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

 

'''파워레인저 시리즈'''
사반 엔터프라이즈
(스핀오프)

월트 디즈니 컴패니
파워레인저 타임포스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
파워레인저 닌자스톰
'''파워레인저 시리즈 동물 모티브 작품'''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
파워레인저 정글퓨리
파워레인저 비스트모퍼
1. 개요
2. 등장인물
2.1. 와일드포스 파워레인저
2.2. 협력자
2.3. 일반인
2.4. 오그
3. 로봇


1. 개요


'''Power Rangers Wild Force'''

오프닝 1

오프닝 2[1]

국내판 오프닝(SBS 방영판). 당시 막 신인이였던 TULA가 불렀다.

'''Guardians of the Earth, United we roar! Power Rangers Wild Force!!'''

지구의 수호자들이여, 하나로 뭉쳐 포효하라!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

변신 구호는 '''Wild access'''[2]
더빙판은 '''파워 포스!'''[3], 후에 '''와일드 엑세스'''로 변경.
파워레인저 시리즈중 한 작품이며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의 리메이크작.
기본 설정은 변함이 없지만 레드가 야생 소년이 되는 등 일부 설정이 변경되었다. 원래부터 CG를 말 그대로 덕지덕지 칠한 가오레인저의 파워레인저 버전이다 보니 연출은 가히 수준급이며[4], 위의 야생소년 레드나 후술할 마스터 오르그같은 오리지널 설정들을 잘 소화했다. 즉, 나름 잘 만든 작품.
BGM쪽에서도 대호평. 특히 메가조드 합체 테마는 원작의 것과 달리 웅장하면서도 동물들을 연상시키는 듯한 화려한 곡으로 평가가 좋았다.[5]
다른 캐릭터들의 설정에도 굵고 짧은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으로 공주님의 미모가 파워업 되거나 루나 울프 레인저가 일본판의 가오 실버에 비해 엄청난 간지를 보여주는 게 포인트. 일부에서는 루나 울프레인저 역을 맡은 배우가 아폴로 안톤 오노와 닮았다고 해서 까기도 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원판과 달리 이번에는 모든 멤버들이 '''새비지 사이클'''이라는 바이크를 갖고 있다는 것. 이중 콜의 새비지 사이클은 애니머스의 화신 카이트를 구하던중 망가져 버렸고 후에 와일드포스 라이더로 대체된다.
실질적으로 파워레인저 10주년 작품인지라 이걸 기념하여 역대 파워레인져의 레드들만 출현하는 특별판인 포에버 레드가 본편에 상영되었다.[6] 이것은 거의 반쯤은 흑역사가 된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VS 슈퍼전대와는 다르게 역대 레드들의 뛰어난 활약을 볼 수 있어서 명작의 반열에 오른다. 또한 원래의 가오레인저가 배우 사정으로 해내지 못한 전대 파워레인저(파워레인저 타임포스)와 협동하는 편까지 촬영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로 넘어간 뒤의 최초의 작품이나 넘어간 시점에서 본 작품의 제작은 이미 진행중이었는지라 사실상 사반 엔터테인먼트 최후의 작품이며 또한 원작인 가오레인저의 감독인 사카모토 타로가 감독으로 참여.[7]
그리고 원작 전대멤버들의 성별 구성을 따르지 않은 마지막 사반 엔터테인먼트 파워레인저이기도 하다. 기본 멤버 5명 기준으로 원작인 가오레인저에서는 남자가 4명, 여자가 1명이었던 반면 본작은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인데, 와일드포스까지의 사반 엔터테인먼트 파워레인저는 마이티 모핀 에일리언레인저의 에일리언레인저를 제외하면 원작에서 남자가 4명, 여자가 1명이라 해도 원작에서 남자인 옐로가 미국판에서 여자로 나옴으로써 무조건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이었다. 후속작인 파워레인저 닌자스톰을 기점으로 원작의 성별 구성을 그대로 따르게 되었다가 기사룡전대 류소우저/파워레인저 다이노퓨리에서 오랜만에 다시 원작에서 여자가 1명이고 미국 리메이크판에서 여자가 2명인 케이스가 되었다.[8] 덧붙여 슈퍼전대 시리즈파워레인저 시리즈 양쪽을 통틀어 옐로와 화이트가 모두 여자로 나오는 유일한 작품이기도 하다. 원작인 슈퍼전대 시리즈는 아직까지도 옐로와 화이트가 여자인 조합이 나오지 않았으며[9], 애초에 와일드포스에서 그런 조합이 나온 것도 앞서 말한 것처럼 원작에서 남자였던 옐로가 미국 리메이크판인 본작에서 여자로 성전환되었기에 가능했다. 더군다나 파워레인저 다이노차지를 기점으로 사반제 파워레인저에서도 원작에서 기본 멤버들 중 1명만 여자라는 이유로 원작의 남자 멤버 4명 중 1명을 성전환시키는 일이 없어졌고[10], 앞서 말한 것처럼 오랜만에 원작에서 여자가 1명이고 미국 리메이크판에서 여자가 2명인 류소우저/다이노퓨리는 옐로가 없는 작품이기 때문에, 원작인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옐로와 화이트가 여자인 조합이 안 나오는 한 와일드포스처럼 옐로와 화이트가 여자인 파워레인저 시리즈는 나올 일이 없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대원C&A홀딩스가 수입하여 SBS 및 8개 지역민방에서 2002년 5월 23일부터 몬스터팜 후속으로 매주 목요일 오후 5시 45분마다 파워포스레인져라는 이름으로 방영되었다.[11] 오프닝은 대다수 애니메이션 음악을 제작한 헐리우드매너에서 만든 창작곡이었다. 이 오프닝 곡은 최근에 디지털 음원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그러나 월드컵 시즌 등으로 인한 시청률 부진 때문에 6월 20일까지 세 번 방영하다[12] 종영된 바 있으며, 땜빵으로 편성된 <포켓몬스터>가 11월 27일부로 종영되자 다음날부터 수~목 오후 5시 20분마다 재편성되어 12월 19일부터 수요일에 <올림포스 가디언>이 편성되면서 목요일 오후만 편성됐고, 2003년 3월 23일까지[13] 방영됐다.
종영 후 어린이TVITV 경인방송에서 SBS 방영분을 다시 재방영하기도 하였는데 SBS판과는 달리 어린이TV는 원작의 오프닝을 사용하였다. 2010년에는 사무라이전대 신켄저왜색으로 인해 국내방영이 불발되자 원작인 백수전대 가오레인저가 파워레인저 정글포스라는 타이틀로 대원방송에서 더빙 방영됨으로써 유일하게 미국판과 일본판이 모두 한국에 방영한 작품이 되었다.
처음에는 루나 울프레인저(가오 실버) 메릭이 정식으로 파워레인저의 멤버에 들어가는 에피소드까지 방영한 뒤 잠시 세월이 지난 이후 후반 에피소드들을 마저 방영했다. 그 덕분에 잠시 나누어지긴 했지만 전작인 파워레인저 타임포스와의 VS형식의 화와 특별화인 Forever Red까지 더빙해서 방영해 주기도 하였다.
더빙판의 명대사로는 "녀석들은 '''심장(Heart)'''이 없어"가 있다. 번역이 틀린건 아니지만 문맥으로 본다면 오역에 가까운 번역물인데[14], 이런 몇몇 오역을 제외하자면 더빙 퀄리티는 상당히 좋으며, 오히려 일본 원작과 미국 리메이크 원판을 초월한 초월더빙의 수준을 보여준다.
가장 대표적으로 더빙판 톡시카의 오르그 거대화 주문은 원작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츠에츠에가 하는 오르그 거대화 주문보다 훨씬 박력있고 뛰어나서 미국 리메이크 한국 더빙판을 보고 원작인 일본 가오레인저를 보면 '''원작이 되려 이상해 보일 수준.''' 직접 들어보자. 0:51부터 나온다.
전작들과 다른 점이라면 전작들에서 원작의 슈퍼전대 시리즈 변신씬과 리메이크된 파워레인저판 변신씬이 모두 달랐던 것과는 달리 가오레인저의 변신씬에 미국판 배우들의 얼굴만 갖다 붙여서(심지어 성전환된 옐로 마저도...) 와일드포스와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의 변신씬은 똑같다.
위에서 언급된 Forever Red는 역대 파워레인저 시리즈 중에서도 손꼽히는 명 에피소드이니 꼭 챙겨보도록!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고.
또 역대 파워레인저 최초이자 유일하게 북미 오리지널 레인저 피니쉬가 등장한 작품이다. 기존의 다섯 무기를 합친 정글 소드 말고도 아이시스 메가조드의 다섯 조드를 본딴 무기를 합친 캐논 형 병기인 정글 블래스터.
역대 파워레인저들중 유색인종의 비율이 유독 높은 점도 특징인데, 백인들인 옐로우랑 울프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이 전부 유색인종들이다. 레드와 화이트는 히스패닉, 블랙은 라틴계, 블루는 흑인이다. 특히나 역대 파워레인저들 중에 한 팀에 백인을 제외한 인종들중 서로 같은 인종이 2명인 경우는 별로 없었다는걸 생각해보면 특이사항이라고 볼수 있다.

2. 등장인물



2.1. 와일드포스 파워레인저


[image] [image]
'''이름'''
콜 에번스
Cole Evans
コル・エヴァンス
'''레인저'''
레드 라이언 레인저
Red Lion Ranger
レッドライオンレンジャー
'''캐치'''
Blazing lion
블레이징 라이온 (작열의 사자)
'''성별'''

'''직업'''
없음 → 수의사
'''무기'''
레드 라이온 팽, 팔콘 서머너, 팔코네이터
'''원작 캐릭터'''
시시 카케루 = 가오 레드
'''담당 배우'''
리카르도 메디나 2세[15][16]
'''담당 성우'''
구자형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레드 라이언, 고릴라, 팔콘.
어쩌다가 정글에서 지내고 있던 청년으로 톡시카에게 붙잡힌 야생견을 구출한 것으로 레드 라이언에게 선택받아 파워레인저가 된다. 정글 내의 부족들 내에서 20년간 살아왔고, 그들에게 받은 1장의 가족사진에 의지해 자신의 부모를 찾기 위해 여행을 시작해 파워레인저가 되어 동료들과 만나 오그와 싸우게 되는데 그 와중 마스터 오그와의 인연이 스토리의 중심이 된다. 허나 부모는 마스터 오그가 되어버린 빅터에 의해 타계한지 오래이고 콜 본인도 세간에선 사망처리되어 부모와 함께 묘가 만들어졌다. 모든 싸움이 끝난 후 동물들을 구하기 위해 수의사의 길을 걷는다.[17] 정글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상당히 순진한(?) 면을 지니고[18] 동물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데 재미있게도 캐릭터 설정이 후일 방영 되는 수권전대 게키레인저칸도 쟝을 연상시키는 면들이 있다. 배틀라이저 애니머리아 아머를 착용해 레드 새비지 워리어로 변신한다.
[image] [image]
'''이름'''
테일러 에어하트
Taylor Earhardt
テイラー・イアハート
'''레인저'''
옐로 이글 레인저
Yellow Eagle Ranger
イエローイーグルレンジャー
'''캐치'''
Soaring eagle
소어링 이글 (비상의 독수리)
'''성별'''

