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el Gun 3D/무기

 



[목차 펼치기•접기]
1. 무기 입수 방법
2. 옵션
3. 메인 (Primary)
3.1. 정규 무기
3.2. 이벤트 무기
4. 보조 (Backup)
4.1. 정규 무기
4.2. 이벤트 무기
4.3. 기타
5. 근접 (Melee)
5.1. 정규 무기
5.2. 이벤트 무기
5.3. 기타
6. 스페셜 (Special)
6.1. 정규 무기
6.2. 이벤트 무기
6.3. 기타
7. 저격수 (Sniper)
7.1. 정규 무기
7.2. 이벤트 무기
7.3. 기타
8. 중화기 무기 (Heavy)
8.1. 정규 무기
8.2. 이벤트 무기
8.3. 기타
9. 죽음의 게임 / 캠페인 무기
9.1. 큐빅 무기
10. 샌드박스 전용
11. 픽셀 건 월드 전용
12. 클랜 무기
12.1. 레어(희귀한) 무기
12.2. 에픽(위대한) 무기
12.3. 레전더리(전설적인) 무기
12.4. 마이티컬(신화적인) 무기
12.5. 나무 등급 무기
12.5.1. 목록
12.6. 강철 등급 무기
12.6.1. 목록
12.7. 황금 등급 무기
12.7.1. 목록
13. 챔피언 무기 (Champion Weapons)
14. 특별 이벤트 무기
14.1. 크리스마스 이벤트
14.2. 과학 연구소(외골격) 이벤트
14.3. 스나이퍼 토너먼트 무기
14.4. 배틀 로얄 출시 이벤트 무기
14.5. 시간 여행자 이벤트 무기
14.6. 사이버 세트 무기
14.7. 할로윈 세트 무기
14.8. 황량한 서부 세트
14.9. 사이버 선교자 세트
14.10. 블로거 세트
14.11. 외계인 산타 세트
14.12. 슈퍼 솔져 세트
14.13. 오리지널 세트
14.14. 쿠키 왕 세트
14.15. 포탈리우스 세트
14.16. 거대 돌연변이체 세트
14.17. 블록맨 세트
14.18. 미스터 과일 세트
14.19. 우주 챔피언 세트
14.20. 디지털 영웅 세트
14.21. 생쥐왕 세트
14.22. 고대의 달인 세트
14.23. 외계인 장군 세트
14.24. 땅딸보 세트
14.25. 기계공 세트
14.26. 불가사의한 소환사 세트
14.27. 해양 연구 키트
14.28. 타이탄 세트
14.29. 음험한 하데스 세트
14.30. 신화 영웅 세트
14.31. 버그 캐쳐 세트
14.32. 아트 부문 세트
14.33. 게임 디자이너 세트
14.34. 프로젝트 매니저 세트
14.35. 뱃사공 세트
14.36. 아쿠아 워리어 세트
14.37. 태양 세트
14.38. 여름 정신 세트
15. 전투 패스 전용 무기
16. 상인의 밴 무기
17. 무기고 한정 무기
17.1. 1차 무기들
17.2. 2차 무기들
17.3. 3차 무기들
18. 삭제된 무기

1. 무기 입수 방법
2. 옵션
3. 메인 (Primary)
3.1. 정규 무기
3.2. 이벤트 무기
4. 보조 (Backup)
4.1. 정규 무기
4.2. 이벤트 무기
4.3. 기타
5. 근접 (Melee)
5.1. 정규 무기
5.2. 이벤트 무기
5.3. 기타
6. 스페셜 (Special)
6.1. 정규 무기
6.2. 이벤트 무기
6.3. 기타
7. 저격수 (Sniper)
7.1. 정규 무기
7.2. 이벤트 무기
7.3. 기타
8. 중화기 무기 (Heavy)
8.1. 정규 무기
8.2. 이벤트 무기
8.3. 기타
9. 죽음의 게임 / 캠페인 무기
9.1. 큐빅 무기
10. 샌드박스 전용
11. 픽셀 건 월드 전용
12. 클랜 무기
12.1. 레어(희귀한) 무기
12.2. 에픽(위대한) 무기
12.3. 레전더리(전설적인) 무기
12.4. 마이티컬(신화적인) 무기
12.5. 나무 등급 무기
12.5.1. 목록
12.6. 강철 등급 무기
12.6.1. 목록
12.7. 황금 등급 무기
12.7.1. 목록
13. 챔피언 무기 (Champion Weapons)
14. 특별 이벤트 무기
14.1. 크리스마스 이벤트
14.2. 과학 연구소(외골격) 이벤트
14.3. 스나이퍼 토너먼트 무기
14.4. 배틀 로얄 출시 이벤트 무기
14.5. 시간 여행자 이벤트 무기
14.6. 사이버 세트 무기
14.7. 할로윈 세트 무기
14.8. 황량한 서부 세트
14.9. 사이버 선교자 세트
14.10. 블로거 세트
14.11. 외계인 산타 세트
14.12. 슈퍼 솔져 세트
14.13. 오리지널 세트
14.14. 쿠키 왕 세트
14.15. 포탈리우스 세트
14.16. 거대 돌연변이체 세트
14.17. 블록맨 세트
14.18. 미스터 과일 세트
14.19. 우주 챔피언 세트
14.20. 디지털 영웅 세트
14.21. 생쥐왕 세트
14.22. 고대의 달인 세트
14.23. 외계인 장군 세트
14.24. 땅딸보 세트
14.25. 기계공 세트
14.26. 불가사의한 소환사 세트
14.27. 해양 연구 키트
14.28. 타이탄 세트
14.29. 음험한 하데스 세트
14.30. 신화 영웅 세트
14.31. 버그 캐쳐 세트
14.32. 아트 부문 세트
14.33. 게임 디자이너 세트
14.34. 프로젝트 매니저 세트
14.35. 뱃사공 세트
14.36. 아쿠아 워리어 세트
14.37. 태양 세트
14.38. 여름 정신 세트
15. 전투 패스 전용 무기
16. 상인의 밴 무기
17. 무기고 한정 무기
17.1. 1차 무기들
17.2. 2차 무기들
17.3. 3차 무기들
18. 삭제된 무기
}}}

