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릉

 


[1]
1. 개요
2. 목록
2.1. 왕과 왕비의 능(陵)
2.2. 추존된 왕과 왕후의 릉
3. 한국사 다른 왕조의 왕릉
4. 기타
5. 같이보기


1. 개요


고려의 왕릉들.
1대부터 34대까지 모든 왕릉의 위치가 알려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고려사 기록에는 주인을 알 수 없는 능호들이 전해진다[2].
신라왕릉이나 조선왕릉이 그렇듯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 근처에 모여있는 편인데 잠시 강화도로 도읍을 이전했던 대몽항쟁 시기와 공양왕의 경우만 특이한 케이스로 다른 지역(현 남한)에 위치하고 있다. 4기의 능은 대한민국,[3] 나머지는 북한에 있는데[4] 남한의 고려왕릉들은 고려가 힘들 때(여몽전쟁)이나 망한 뒤(공양왕)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우 초라하며 북한의 고려왕릉들은 태조의 현릉이나 공민왕의 현릉 등 일부를 제외하면 관리상태가 매우 안습한 상황이다.[5] 사실 북한 치하인 지금뿐 아니라 조선시대에도 후손으로서 조상의 능을 관리해야 할 개성 왕씨가 몰락해 주요 왕릉을 제외하곤 그다지 관리를 받지 못했다.
구조적으로도 석회를 두껍게 바른 조선왕릉이나 거대한 돌무지가 무덤을 보호하는 신라왕릉에 비해 별달리 도굴 방어장치가 없는 돌방구조라 도굴하기 쉬워서 굉장히 도굴피해를 많이 당했다. 게다가 조선왕릉은 귀족적 풍조를 배제하려 한 조선왕조의 특성상 무덤 안에 상징적 물건만 넣고 사치품은 부장하지 않아서, 그저 귀중품만 노리는 도굴꾼의 표적이 될 일도 적었지만 귀족정치 시대였던 고려의 왕릉에는 고려청자 같은 사치품을 많이 부장했기 때문에 더욱도 도굴범의 표적이 되었다. 도굴은 특정 시대의 문제가 아니라 고려왕릉 자체가 고려[6], 조선 구한말, 일제강점기, 광복 후 모두 도굴당해서 대한민국 발굴 조사 기록이나 북한 발굴 조사 기록에서는 그야말로 발굴된 유물이 별로 없다. 현재 고려왕릉에서 그나마 얻을 수 있는 게 있다면 고려왕들의 얼굴들 정도이다. 그런데 왕릉 꼬라지들이나 북측이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것만 봐도 이것조차 얻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고려왕릉의 양식은 기본적으로 통일신라 시기 정립한 양식을 기본으로 한다. 불탑을 모방한 난간석, 12지신을 부조한 병풍석, 무덤 주변의 석물 배치는 신라 후기를 이어받았다. 거기에 신라왕릉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분 벽화 같이 고구려 왕릉 영향으로 추정되는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는 고려가 신라와 고구려의 문화를 모두 이어받은 국가라는 점을 말해준다.
다만 고려왕릉의 인물석은 조선왕릉은커녕 전대의 신라왕릉보다도 허접한 편이다. 고려가 신라보다 기술력이 퇴화했을 리는 없다 보니까 이러한 의문점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는 편이다. 거란, 몽골 등의 침략으로 날려먹은 것을 후대에 대충 복원했다는 등...
고려왕릉에 대해 자세히 정리된 글

2. 목록



2.1. 왕과 왕비의 능(陵)