'''직업'''
공군 파일럿
'''무기'''
골든 이글 소드, 아르마딜로 퍽
'''원작 캐릭터'''
와시오 가쿠 = 가오 옐로
'''담당 배우'''
앨리슨 키퍼먼 (Alyson Kiperman)[19]
'''담당 성우'''
박영희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옐로 이글, 베어 브라더스[20], 아르마딜로.
가오레인저의 와시오 가쿠와 마찬가지로 공군 파일럿 출신. 비행 시험 중에 조우한 옐로 이글 조드에 이끌리듯이 애니머리아에 불시착하여 가장 먼저 레인저로 선택받았다. 어린 시절에 여객기 창문을 통해 애니머리아를 목격(!)한 적까지 있다. 콜의 영입 전까지 리더 역할을 수행했고, 이쪽이야말로 훨씬 리더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나 아쉽게도 레드가 리더(?)인 관계로 2인자에 머물고 있다.
모든 싸움이 끝난 뒤 공군에 복귀. 전투기로 하늘을 나는 그녀의 헬멧에 옐로 이글의 문자가 그려졌고, 기체에 이끌려가듯 옐로 이글 조드가 내려왔다. 원판의 기본 설정과 거의 비슷하지만 차이점은 성별. 원작에 해당되는 가오레인저에서의 옐로는 터프가이 기질이 다분한 남자이지만 와일드포스에서의 옐로는 히로인[21]이라는 점이다. 단, 슈트는 원작에 맞추어서 남성 슈트로 나왔다. VS 타임포스 편에서 과속주행 하다가 에릭에게 걸려서 딱지 떼이고는 처음에는 안 친절하네 재수없네 어쩌네 이를 갈더니 결국 시간이 가면서...
성과 출신을 미루어볼 때 모티브는 어밀리아 에어하트.
성전환된 캐릭터이지만 재활용된 씬이 워낙 많은 작품이어서 그런지 슈트에 치마는 생기지 않았다. 하지만 후에 파워레인저 슈퍼메가포스의 변신 슈트에서는 치마가 생겼다. 이는 해적전대 고카이저도 마찬가지다
[image] [image]
'''이름'''
맥스 쿠퍼
Maxwell "Max" Cooper
マックス・クーパー
'''레인저'''
블루 샤크 레인저
Blue Shark Ranger
ブルーシャークレンジャー
'''캐치'''
Surging shark
서징 샤크 (심해의 상어)
'''성별'''

'''직업'''
전직 볼링선수
'''무기'''
블루 샤크 파이팅 핀, 소드 오브 파르돌리스
'''원작 캐릭터'''
사메즈 카이 = 가오 블루
'''담당 배우'''
필립 장마리 (Phillip Jeanmarie)
'''담당 성우'''
정훈석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블루 샤크, 지라프, 폴라베어. 콜이 레인저가 되기 반 년 전 터빈 오그에게 습격당한 사람들을 구한 경위에서 레인저로 선택받았다. 원작의 사메즈 카이와 마찬가지로 프로 볼링선수 설정으로 명랑함이 지나쳐 가끔 어린애 같은 면을 보이는 캐릭터. 이런 면 때문에 테일러에게 놀림을 받는 경우도 있다.[22] 블랙 레인저인 대니와 친하며 모든 싸움이 끝난 뒤 대니와 함께 세계여행길에 나서고 사진첨부의 편지를 앨리사에게 보냈다. 여담으로 대니와 콤비로 활동할 때의 주 캐치프레이즈는 '''Never Give Up(절대 포기하지 않아)''' 맥스의 모티브가 된 사메즈 카이의 캐치프레이즈 대사이기도 하다.
[image] [image]
'''이름'''
대니 델가도
Danny Delgado
ダニー・デルガド
'''레인저'''
블랙 바이슨 레인저
Black Bison Ranger
ブラックバイソンレンジャー
'''캐치'''
Iron bison
아이언 바이슨 (강철의 들소)
'''성별'''

'''직업'''
꽃집 직원
'''무기'''
블랙 바이슨 엑스, 라이노 슈터
'''원작 캐릭터'''
우시고메 소우타로 = 가오 블랙
'''담당 배우'''
잭 구스만 (Jack Guzman)
'''담당 성우'''
정승욱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블랙 바이슨, 라이노, 아르마딜로.[23] 꽃집 청년으로 듬직한 덩치 캐릭터. 원판과 마찬가지로 힘은 제일이나 곰인형이 없으면 잠을 못 자는 면도 있다(…). 꽃집에서 일하기 떄문인지 우락부락한 외모와는 달리 섬세한 면도 있고 순수함이 가득 담긴 미소가 매력적인 캐릭터. 원작의 소우타로는 꽃집 일은 잠시 알바 수준으로 했지만 대니는 본업이라는 게 다른 점. 콜이 선택받기 2개월 전에 레인저로 선택받았으며, 맥스와는 친구 관계.[24] 모든 싸움이 끝난 뒤에 맥스와 함께 세계여행길에 나섰다. 맥스처럼 일부 개그 포인트도 담당한다. 한 예로 축구 경기장에서 싸울 때 잔디깎이 오그에게 돌진하기 위해 황소처럼 엎드려서 발로 땅을 박찼는데 그걸 본 오그가 '''"야! 잔디 다 망가지잖아! 자연을 소중하게 여겨야지!!"'''라고 화를 내자 "아..미, 미안해"(...)라며 허둥지둥 흩어진 잔디를 원상복구하다가 '''"잠깐만, 내가 왜 오그의 말을 듣고 있는거지??"'''라며 어리둥절했었다. 원작보다 10년 먼저 나온 작품인 조인전대 제트맨의 옐로 오울처럼 덩치 크고, 안경을 썼으며, 큰 덩치만큼 힘도 세다. 원작의 소우타로보다 더 힘이 세며, 변신 전의 전투력도 소우타로보다 더 강력하다. 특히나 소우타로는 전직 스모선수라 힘이 셀수밖에 없는데도 그저 꽃집 청년인 대니가 그런 소우타로보다 힘이 세니 대니의 괴력은 그야말로 엄청난 셈.
[image] [image]
'''이름'''
알리사 엔릴레이
Alyssa Enrilé
アリサ・エンリレ
'''레인저'''
화이트 타이거 레인저
White Tiger Ranger
ホワイトタイガーレンジャー
'''캐치'''
Noble tiger
노블 타이거 (고결한 호랑이)
'''성별'''

'''직업'''
대학생 → 유치원 교사
'''무장'''
화이트 타이거 배턴, 디어 클러쳐
'''원작 캐릭터'''
타이가 사에 = 가오 화이트
'''담당 배우'''
제시카 레이(Jessica Rey)
'''담당 성우'''
배정미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화이트 타이거, 엘리펀트, 블랙베어, 디어. 제일 많은 메카를 사용한다.
유치원 선생님을 꿈꾸는 성실한 성격의 대학생. 테일러 바로 다음으로 레인저로 선택받았으며, 원작의 타이가 사에와 마찬가지로 아버지가 무도가인지라 가라테를 특기로 한다. 아버지[25]는 자신과 같은 무술가가 되길 바라나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아버지를 설득해 대학에 진학해있으며 싸움이 없을 땐 대학에서 공부한다.
대학 데이터베이스를 써서 콜의 부모님을 찾는다든가 동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메릭을 신경써주는 등 테일러와 더불어 히로인 포지션.
모든 싸움이 끝난 뒤에 꿈꾸던 유치원 선생님이 되어 아이들에게 자신을 포함한 파워레인저들의 활약상,후일담을 동화로 들려주었다.
[image] [image]
'''이름'''
메릭 밸리턴
Merrick Baliton
メリック・バリトン
'''레인저'''
루나 울프 레인저
Lunar Wolf Ranger
ルナウルフレンジャー
'''캐치'''
Howling wolf
하울링 울프 (포효하는 늑대)
'''성별'''

'''직업'''

'''무기'''
루나 큐[26]
'''원작 캐릭터'''
오오가미 츠쿠마로 = 가오 실버
'''담당 배우'''
필립 앤드루 (Philip Andrew)[27]
'''담당 성우'''
안종덕 (우리말 더빙판)
사용 메카는 루나 울프, 엘리게이터, 해머헤드 샤크.
3천 년 전의 6명의 파워레인저 중 한명으로 애니머스가 마스터 오그에게 당해 파괴된 뒤, 마스터 오그를 쓰러뜨리기 위해 고대 사원에 봉인되어있던 금단의 힘 울프마스크를 손에 넣어 마스크를 쓰고 3마리의 와일드 조드를 불러내 프레다조드로 합체, 마스터 오그를 쓰러트리나 마스크의 저주를 피할 수 없어서 결국 젠아쿠라는 오그가 되어버리고 만다. 완전히 젠아쿠에 잠식되기 전에 레인저 동료들에게 "내가 완전히 오그가 되어 너희들을 죽이기 전에 죽여달라" 고 부탁하나 '''친구를 해칠 수 없다'''는 레인저들에 의해 대신 3천 년 동안 석관에 봉인되나 3천 년 후, 마스터 오그가 보낸 제너럴 오그 네이저에 의해 부활해 사상 최강의 오그[28] 젠아쿠로서 파워레인저들을 위협하는 존재가 된다.
처음에는 마스터 오그와 네이저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파워레인저들과 싸웠으며, 그 결과 엘리펀트[29], 지라프[30], 블랙&폴라베어[31] 크리스탈을 뺏어 어둠의 와일드조드로 만들어 부린다. 그러나 14화에서 과거의 기억이 서서히 돌아오고 있음은 눈치챈 네이저에 의해 머리에 벌레를 주입당해 '나는 듀크 오그'라는 기억 조작을 당하게 되며 빼앗았던 15화에서 크리스탈을 네이저에게 넘겨준다. 하지만 우연히 젠아쿠가 돌보고 있던 강아지를 본 콜이 어느날 새벽녘 강에서 본 목욕을 하던 남자가 데리고 있던 강아지라는 것을 눈치채고 그가 인간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애니머스가 일으킨 월식으로 인해 젠아쿠가 원래모습으로 잠시 돌아오고 파워레인저들의 의심은 확증이 되었다.
그동안 저주를 풀 방법을 찾지 못했던 이유도 밝혀지는데 그 저주는 울프마스크가 아니라 울프, 엘리게이터, 해머헤드의 크리스탈을 매개체로 사용해 걸었던 저주였기 때문이었다. 그로 인해 프레다조드 자체가 다크 와일드조드로 오염되어 버렸지만, 그걸 깨달은 쉐일라 공주 덕에 프레다조드를 파괴하는 것이 저주를 풀 방법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파워레인저들의 도움으로 저주에서 해방된 이후로는 자신이 젠아쿠로서 레인저들을 수없이 해쳤던 짓에 대한 죄책감 때문에 "'내 손은 너희의 손과 접촉하기에는 너무 더럽혀졌다"며 거부하고 톡시카와 진드랙스를 찾아가 마스터 오그의 부하로 들어오는 척하면서 빼앗겼던 와일드 조드 크리스탈들을 탈환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마스터 오그가 만들어낸 쿼드라 오그[32]의 공격으로 레인저들이 위기에 처하자 그들을 돕기위해 고군분투하고, 이 과정에서 레드 라이온에 의해 루나 울프 레인저로 각성한다. 그리고 쿼드라 오그를 쓰러트리고 덤으로 도망가려는 네이저도 필살기 풀 문 슬래시로 저세상으로 보내버린다.
네이저 처리 후 레인저들에게 자신이 강탈한 4개의 크리스탈을 돌려주지만 그 후로도 젠아쿠로서 했던 행동에 대한 죄책감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해 괴로워하지만 레인저들의 설득으로 마음을 열게 된다. 평소에는 당구장에 머물다가 레인저들이 위기에 처하면 달려와서 도와주는 식으로 싸우다가 세일라 공주가 납치당하면서 애니머리움에 들어오게 된다.
기본 설정은 원작의 오오가미 츠쿠마로와 동일하나 오오가미가 작중에서 수난사가 겹치고 '''백수'''였던 반면 이쪽은 그야말로 카리스마를 잃지 않는 폭풍간지로 유명.[33] 거기다 매우 잘생겨서 셰일라 공주의 짝사랑 상대. 한술 더 떠서 20화 때 웨딩드레스 오그로부터 마네킹이 된 신부들을 구해 아주 잠깐이었지만 인기와 사랑을 많이 받았다. 최종 전투가 끝난 마지막회에서는 공주에게 동행하겠다고 하지만 지구에서 살라는 공주의 말에 지구에 남으며 , 이후 새로운 모험을 찾아 스스로 유랑의 길을 떠나는데 원판과 다르게 혼자가 아니라 다시 부활한 젠아쿠가 나타나 동행해준다. 아래는 당시의 대사 전문.

'''젠아쿠''': 어디로 가는 건가?

'''메릭''': 바람이 이끄는 곳으로 가는 것 뿐이다.

'''젠아쿠''': 같이 갈 동료가 필요할 걸세.

'''메릭''': 내 길은 오로지 나 혼자 가야 한다. 나는 아직도 속죄해야 할 게 많아.

'''젠아쿠''': 너와 난 공통점이 참으로 많군. 구원을 바라는 외로운 늑대는 너뿐만이 아니다.

'''메릭''': 네가 그래야 한다면 따라와. 말리지는 않을테니...

'''젠아쿠''': 그렇다면 앞장서게나... 오랜 친구여...