1. 무기 입수 방법


픽셀 건 3D에는 800종이 넘는 엄청나게 다양한 총기들이 존재하고 인게임 상에서 이벤트 등으로 판매하는 총기가 끊임없이 바뀌기 때문에 어떤 총기를 언제 살 수 있는가에 대해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에 본 문단에서는 픽셀 건 3D에서 무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정리했다.
  • 무기고에서 구매
가장 기본적인 방법. 본 문서에서 '''정규 무기'''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레벨만 충족된다면 사시사철 무기고에서 항상 구입할 수 있다. 물론 상점이 아니더라도 가끔씩 기간 한정으로 후술할 Trader's Van 등에 할인된 가격으로 팔기도 한다.
  • Trader's Van (상인의 밴)
인게임 배경 화면에서 밴 차량으로 표시된다. 정규 무기와 비정규 무기 모두 판매하는데, 품목들을 통상 가격보다 30% 정도 할인해서 판매한다. 이 판매 품목들은 2일~7일 정도의 주기를 가지는데 해당 주기는 변칙적이다. 무기고에서 볼 수 없는 무기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성능을 가진 것은 결코 아니기에, 구입에 신중을 기하자. 물론 Trader's Van에서 OP급 무기가 뜰 수도 있기에, 이 경우 놓치지 않은 자가 승자다.
  • Lottery
말 그대로 복권. '''상자 금고'''에서 상자를 살 수 있으며, 게임이 끝난 이후 얻을 수 있는 키를 통해 상자를 뽑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자는 과금을 통해 대량을 한꺼번에 구매할 수도 있다. 상자를 열면 무기가 나올 수도, 골드나 보석이 나올 수도, 펫이 나올 수도 있다. 무기가 나올 경우 두 경우 중 하나로 나눠지게 된다. 첫 번째는 말 그대로 바로 사용 가능한 무기를 얻는 경우고, 두 번째는 해당 무기의 부품을 얻게 되는 경우이다. 부품 250개를 모으면 하나의 무기가 완성되는데, 한 상자당 몇 개의 부품이 나오는가는 그 상자의 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그렇다면 바로 무기를 얻는 것이 부품만 얻는 것보다 좋은 것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는데, 대개는 케바케다. 먼저 바로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의 경우 Trader's Van 등 다른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는, 상당히 흔한 편의 무기들이다. 하지만 부품만 주는 무기 품목들은 굉장히 희귀하다.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Lottery 역시 상시 같은 보상을 주는 것이 아니고 대략 2주 주기로 '''테마'''가 바뀌게 되고 그에 따라 보상의 종류도 계속 순환된다. 이때 부품만 주는 무기들은 이 테마의 주인공급 무기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들은 편의상 본 문서에서 '''테마 무기'''로 명명할 것이며 '''이벤트 무기''' 문단이 아닌 별도의 문단으로 따로 분류할 것이다.
다시 요약하자면 Lottery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는 테마 무기와 테마 무기가 아닌 것들로 나뉠 수 있고 테마 무기는 원래 굉장히 희귀한 무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자를 까더라도 부품만 얻을 수 있다. 테마 무기들은 본 Lottery와 바로 뒤에 설명한 Event Game으로만 얻을 수 있다. 18.0 업데이트 이전에는 초보상자, 파이터상자, 승리자상자, 슈퍼체스트. 이렇게 4개의 종류로 나뉘어져 있었지만, 현재는 작은상자, 왕의 상자, 거대한 상자, 이벤트 상자로 나뉜다. 예전의 슈퍼체스트와 같은 포지션인 이벤트 상자는 예전과 다르게 완제품을 넣어놨으며, 그 이외에 다른 상자들의 변동사항은 조각이 정해져있지 않고, 랜덤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 Event game
테마 무기들을 얻을 수 있는 두 번째 간격. 위의 Lottery와 마찬가지로 약 2주 주기로 테마가 바뀐다. Lottery와 다른 점은, 해당 테마 무기 외의 다른 무기들은 얻을 수 없다는 점. 무작위로 테마 무기 부품과 골드, 보석, VIP 계정 중에서 보상을 뽑게 된다. 이렇게 부품 250개를 모으면 해당 무기를 살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상당히 많은 자본을 쏟아부어야 한다는 점이다.[1][2]

2. 옵션


총에 달려있는 추가적인 기능. 처음에는 5개도 안되었으나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현재는 더욱 다양해졌다.
참고로 입수 방법이 독특한 무기는 '''해당 문단'''에서 따로 서술.
[특수효과 펼치기•접기]
옵션
기능
대표 해당 무기
자동
발사버튼을 누르고있을경우 계속해서 발사한다.
모든 종류의 소총 및 다장탄 무기
반자동
발사버튼을 누르고있을경우 자체적으로 점사를한다.
반자동 스나이퍼 라이플, 용병, 패스트 데스, 사쿠라, 챔피언 용병
미니건
발사 버튼을 누르면 약간의 공회전 이후에 탄환이 발사된다.
자동 피스메이커, 챔피언 중재자, 미니건 권총, 엑스칼리버, 고드름 미니건, 스케이트건 등
산탄총
다량의 탄환을 발사하며 근접에서 발사할경우 위력이 극대화된다.
모든 종류의 산탄총
조준경[109]
멀리 볼수 있는 기능. 15.1.2 버전 이후 줌 인을 할 경우 속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최근 패치로 인해 반동도 반영되었다.
모든 종류의 저격소총 및 특수 화기, 몇몇 업그레이드
고요
적이 멀리 있을경우에 총 소리가 들리지않는다.
비밀 부대 소총, 속사 라이플총, 히트맨 권총, 굶주린 활, 석궁, 작전 활, 커플 안티, 카사노바 등
리코쳇
총알이 벽에 반사된다.
모든 외계인 무기류, 레이저 바운서,
투시능력 조준경
줌 상태에서 벽에서 숨어 있는 유저를 볼수있다.[110]
제삼의 눈, 감독자, 안티 바이러스,퓨퓨소총
싱글 샷
연사가 불가능하며 단발만 가능하다.
대부분의 무기[111]
반복 샷
탄환을 포물선으로 발사하고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장난감 폭격기, 단호한 폭격기, 우르르 쾅! 등
레이저
광선을 지속적 또는 단발로 쏜다, 집탄율이 100%이다[112]
듀얼 레이져 블라스터, 버큐마이져, 용의 숨결, 태양광 소총, 얼음 광선 소총 등
피어싱 샷
투사체가 유저를 뚫고 계속 날아간다.
수리검 투척, 덫을 놓는 사냥꾼, 음악 애호가 등
벽 파괴
모든 오브젝트를 무시한다.[113]
프로토타입, 고스트 랜턴, 레이저 석궁, 안티 히어로 소총, 레일건, 반-챔피언 소총

누르고 있으면 다단히트가 들어간다, 톱 형식의 무기에 들어간다.
톱검, 미트 그라인더
화염 방사기
불을 뿜는 형식의 공격을한다.
간단한 화염 방사기, 애완동물 드래곤, 불타는 화산, 독가스 방사기
전자 방사기
전기를 쏘는 형식의 공격을한다.
고전압, 헤비 샤커, 피자 히터
지역 피해
범위 안에 있는 모든 대상에게 피해를 준다. [114]
모든 종류의 폭발물 무기 및 몇몇 특수화기
설명서 지침
쏜 탄환이 조준점을 따라간다.
스팅어, 스팅어3000, 별 조각
로켓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로켓 투사체를 발사한다.
파멸, 아마겟돈 등의 일부 중화기
샌드박스 전용
샌드박스 모드에서 사용할수있는 무기들이다.
풍선 대포, 부케 등
접촉 기폭 장치
적과 가까워지면 폭발한다.
지뢰 발사기, 데모맨, 고슴도치
여러 샷
순서대로 여러발을 쏜다.
히드라, 더블 드래곤, 시끄러운 돼지, 리퍼, 피라냐
타겟을 느리게
적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고드름 미니총, 돌격대원 엑소스켈레톤, 이중 냉동 권총, 산타 검, 대전층, 파워 주먹, 얼음 폭풍 등
끈적이는 갱
벽에 닿으면 부착되는 폭탄을 발사한다.
데모맨, 고슴도치 등
샷 충전
총알을 충전하여 발사한다. 충전률이 높을수록 위력이 증가한다.
소총 충전, 캐넌 장전, 그림자 검, 대형 페이탈 건, 망가 건, 에너지 드릴, 제트 텐더라이저, 이레이저
에너지 실드
이 옵션이 달린 무기를 들고 있는동안 방어벽이 생겨 피격데미지가 감소된다.
장애물 소총, 엑스칼리버
체인 샷
밀집해 있는 적들에게 연계피해를 준다.
전자석 캐논, 제우스 사슬 - 검, 전기 폭발 권총
포이즌 샷
피격시 독 디버프가 부여된다.
포이즌 헌터, 나쁜 의사, 산성 계곡, 와이번 등
점프 불가능
적을 점프를 못하게 차단한다. 특히 끈적이는 사탕이라던지 스파크 상어도 점프 되는데 점프미약이다. [115]
블록 화염방사기,거대한뿔,초거대 대포,폭발성 레몬 에이드,모가나,파동 펄서등
매력
상대 무기의 공격력이 심하게 줄어든다.
사랑 마법,크래커 총,열 시 집배원
무작위 로켓
로켓런처중에 4가지의 투사체를 랜덤으로 발사한다.[116]
불확실성 방출기,렌더 스테이션
불타는
피격 시 5~6초 동안 화염 지속 데미지를 입는다.
불 속성을 가진 무기 등
생명력 갈취
적 명중 시 자신의 체력을 회복한다.
드라큘라, 엔지니어 엑소스켈레톤, 굿 닥터, 애니 낫
포이즌 마인
벽이나 땅에 부착되어 잠시동안 범위안에 들어가면 독 데미지를 받는다.
유독한 베인, 선동자
출혈
피격시 초마다 출혈 데미지를 받는다.
스케이트건, 전사 도끼, 듀얼 마체테, 미트 그라인더, 톱검, 광분하는 엑소스켈레톤, 화난 호박, 카타나, 수리검 투척, 덫을 놓는 사냥꾼, 고슴도치, 의식용 날, 나노봇 라이플, 저주 마법, 죽음의 발톱, 선장, 굿 닥터|
중력
주위의 것을 끌어당긴다.
얼음 폭풍, 이레이저,중력 발생기 등

