가하지 못했다. 그런데 어디까지나 "대한농구협회"에서 내린 징계라 "아마추어"선수 자격만 정지된 상태여서, 뒤이어 열린 1997 KBL 원년시즌에는 무리없이 출전했다는게 함정..[2] 발목부상으로 1997 KBL 원년시즌 초반까지 뛰지 못했다.[3] 간염(!!)으로 인해 선수생명이 위태로울 때였다. KBL 원년시즌을 통으로 날리고 1997-98 시즌 후반에 겨우 복귀하였다.[4] 모두 국책은행이라, 은행업무 외의 영리 사업을 할수 없었다.[5] 원래는 김동철도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군 입대로 불발되었다.[6] 팀 인수 및 창단절차가 늦었던 광주나산은 1996년 11월에 열렸던 외국인선수 트라이아웃에도 참가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드래프트 탈락 선수들을 대상으로 부랴부랴 외인 2명을 찾아 선발했다. 근데 여기서 찾은게 빌라노바대 출신 득점기계 에릭 이버츠였다.[7] 대학농구연맹 소속 10개팀 중 동국대만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