2.2. 협력자


[image]
'''이름'''
셰일라 공주
Princess Shayla
プリンセス・シャーラ
'''성별'''

'''원작 캐릭터'''
테토무
'''담당 배우'''
앤 마리 크라우치(Ann Marie Crouch)
'''담당 성우'''
이현선[34] (우리말 더빙판)
국내판에서는 슈라 공주로 개명.
3천 년 전의 공주로 파워레인저의 멘토 겸 지휘관 격인 존재이며, 나사가 여러 군데 빠진 것 같은 원작의 테토무와 다르게 상당히 공주로서의 분위기를 풍긴다. 원작 가오레인저에서 테토무가 머리에 끼고 있던 서클렛을 본작에서는 목걸이로 끼고 있다. 이 마력이 담긴 목걸이는 3천년 전 메릭이 선물해준 것. 신비스러운 공주 이미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서 작중 톡시카에게 습격당했을 때 화려한 액션으로 반격. 공주 주제에 싸움도 할 줄 아냐는 톡시카에게 "날 얕보지 마라. 난 그저 공주님이 아니야. 난 지구의 수호자다!"라며 응수한다.
메릭을 짝사랑하지만 3천 년 전의 신분 차이 때문인지 메릭이 피했기 때문에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최종회에서 레인저들의 재킷과 모퍼를 반납받고 애니멀리아와 함께 지구를 떠난다. 테토무처럼 디어 조드에게 노래를 불러준다. 제목은 애니머리아의 노래.(Song of Animaria.)[35]
[image]
'''이름'''
카이트
Kite
カイト
'''성별'''

'''원작 캐릭터'''
후타로 = 스포일러
'''담당 배우'''
라이언 골드스틴 (Ryan Goldstein)
'''담당 성우'''
배정미
수수께끼의 소년. 원작에서의 후타로에 해당하는 인물이지만 인심 좋은 일면도 보인다. 콜이 이름을 묻자 카이트는 하늘에 떠있던 연(Kite)를 보고 카이트라는 이름을 댔다. 첫 등장 이후로 전투 때마다 묘한 모습을 보이던 카이트에 대해 알아보려고 콜이 일부러 아이스크림을 사먹을때 거울에 비친 이 소년의 모습을 보고 하나를 더 사서 던져주었다. 공사장에서 서성거리던 것을 셰일라 공주가 스파게티를 비롯한 먹을거리를 들고 찾아와서 저 혼자 먹는 염장을 지르다가[36] 결국 허기를 못이기고 셰일라 앞에 모습을 드러내었으나 오그들의 공격을 받는다. 결국엔 죽을 위기에 처한 것을 콜이 자신의 새비지 사이클을 희생해가면서까지 구해주었다.
【 스포일러 】
[image]
'''이름'''
애니머스
Animus

'''성별'''

'''원작 캐릭터'''
가오 갓
'''담당 배우'''
'''담당 성우'''
찰스 기디언 데이비스
(Charles Gideon Davis)/정승욱
그러나 제너럴 오그 맨딜로크, 진드랙스와 톡시카에게서 지난 3천 년 동안 인간이 지구를 어떻게 오염시켰는지를 보고는 맨딜로크, 진드랙스, 톡시카와 함께 레인저들 앞에 나타나 모니터 오그가 메가조드를 빈사상태로 만드는 것을 지켜보고는 맨딜로크의 말에 따라 본모습을 드러내는데 그 정체는 바로 다름아닌 애니머스. 이에 맨딜로크가 애니머스와 메가조드가 오그를 위해 싸운다고 감탄하자 와일드 조드는 인간을 위해서도 오그를 위해서도 싸우는 것이 아닌 행성과 이곳에 살아가는 생명들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후 맨딜로크가 와일드포스 메가조드를 조종해 공격하자 애니머리안 애로우로 정확하게 조종장치를 격파해 제압하고는 자신이 큰 실수를 저질렀다며 인간들은 와일드포스의 도움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말하고는 와일드 조드들을 '''모조리''' 회수해 사라졌다.[73]

"와일드포스는 이 지구와 인간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 곳에 왔다. 하지만 '''정작 인간들은 지구를 아끼려고 하지 않는다.''' 내가 사람을 잘못 보았구나. 너희 인간들은 와일드포스의 보호를 받을 자격이 없다."[74]

이후 메릭 앞에서 카이트의 모습으로 현신해 과거의 사람인 너는 이곳에 속해있지 않고 지구를 소중히 여기지 않는 인간들을 위해 싸울 필요는 없으니 자신과 함께 가자고 설득하나 파워레인저들의 오그에 맞서 싸우려는 진땀어린 노력과[75] 그 모습에 반응해 설득을 뿌리치고 싸우러 나가는 메릭을 보고는 본모습으로 현신해 프레다조드 블루문과 함께 오그를 쓰러뜨리며 이후 레인저들과 셰일라 공주에게 카이트의 모습으로 찾아오게 된다.[76]

난 너희들의 지구를 수호하려는 의지를 시험하기 위해 와일드 조드들을 데려갔다. 그리고 너희들은 시험을 통과했다.

그리고 와일드 조드를 회수해간 이유가 밝혀지는데 사실 애니머스는 '''레인저들이 조드가 없어도 지구를 지킬 의지가 있는지 시험하기 위해 와일드 조드를 회수해 간 것이었다.'''[77]
이후 "너희들은 시험을 통과했다"라는 말과 함께 조드들을 돌려주게 되며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기 전 콜이 오그의 공격으로부터 그를 구해준 보답의 의미로 이전에 망가진 콜의 새비지 사이클을 대신할 새로운 바이크 와일드포스 라이더를 선물로 준다.[78] 그리고 오랜 친구 메릭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셰일라 공주의 '언제 다시 볼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에 '이제 내가 다시 이 세계에 올 일은 없다. 레인저들은 충분히 자신들의 역량을 증명했다.'면서 하늘로 올라간다.
막바지 에피소드의 마스터 오그와의 최종 전투에서 다시 현신강림해 메릭의 프레다조드와 함께 마스터 오그에게 맞섰으나, 결국 3천 년 전의 치욕을 갚지 못하고 본인과 프레다조드가 쌍으로 파괴된 후 결국 레인저들에게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메릭의 품에서 완전히 소멸하고 만다. 하지만 시험에 통과한대로, 와일드조드가 없어도 지구를 수호하겠다는 레인저들의 의지까지 사라지지는 않았고, 그 의지로 와일드조드들이 모조리 다시 부활해 3000년에 걸친 마스터 오그의 사슬을 영원히 끊어내는데 성공했다. 그야말로 죽었지만 뜻을 이룬 캐릭터.
[37]
?width=300
'''이름'''
알파 세븐
Alpha 7
アルファ7
'''원작 캐릭터'''
'''담당 성우'''
Forever red 편에서 등장. 아스트로 메가쉽 Mk-II에 탑승하고 있으며 알파 5와 알파 6과 동형의 서포트 로봇. 알파 5처럼 아이야이야이가 말버릇이다.

2.3. 일반인


[image]
'''이름'''
윌리
Willie
ウィリー
'''성별'''

'''직업'''
당구장 주인
'''담당 배우'''
제이디 홀 (J.D. Hall)
'''담당 성우'''
이종오(우리말 더빙)[38]
메릭이 머무는 당구장의 주인이며 폭주족에 의해 가게를 빼앗길 뻔하다가 당구장에서 연습을 하던 메릭의 도움을 받고 그가 머물 수 있게 받아준다. 가끔 메릭에게 당구 스킬을 가르쳐주기도 하는데, 메릭이 배운 스킬 중 하나가 다시 부활한 젠아쿠를 소멸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39]

2.4. 오그


우리말 더빙판에서는 간부인 제너럴 오그는 '장군 오그', 듀크 오그는 '귀족 오그'로 번역했다.
[image]
'''이름'''
마스터 오그
Master Org
マスター・オルグ
빅터 애들러
Viktor Adler
ビクター・アードラー
'''성별'''