가장 가까운 적 유저를 따라다닌다.
스마트 총알 바주카포, 벌떼 마법, 나노봇 라이플, 이중 냉동 권총 (호밍 미사일 종류 무기는 다삭제되었고 이중냉동 권총은 호밍 미사일 효과가 제거 되었다)[117]
사살한 목표물은 폭발합니다
적을 죽이면 적을 폭발한다. 적 둘이서 가까이 있으면 적을폭바시 데미지 타격하며 죽는다 [118]
붐 블래스터,끈적이 소총,끈적이 권총,리벳 건
적 탐지기
근처의 적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알려준다[119]
칼과 나침반, 눈이 날카로운 배달원[120]

자신이 '''직접''' 탄환을 움직인다.
판정(삭제되었다.)
포털 이동
포털 대포는 샷충전을 이후로 발사를 하면 포털이 생겨 들어갈경우 순간이동을한다 [121]
포털 대포
데미지 스피어
근처에 다가가면 데미지를 준다.
칩 스워드, 헤비 샤커, 치핑 채찍
클러스터 폭탄
적중 시 큰 폭발 이후 작은 폭발이 여러번 발생한다.
마지막 크리스마스, 날카로운 눈꽃송이, 어스 스파이크 마법
방어구 보너스
보유시 방어 포인트가 증가한다.
모든 클랜 신화적인 등급의 무기, 검&방패 등[122]
세방향 에서 사격
3방향으로 사격을 가한다.
변형 기관총, 삼중 머스킷총,불쾌한 불꽃놀이
팀원 치유
같은 아군팀을 회복한다. 단 아군팀만 가능하며 플레이어는 치유 못한다.
치유 지팡이,마녀 의사,신성한 엽총,수충 카빈총등..,
탄약 복원
무기 들고있을때 알아서 탄약 충전해진다 발사동안에도 충전되고 다른무기 사용시 충전 안 된다.
위장한 소총,반대 권총,미니건 사이버 모듈,보급품 공중 투하
다시 로드하는 중에 보이지 않음
무기 장전 또는 재장전시 동안에 잠시 투명화된다.
레이저 닌자
가젯 방해자
몇초동안 기구를 못쓰게한다.[123]
무효화된 광선검, 대천사,필연성
치명타
확률적으로 더 큰 데미지를 입힌다
뼈 분쇄기, 리볼버 스나이퍼 소총, 큰 낫,오렌지 킬러
랜덤 효과
피격한 적에게 화상, 중독, 출혈 등의 무작위 디버프를 부여한다.
피젯 스피너 발사기,주술사 활,음양, 원양,빅데이터, 퓨퓨 소총, 불확실성 방출기
저주받은 적에게 더 큰 데미지를 입힙니다
특정 적에게 더 큰 데미지를 입힌다.
인공물
치유 지역
플레이어를 몇초간 조금식 회복한다 분만 아니라 아군팀도 같이 회복된다.
영웅적인 에페
쉴드
거의 모든 공격을 방어한다[124]
교활한 늑대
돌진
발사와 동시에 돌진한다. 전방의 적과 부딪히면 데미지를 준다
교활한 늑대, 퍼시벌 & 락모락
초강력 펀치
일정량 공격하면 지역피해로 많은 데미지가 들어간다
용맹한 사자,에배적은 영웅,영혼이검
머리 확대
상대의 머리 크기가 커진다. 다만 버그인지 히트박스 자체는 커지지 않는다...
리사이저
플라즈마 로켓
플라즈마 로켓은 일반 로켓 달리 주변에는 영역데미지를 입는다.
태양 플레어
동맹국의 피해를 증가시킵니다.
주변에 있는 아군의 데미지를 증가시켜 큰피해를 준다.
정교한 백파이프,황금 형제
적을 양으로 바꿔버립니다
풀차징시 양이 된다[125]
마녀의 양 가마솥
연속 폭발
일반 지역피해 달리 일자로 한번에 폭발한다[126]
나이트의 도끼,얼음 클럽,크틀루의 유산,금지 해머,PGA-06 TV,배틀 팰컨
화염 방어
화상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는다
파이로 1116
목표물로 끌어 당기기
투사체을 발사하면 끈을 발사해 장에물 아니면 벽에 그리고 적을 제대로 명중시 플레이어를 끌어당긴다. 단, 너무 멀거나 접속않는 장애물은 끌어당길수 없다.
흡입식 총 뽑기.페이탈리티 후크
대상 표지
빨간색 화살표 적위치에 표시해준다. 저격수경우는 줌 적을 몇초 있다가 빨간색 표시를 나타난다. [127] [128]
자랑스러운 독수리,치명적인 독침,에코 스캐너,수중 카빈총,악어 기습,공정한 보안관,배틀 팰컨
재장전 중에 대미지를 입힙니다.
탄창을 장전하거나 재장전을 하면 주변에 있는 적에게 대미지를 입힌다.
우로보로스,고대의 두루마리,치카붐!
총족값
특수효과는 아니지만 픽셀건 문서에는 용어 정리 할 곳이 따로 없어 여기 표기. 유저들이 무기의 능력치를 쉽게 비교하기 위해 임의로 정한 값. 픽셀건이란 게임 특성상 레벨별 능력치가 자세히 표기 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작성자의 무기레벨에 맞춰 표기할것. 비교시 비슷한 레벨의 총족값을 가진 무기와 비교해 보는것이 편리하다.총족값 계산은 특정 레벨의 능률+파워+유동성+수용력+발사율. 단한가지 단점은 총족값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무기란것은 아니란거다 극단적인 값의 영향을 받기에 발사율만 높고 능률이 낮다든지 (혹은 그반대)아니면 탄창수만 무지많으면 총족값이 높게 나올수밖에 없다
무기들의 총족값은 아직 다 표기되지 않았다 많은 참여로 완성 바람