능호
피장자
승하
봉릉
소재지
형식
사적
비고
현릉(顯陵)
태조(1대)
신혜왕후(태조 妃)
943.5.29(음)
미상
943.6.26(음)
개성특별시
합장릉
북한 국보 179호
-
수릉(壽陵)
신정왕후(태조 妃)
983.7.9(음)
983년
-
단릉
-
-
정릉(貞陵)
신성왕후(태조 妃)
-
1009년 3월
개성특별시
단릉
북한 보존유적 573호
-
순릉(順陵)
혜종(2대)
의화왕후(혜종 妃)
945.9.15(음)
945년
개성특별시
합장릉
-
-
안릉(安陵)
정종(3대)
문공왕후(정종 妃)
949.3.13(음)
949년
개성특별시
합장릉
북한 보존유적 552호
-
헌릉(憲陵)
광종(4대)
대목왕후(광종 妃)
975.5.23(음)
975년
개성특별시
합장릉
-
-
영릉(榮陵)
경종(5대)
헌숙왕후(경종 妃)
981.7.11(음)
981년
개성특별시
합장릉
북한 보존유적 569호
-
유릉(幽陵)
헌애왕후(경종 妃)
1029.1.3(음)
1029년
-
단릉
-
천추태후
강릉(康陵)
성종(6대)
문덕왕후(성종 妃)
-
-
개성특별시
-
-
-
의릉(義陵)
목종(7대)
선정왕후(목종 妃)
-
-
'''위치 유실'''[7]
-
-
-
선릉(宣陵)
현종(8대)
-
-
개성특별시
-
-
-
숙릉(肅陵)
덕종(9대)
-
-
개성특별시
-
-
-
주릉(周陵)
정종(10대)
-
-
개성특별시
-
-
-
경릉(景陵)
문종(11대)
-
-
개성특별시
-
-
-
성릉(成陵)
순종(12대)
선희왕후(순종 妃)
1083.10.23(음)
1083.11.19(음)
개성특별시
-
-
-
인릉(仁陵)
선종(13대)
사숙왕후(선종 妃)
-
-
개성특별시
-
-
-
은릉(隱陵)
헌종(14대)
-
-
'''위치 유실'''[8]
-
-
-
영릉(英陵)
숙종(15대)
-
-
개성특별시
-
-
-
유릉(裕陵)
예종(16대)
-
-
개성특별시
-
-
-
장릉(長陵)
인종(17대)
-
-
개성특별시
-
-
-
희릉(禧陵)
의종(18대)
-
-
'''위치 유실'''[9]
-
-
-
지릉(智陵)
명종(19대)
-
-
-
-
-
-
양릉(陽陵)
신종(20대)
-
-
-
-
-
-
석릉(碩陵)#
희종(21대)
-
-
인천광역시 강화군
-
-
-
후릉(厚陵)#
강종(22대)
-
-
'''위치 유실'''[10]
-
-
-
홍릉(洪陵)#
고종(23대)
-
-
인천광역시 강화군
-
-
-
소릉(韶陵)
원종(24대)
-
-
-
-
-
-
경릉(慶陵)
충렬왕(25대)
-
-
'''위치 유실'''[11]
-
-
-
덕릉(德陵)
충선왕(26대)
-
-
'''위치 유실'''[12]
-
-
-
의릉(毅陵)
충숙왕(27대)
-
-
'''위치 유실'''[13]
-
-
-
영릉(永陵)
충혜왕(28대)
-
-
'''위치 유실'''[14]
-
-
-
명릉(明陵)
충목왕(29대)
-
-
개성특별시
-
-
-
총릉(聰陵)
충정왕(30대)
-
-
개성특별시
-
-
-
현정릉(玄正陵)[15]
공민왕(31대)
노국대장공주(공민왕 妃)
-
-
개성특별시
-
-
-
-
우왕(32대)
-
-
'''위치 불명'''[16]
-
-
-
-
창왕(33대)
-
-
-
-
-
고릉(高陵)#
공양왕(34대)
-
-
경기도 고양시[17]
-
-
-
# : 현재 남한 지역에 소재한 왕릉
34명의 왕 중에 9기의 위치가 알려져 있지 않다.

2.2. 추존된 왕과 왕후의 릉


아래는 사후 추존된 왕들의 능호이다.
  • 온혜릉(溫鞋陵): 의조의 능. 위치 미상[18]
  • 창릉(昌陵) : 세조로 추존된 태조 왕건의 아버지 왕륭의 능.[19]
  • 태릉(泰陵) : 대종으로 추존된 성종(고려)의 아버지 왕욱(王旭)과 추존왕후 선의왕후의 능.
  • 무릉(武陵)[20] : 안종으로 추존된 현종(고려)의 아버지 왕욱(王郁)의 능.[21]
왕건의 증조할아버지 국조와 그의 부인 정화왕후의 무덤은 기록이 전혀 없어서 알려져 있지 않다.

3. 한국사 다른 왕조의 왕릉



4. 기타


개풍군 지역의 이명(里名) 중에는 왕릉의 이름을 딴 곳이 꽤 있는데(광복 당시 행정구역 기준이다), 토성면 여릉리[22], 영남면 소릉리, 청교면 유릉리, 양릉리, 남면 창릉리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왕 또는 왕족이 구체적으로 비정된 왕릉들 외에도 칠릉떼(칠릉군, 七陵群)이나 명릉떼(명릉군), 동구릉, 서구릉, 화곡릉 등의 묘주를 알 수 없는 왕릉급의 대형 무덤들이 개성 시가지의 외곽을 따라서 분포되어 있다.[23]
개성시 내의 역사유적들과 함께 고려왕릉들도 201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2016년에 북한에서 신성왕후정릉을 정비 및 실측 조사하고 약식 보고서를 등록한 바 있다. 단군릉 같은 어처구니 없는 프로파간다를 제외하면 고구려나 낙랑 유적도 지속적으로 발굴 보고[24]하며 공식적으로 한국에도 입수된다.
2019년 10월 22일에는 북한 사회과학원 소속 발굴팀이 개성 송도저수지 근처에서 혜종왕릉을 발굴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한다.