'''직위'''
마스터 오그
'''원작 캐릭터'''
오르그 마스터
센키
'''담당 배우'''
일리아 볼로크(Ilia Volok)
'''담당 성우'''
김태웅[40] (우리말 더빙판)
이름의 어원은 원작의 페이크 최종 보스 '오르그 마스터.'[41]
이 작품의 오리지널 캐릭터이자 최종 보스로 오그(오르그)를 지배하는 자다. 본명은 '빅터 애들러'이며 원래는 콜의 부모님인 리처드, 엘리자베스와 함께 애니머리아에 관한 연구를 하던 과학자이자 생태학자였다. 같이 일하는 동료사이였던 만큼 두 사람과의 관계도 좋았지만 빅터 자신이 엘리자베스에게 사랑을 고백하기 전에 리처드가 먼저 고백하면서 둘이 결혼하고 리처드의 연구가 자신의 연구보다 높은 평가를 받아 유명해지자 질투에 눈이 멀어 복수할 기회를 노리게 된다.
이후 셋이 조사에 들어간 정글에서 발견한 선대 마스터 오그[42]가 남긴 싹을 발견, 몰래 씨앗을 삼켜 마스터 오그의 마력을 얻은 뒤 부부를 덩굴로 살해한 후 마스터 오그로 각성한다. 오그 시드를 스스로 만들 수도 있지만 모습은 인간 그대로이며 뿔과 이마 가운데의 눈은 모자 장식일 뿐인 가짜였다. 과거의 일에 대해 일말의 가책은 있었던 모양인지 인간 시절에 에번스 일가와 함께 찍은 사진을 계속 갖고 있었다.
톡시카는 마스터 오그에게서 계속 인간 냄새가 난다는 점과 뿔이 가짜라는 점을 이미 알아낸 상태였고, 중반부에 결국 인간이라는 사실을 결국 톡시카와 진드랙스에게 들키게 되는데 막음을 위해 그들을 세뇌시키고 겸사겸사 강화도 시켜준다.
콜이 에번스 부부의 자식이란 걸 알고 증오했으며[43] 중반부에 네이저가 쓰러지고 레드 새비지 워리어에게 패배하여 세뇌가 풀린 진드렉스와 톡시카가 떠나면서 혼자 남게 되자 초조한 마음에[44] 빨리 레인저들을 없애기로 마음먹고 실종되었다 발견된 애들러 박사인 척하여 레인저들을 병원으로 유인해 납치한 다음 콜에게 자신이 그의 부모를 죽였다는 것도 밝히며 콜까지 죽이려고 했으나 레드 새비지 워리어로 변신한 그에게 패배하면서 힘을 잃고 본래의 인간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후 맨딜로크를 새 리더로 추대한 진드랙스와 톡시카에게 버림받고 맨딜로크에 의해 계곡으로 떨어져 사망했지만 체내에 삼켰던 오그의 싹이 완전히 각성하여 그 영향으로 뿔과 이마 가운데의 눈이 생기면서 '''진정한 오그'''로서 부활한다.
부활 직후 듀크 오그 오니카케에게 밀명을 내려 톡시카를 없앨 것을 지시하고 오니카게가 맨딜로크를 속여서 무장해제시키자 직접 나타난다.
맨딜로크는 그에게 이번에도 가짜 뿔을 달고 와서 추태를 부리느냐며 그의 뿔을 부수려 했으나 이번에는 진짜 뿔이었던지라 소용이 없었고 진드렉스는 경악한다. 그럼에도 맨딜로크 자신이야 말로 가장 위대한 오그라며 마스터 오그에게 달려들지만 마스터 오그는 지팡이에서 뿜어저 나오는 광선으로 그를 끝장내버린다. 진드렉스가 공주를 데리고 도망치자 오니카게를 시켜 공주를 잡아오게 하는데 진드렉스가 나타나 자신에게 원망을 쏟아내자 오니카게에게 그를 없앨 것을 지시한다. 그러나 진드렉스의 기지로 오니카게는 자신의 그림자와 싸우게 되고, 콜이 그림자를 파괴하여 쓰러지자 그를 소생 및 거대화시킨 뒤 공주를 납치해간다. 공주가 자신을 닥터 애들러라 부르자 잠시 동요하지만 그건 더 이상 그건 자신의 이름이 아니며 이제와서 되돌리기는 너무 늦었다고 받아친다.
이후 레인저들이 톡시아&진드렉스 콤비와 연합하여 기지로 처들어오자 마스터 오그 본거지를 보호하는 세 가지 석상을 부수는 것을 막기 위해 맨딜록, 레티낙스, 네이저 세 제너럴 오그들을 부활시켜 지키게 한다. 그 후 셰일라의 목걸이를 빼앗아 그 마력으로 자신이 의식을 치러 오그의 심장을 만들어[45] 스스로 부서진 후 레인저들이 쓰러뜨린 3명의 제너럴 오그의 힘을 흡수해 궁극체로 각성하게 된다.[46]
이때 파티가 끝나고 뒷정리를 하던 셰일라 공주가 불길한 예감에 오그를 감지하는 분수 쪽으로 다가가자 보자 분수가 넘쳐흐르다 못해 폭발하고 메릭은 불길한 바람을 느꼈으며 레인저들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오그의 식물덩쿨이 곳곳에서 뻗어나는 등 맥스조차 심상치 않다며 정색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했다. 뒤이어 마스터 오그가 레인저들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예전과는 비교도 안되는 엄청난 전투력을 과시하며 레인저들을 압도한다. 뿐만 아니라 콜이 레드 새비지 워리어로 반격하자 넥서스 블레이드로 단칼에 한쪽 날개를 잘라 무력화시키고 스스로 거대화까지 하는 등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인다. 이에 애니머스와 메릭의 프레다조드가 맞서싸우지만 마스터 오그는 넥서스 블레이드로 둘의 콤비 공격을 가볍게 막아낸 뒤 둘을 동시에 박살낸다.
이후 애니머리움에 강림하는데 팔콘 조드가 그를 마비시켰으나 곧바로 풀어버리고 넥서스 블레이드를 휘둘러 없애버린다. 레인저들이 콩가조드 스트라이커로 대항해보지만 위기에 처하고 엘리펀트와 지라프가 마스터 오그를 공격하여 주의를 끈다. 그리고 디어 조드가 그를 마비시키고[47] 파이널 스트라이크를 날려 육체를 부수는 데 성공하나 본체인 오그의 심장이 남아 있기에 곧바로 부활하여 세 조드들을 죽이고 자신에게 달려드는 콩가조드를 소울버드째로 박살낸다. 이에 포기하지 않고 남아있던 조드들이 스스로 메가조드로 합체하여 마지막 반격에 나서나 마스터 오그는 넥서스 블레이드로 메가 로어를 받아친 뒤 보라색의 거대한 회오리 형태로 변해 메가조드에게 결정타를 날리고 넥서스 블레이드로 조드들을 분리, 파괴해 버린다.
와일드 조드들이 모두 사라지자 애니머리움의 땅에 균열을 일으켜 애니머리움을 추락하게 한 후 오그 졸개들을 부려 깽판을 친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려하는 레인저들의 의지에 답한 다른 와일드 조드들이 나타나고 레인저들의 조드들도 부활하게 된다. 이렇게 전세계에서 모인 수많은 조드들의 애니멀 로어 일제사격으로 육체가 파괴되고 남은 오그의 심장마저도 레인저들의 정글 소드에 의해 소멸됨으로서 드디어 완전히 최후를 맞는다. 이후 빅터 박사는 과거 일로 공식 실종 사망처리되어 콜의 부모의 무덤 옆에 무덤이 만들어져 같이 추념되었으며 나중에 콜이 묘비 앞에 헌화했다.
처음부터 최종 보스의 기질을 보여준 악당으로 원작 가오레인저에서 하이니스 듀크 오르그들이 이룬 업적을 본인이 다 해낸 걸로 묘사되었다.[48]
의상은 오성전대 다이레인저고마 15세의 의상를 개조했다.
[image]
'''이름'''
톡시카
Toxica
トキシカ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츠에츠에
'''담당 배우'''
신 웡(Sin Wong)
'''담당 성우'''
문지현 (우리말 더빙판)
국내판 SBS에선 "톡시'''아'''"로 개명됐다.
듀크 오그로 마스터 오그의 부하. 한 번 쓰러진 오그를 부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그를 부활시킬 때 지팡이를 흔들며 씨앗을 발사해 오그를 거대화해 부활시킨다. 부활 시의 주문은 '''Evil spirits of toil and strife, give this fallen org new life!(혈투하는 악령들이여, 이 쓰러진 오그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어라!)[더빙판] ''' 3천 년 전에 선대 마스터 오그가 쓰러져서 야생견 포획원으로서 진드랙스와 함께 신분을 숨기고 살아왔으나 마스터 오그의 부활을 알고 행동을 시작한다. 네이저가 처음으로 부활한 후 레인저들에게 파괴당했을 때 네이저의 왕관에 있던 힘으로 네크로노미카(Necronomica)라는 제네럴 오그로 강화되었다가 메릭의 활약으로 변신이 풀려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 직후, 마스터 오그가 인간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지만[49] 진드랙스와 함께 그에게 세뇌되고 동시에 파워업 하게 된다. 이후 레인저들을 물리치는데 힘을 쏟으나 애니머리움 아머를 발동한 콜에게 참패해 파워업 상태가 풀려버렸고, 맨딜로크를 진드랙스와 함께 부활시켜 마스터 오그를 죽이는데 성공하나 거듭된 패배로 인해 더 유능한 듀크 오그를 찾는 맨딜로크에 의해 진드랙스와 함께 찬밥 신세가 되어버린다. 이후 오니카게의 부추김을 받아 셰일라 공주를 납치하려 하지만 실수로 연못에 빠지는 바람에 레인저들에게 들켜 허탕만 치고 돌아오고 멘딜로크에게 쓸모없는 녀석이라는 폭언까지 듣는다.
침울해져 있다가 뿔을 자르면 연못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듀크 오그의 뿔은 잘려도 다시 자란다는 오니카게의 거짓말에 속아 자신의 뿔까지 부러뜨리는 무리수를 둬가면서까지 셰일라 공주를 납치한다. 결국 뿔이 부러진 탓에 체력이 고갈되어 쓰러지는데 그에 맞춰 레인저들이 공주를 구하기 위해 뒤쫓아온다. 정글 블래스터에 맞을 위기에 처한 맨딜로크는 그녀를 프렌드 실드로 사용하기에 이르고 톡시카는 허망하게 사망하고 만다.[50] 그러다가 진드랙스에 의해 지옥에서 부활하여[51] 레인저들과 협력해 셰일라 공주를 구해낸다. 원작과는 달리 진드랙스와 같이 오그를 그만두고 자아를 찾기 위해 스스로 여행을 떠났다.
9화에서 알리사와 싸울 때 그녀에게 할망구라고 모욕(?)당해서 사실상 라이벌 관계처럼 묘사된다.
[image]
'''이름'''
진드랙스
Jindrax
ジンドラックス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야바이바
'''담당 성우'''
리처드 칸시노 (Richard Cansino)
대니 웨인 스탤컵 (Danny Wayne Stallcup)
홍승섭 (우리말 더빙판)
듀크 오그로 마스터 오그의 부하. 인간으로 변할 수 있어서 3천년의 싸움 이후 톡시카와 함께 신분을 숨기고 있었다가 마스터 오그 부활 소식에 행동을 개시한다. 서커스단 출신으로 자신은 광대로 활약했다. 동생인 저글로는 곡예사였지만 안습하게도 동생은 중간에 파워레인저들에게 퇴치당했다. 작중의 개그 캐릭터. 서커스단 출신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웃기는 모습을 많이 보여준다.
톡시카의 둘도 없는 친구로, 맨딜로크의 프렌드 실드 전술에 당한 톡시카가 죽자 우울함과 회의감에 빠져 지내다가 거울 속 영혼의 세계에 있던 그녀에게서 정글 블레스터의 에너지를 이용하면 부활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기관사 오그를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던 레인저들을 의도적으로 도와주어 그들이 정글 블래스터를 쓰도록 유도한다.[52] 이후 톡시카를 부활시키는데 성공하고 레인저들에게 협력하여 셰일라 공주를 구출한다. 모든 것이 마무리 되었다고 여기고 원작과 다르게 레인저들에게 작별을 고한 뒤 톡시카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세일라 공주를 사모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원작의 야바이바처럼 특징적인 말버릇이 있다. 바로 '''"Inconceivable!"'''
[image]
'''이름'''
레티낙스
Retinax
レティナクス
'''성별'''

'''직위'''
제너럴 오그
'''원작 캐릭터'''
슈텐
'''담당 성우'''
마이클 소릭 (Michael Sorich).이종오
제너럴 오그. 과거의 싸움으로 3천 년 전 주인인 마스터 오그를 지키지 못했던 자신을 부끄러워해 몸을 숨겨왔으나 톡시카와 진드랙스에게 마스터의 부활 소식을 듣고 다시 전장으로 복귀한다. 레인저들을 몰아붙히지만 결국 소울버드의 힘으로 강화된 레인저들과 메가조드에게 패하여 쓰러진다.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했으나 현재의 마스터 오그가 과거의 주인과 별개인물인 걸 알게 되면서 입막음을 위해 살해당한다.
이후 네이저, 맨딜로크와 함께 마스터 오그의 충실한 부하로서 부활했다가 다시 레인저들에게 쓰러진 뒤 마스터 오그의 궁극체의 재료가 된다.
[image]
'''이름'''
네이저
Nayzor
ネイザー
'''성별'''

'''직위'''
제너럴 오그
'''원작 캐릭터'''
우라
'''담당 성우'''
켄 머크스(Ken Merckx).김태웅
제너럴 오그. 3천 년 전 사원에 봉인되었던 울프마스크를 관리해왔다. 원래 석상에 봉인되었으나 마스터 오그의 힘으로 부활해 역시 석관에 봉인되어있던 듀크 오그 젠아쿠를 부활시키고 레인저에게서 4개의 크리스털을 빼앗았으나 각성한 루나울프 레인저에게 패배하여 사망하였다. 그런데 마스터 오그의 힘으로 슈퍼 네이저로 강화부활해 레인저들을 궁지에 몰아넣었으나 아이시스 메가조드(가오 이카로스)에게 죽임을 당했다.
이후 래티낙스, 맨딜로크와 함께 마스터 오그로 인해 부활하였다가 다시 레인저들에게 쓰러진 뒤 마스터 오그의 궁극체의 재료가 된다.
나머지 둘(레티낙스, 맨딜로크)과는 달리 과거와 현재의 마스터 오그에게 충성을 다한 유일한 제너럴 오그이다.[53]
[image]
'''이름'''
맨딜로크
Mandilok
マンディロク
'''성별'''