무기들의 총족값은 아직 다 표기되지 않았다 많은 참여로 완성 바람|| }}}

3. 메인 (Primary)


첫 번째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관단총, 기관총, 산탄총, 돌격소총 등의 총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3.1. 정규 무기


특정 기간에만 입수 가능하거나 상점 뽑기 등으로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일정 레벨만 도달한다면 상점에서 항상 구입할 수 있는 정규 총기 라인업에 대해 설명하는 문단이다. 특히 상점에서 Top seller 표식이 붙어 현재 유저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거나 여러 커뮤니티 등지에서 많이 추천받고 있는 경우 글자 크기를 키웠다. 등급은 기본적으로 Common-Rare-Epic-Legendary-Mythical 순서로 배정되며 등급이 높아질수록 구입 가격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 Machine Gun (기관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Common
기본 제공
99
50
50
H&K MP5을 모티브로 한 기관단총. 과거엔 캠페인의 1-2의 보스를 클리어 해야 얻을수있는 캠페인 전용무기였으나 지금은 기본 무장으로 얻을 수 있다. 전체적인 성능은 아래의 간단한 산탄총과 비등비등하다. 발당 데미지는 낮지만 연사력은 굉장히 높아 한번 쏘면 바로 장전해야 하는 한탄을 자아내는 모습을 보인다. 다행히 장전 속도는 빠른 편이다. 아래의 간단한 산탄총이 9.0.0 당시 다른 모든 산탄총과 함께 '''진짜 다수의 탄'''이 나가는 진짜 산탄총이 되면서 이 무기는 순식간에 입지가 줄어들었다. 당연히 주로 초보자들이 사용하며 어떻게 총을 쏘는지 감을 익히는데 사용할 수 있다. 초반에 무난무난한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 9.4.0 버전 이전까지만 해도 Best Friend라는 이름이었는데, 현재는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업그레이드가 불가하다.
  • Shotgun (산탄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Common
기본 제공
86
7
50
기본무기로 주어지는 펌프액션 산탄총이다. 위의 간단한 기관총과 같이 처음으로 지급받는 무기 중 하나. 산탄총처럼 당연히 여러 발의 탄이 한꺼번에 발사되며 장거리에서 쏘면 별 볼일이 없어지나 근거리에서 맞추면 간단한 기관총보다 더 빠르게 적을 끔살 시킬 수 있다. 산탄총인 탓에 위의 무기보다 쓰기 까다로울 수 있으나 근거리류 무기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간단한 기관총보다 더 추천한다. 여담으로 9.0.0 이전에는 모든 산탄총 무기가 '''단발'''이라는 안습한 성능을 보였으며, 5.2.0이전에는 산탄총이라는 이유로 맞지도 않는 안습함을 보이는 무기였으나 이후 상향을 받으면서 위 무기보다 더 각광을 받게 되었다. 업그레이드가 불가하다.
  • Combat Rifle (전투 소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1
98
35
50
30골드에 파는 돌격소총. Combat Rifle - AK-48 - Swat Rifle - Ranger Rifle - Marksman - Rapid Fire Rifle 로 이어지는 양산형 돌격소총 계보 중 첫 번째이다. [3] 4배줌도 달려있으나 집탄율이 나쁜 편이며, 다른 좋은 무기가 더 많기 때문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기본으로 주어지는 기관총보다 성능이 좋다고 덥석 구매해버릴 수 있으나 참을성 있게 기다린 다음 더 좋은 무기를 장만하는 것을 권장한다.모티브는 M16 소총
  • Casanova (카사노바)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Legendary
2
98
30
65
가장 먼저 상점에서 만나볼 수 있는 Legendary 등급 무기. 소음기가 부착된 자동소총이며 4배 조준경도 달려있다. 화이트데이 이벤트로 나온 분홍색 서브 머신건으로. 나쁘지 않은 연사력과 비교적 좁은 집탄률로 성능 자체는 괜찮지만 이후에 상점에서 해금되는 다른 무기들이 더욱 많이 쓰이기 때문에 돈을 아껴두고 구입을 보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물론 카사노바도 충분히 주무기로서 꾸준히 수요가 있어왔기 때문에 구입을 비추하는 것은 아니다.
  • Pencil Thrower (연필 투척기)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Legendary
3
92
15
50
기존에 나온 돌격소총들과는 약간 색다른 공격 방식을 가지고 있는 주무기로, 연필을 직사한다. 적을 맞춰도 그 뒤까지 그대로 관통된다는 것이 장점. 자신이 에임에 자신이 있다면 최대한 많은 연필을 명중시킨다는 생각으로 운용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탄속과 강하지 않은 데미지로 인해 이걸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적다.
  • Sub Zero (절대 영도)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4
97
20
50
냉기 입자(?)를 발사하는 소총형 병기. 참고로 총기의 디자인과 발사체의 모양을 보아 둠(2016)의 플라즈마 라이플을 가져온 듯하다. 탄속을 제외하면 여러모로 무난한 성능을 가진 돌격소총이다. 40골드로 구매가능. 상대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킨다는 상당히 좋은 디버프를 비롯해 전체적인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편이라 저레벨의 공방에서 꽤 자주 보인다.
  • X-mas Destroyer (크리스마스 파괴자)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Legendary
4
86
8
50
공속이 빠른 산탄총. 앞서 나왔던 간단한 산탄총의 강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산탄총 중에서 가성비를 고려한 전체적인 성능은 레벨 15 부터 입수할 수 있는 광자 샷건이 더욱 뛰어나기 때문에 구입을 미루고 돈을 아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모티브는 SPAS-12.
  • Assault Machine Gun (어설트 기관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Legendary
6
98
50
65
'''프로토타입과 함께 반드시 거론되는 초반 무과금 필수 총기 중 하나(였던것).'''
이 총기의 경우 자동소총 방식이라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둘째치고, 기존의 총기들과는 비교를 불허하는 넉넉한 탄창, 그리고 빠른 이동속도 덕분에 독보적인 범용성을 자랑한다. 거기다가 4배 조준경도 달려있기 때문에 장거리 개활전에서도 어느 정도 교전이 가능하다. 즉 요약하자면 화력이면 화력, 탄창수면 탄창수, 기동성이면 기동성 어느 하나 부족한 것이 없고 조준경까지 달려있기 때문에 어느 상황에서나 평균 이상의 성능을 낸다는 점이 이 총기의 강점이다. 실제로 상점에서 Top Seller 표식이 붙을 정도로 이 총기의 인기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유의해야 할 점은, 근접 조우전에서는 산탄총이나 자동 피스메이커를 위시한 미니건 계열에게 화력이 밀리고 장거리전에서는 저격소총 계열과 비교하여 불리하기 때문에 사실상 어설트 기관총이 가장 우위를 점하면서 싸울 수 있는 상황은 중거리전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4]
몇년 전 너프를 먹고 헤드 12방 몸 15방이라는 안습한 데미지와 탄창이 100발이나 줄어들어 고인이 되었다.
  • AK-48 (AK-48)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7
98
30
50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AK-47의 오마주. 무난무난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의 양산형 돌격소총이다. 4배 조준경이 달려있어 이론상 모든 사거리에서 올라운더로 활약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반동이 있고 탄퍼짐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근중거리~중거리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5] 점사를 하면 반동을 잡을 수 있다고는 하나 게임 특성상 템포가 빠른 편이라 점사를 할 여유는 없다. 저렴하다고는 하나 바로 전 레벨의 어설트 기관총이나 다음 레벨에 해금되는 자동 피스메이커라는 걸출한 경쟁자가 있기 때문에 인기는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해금 레벨이 낮아져 저렙 구간에서 많이 보이기는 한다.
  • Assault Shotgun (어설트 산탄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Epic
7
78
10
50
더블 배럴 샷건의 디자인을 가진 강력한 화력의 산탄총. 실제로 헤드샷 2방 전탄 명중 시 동렙 모든 플레이어를 원콤 낼 수 있다. 괜찮은 가성비에 준수한 데미지, 발사 속도를 가지고 있어 산탄총 유저라면 초반에 거쳐갈 주무기로서 추천해볼만 하다.
장점으로는 강한 데미지와 나쁘지 않은 발사율, 단점으로는 매우 심한 탄퍼짐이 있다. 최근에는 최후통첩, 바이킹, 산성엽총 등의 여러 샷건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다.
  • Swat Rifle (SWAT 소총)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8
98
30
50
