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1. 성별 女
여성 문서로.
2. 한국의 성씨
여(성씨) 문서로.
3. 여당의 약칭 與
여당 문서로.
4. 인칭대명사 余
전근대 한자문화권에서 두루 쓰인 인칭대명사. '나'를 뜻하는 1인칭이다. 오늘날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아 사어화되다시피 한 인칭대명사.
한국과 중국에서도 사용된 인칭대명사다. 조선왕조실록 원문만 봐도 왕이 내리는 명령서인 교지에서 '과인'처럼 여(余)라는 단어를 인칭대명사로 숱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1980년대 방영한 사극 풍운에서는 흥선 대원군(이순재 분)이 이 1인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한 예로 김동인이 쓴 붉은 산이나 광화사라는 소설에서 주인공이 스스로를 칭할때 이 말을 쓰고 있다. 딱히 왕실이나 고위층에서만 쓰인 게 아니라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도 사용되었는데 개화기 문헌들만 봐도 '나'를 '여'라고 표현한 건 찾아보기 쉽다.
일본어로는 '요(よ)'라고 발음하는데, 일본 서브컬처물에서는 주로 왕이나 황제 캐릭터, 혹은 고위층에 있는 캐릭터들이 사용하는 인칭대명사. 한국에서는 이 인칭대명사를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캐릭터들인만큼 주로 짐이라고 번역되는 경향이 있지만 여를 무조건 '짐'으로 번역하는 데에는 주의해야 한다. 해당 문서로.
4.1. 이 일인칭을 사용하는 캐릭터
- 경계선상의 호라이즌 - 아즈마
- 고스트 스위퍼 - 천룡동자
- 금붕어 주의보 - 불량소를 포함한 남자 소들
- 노부나가의 시노비 - 아시카가 요시아키
- 드래곤 퀘스트 타이의 대모험 - 대마왕 버언
- 문명 5 - 오다 노부나가
- 벽람항로 - 나가토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초제츠 - 쟝 보가드
- 블레이블루 - 명왕 이자나미
- 성검사의 금주영창 - 슈우 사우라였을 당시의 하이무라 모로하
- 세븐나이츠 - 파스칼, 린(시즌 4부터)
- 세인트 세이야 오메가 - 새턴
- 슈퍼 페이퍼 마리오 - 느와르 백작
- 스트라이더 히류 - 그랜드 마스터#s-7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유리안
- 아카메가 벤다! - 황제
- 애프터라이프(일본판) - 퀸시
- 에소릴의 드래곤 - 란데셀리암
- 엘소드 - 루(일본판)
- 울트라 시리즈 - 암흑우주대황제 엠페러 성인
- 은하영웅전설 -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
- 은혼 - 하타 황태자, 도쿠가와 시게시게도 가끔 사용.
- 유희왕 시리즈
- 작안의 샤나 - 제례의 뱀
- 전국 바사라 시리즈 - 오다 노부나가
- 진 마징가 ZERO - 어둠의 제왕
- 채운국 이야기 - 자류휘
-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 - 우주황제 드라이어스[1]
- 페어리 테일 - 성령왕
- 포켓몬스터 XY&Z - 지가르데, 말랑이
- 함대 컬렉션 - 넬슨(함대 컬렉션)
- 헌터×헌터 - 메르엠
- Fate 시리즈
- Re:CREATORS - 군복 공주
- KOF 시리즈 - 나나카세 야시로
- SD건담 삼국전 - 조조 건담[2]
[1] 17화에서 자신을 우주황제라 칭할 때 딱 한 번만 사용하며 평상시의 1인칭은 와타시(私).[2] 정말 농담이 아니고 조조가 스스로를 호칭할 때는 물론 공격할 때 외치는 대사(...) 등등 조조 자신과 연관된 대사에는 끝도 없이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