'''직위'''
제너럴 오그
'''원작 캐릭터'''
라세츠
'''담당 성우'''
에즈라 와이즈 (Ezra Weisz)
바버라 굿슨/김민석(남),문지현(여)
제너럴 오그. 톡시카와 진드랙스가 현재의 마스터 오그 빅터가 인간인 걸 알자 그를 쓰러트리기 위해 석상에서 부활시켰다. 머리와 복부에 인격이 따로 있는 것까지 동일하다. 식욕이 정말 넘치는 듯 한데, 빌딩을 다 먹어치우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장면도 있다(...). 콜에 의해 힘을 잃은 빅터를 쓰러뜨려 잠시 오그의 우두머리가 되나 이후 진정한 오그로서 부활한 빅터(마스터 오그)에 의해 그렇게 제거되었다.
이후 레티낙스, 네이저와 함께 마스터 오그의 충실한 부하로서 부활했다가 다시 레인저들에게 의해 쓰러진 뒤 마스터 오그의 궁극체의 재료가 된다.
[image]
'''이름'''
젠아쿠
Zen-Aku
ゼン・アク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로우키
'''담당 성우'''
댄 워런 (Dan Woren)
렉스 랭/정승욱
국내판에서는 제나스로 개명.
3천 년 전에 석관에 봉인되어 있었던 듀크 오그. 3천년 전의 6명의 파워레인저 중 한명인 메릭이 울프마스크로 오그화 된 모습이다. 마스터 오그의 명령을 받은 제너럴 오그 네이저가 젠아쿠를 석관의 봉인에서 풀어주어 부활해 레인저들을 냅다 공격해 변신을 풀어버려 빈사 상태로 만들어버린다. 이때의 젠아쿠는 레인저들이 이제껏 대면한 오그 중에서 '''단연 최강.''' 심지어 제너널 오그인 네이저도 그에게 제압당해 허세만 부리고 돌아갔다. 젠아쿠의 능력은 압도적인 스피드와 힘이 대표적인데, 일반적인 오그와는 다르게[54] 젠아쿠는 3마리의 애니멀 크리스탈을 소유하여 이들을 부릴 수가 있으며, '''이들은 심지어 합체도 가능하다.'''
무기로는 대형 월도인 크레센트 블레이드를 사용하는데 공격 시 크레센트 블레이드의 양쪽이 펼쳐지면서 크레센트 웨이브라는 에너지파를 발사할 수 있다. 그의 메가조드인 프레다조드 역시 울프의 꼬리로 부메랑을 날리고, 앨리게이터의 입으로 프레데터 웨이브를 발사할 수 있다. 첫 등장화부터 레인저들을 개발살내고 알리사의 엘리펀트 크리스탈을 강탈했으며, 이어서 맥스와 테일러의 와일드 조드를 강탈하는 등 레인저들을 고전시키나 젠아쿠가 '''피'''를 흘리는 모습[55]을 본 셰일라 공주에 의하여 젠아쿠가 오그가 아니라 '''인간'''이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고, 젠아쿠는 자신이 가장 힘이 강할 때인 보름 때 레인저들과 싸워 콜을 죽이기 바로 직전까지 가나 갑자기 개입한 애니머스에 의해 일시적인 월식이 일어나 결국 젠아쿠가 힘을 잃고 레인저들은 젠아쿠가 '''메릭'''이라는 고대 레인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56]
메릭은 자신이 3천 년 전에 애니머스가 마스터 오그에게 파괴되는 것을 보고, 금지된 도시에 숨겨진 금단의 힘인 울프마스크를 찾아 나선다. 울프마스크를 찾은 메릭은 그곳에서 네이저와 대면했으나 도망치고 울프마스크를 착용해 프레다조드를 불러 마스터 오그를 없애지만 그 직후 마스크의 저주에 걸려 젠아쿠로 변하고 만 것이다. 메릭은 의식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동료인 5명의 고대 레인저들에게 이 마스크가 자신을 악하게 만든다며 자신이 완전히 젠아쿠에 잠식되기 전에 자신을 죽여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친구를 해칠 수 없었던''' 레인저들은 대신 메릭을 석관에 봉인한다.
그러나 월식이 너무 빨리 끝나 고통받던 메릭은 레인저들에게 자신을 죽여달라고 하나 선뜻 망설이는 레인저들을 두고 도망쳐 다음날 다시 젠아쿠로 변한 모습으로 레인저들과 싸우게 된다. 레인저들과의 싸움으로 프레다조드와 울프마스크가 파괴되어 저주가 풀려 다시 메릭으로 돌아오나 저주가 풀리고 시간이 좀 지난 이후 울프마스크, 메릭, 울프/앨리게이터/해머해드 세 형태에 존재했었던 젠아쿠가 하나의 완전한 형태를 이루어 숙주 없이 부활해 메릭과 완전히 별개의 존재로서 각성하여 매릭의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숙주였던 메릭을 흡수하여 완전체로 거듭나려 하나 메릭은 이를 완강하게 거부하고 둘은 싸움을 벌인다.
부활하면서 울프 마스크의 힘을 완전히 독차지하게 된 것도 있었지만 메릭이 과거에 대한 죄책감으로 인해 레인저들의 합류를 거부하고 혼자 싸우려 했으므로 그를 압도하는 젠아쿠였으나, 레인저들의 진심 어린 설득으로 메릭이 마음을 열고 레인저들까지 가세하자 전세가 역전된다. 결국 스스로 거대화하여 2차전에 돌입, 프레다조드를 압도하고 메가조드 스트라이커가 아르마딜로 조드로 공격하자 가볍게 받아내고 되받아치는 등 놀라운 전투력을 과시한다. 그러나 아르마딜로 조드를 보고 월리한테서 배운 당구 기술을 기억해낸 메릭의 반격으로 뿔이 잘려 무력화되고 리볼버 팬텀에 의해 쓰러지고 만다.
오오가미 츠쿠마로가 천년의 사기를 떨쳐내면서 존재가 소멸된 원작의 로우키와는 달리 최종화에서 부활하여 메릭 앞에 다시 나타나[57] 어디로 가느냐고 묻는다. 바람이 이끄는 대로 간다고 메릭의 대답에, 젠아쿠는 같이 갈 동료가 필요할 것이라며 함께 갈 것을 제안한다. 자신의 길은 언제나 혼자 걸어왔으며 아직도 속죄해야 할 것이 많다는 메릭의 말에 젠아쿠는 속죄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자신도 마찬가지라며 진심으로 설득하고, 메릭은 그에게 꼭 따라오겠다면 막지 않겠다고 답한다. 이에 젠아쿠는 앞장서라는 말과 동시에 그와 함께 어디론가 여행을 떠나게 된다. 이때 메릭을 두고 "오랜 친구여.(Old friend.)"라고 말하는 대사가 인상적이다. 메릭과 한 몸으로 지내면서 미운정 고운정이 생긴 듯.
[image]
'''이름'''
아르틸라
Artilla
アルティラ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큐라라
'''담당 성우'''
마이클 소릭 (Michael Sorich)
[image]
'''이름'''
헬리코스
Helicos
ヘリコス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프로플라
'''담당 성우'''
데이브 맬로 (Dave Mallow)
[image]
'''이름'''
저글로
Juggelo
ジャガロン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저글링 오르그
'''담당 성우'''
패트릭 토머스 (Patrick Thomas)
[image]
'''이름'''
오니카게
Onikage
オニカゲ
'''성별'''

'''직위'''
듀크 오그
'''원작 캐릭터'''
도로도로
'''담당 성우'''
댄 워런 (Dan Woren)/정승욱
국내판에서는 오니크스로 개명.
듀크 오그. 닌자이며 부활한 마스터 오그의 밀명을 받고 맨딜로크 앞에 나타나 그를 보좌하는 척하는 동시에 부추겨 톡시카를 죽이게 한다. 레인저들이 붙잡힌 셰일라 공주를 구하러오자 그림자 레인저를 만들어 레인저들을 고전시키고 마스터 오그가 복귀하자 본색을 드러내어 맨딜로크를 배신하고 진드랙스마저 죽이려다 진드랙스의 기지로 자신의 그림자와 싸우게 된다.
결국 콜이 그림자를 파괴하자 자신도 파괴되었으나 마스터 오그에 의해 곧바로 거대하게 부활하여 레인저들을 영혼의 세계로 끌고간다. 영혼의 세계에서는 조드를 부를 수 없는 탓에 레인저들을 위기로 몰아넣었으나 공주의 눈물에 의해 레드 라이온이 일시적으로 페가수스 메가조드로 각성하여 영혼의 세계로 달려오게 되고 결국 그에게 패하여 소멸한다.
[image]
'''이름'''
퓨트리드
Putrids
ピュートリッド
'''직위'''
전투원
'''원작 캐릭터'''
오르겟토
본작의 졸개이며 오그의 전투원. 불완전한 뿔을 가진 가장 미천하고 낙후된 오그이며 톡시카가 가지고 있는 분홍색 점액에 의해 만들어진다. 톡시카는 퓨트리드를 주위에 소환하는 컨테이너 같은 역할을 한다. 미천하고 낙후되어서 그런지 기본적으로 많은 수로 움직인다. 그들은 간부들이나 괴인 오그의 명령을 받으며 그들과 함께 전투를 한다. 톡시카에 의해 분홍색 점액으로 소환되었을 때는 이상한 춤을 추게 된다. 그들은 머리를 공격당하면 쓰러지기 때문에 그들의 약점은 머리나 머리에 있는 뿔이라고 할 수 있다.
[image]
[image]
[image]
'''이름'''
로팽
Rofang
ロファング
타카치
Takach
タカッチ
키레드
Kired
キレッド
'''성별'''



'''담당 성우'''
데이비드 로지 (David Lodge)
킴 스트라우스 (Kim Strauss)
뮤트오그(Mutorgs). 국내판에선 뮤턴트 오그로 개명.[58]
로팽, 타카치, 키레드 3인으로 구성되었으며 31세기에서 온 파워레인저 타임포스에 등장한 뮤턴트의 특성을 가진 오그. 본래는 오그로서, 석상에 봉인되어 있었지만, 3000년도에 도망 중이던 랜시크와 만나 그에게 힘을 주는 것 대신에[59] 그의 뮤턴트 DNA를 흡수하여 지금의 뮤트오그 육체를 얻었다. 수년 후, 마스터 오그를 찾기 위해 21세기에 등장한다. 3체 모두 오그인데, 스카웃을 하러 온 진드랙스와 톡시카를 덮치는 등 매우 폭력적이다.[60] 또 알아듣기 해괴한 말을 한다(...)[61] 평소에는 외계어를 쓰지만 젠의 번역기(?)를 이용하면 영어로 말하며, 마스터 오그와 대면했을 때에도 영어로 말한다.
로팽의 모습은 전자전대 메가레인저에 나오는 기가 기레이르의 몸에 지고크 네지라의 머리와 초력전대 오레인저에 나오는 카이저 부르돈트의 오른팔,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에 나오는 라이마의 어깨가 있으며, 타카치의 모습은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에 나오는 카오스의 몸에 라이마의 머리와 지에루다의 오른팔, 초력전대 오레인저에 나오는 바라 폴리스의 왼팔과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의 타이어 오르그의 무기가 있으며, 키레드의 모습은 성수전대 긴가맨에 나오는 비즈네라의 몸에 코르시저의 다리, 비 파이터 카부토에 나오는 마더 메르자드의 오른팔과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에 나오는 자이렌의 지느러미가 있다. 강력한 파워로 레인저들을 고전시켰지만 랜시크의 자살에 가까운 돌격으로 뮤턴트 DNA가 사라졌고 이로인해 약화되어 레인저들에게 쓰러지고 만다.