앞서 AK-48과 마찬가지로 저렴한 가격과 98의 발사 속도를 가진 양산형 돌격소총이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FAMAS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똑같이 4배 조준경이 달려있고 하나 다른 점은 소음기가 부착되어 있어 위치 노출을 방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더 도움이 된다. 또한 수치상으로 명시된 것은 아니지만 이 총기는 타 자동화기류와 비교하였을 때 탄퍼짐이 훨씬 적다. 즉 이 총기는 4배 조준경까지 활용하면 중장거리 교전에서도 어느 정도 강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반동 역시 적은 편이지만 결국 총 DPS는 AK-48에 비해 (동렙 기준) 약간 밀리기 때문에 Swat Rifle을 쓰는 유저들은 근접 대응책으로 화염방사기 또는 강한 근접, 샷건 등을 구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전반적으로 요약하자면 같은 양산형 돌격소총임에도 Swat Rifle은 중장거리, AK-48은 근중거리 교전에 더욱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불행히도 Swat Rifle과 같은 레벨에 해금되는 '''자동 피스메이커'''라는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의 무기가 상점에 떡하니 버티고 있기 때문에[6] 이 무기는 거의 보이지가 않는다. 즉 성능 그 자체가 안좋다기 보다는 동 레벨에 같이 판매되는 경쟁자 무기가 전반적으로 더욱 뛰어나기 때문에 선호도가 낮은 것.
  • Automatic Peacemaker (자동 피스메이커)
[image]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Epic
8
99
100
50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근접전의 패왕. 현재는 어설트 기관총과 함께 초반 주무기의 양대 투톱(이었던 것..).'''
상점에 최초로 등장하는 미니건 계열의 무기이다. 이 무기의 가장 큰 두 가지 특징을 꼽자면 '''초대용량 탄창''', 그리고 '''어마어마한 DPS'''이다. 특히 근접 조우 상황에서 이 무기가 뿜어내는 무수한 탄환을 그대로 맞을 때의 데미지는 정말 뼈아픈 수준이라[7] '''근접 난전의 패왕'''이라고도 여겨진다. 특히 탄창이 매우 넉넉하기 때문에 전투 지속력이 아주 길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탄퍼짐이 심하기 때문에 중거리를 넘어가면 다른 무기로 바꿔끼는 것이 더 낫고, 무엇보다 미니건 계열 무기의 가장 큰 단점인 사격 전 예열 시간 때문에 순간 반응력은 크게 떨어진다. 그렇기에 다른 무기들과 조합하는 것은 힘들고 혼자 사용해야 한다. 근접 딜량이 아무리 높다 한들, 좁은 골목 등지에서 갑자기 적과 마주친 상황이라면 차라리 권총이 더 나을 정도. 그렇기 때문에 자동 피스메이커는 근접전 상황 중에서도 엄청난 순간 화력으로 바로 암살한다거나 그런 식으로 운용하기보다는[8] 긴 전투 지속력을 바탕으로 좁은 공간에서 서로 얽히면서 정신 없이 싸우는 난전 상황에서 가장 강력하다. 또한 미니건 무기를 다루는 유저를 위한 팁 중 하나라면, 난전 상황에 바로 뛰어들기보다는 미리 1초 정도 예열을 시켜 놓은 다음 현장에 들어서자마자 바로 탄환을 뿜어대면 더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다. 그리고 미니건을 들고 있을 때는 이동 속도가 상당히 느리고 앞서 말했듯이 순간 반응력은 거의 없다시피 하므로 평소에 돌아다닐 때는 다른 무기를 들고 다니는 것을 추천한다. 장거리전도 커버 가능하며 이동 속도가 대체로 빠른 편인 리볼버 계열의 권총도 좋다.
  • Icicle Minigun (고드름 미니건)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9
98
50
65
말그대로 고드름을 날리는 미니건. 딜이 꽤나 쏠쏠하게 들어가고 장탄수도 높으며 첫 해금시 가격이 55코인이라는 저렴함을 보여준다. 초반에 사두면 꽤나 쓸만한 무기니 레벨 9가 되고 돈이 충분하다면 구입하자. 혜자 무기이다. 그러나 미니건의 특성을 고려해 항상 위의 자동 피스메이커처럼 1초정도 예열을 해두자. 슬로우 효과도 붙어있어 맞추기 비교적 쉽다.
  • Ranger Rifle (레인저 소총)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11
98
20
65
SCAR-H를 모티브로 한 총. 데미지도, 탄창도 적어 잘 쓰이지 않는다. 탄퍼짐 역시 좋지 않아 구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 Alien Rifle (외계인 소총)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Epic
12
98
20
50
헤드샷 판정도 없고 몸 14방의 안습한 데미지와 탄속때문에 쓰레기다. 갤러기 채우기용.
  • Impulse Minigun (임펄스 미니건)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Rare
10
98
60
50
미니건 특유의 많은 탄창과 나쁘지 않은 데미지는 그대로 가져왔다만 미니건 발사 전 딜레이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상점에서 삭제되었다.
  • Dual Uzi (듀얼 우지)
등급
입수 레벨
발사 속도
장탄수
이동 속도
Epic
9
98
60
50
초반에 사용하기 나쁘지 않은 총. 60발이라는 많은 탄창을 가지고 있지만 낮은 데미지와 원거리에서는 잘 맞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양손에서 발사하는 것이기에 양쪽에서 중심으로 탄환이 이동한다.
  • Photon Shotgun (광자 샷건)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총족값(LV29)
82
8
70
231
175골드의 미래버전 산탄총. 한 발당 데미지는 강하나 에임이 좁혀지는 속도가 느리고 많이 넓혀져서 쓰기 힘들수도 있다. 하지만 광자권총과 더불어 할로윈 패치의 수혜자가 되었다. 왜냐하면 명중시키면 지속적인 화염 데미지를 입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패치로 모든 산탄총의 탄퍼짐이 좁아져 사기총이 되었다. 월드컵 업데이트때 버프를 먹어서 풀갑옷유저를 3~4방으로 녹여버리지만 하지만 여전히 쓰기 어렵다. 역시 다른 샷건에 밀리고 낮은 데미지와 거의 없는 화염 딜로 잘 쓰이지 않는다. 가격은 90코인.
  • HELLRAISER (헬레이저/말썽쟁이)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총족값(LV16)
98
35
70
240
135젬에 파는 돌격소총. 모델은 H&K XM8. 4배줌이 달려있고 데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노줌시 탄알들이 쉽게 퍼져 정확도는 낮다. 업데이트로 인해 데미지가 많이 낮아졌고 비밀부대 소총 등의 상위호환이 존재해 잘 쓰이지 않는다.
  • Rapid Fire Rifle (속사 라이플총) (☆)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총족값(LV19)
99
60
60
259
225골드라는 가격에 파는 기관단총.
연사력도 좋고 탄약도 60발로 높은 편이지만 추천하지는않는다. 데미지가 몸 18발 몸 27발(...)으로 굉장히 낮다. 또한 기동성 면에서도 다른 라이플보다 낮은 편. 장전속도도 느리다. 기모델은 FN P90.
  • Marksman (명사수) (☆)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총족값(LV17)
등급
98
30→40→50→30
110→130
229
희귀한
275골드에 파는 돌격소총. 모델은 슈타이어 AUG. 4배 줌, 가격도 괜찮은 편이고 성능도 좋은 편이라 무과금 유저들이 주로 사용한다. 한 때에는 성능 좋은 총으로 이름을 날렸는데, 픽셀건 특성상 계속해서 좋은 총들이 업데이트 되니 3~4레벨이 오르면 자동으로 관에 들어가는 총중에 하나.
  • Predator (프레데터/약탈자) (☆)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총족값(LV23)
87
15
60
208
다른 산탄총 종류보단 탄이 퍼지지 않고 쉽게 밀집된다. 데미지는 중산탄총보다 한 수 위다. 역시 다른 샷건에 밀린다. 샷건이 없다면 구매해보는 것도 좋다. 다른 고성능 샷건은 얻기 힘들기 때문에 얻기 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엄청난 장탄수와 쏠쏠한 데미지로 좋은 총이다. 스왑도 가능하다. 장전속도는 매우 빠르다.
  • Future Rifle (미래 라이플총) (☆)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8
35
60
200골드에 파는 총. 4배 줌. 폼나는 이름과 달리, 속사 라이플총 이랑 비슷하다. 공격력은 이게 더 우세지만, 탄창이 25발이나 딸린다. 때문에 난사하기는 조금 힘들다. 데미지도 평범해서 잘 쓰이지 않는 총.
  • Crystal Laser Cannon (크리스탈 레이저 대포)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0
50
85
위에서 서술한 자동 피스메이커와 함께 게임 초기부터 꾸준히 대가를 인정받고 있는 총. 연사 속도가 자동 피스메이커보다 빠르다. 게다가 공격력도 더 좋으나, 탄창은 더 적다. 이름은 레이저인데 다른 레이저 무기랑 다르게 관통이 되지 않는다. 데미지는 조금 낮지만 엄청난 연사력이 커버한다. 하지만 연사력이 빨라 에임을 요구한다. 단호한 레이저대포의 하위호환이다.여담으로 한때는 이름이 레드스톤 대포였다. 심지어 장전하는 탄창도 레드스톤 블럭이었다. 이 외의 요소들도 마인크래프트를 베낀게 많아 마침내 참다 못한 모장이 소송을 걸었고 결국 4.0.0때 거의 모든 요소가 개편되었다.
픽셀건 초창기때부터 존재했으며 과거에는 크리스탈이 아닌 회색이었으며 스페셜 범주의 무기였다.
  • 풍선 대포 (Balloon cannon))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74
6
50
가격은 싸지만 매우 느린 탄속과 그에 비한 약한 데미지 때문에 초보들 빼고 아무도 안 쓴다. 샌드박스 전용이라는 것 빼고 메리트가 없다.
  • Secret Forces Rifle (비밀 부대 소총) (☆)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8
50
85