5. 같이보기



[1] 현릉(고려 태조), 칠릉군 및 명릉군, 현릉(공민왕릉)이 등재됨.[2] 다만 왕들의 무덤은 모두 능호가 전해지므로, 능호가 전해지지 않는 왕후들의 무덤인 듯 하다[3] 왕릉으로는 희종의 무덤 석릉(碩陵), 고종의 무덤 홍릉(洪陵)이 있으며 정순왕후의 무덤 가릉(嘉陵), 강종의 2비 원덕왕후의 무덤 곤릉(坤陵)이 있다. 그 밖에 발견되지만 않았지만 강화도에 매장된 강종의 후릉(厚陵)도 강화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고양시에 공양왕릉이 있다.[4] 다만 우왕창왕은 현재의 남한 땅에서 죽었기 때문에 이들은 남한에 묻혔을 가능성도 꽤 된다. 근데 애초에 어디 묻혔는지 알길이 없다. 조선왕조에서는 이들을 왕으로 인정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5] 북한의 산들이 많이들 그렇듯 산에 나무가 하나도 없어서 봉분이 황무지 가운데 덩그러니 떨어져 있거나 한 경우가 태반이다.[6] 고려사에만 고려왕릉 도굴 기록이 꽤 많이 나온다.[7] 참고로 당대에는 공릉(恭陵)에 매장되었고 의릉은 이장된 곳이다. 하지만 현재 공릉과 의릉 두 곳 다 위치 유실 상태로 대략 개성 동쪽이라고는 하나, 현재는 알 수 없다.[8] 개성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9] 개성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10] 강화도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11]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 다만 그의 1비 제국대장공주의 무덤인 고릉(高陵)은 확인되었으나, 본인의 무덤은 알 수 없다.[12]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13] 개성 광명사 인근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14] 개성 서쪽에 위치했다고 하나, 현재는 위치가 유실되었다.[15] 공민왕의 능 이름은 현릉(玄陵), 노국대장공주의 능 이름은 정릉(正陵)이다.[16] 우왕과 창왕은 폐위되어 왕으로 인정받지도 못하고 조선왕조는 이들을 신씨 반역자로 간주했기 때문에 다른 왕릉들이 대부분 오랜 세월 동안 자연스럽게 유실된 것과 달리 의도적으로 매장지가 기록되지 않았다. 어쩌면 매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서인으로 강등된 후 사사되었기 때문에 능호는 물론 시호, 묘호도 없다. 심지어 기록이 없어 능도 조성되었는지 알 수도 없다.[17] 강원도 삼척시에 가묘가 있는데 정확히는 공양왕이 사사당한 후 유배지인 삼척시에 가묘를 만들었다가 나중에 고양시의 현 위치로 이장한 것이다. 그래도 기존의 가묘를 없애지 않고 그대로 남겨두었기 때문이다.[18] 왕건의 할아버지로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운부군옥 등에 의하면 개성 광명사(廣明寺) 북쪽에 있었다고 한다. 정확히는 자기 부인 원창왕후의 무덤은 발견되었으나, 본인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고려 의조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작제건이라는 이름은 오직 고려 의종 때 야사집인 고려 편년통록에만 나오는 기록으로서 고려 왕실 공식 족보인 고려 왕대종족기, 고려 성원록에는 등장하지 않는 이름이다. 고로 작제건이란 이름은 가공의 인명일 가능성이 높다.[19] 고려사에 의하면 왕륭이 금성군(金城郡, 지금의 북한 김화군)에서 죽자 예성강(禮成江)변에 있는 영안성 인근 석굴에 매장되었다. 훗날 아들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자 그를 세조로 추존하고 그의 묘를 창릉(昌陵)이라 했다.[20] 최초에는 건릉(乾陵)이라는 능호를 가지고 있었으나, 무릉으로 능호가 변경되었다.[21] 조카 헌정왕후와 불륜을 저질러 현종을 낳은 바로 그 사람이다.[22] 태조 현릉과 공민왕 현릉 소재지.[23] 그 외에도 황진이의 무덤이나 여러 신하들의 무덤으로 비정된 무덤들이 왕릉급 무덤들의 근처로 자리하고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비정일 뿐 정확한 묘주는 확실치 않다.[24] 발굴보고 내용도 나름 볼 만하다. 다만 몇몇 부분에서의 논리가 쫌... 없는게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