2.5. 파워레인저 타임포스


[image]
  • 레드 타임포스 레인저(타임 레드) 웨슬리 콜린스(Wesley Collins)
배우: 제이슨 파운트(Jason Faunt)
원작의 아사미 타츠야와 마찬가지로 레인저 중 유일한 현대인이자 타임포스 레인저의 리더. 예전에는 부잣집 아들로 놀고 먹는 것에 익숙해져 있었는데, 자신만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집을 떠난다. 애칭은 웨스(Wes). 위기에 처한 젠 일행을 오토바이를 타고 나타나서 구해주는 폭풍간지를 보였다. 알렉스의 조상이라서 젠이 그가 살아돌아온 걸로 착각하기까지 할 정도로 그와 닮아있었다. 젠을 도와주고 싶었지만 젠은 알렉스가 떠올랐는지 도움을 거절한다. 하지만 다시 위기에 처한 젠을 도와준 뒤 크로노 모퍼를 받고 레드 타임포스 레인저로 변신한다. 타임포스로 변신하자마자 멋지다며 좋아하지만 상황의 심각성을 알고 있던 젠에게서 모퍼를 다시 빼앗긴다. 나중에 트립에게서 자신의 후손인 알렉스에 대해 알게 되자, 진심으로 도와주기로 결심하고 그녀에게서 다시 크로노 모퍼를 받게 된다. 이후 갈 곳 없는 젠 일행에게 살 거처로 낡은 시계탑을 주고 그들이 입을 옷도 장만해주면서 시계탑에서 함께 생활하게 된다. 최종화에서 동료들이 미래로 돌아간 뒤 아버지로부터 실버 가디언즈는 앞으로도 사람들을 지킬것이고 이를 위해 가디언즈에는 최고의 대장이 필요하다며 실버 가디언즈의 대장직을 제의받자 에릭을 파트너로 하는 것을 조건으로 수락한다.
[image]
  • 핑크 타임포스 레인저(타임 핑크) 젠 스코츠(Jen Scotts)
배우: 에린 카힐(Erin Cahill)
타임포스 레인저의 실질적인 리더. 3000년도의 인물로 레드 타임포스 레인저인 알렉스와 약혼했으나, 그가 랜시크에게 당해 순직하자 랜시크를 잡으려고 2001년으로 날아간다. 웨스를 만났을 때에는 알렉스에 대한 생각으로 일부러 웨스에게 냉정한 태도를 보였지만, 8화에서 뮤턴트에게 이성을 잃게 된 젠을 알렉스가 도와주게 되면서 그대로의 웨스를 받아들이게 된다.
[image]
  • 블루 타임포스 레인저(타임 블루) 루커스 켄들(Lucas Kendall)
배우: 마이클 코폰(Michael Copon)
3000년도의 타임포스 소속 대원. 과거 레이스카 드라이버였던 경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차에 상당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 원작의 아야세와 달리 불치병은 없지만 나디라와 플래그가 선 것 같다.
[image]
  • 옐로 타임포스 레인저(타임 옐로) 케이티 워커(Katie Walker)
배우: 데보라 에스텔 필립스(Deborah Estelle Philips)
마찬가지로 3000년도의 타임포스 소속 대원. 원작의 도몬처럼 박력있는 캐릭터이며, 엄청난 괴력을 가지고 있다.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와의 에피소드에서는 건장하고 힘이 센 대니와의 팔씨름에서 승리한다. 슈퍼전대측 여전사들중 남성 전사를 상대로 힘싸움에서 승리할 정도의 괴력을 가진 여전사는 없엇단 점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엄청난 괴력의 소유자다. 사실 슈퍼전대 쪽에서 괴력을 가진 여전사로는 격주전대 카레인저시노하라 나츠미[62], 야가미 요우코[63]가 있긴 하나, 이 정도 수준의 괴력은 아니다.
[image]
  • 그린 타임포스 레인저(타임 그린) 트립 레지스(Trip Regis)
배우: 케빈 클라인버그(Kevin Kleinberg)
원작의 시온과 마찬가지로 멤버 유일의 우주인이자, 팀 내에서는 장비를 담당하고 있다. 혹성 자이브리아(Xybria)의 우주인으로, 그의 이마에는 텔레파시, 공감, 예지, 그리고 초인적인 통찰력과 같은 능력을 주는 크리스탈이 박혀있다. 시온의 머리색은 이야기가 지나면서 원래의 올리브빛 연갈색으로 바뀌지만 트립은 와일드포스와의 에피소드에서까지 녹색 머리를 유지한다.
[image]
  • 퀀텀 레인저(타임 파이어) 에릭 마이어스(Eric Myers)
배우: 다니엘 사우스워스(Daniel Southworth)[64]
타임포스 레인저의 서브리더이자 타키자와 나오토처럼 고생하며 외롭게 자라면서 실버 가디언즈(타임레인저의 시티 가디언즈)에 입사한 남자로 그냥 동창->열폭->득템->변신->갈등의 원작 트리를 타다가 마지막에는 중상을 입고 변신기를 웨스에게 넘긴다. 사망한 나오토와는 달리 끝까지 살아남아 실버 가디언즈의 지휘관으로 활동하며 웨스와도 친구가 되어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다. 변신 전의 맨몸으로도 박력 넘치는 격투 실력을 선보인다. 변신하지 않고도 괴인을 제압한적이 있을 정도로 강력하며, 역대 파워레인저들의 변신전 전투력을 놓고봤을때 사실상 독보적인 최강급으로 이점에선 슈퍼전대 시리즈의 빅 원인 반바 소우키치랑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신전사 캐릭터라 더 이상 출연 못할 줄 알았지만 포에버 레드에서까지 등장한다. 원작인 슈퍼전대 시리즈에선 타임 파이어를 레드로 취급하지 않지만 파워레인저 시리즈는 이 퀀텀 레인저도 레드와 동급으로 취급한다.[65] 와일드포스와의 에피소드에서는 과속한 테일러에게 딱지 뗀 것을 시작으로 그녀와 몇 번 얽히다가 플래그까지 꽂힌 모양.
[image]
  • 서킷(Circuit)
성우: 브라이앤 시덜(Brianne Siddall)
원작의 . 부엉이 형 지원 로봇이며 시간이동 시 파워레인저들이 타고 있던 타임머신에 탑승하고 있었다. 남성 목소리인 탁과 달리 얘는 여성 목소리다.