모델은 헬레이저와 같은 H&K XM8. 헬레이저의 낮은 데미지를 보완해주어스팩은 좋지만 조준점이 빨리 벌어지기 때문에 줌샷을 안하면 맞추기 힘들다. 위의 헬레이저의 상위 호환형. 데미지는 무지막지 한데 막상 써보면 소음기 덕에 무척 조용하다. 이후 업데이트로 인해 줌을 하지 않고 쏴도 어느정도의 집탄률이 확보되었다.
구구만렙시 언락되던 총이다. 픽셀건 초창기부터 평타 이상은 치는 무기이다. 정신나간 라이플이 많아서 그렇지.
  • Mech Heavy Rifle (메크 중라이플)[9] (☆)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96
45
60
위대한
한발 한발 데미지가 매우 강력하고 장탄수도 절륜하나 기동성과 연사력은 느려터졌다. 장전속도도 느리다. 여담으로 가젯인 메크의 총과 비슷하다.
  • Duel Shotgun (듀얼 샷건) (☆)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88
4
130
희귀한
더블 배럴 샷건을 양손으로 들어 발사하는 총. 특히 무기 모션을볼때 정말 크고 아름답다. 가성비 면에선 조금 뒤떨진다. 데미지는 매우 낮은 편. 장탄수도 적다. 행운의 상자에서 나오기도 했다. 현재 무기고에서 삭제당했다.
  • Frank Sheepone (프랭크 쉬폰)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98
35
60
위대한
조그만 프랭크 쉬폰이 들고쏘는 기관총. 평범한 톰슨 기관단총에 긴 장전속도가 페널티인 총이다. 별로다.