3. 로봇


와일드포스의 DX 완구들은 역대 발매된 타 애니의 DX 로봇 완구들과 비교해봐도 독보적으로 훌륭한 퀄리티와 프로포션을 자랑한다.
본작의 메인 메카. 첫 완구로 출시되었을 때는 상당한 퀄리티로 인기 만빵. 한가지 흠 아닌 흠이라면 합체를 완료하기 전의 전차형태를 재현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러려면 직각으로 회전하는 메가조드의 허벅지 부분을 내리지 말았어야 했다. 하지만 바이슨의 목 부분과 도킹되는 라이온의 복부 조인트 뒷부분이 내리지 않은 허벅지로 인해 가랑이 사이로 들어가기에는 무리가 있어 안타깝게도 실패하게 되었다.[66] 그래도 접속 불량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조인트 양 끝부분을 잘라내어 조인트 크기를 맞춘다거나 바이슨의 밑 파츠를 분리시켜서 허벅지를 느슨하게 해 맞추는 등 노력들을 했는데 강제로 우겨넣다가 망가뜨린 경우도 종종 있다고. 여담으로 SBS 파워포스레인저 방영 당시 국내 모 패스트푸드점에서 햄버거 세트 구매 증정 장난감으로 메가조드와 동일한 시퀀스로 합체하는 동물 로봇을 파츠별로 증정한 적이 있었는데, 놀랍게도 90% 딱 들어맞는 조인트로 인해 메가조드와 연계해 놀 수 있었다. 필살기는 다섯 조드의 입에서 광선포를 쏟아내는 애니멀 로어(Animal roar). 소울 버드를 통해 파워 업 모드가 되면 출력이 대폭으로 상승한 메가 로어(Mega roar)로 강화된다.
  • 레드 라이온
콜의 메인 파트너이자 애니머리아에 군림하는 지배자. 말 그대로 백수의 왕이다. 붉은 몸체에 황금 갈기와 꼬리, 발톱을 가지고 있다. 작중 등장한 메카 중 몇 안되는 스토리 적인 설정이 있는 메카중 하나다. 항상 애니머리아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가장 높은 언덕 위에 거처하며 평소에는 애니머리아를 감시하거나 늘어지게 엎드려 있다. 하지만 왕으로서의 카리스마가 있지만서도 그렇다고 제일 강한 것은 아니다. 베어 브라더스가 첫 등장했을 당시 베어 블래스터로 오그를 일격에 가루로 만들어 버리는 위력을 자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직후 베어 브라더스의 엄청난 힘을 감당하지 못하고 갑자기 합체가 풀려버리고 그대로 탈진해 쓰러졌다. 그러나 역시 왕의 긍지는 있었는지 불편한 몸에도 불구하고 다시 스스로 전장에 나서 오그를 제압하러 나섰으며 주인인 콜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번 베어 브라더스와 합체를 강행한 끈기파.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의 핵심부분과 페가수스 메가조드의 하반신을 담당하고 있다. 메가조드 파워 업 모드에서는 소울 버드의 강화 필살기 메가 로어에서 소울 버드의 소울 캐논이 발사되는 포구 역할을 맡는다.
  • 블루 샤크
맥스의 메인 파트너. 애니머리아의 호수 속에 거처한다. 와일드 포스 메가조드, 페가수스 메가조드의 오른팔을 맡고 있다. 지라프 조드가 합체할 때는 직접 지라프를 등에 태우고 헤엄쳐서 현장에 데려다 준다.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의 메인 무장인 '핀 블레이드'가 꼬리로 수납되어있다. 뾰족한 주둥이로 상태를 강타하는 '샤크 슈터'를 기술로 쓴다.
  • 블랙 바이슨
대니의 메인 파트너. 애니머리아의 평야에 산다. 들소답게 종횡무진. 소답지 않은 날카로운 이빨과 우뚝 선 황금 뿔은 얼핏 무서울 정도.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와 콩가조드, 아이시스 메가조드 페러렐 모드의 하반신을 맡고 있다. 프레다조드를 쓰러뜨릴 때 간접적으로 공헌한 조드로 친구인 라이노와 아르마딜로를 대니에게 데려와 승리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다리에 전차 형태로 움직일 바퀴를 내장하고 있다.
  • 옐로 이글
테일러의 메인 파트너. 노란색 독수리다. 애니머리아의 창공을 감시한다. 전 공군이었던 테일러와의 상성을 감안하면 파트너를 가장 잘 선택한 조드라고 할 수 있겠다. vs타임포스 편에서는 웨스와 에릭이 신전에 들어왔을 때 이글이 저공 비행하는 모습을 보고는 혼비백산하기도 했다.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의 머리 및 라이온의 갈기와 콩가조드의 허리를 담당한다. 날개에서 전압탄을 퍼붓는 공격 패턴을 가지고 있다. 흡사 미티어. 각자의 입에서 광선을 발사하는 애니멀 로어(가오레인저에서는 애니멀 하트)에서 유일하게 이마의 녹색 보석에서 광선을 쏜다.
  • 화이트 타이거
알리사의 메인 파트너. 이름처럼 분홍색 줄무늬를 가진 백호이며 호랑이답게 날쎄고 유연한 몸놀림을 자랑한다. 순식간에 하늘로 도약해 스텀블링까지 심심찮게 하며 발톱을 길게 늘려 순식간에 오그를 베어버린다. 와일드포스 메가조드, 페가수스 메가조드의 왼팔을 담당하고 있다. 머리로 적을 강타하는 '타이거 퓨어리'를 기술로 쓴다. 그러나 울음소리의 경우 원작과 달리 첫 등장에서 블랙 바이슨과 함께 달려올때 아주 잠깐 정상적인 호랑이 소리를 냈으나 나머지 등장시 퓨마구름표범같은 중소형 고양이과 맹수 울음소리를 낸다.
  • 소울 버드
베어 브라더스의 힘을 견디지 못하고 탈진한 라이온의 영혼력을 치료하기 위해 콜이 발벗고 찾아나선 전설의 존재. 마스터의 공격을 받고 놀라 도망쳤지만 콜이 새끼 소울버드를 찾는 계기가 된다. 새끼 소울 버드는 콜이 데려갔으며 와일드포스의 심장이라는 이름으로 파워 업 모드의 로봇들의 콕핏이 되어준다. 두부에 고농축 전격포를 발사하는 '소울 캐논'을 내장하고 있다.
콜의 두번째 파트너. 원작 가오레인저에서는 숲의 수호신님이라고 불린다. 콜이 베어 브라더스의 넘치는 힘을 감당하지 못해 영혼력이 떨어진 라이온을 위해 새끼 소울버드를 데리고 왔을 때 그 힘으로 동굴 속에서 눈을 떴다. 고릴라답게 무식한 팔뚝 크기와 완력을 자랑한다. 그 덕분인지 나무에 오르는 속도는 여느 고릴라와 비교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눈에서 광선을 쏘아 바나나나무를 자라게 할 수 있는데 처음 그 모습을 본 일행은 '웬 바나나나무??'라고 멍 때리다가 막상 고릴라가 바나나들을 집어던지자 폭탄이 되어 폭발하는 걸 보고는 환호를 터뜨렸다. 발가락에 5연포를 내장하고 있다. 콩가조드의 머리와 핵심 부분을 담당한다.
  • 베어 브라더스 (폴라 & 블랙 베어)
폴라 베어와 블랙 베어 쌍둥이 곰 형제. 첫 등장은 테일러와의 만남이었다. 처음에는 말 없는 두 소년의 모습으로 나타나 테일러를 찾았다. 그리고 테일러를 어느 협곡으로 안내했고, 절벽 밑에 있는 꽃 두송이를 따 달라고 부탁. 실족으로 추락할 뻔하긴 했으나 변신하여 다시 날아온 테일러에게 무사히 꽃을 받고는 웬 보석 조각 두 개를 테일러에게 선물했다. 그리고 그 후 일어난 오그와의 전투에 갑자기 나타나 서로 마주보고는 머리 위에 꽃가루를 뿌렸더니 베어 조드 형제로 현신했다. 심지어 셰일라 공주조차 현신 전까지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그 순간에야 정체를 파악. 테일러에게 선물했던 보석 조각은 다름아닌 크리스탈이었다. 팀워크가 좋아서 자유자재의 양동공격을 퍼붓는다. 대표적인 것이 서로 몸을 뭉쳐 요요 형태로 적에게 돌진하는 기술이 있다. 폴라 베어는 콩가조드의 오른팔, 블랙 베어는 왼팔을 담당한다. 처음에는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에게 합체했지만 너무 막강한 힘이 라이언에게 과부하를 가해 라이언이 탈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 와일드포스 프레다조드[67]
실버 레인저 메릭의 파트너 삼인방이다. 3천 년 전 젠아쿠의 저주를 벗어나지 못한 메릭과 함께 석관에 봉인 되었다가 젠아쿠와 함께 각성. 암흑화된 세 개의 크리스털을 갖고 있다. 젠아쿠 때는 다크 와일드 조드[68]라고 불렸다. 후에 저주에서 해방되어 흩어진 후에는 메릭의 부름에도 응하지 못했으나 애니머리아에서 지켜보던 레드 라이온의 명령을 듣고 주인인 메릭을 찾아 돌아가게 된다.
  • 실버 울프
메릭의 메인 파트너. 섬뜩한 붉은 눈을 갖고 있으며 꼬리는 프레다조드의 무기인 크레센트 부메랑으로 되어있다. 레드 라이언과 막상막하로 겨룰 수준의 힘을 보유하고 있다. 실제로 처음 라이언과 겨룰 때는 라이언을 일방적으로 압도했다. 메릭이 젠아쿠에게서 풀려난 이후에는 해머헤드, 엘리게이터와 함께 종적을 감췄다가 메릭이 제너럴 오그들을 속이려다 실패하고 위기에 처하자 메릭에게 신세대 와일드포스의 모퍼를 만들어 주고 그에게 다시 한 번 와일드포스의 길을 걷게 해 주었다. 메릭이 합류한 이후에는 두 조드와 함께 애니머리아에 거주한다. 프레다조드와 메가조드 프레데터 모드, 아이시스 메가조드 프레데터 모드의 왼팔을 담당한다. 메가조드의 샤크와 연계하여 초기압축탄을 발사하는 기술도 내장하고 있다.
  • 해머헤드 샤크
메릭의 삼인방 중 하나. 단지 블루샤크의 머리만 바꾼 디자인이건만 완전히 다른 귀상어의 비주얼을 풍기는 조드.[69] 보라색의 몸체를 하고 있다. 작중 비중은 그렇게 크진 않다. 울프와 함께 애니멀리아로 들어갔다. 프레다조드의 오른팔을 담당한다. 프레다조드의 주력무장인 엘리게이터 블레이드의 쌍날 부분을 꼬리로 내장하고 있다. 국내 더빙판에서는 퍼플 샤크라는 단순한 이름으로 불린다.
  • 엘리게이터
메릭의 삼인방 중 하나. 와일드 조드 중 최대의 크기를 자랑하는 떡대. 특히 쩍 벌어지는 아귀는 공포스러울 정도. 악어치곤 색 조합이 꽤나 화려하다. 프레다조드의 양 팔을 제외한 전신을 담당하고 있다. 입 속에 엄청난 위력의 파동포인 '프레다 웨이브'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 기술로 메가조드를 수 차례 격침시켰다. 또 프레다조드의 주력 무장인 엘리게이터 블레이드의 주 파츠를 꼬리로 내장하고 있다. 다크 프레다조드였을 때는 머리가 그냥 뿔이 돋은 늑대형상의 머리와 함께 엘리게이터의 머리도 들어올려져 입을 벌려 전방을 향한 형태였는데 메릭이 각성한 후에는 엘리게이터의 머리가 내려가고 머리의 뿔이 사라지며 프레다조드의 진짜 얼굴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러한 다크 프레다조드의 특성 때문이었는지 셰일라 공주에게 입 속이 약점이라는 것을 발각당했고, 결국 프레다 웨이브를 발사하는 순간을 노린 메가조드 스트라이커의 파이널 스트라이크를 쩍벌린 입 속에 얻어맞고 패배했다. 돌아온 후에는 역시 애니머리아로 들어왔다. 나중에 와일드포스의 집합된 힘을 받고 프레다조드 블루 문으로 파워업하는 메인이 된다.
와일드포스들의 신. 3천 년 전 애니머리아의 정신적 지배자이다. 일단 무지무지 강하긴 하지만 합체 형태는 다들 알고 있는대로 메가조드 자체. 3천 년 전 애니머리아를 지키기 위해 마스터 오그에게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메릭에게 일을 맡긴 뒤 사라졌다가 3천년의 시간을 넘어 다시 부활했다.
  • 블랙 라이온
애니머스의 주축. 갈색 갈기의 흑사자이다. 완벽한 레드 라이온의 색놀음.
  • 소우샤크
애니머스의 오른팔을 담당한다. 적갈색의 톱상어. 일단 완구상으로 핀 블레이드를 뽑아 잡을 순 있지만 가오레인저에서도 와일드포스에서도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다. 톱날로 적을 베어버리는 애니머스의 주력 필살기를 보유.[70]
  • 버팔로
애니머스의 하반신. 흑갈색의 물소이다. 바이슨과 다르게 합체시 가슴까지 올라오는 거대한 뿔이 인상적.
  • 콘도르
애니머스의 머리를 담당한다. 다만 메가조드와는 다르게 레온의 갈기를 감싸는 게 아니라 양쪽으로 날개를 벌리는 형태다. 꼬리에 애니머스의 필살기인 애니머리언 애로를 내장하고 있다.
  • 재규어
애니머스의 왼팔. 금빛 몸체를 하고 있으며 화이트 타이거의 색놀음. 하지만 그나마 몸의 무늬나 어깨의 문장도 다르기 때문에 레온보다는 낫다.
거대한 날개를 가진 붉은 매이다. 색 조합이나 디자인이 마치 인디언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조드. 와일드포스 중 최강의 힘을 보유하고 있으며 합체하지 않고도 단독으로 제너럴 오그를 몰아붙이는 먼치킨이다. 오그의 심장을 삼키고 거대화한 마스터 오그에게 가장 먼저 덤벼들었지만 불행히도 제일 먼저 파괴당하고만다. 평소에는 불새의 형태로 애니머리아의 정중앙에 위치한 화산 속에 거주하고 있으며 오직 팔컨 서머너의 부름에만 응답해 화산 속에서 날개를 펼친다. 날개 끝에 적을 결박하는 '아이시스 스테어'를 장비하고 있다. 아이시스 메가조드, 프레데터 모드, 페가수스 메가조드의 날개, 상체, 머리를 담당하고 있다. 은근히 콜의 무장과도 연관이 많은데, 콜의 새로운 소환기인 팔컨 서머너도 팔컨 전용이며, 카이트가 콜에게 선물한 와일드포스 라이더도 팔컨의 머리와 날개를 지니고 있고 결정적으로 콜의 배틀라이저 애니멀리아 아머마저도 아이시스 메가조드의 날개 형태를 띠고 있다.
  • 지라프
가장 원 설정에 충실한 디자인의 조드. 황색 기린이다. 과거 파르돌리스라는 애니머리아의 용사의 파트너로써 파르돌리스의 창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의 활약을 펼쳤지만 어찌된 일인지 한동안 실종 상태였으나, 맥스의 꿈에서 누군가가 "파르돌리스의 창을 들어라"라는 목소리가 들리자 거기서 힌트를 얻은 공주가 맥스에게 파르돌리스의 창으로 이름을 떨친 와일드 조드에 대해 알려주었고 공주의 조언으로 맥스가 간절하게 도움을 청하자 그의 선량한 마음에 응답해 애니멀 크리스탈을 하사, 맥스의 호출에 그 모습을 다시 드러낸다. 샤크의 등에 타고 현장으로 달려와 메가조드의 힘이 되어준 존재. 목을 휘둘러 적을 공격한다. 합체시에는 머리에 창날 형태의 투구를 쓴다. 젠아쿠에게 엘리펀트 다음으로 빼앗긴 조드로 아이시스 메가조드의 오른팔을 담당한다.
  • 라이노
하늘색의 코뿔소. 무식한 덩치의 소유자다. 친구인 블랙 바이슨의 부름에 응답해 파트너인 아르마딜로를 데리고 대니에게 가세했다. 상당히 복잡한 변형 시퀀스를 갖고있는 조드. 하지만 힘 하나는 단연 갑. 박치기 한방으로 오그를 나가떨어지게 했다. 합체하지 않고도 아르마딜로를 뿔로 쳐 공격하기도 한다. 와일드포스 메가조드 & 콩가조드 스트라이커, 아이시스 메가조드의 하체를 담당한다.
  • 아르마딜로
보라색의 작은 아르마딜로. 언제나 라이노와 함께 행동하며 지내는 것도 라이노의 등 위에서 지낸다. 첫 등장은 작아진 모습으로 대니를 찾아와 라이노 크리스탈과 자신의 크리스탈을 전달해주는 것. 축구 포지션의 스킬인 라이노 스트라이크 뿐만 아니라 메가조드 프레데터 모드의 볼링 포지션 스킬, 프레다조드의 엘리게이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당구 맛셰이 포지션의 스킬도 담당한다. 합체시 라이노의 오른쪽 발에 수납된다. 단연 와일드 조드 최강의 투척병기.
  • 디어
녹색의 숫사슴. 메릭과 함께 3천 년 전의 와일드포스와 가장 관계가 깊은 존재다. 그 시절에는 하루하루를 메릭의 피리 소리와 셰일라 공주의 노래를 들으며 평화롭게 살고 있었지만, 마스터 오그가 일으킨 전쟁으로 인해 삶의 활력소이자 낙이었던 노래를 듣지 못하게 되었고 거기다 셰일라 공주가 은둔을 시작한 것과 메릭이 젠아쿠로 봉인당한 것까지 겹쳐 3천 년 동안 두 사람이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해 현재에 이르러 크게 분노하게 되었다. 3천 년 후, 거듭된 두 사람의 사과와 요청에도 응하지 않고 번번이 등을 돌리다가 결국 두 사람이 함께 찾아와 마침내 그토록 간절히 바라던 노래를 다시 듣게 되어 신세대 와일드포스에게 협력했다. 아이시스 메가조드의 왼팔을 담당한다. 뿔을 수갑 형태로 날려보내 적을 묶어버리거나 뿔에서 가루를 뿜어내 다른 와일드 조드들을 치유하거나 적을 마비시키는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오니카게의 계획으로 이차원에 떨어져 갇혀버린 와일드포스를 구하기 위해 레드 라이언이 주도하여 탄생한 메가조드. 차원 게이트를 개방할 정도의 힘을 가지고 있다. 팰컨의 상체, 거대화한 라이언을 하체로, 샤크와 타이거를 양팔로 해서 엘리펀트를 무장하고 있다. 다음은 변화한 라이언과 엘리펀트만 서술한다.
  • 레드 라이언
레인저들이 이차원에 떨어졌을 때 마스터에게 납치돼 감옥에 갇혀 어찌할 도리가 없던 셰일라 공주는 눈물을 흘리고, 그 눈물이 펜던트의 보석에 떨어지자 보석에서 돌연 이상한 빛이 뻗어나와 순식간에 애니머리아로 향하고, 그 빛을 삼킨 라이언이 돌연 포효와 함께 거대화했다.[71] 이윽고 하늘을 질주하며 단독으로 나머지 조드들을 호출해 새로운 아이시스의 상체를 받아들인다. [72]
  • 엘리펀트
약간 진한 하늘색의 코끼리. 3천 년 전의 전쟁 이후로 암벽 속에 봉인되어 있다가 셰일라의 주선(?)으로 오랜 잠에서 깨어나서 알리사를 선택했다. 메가조드와 페가수스 메가조드의 무장형으로 사용된다. 몸통과 코를 검의 형태로 바꾸고 머리를 방패로 바꿔 무장한다. 검은 일반 근접전에서는 단순한 검의 형태이지만 파이널 스트라이크를 사용할 때는 체인 블레이드 형태로 바뀌어 적을 난타한다.

[1] 메릭이 레인저로 합류한 시점부터.[2] 원판인 가오레인저의 변신구호인 '''"가오 액세스!"''' 에서 가오만 와일드로 바꾼 것이다.[3] 파워포스레인저의 제목에서 따온 것[4] 애초에 가오레인저의 CG 수준이 엄청나서 로봇 합체씬은 그냥 갖다써도 무리없는 수준이었다.[5] 효과음에도 변신시에 기계가 움직이는 소리를 적용해 분위기를 잘 살렸다. 사실 북미판 리메이크에서는 대부분 변신 시에 이런 효과음으로 대체한 것이 절대다수다.[6] 아마도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VS 슈퍼전대에서 등장하는 레드 레인져들의 등장에 강한 영향을 받았을지도.[7] 여담이지만 사카모토 타로 감독은 원작보다 여기서 감독으로 더 많이 나왔는데, 가오레인저는 총 51화 중 8편의 감독을 수행했지만 이쪽은 40화 중 12편의 감독을 맡았다.[8] 2010년대 중후반 이후로 미국 창작물에서 정치적 올바름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의식하는 점이 한 몫 한 듯하다.[9]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여성 화이트 멤버가 다른 컬러의 여성 멤버와 같이 나온 것은 모두 4번인데 2번은 핑크(체인지맨, 닌닌저), 2번은 블루(제트맨, 쥬오우저)와 조합을 이뤘다. 마법전대 마지레인저블루화이트가 여성으로 나왔지만 이쪽은 화이트가 번외전사이므로 논외다.[10] 물론 다이노차지의 경우 여성 번외전사로 퍼플 레인저가 등장한다는 점을 감안해야겠지만, 그나마도 원작 수전전대 쿄류저설정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11] 이에 따라 기존에 방영된 <큐빅스>가 몬스터팜의 시간대를 가져갔다.[12] 6월 6일엔 현충일 특집 다큐멘터리 <젊음은 하나: 한일 대학생 병영체험> 편성으로, 13일엔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생방송 <2002 국민의 선택> 편성으로 각각 휴방됐다.[13] 단, 12월 11일 방송분은 2002 골든글러브 시상식 중계로, 19일 방송분은 16대 대선 생방송으로 각각 결방.[14] 비슷한 예로는 로봇수사대 K캅스의 "로봇수사대의 심장은 진짜일까 아니면 가짜일까"라는 대사가 있다(원문은 ブレイブポリスのハートは本物か僞物か. 문맥상 "로봇수사대의 마음은 진짜일까 아니면 가짜일까"라 번역하는 게 자연스럽다.).[15] 원래는 전작인 파워레인저 타임포스의 에릭 역에 오디션을 보았으나 떨어졌고, 와일드포스의 레드 역에 합격했다. 후속작인 파워레인저 사무라이에서 레드레인저 제이든(시바 타케루)의 라이벌 악역인 데커(후와 쥬조) 역을 맡았다.[16] 그런데 2015년에 룸메이트 조슈아 데커를 살해한 혐의로 긴급 체포되어서 팬들을 큰 충격에 빠뜨렸다. 일단 메디나 2세가 자기 방에 들어온 친구가 폭력을 저지르려는 상황에서 당황한 나머지 칼로 찌른 것이라는 정당방위로 인정되어 풀려났으나, 2016년에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어 다시 체포되었다. 유죄가 확정되면 26년 형에 처해질거라고 하며 2017년 3월 30일 끝내 혐의가 인정되었지만 정당방위 또한 참작되어 6년으로 감형되었다. 2023년 출소 예정.[17] 원작에서는 원래 본업이 수의사였다. 본업으로 일하던 중 가오레인저로 채택된 케이스여서 정반대이다.[18] 처음 새비지 사이클을 탈 때 움직이는 방법을 몰라 애를 먹었다.[19] 인스타 계정 [20] 대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받은 건 테일러지만 사용할 때는 포지션상의 이유로 둘 다 맥스와 앨리사에게 넘겨준다.[21] 다른 한 명은 앨리사 엔릴레.[22] 지라프 조드를 얻는 회차에서는 병에 '친구들이 나를 어린애 취급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글을 써서 바다에 띄워 보냈다. [23] 아르마딜로 크리스털을 받았던 건 대니가 맞지만 테일러와 공유하는 메카로도 취급된다.[24] 맥스와 대니가 서로 싸운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이 때의 대니의 말에 의하면 고소공포증이 심해서 오그를 쫓다가 발을 헛디뎌 추락사할 뻔한 자신을 맥스가 구해준 이후로 친구가 되었다고 한다.[25] 배우는 브랜스콤 리치몬드(Branscombe Richmond)[26] 무기를 당구채 쓰듯이 쓴다. 스나이퍼 모드, 세이버 모드, 당구 모드의 세 가지 변형이 있다.[27] 이 역을 맡은 이후로 배우를 은퇴하고, 텍사스 오스틴 지역에서 차를 수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28] 에피소드를 보면 알겠지만, 젠아쿠의 능력은 단연 이제껏 레인저들이 대면한 오그들 중 최강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압도적인 스피드, 힘을 포함한 신체 능력, 와일드 조드들을 부리고 메가조드로 합체시키는 능력 등.[29] 10화[30] 12화[31] 13화[32] 엘리펀트, 지라프, 폴라베어, 블랙베어 크리스탈로 만들어진 오그이다.[33] 다른 레인저들이 쓰러져서 만신창이가 될 때 갑자기 나타나 오그를 혼자서 쓰러뜨리는 등 이미지에 걸맞은 활약상을 선보인다.[34] 이현선은 한때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악역으로 나온 적이 있었으며,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에서는 히로인 중 한 명인 킴벌리(핑크 레인저)로 나온 바가 있었다.[35] 노래의 가사와 멜로디가 참 좋다. 참고로 이 노래는 3천 년 전 디어조드가 메릭의 피리 연주에 맞춰 즐겨 듣던 노래인데 마스터 오그가 쓰러지고 3천 년 동안 노래를 듣지못해 잔뜩 심통방통이 나서 처음에는 파워레인저들에게 힘을 빌려주지 않고 결국 기어이 셰일라 공주가 메릭과 함께 직접 찾아나서서 들려주고 나서야 참전하였다. [36] 당시 카이트는 공사장에서 지내고 있던 터라 쫄쫄 굶고 있었다.[37] 와일드 조드들이 모두 부활했을 때 버팔로와 소어샤크가 있는 걸 보면 애니머스도 부활한 듯 하다.[38] MBC 7기 원로 성우로 참여한 성우들 중 최고참.[39] 당구 큐대로 당구대의 공을 수직으로 찍어 날리는 스킬인데, 무슨 파워가 들어간 건지 당구공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다 수직으로 튕겨올라간다.[40] 현대통상 비디오판으로 나온 터보유격대에서 블랙 터보로도 담당했었던 고참 성우. 참고로 터보유격대에서는 폭마백족의 2인자였던 폭마박사 레이더떠돌이폭마 야미마루를 중복으로 맡기도 했다. [41] 사실은 두 단어의 위치가 뒤바뀌었을 뿐이다(...). 원작의 오르그 마스터는 그냥 오그 기지인 매트릭스 내의 장식으로만 묘사된다.[42] 원작의 백귀환 포지션이다.[43] 콜과 싸우던 도중 그의 품에서 떨어진 사진을 보고 콜이 에번스 부부의 아들임을 알게 된다. 이때 씁쓸해하는 묘사가 일품.[44] 마스터 오그의 힘을 가지고 있었지만 근본이 인간이었던지라 몸이 점점 늙어가고 있었다.[45] 원작에서는 츠에츠에가 오르그의 심장을 만드는 걸로 센키의 탄생을 묘사했다.[46] 여담으로 그때 레인저들은 마스터 오그와 오그들이 전멸한 줄 알고 파티를 벌이고 있었다. 원작 48화와 비슷한 부분.[47] 팔콘 조드의 경우와는 달리 디어 조드의 마비효과는 아예 오그의 투지를 빼앗는 힘이라 마스터 오그조차 풀 수 없었던 것이다.[48] 원본이 되는 하이니스 듀크들은 그의 부하이거나 크게 연관성 없는 걸로 나왔었다.[더빙판] '''악의 신이여, 쓰러진 오그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어라. 다시 부활해 전보다 강한 힘을 가지게 하라!'''[49] 마스터 오그한테서 인간 냄새가 난다는 점, 그리고 마스터 오그의 머리에 달린 뿔이 움직이고 있었다는 점에서 알아냈다.[50] 이때 맨딜로크는 그녀를 두고 '''아주 쓸모없지는 않다'''며 조롱했다.[51] 방법은 톡시카 본인이 자른 뿔에 정글 블래스터의 에너지를 주입한 후, 낚싯대에 걸어 거울 속 지옥에 있던 톡시카에게 전해주는 것. 톡시카를 구할 생각에 골몰하던 진드렉스는 돈이 없었던지라 낚싯대를 슬쩍하려다가 주인한테 걸린다. 주인이 "어이, 돈 안낼거요?"라고 싸늘하게 묻자 당황하지만 다행히 같이 갖고 왔던 '''신용카드(...)'''로 무사히 결제. 알 사람은 알겠지만 대사도 그렇고 배트맨과 로빈의 패러디다.[52] 처음에는 적당히 때를 봐서 나설 생각이었으나 오그가 너무 강해서 레인저들이 패배할 위기에 놓이자 자신이 직접 기관사 오그를 공격하여 정글 블래스터를 쓸 시간을 벌어준다.[53] 래티낙스는 자신이 섬긴 마스터 오그가 현재와는 별개인 과거의 선대 설정일 뿐이었다. 맨딜로크는 부활하자마자 마스터 오그를 밀쳐내고 오그의 우두머리를 잠시 차지했었다.[54] 통상 오그들은 와일드 조드들을 부릴 수가 없다. 젠아쿠가 세 마리의 와일드조드들을 부리는 것부터가 젠아쿠의 정체가 보통 오그가 아니라는 것의 복선이었다.[55] 오그들은 피를 흘리지 않는다. 고로 젠아쿠가 진짜로 오그였으면 피를 흘릴 일도 없었다.[56] 젠아쿠는 월식 때는 원래 모습인 메릭으로 돌아오며, 달이 뜨면 다시 젠아쿠로 각성하고 만다.[57] 사족으로 이때는 비무장 상태였다.[58] 뮤턴트 오그도 잘 번역한 것이, 영판의 뮤트오그도 뮤턴트와 오그를 합성해서 만든 것이다.[59] 랜시크에게 그의 몸에서 무기를 뽑는 능력을 주었다.[60] 그런데 마스터 오그에게는 무릎을 꿇고 충성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마스터 오그는 오그의 번영을 위해 싸운 지도자이고 톡시카와 진드랙스는 마스터 오그를 배신한 배신자로 보았기 때문인듯하다.[61] 사실 이들이 하는 말은 영어 대본을 거꾸로 발음해서 나는 소리다.[62] 자동차 정비사로 타이어를 직접 들고 갈아끼울 정도로 힘이 세다. 타이어의 무게를 생각하면 상당한 괴력. 심지어 변신하지 않고 전투원인 웜퍼들을 상대했을때 웜퍼들을 패대기 쳐버렸다. 변신 후에도 역시 웜퍼들을 패대기 친적이 있다.[63] 괴인을 잡고 던진적이 있다.[64]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버질의 성우다. 그래서인지 파워레인저 시리즈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대전액션게임 <파워레인저: 배틀 포 그리드>에서 추가 캐릭터로 등장하는 퀀텀 레인저는 "Foolishness, Lord Zedd.", "I need more Quantum Power." 등 대놓고 버질의 대사를 패러디한다.[65] 다만, 이게 억지로 머릿수를 채우느라 레드에 끼워준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초대 파워레인저인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한국명: 무적 파워레인저)가 무려 3시즌(= 3년)간 방영되었고, 꼽사리로 잠시 에일리언 레인저가 참전했지만, 9개 레인저 뿐이라 10주년이라고, 10명의 레드 레인저로 짝을 맞추려다보니 마침 빨간 녀석이라 끼워넣었다는 것. 그래도 결과적으로는 레드레인저들과 동급의 대우를 받은 것은 불변의 사실. 그렇게 해서 와일드포스에서 퀀텀 레인저를 포함한 10인의 레드 레인저가 다 모이게 된다.[66] 정강이 덮개 부분에 허벅지를 고정하는 조인트가 있었기 때문에 허벅지가 조인트에 들어갈 만큼 벌어지지 않았다.[67] 여담으로 젠아쿠 시절에 합체할 때는 와일드포스 메가조드의 합체 ost를 어레인지 한 음산한 브금이 울려퍼진다.[68] 지라프, 베어 브라더스, 엘리펀트도 차례로 빼앗겨 다크 크리스털로 오염됐다.[69] 사실 실제 상어와 귀상어도 머리차이 말고는 없지만.[70] 와일드포스에서는 기술명이 나오지 않았다.[71] 가오레인저에서는 테토무가 만든 계란말이를 먹고 거대화. [72] 팰컨이 서머너 없이 등장한 유이한 케이스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