  • Minigun shotgun (미니건 샷건)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96
20
12
전설적인
패치로 인해 데미지 상향을 먹으면서 사기총으로 탈바꿈한 샷건. 무과금들의 희망이라 할 수 있는 메인 무기이다. 코인무기라 무시할수도있으나, 전탄명중시 헤드가 '''3방이면''' 상대가 천사가 되는것을 볼수있다. 샷건답지않은 높은연사력을생각하면 미친데미지. 때문에 소형맵에선 장의사급의 사기무기. 사실상 무과금의 죽창이다.
  • Impulse rifle (임펄스 라이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42
97
20
12
전설적인
위 미니건 샷건과 같이 나온 총이다. 4배 줌과 광역 피해를[10] 가지고 있어 좋아보이지만, 실제론 별로다. 발사속도 97에 탄창이 겨우 25발 뿐이라 한 탄창으로 적을 죽이기 어렵다. 다만 에임이 좋다면 써보는것도 추천. 전탄 명중시 10발이면 사살이 가능하다. 그런데 그 없다고 소문난 탄창이 20발로 또 줄었다가 업데이트로 15발이나 늘어나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 Invader (침략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6'''
97
30
15
0.12.6패치로 나온 신무기. 모델은 에일리언 2의 M4A-1이다. 조금 느린 연사력과 많지 않은 탄창 때문에 성능은 아주 좋은 편은 아니다. 그렇다고 나쁘지도 않다.
최근에 전투 등급이 없어지면서 동시에 풀업 시'''56'''이라는 미친 치명율을 가지게 된다. 가격도 125 보석으로 꽤 싼 편.
  • Adamant Laser Cannon(단호한 레이저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36
100
50
7
전설적인
13.2.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어마어마한 DPS를 가지고 있다. 에임만 따라주면 유저들이 그냥 녹아버린다. 이 무기 또한 탄창이 엄청나게 빨리 닳아서 수시로 장전을 해줘야 한다. 장의사, 챔피언 중재자와 같이 상점 주무기의 패권을 쥐고있는 무기. 그러나 15.4.0 업데이트로 레이저 대포가 단호한 레이저 대포의 상위호환이 되어버리는 역참사가 발생했다
  • Hero (영웅)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97
100
11
위대한
모티브는 M60 기관총. 13.2.1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이벤트 무기인 심각한 언쟁의 재도색한 버전이자 상위호환이다. 무겁고 사속이 느리지만 평타 딜이 높아서 나쁘지는 않다. 사실 현 메타가 슬로우와 한방딜에 집중되어 있어서 그렇지 실질상 위 메크 팔만큼 좋은 무기다. 여담으로 이 무기가 처음나왔을땐 오류인건지 무게가 1이었다. 여담으로 배틀로얄에서 매우 좋은 총이다.
  • Undertaker(장의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30
'''80'''
16
9
전설적인
현재 픽셀건 게임에서 '''가장 많은 장탄수를 가지고 있는 산탄총'''이다. 데미지도 헤드 한방 몸 2방이 뜨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80'''이나 되는 연사력과 16발이나 되는 탄창을 가지고 있다. 사기성이 어느 정도나면 중거리에서 라이플과 떠도 이기는 경우가 있다 알다시피 산탄총은 본 게임에선 근거리용 화기다. 덕분에 중렙이나 탑 클래스나 모두 애용되고 있는 사실상 상점 최강의 산탄총. 얼마전 상점에서 삭제당했다.
패치를 거치면서 너프를 먹지도 않고 치명률이 오히려 올라갔다. 사속은 잠시동안 79로 줄은 적이 있었지만, 치명률은 오히려 28에서 30으로 올라왔다. 아마 신화적 무기들의 32대의 치명률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올린 듯 하지만 이 무기가 더 흉악해졌다는 점은 미스.
바이킹이라는 개노답 사기 산탄총이 나온 이후 잠시 잊혀진 적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바이킹은 '''상대방 플레이어에게 영구 스턴을 걸어 상대를 학살할 수 있었기 때문.''' 물론 패치 이후 바이킹의 이 개노답 능력이 없어진 후 다시 모든 주무기의 1등의 자리를 탈환했고, 최후 통첩이 나온 이후로도 0티어의 성능을 자랑하는 미친 산탄총이다. 최후통첩이 없다면 쓰기 좋은 무기.
여기서 더 대단한 점은 이 총은 아무런 특수 능력도 없는 '''일반 산탄총'''이라는 것이다. 아무런 특수 능력도 없이 깡딜 하나로 버티고 있는 무기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다.
  • Mega gun (메가 건) (☆)
능률
발사율
장탄수
무게
28
97
40
7
13.3.0 때 나온 무기. 위 '영하'의 색놀이 버전이다. 능률은 무려'''10'''이나 올랐다. 발사율도 1올랐지만 이속 저하는 삭제되었다. 하지만 이 무기는 위 '영하'와 달리 진짜 광역피해를 준다. 최근 사기성을 입증 받은 장의사와 신무기를 제외 하고는 다 등급만 내려갔는데 메가건 17등급은 데미지가 더 증가하여 그냥 근접에서 쏘는 산탄총급 데미지가 되어 버렸다
이후 15.5.0 업데이트 때 광역 피해의 범위가 조금 좁아졌다. 쓰는 사람이 줄어들었다. 여전히 좁은 맵에서는 나쁘지 않고 넓은 맵에서는 호구다.
  • Poison Spell (독 마법)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70
1
9
13.2.0 때 나온 무기. 마법서 무기이며 적을 관통하며 독을 걸어주는 투사체를 던진다. 할로윈 무기 B.E.A.S.T와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특이하게 헤드 판정이 있고 데미지는 헤드 4방 몸 5방으로 낮다. 스왑은 가능하지만 탄속때문에 아무도 안 쓴다.
  • Devastator (파괴자)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8
80
8
65
13.5.0 때 나온 무기. 위 광자샷건의 색놀이이다. 광자샷건에 비해 강력하긴 하나 헤드가 두방이므로 장의사에 비해 딸리는 무기. 가격은 장의사보다 훨씬 싸다. 약 1000코인 정도 싸다. 장의사가 상점에서 삭제당한 이후 쓸만한 상점 샷건이 되었다. 위대한 등급이기에 업그레이드 비용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Future police rifle (미래 경찰 소총)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99
60
65
13.5.0 때 나온 무기. 위 속사 라이플 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기존 속사 라이플 총의 약한 데미지를 엄청난 깡딜로 바꿔버려, 신화적인 라이플보다 더 강한 경우도 종종 생긴다. 디테일하게도 탄피가 파란색이다. 참고로 상대한테 헤드샷 13대를 맞춰야 킬을 딸 수 있다고 하는데 14.0.5 기준으로 어디를 맞추던 7발만 맞춰도 킬을 딸 수 있을정도로 강력했지만 하지만 너프를 먹고 화력이 감소하였다.
  • Stakegun ( )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8
98
50
75
13.5.0 때 나온 무기. 위 고드름 미니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슬로우 대신 출혈 디버프를 가져왔고 피어싱이 달려있다. 미니건 종류에서는 좋은 편이지만 여전히 별로다. 꽤나 높은 레벨에서 해금되는데, 이때 쯤이면 더 좋은 메인 무기가 널렸기 때문. 그래도 가격은 높지 않다.
  • Tactical Rifle (전술 소총)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8
98
30
75
14.0.0 때 나온 무기. 위 레인져 소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한때 IOS 한정으로 발당 데미지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던 총이었다. 그러나 패치로 인해 다시 데미지가 낮아진 상태. 이제는 그리 좋지는 않다.
  • Vandals (반달)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7
98
50
85
14.0.0 때 나온 색놀이 버전이 아닌 무기. 모델은 KRISS Vector이다. 그래도 데미지가 강한 편이고 위대한 등급이기에 업그레이드도 쉽다. 탄창도 넉넉하지만 탄퍼짐이 많이 퍼진다.
  • Rhino (코뿔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93
8
75
중산탄총에 코뿔소 디자인을 씌운 색놀이 총. 가격에 비해 스펙이 낮아 별로 안 쓰인다. 데미지도 낮고 연사율도 빠르지만 뭔가 부족하다.
  • Prehistoric shotgun (선사시대 엽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9
76
4
70
선사시대 업데이트때 나온 샷건.치명률, 장탄수, 기동력 모두 밋밋하다. 15.6.0 기준으로 근접해서 쏘면 원킬을 낼 수 있게 딜능럭이 향상됐다. 스왑 딜레이도 없어 이걸 쓰는 사람이 가끔 보이기는 한다. 낮은 탄창수 덕분인지 장전 속도는 빠르다.
  • Gum Rifle (껌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8
72
12
65
신기하게도 풍선 대포의 색놀이 버전. 그런데 원본과의 차이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성능이 좋아졌다. 이 무기는 좁은 맵 한정으로 샷건처럼 사용할수 있지만 그마저도 바이킹, 장의사, 최후통첩에 비교가 쉬울정도로 약하고 넓은 맵에선 맞출수 없는 계륵이 돼버리기에 좋다고 하기엔 어렵다. 상점에서 삭제되었다....
  • Energy Assault Rifle(에너지 돌격소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
96?
40
??
15.6.0 업데이트로 최고레벨 45레벨 확장으로 생긴 신규 총기로 풀강시 헤드가 4방이라는 상당한 딜을 가지고있으며 가격은 350코인이다. 여담으로 한국어 번역으로는 에너지 폭행 소총으로 나온다.
* Neutron pulsator(중성자 맥동장치)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
100
40
100
레벨확장과 함께나온 무기
미친연사력과 투시능력이 붙어나왔다 연사력이 얼마냐면 약2초만에 40발을 증발한다 하지만 가성비가 4500코인이라는 미친가격을 보여준다.
여담으로 유튜브 최초로 이무기를 구매한사람이 한국유저이다[11]

3.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12]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픽셀건은 이벤트 무기가 엄청나게 많다. 모두 얻을려면 몇년 전부터 꾸준히 한달에 몇십만원씩 질러야 할 정도.
  • Liquid Fire(액체 화염)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97
35
80
물 소총 색칠놀이. 지역피해가 없는 대신 물 소총과 달리 히트스캔 방식이며 화염 디버프가 붙어있다. 딜능력이 아래 후술할 이벤트 무기보다 흉악하다.
  • Blinder(블라인더)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97
30
70
영하 색칠놀이. 이 총은 그냥 총구는 영하 색으로 바꾸고 그냥 골드스킨 덧씌운 느낌이다. 모든 영하 시리즈가 그렇듯이 4배 줌이 달려있고, 리코쳇이 달려있다.
. +밸런스 패치로 30%증가 버프를 받아 좁은곳에서 쓸만하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탄속때문에 넓은 방에선 쓸게 못된다.
  • Acid shotgun(산성엽총)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8
4
55
스왑 1티어 샷건. 데미지도 강하고 독데미지도 강해서 많이 애용된다. 최후통첩에 밀리긴 하지만 최후통첩과 다르게 이 총은 스왑 딜레이가 없다. 탄창이 4개밖에 없는 것이 흠이지만 이 점은 빠른 장전속도로 어느정도 커버가 된다. 그러나 모듈이 어느정도 있어야 진정한 힘을 발휘하기에, 모듈 레벨이 낮다면 사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탄퍼짐이 심한 점 때문에 독데미지를 묻히기 쉬운 편. 여담으로, 프레데터와 발사음이 비슷하다. 데미지 너프를 먹고 잘 쓰이지 않는다. 돌연변이 세트와 사용하면 독 데미지가 더 오래 지속되어 골치아프다.

4. 보조 (Backup)


2번째에 위치한 무기이다. 주 무기를 보조하는 포지션이다.

4.1. 정규 무기



4.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13]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4.3. 기타


아직 신규 업데이터에 맞춰 재분류되지 못한 무기들.
  • Pixel Gun (픽셀 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
94
12
100
첫 시작 시 기본 지급되는 무기이자 총기 무기의 이름이 게임과 동일하다. 모델은 M1911.
여담으로 '개미의 삶' 맵의 서랍 위에 이 무기가 놓여있다.
  • Fast Death (패스트 데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8→12
97→98
26→32→44
110→120
50골드에 파는 권총. 모델은 글록 18.
'''50골드라고 무시했다가 큰코다친다'''. 왜냐하면 글록에 '''기관권총 기능을 넣었기 때문'''[14] 2업을 하지 않으면 이 총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보지 못한다. 2번 업그레이드 시 왠만한 초반 주무기들과 상극을 이룰 정도로 효율성이 좋다. 초보들에게는 주무기의 탄약이 떨어졌을 시 주무기처럼 쓸 수 있는 그런 총. 그러나 이동하면서 정조준을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다지 좋지 않다. 패치이후로 완전 자동에서 4점사로 변해버렸고 12라는 치명률은 현 메타에서는 정말 간지러운 수준이다.
여담으로 발사음이 초창기에는 조금 달랐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8→13
92→93
7→8→9
100
85골드에 파는 총. 모델은 데저트 이글.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을 시엔 그저 한방이 강한 평범한 총이나, 2번 업그레이드 시 2배 줌이 추가되므로 나쁘지 않은 총. 그러나 장탄 수가 적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어 마구 갈기다 보면 남은 총알이 아예 없게된다.
  • Hitman Pistol (히트맨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9→16
95
15→18
110→120
85코인으로 모델은 H&K Mark 23의 LAM장비 장착 모델. 위 데저트 이글이랑 같은 가격의 권총으로 2번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옛날에는 이름이 달랐다.[15]
  • Plasma Pistol (플라즈마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
93
10
110
105골드에 살수 있는 권총. 플라즈마 라이플과 함께 '''쓸모없다'''.
주로 공방에서 트롤러들이 자주 쓴다.
  • Sparkly Blaster (우주 광원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7→14→22
93→94
10→15→20
120
120골드에 사는 권총. 진공 에너지 권총의 원본 총이다. 성능은 그럭저럭.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6→25
93→94
16
110
109젬 에 살 수 있는 양손 리볼버. 리볼버의 특성대로 발사속도가 느리고 데미지가 세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 여담으로 한때 삭제되었던 무기이다.
  • Steam Revolver (증기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14→21
92
8
120
(구)강력한 선물, 255 골드에 살수있는 리볼버.
데미지도 높고 권총임에도 4배율 스코프가 있기에 돌격, 저격 다해먹을 수 있는 무기. 잘 맞추면 아주 쓸만하다. 외형을 보면 스팀펑크식 리볼버 인듯. 단점이라면 리볼버 특유의 탄창과 탄도 때문에 경우에 따라 저격에 불리해 질수있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
알고보면 이녀석도 한때 잘나간 보조무기다
  • Duel Machine Gun (양손 기관단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15→24
97→98
70→80→90
100
141젬에 사는 기관단총. 이름대로 양손이며 패스트 데드처럼 주 무기와 비슷한 위력을 자랑. 2번 업그레이드 가능. 기관단총의 연사력까지 감안하면 순식간에 순삭. 모델은 Vz.61
  • Exterminator (익스터미네이터 / 근절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5→24
74→75→76
6→7→8
105→110
177젬에 살수 있는 무기. 디자인은 황금색 리볼버형 레일건이며, 벽 뚫기 기능이 탑재된 하늘색 레이저를 발사한다. 또한 2번 업그레이드 가능. 예전에는 풀갑옷 유저도 헤드 한 방으로 보내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현재는 방어구 수가 늘어나면서 호구가 되었다. 대여 시절엔 Assualt Machine Gun과 이것중 어느 것을 대여할 지 고민했던 사람들이 많았었다고 한다. 그 프로토타입의 능력치를 상회하는 벽 관통형 무기이지만, 프로토타입의 상위호환 저격 무기로써 이 무기를 다루기엔 무리가 있다.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원거리 목표를 겨냥하고 명중시키기엔 2배율 스코프의 배율이 너무 낮기 때문애 원거리 저격보단 중거리 상대를 절륜한 헤드샷 데미지로 노줌 사격하는 '''리볼버식 플레이'''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후에 서술할 바이킹과 제삼의 눈과 함께 사용하면 좋다.
  • Water Pistol (물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18→25
92→93
15→20→25
110→120
120 젬에 살수있는 물 소총의 권총형 버전. 물 소총과 같게 지역 데미지가 있다. 역시 사지 않는게 낫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
  • Photon Pistol (광자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19
92→93
10→12
100
골드로만 살 수 있는 가성비 좋은 권총. 한때 옵션에 '광역 피해'가 잘못 표기되어 있었다. 할로윈 패치로 지속적인 화염 데미지를 입힐수 있는 수혜를 받았다.
  • Space Blaster (우주 블래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7
92
14
120
모델은 스타워즈 시리즈에 나오는 DH-17 Blaster Pistol. 이 무기는 단발형 레이저를 쏘는 권총으로, 2배율 조준경을 지원했다. 옵션에는 안나와있으나 벽 관통이 가능하다 다만 데미지는 약하다.
  • Plasma Releaser (플라즈마 방출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4→20
94
15
130
171젬에 살수있는 권총. 스탯자체는 무난하지만, 가격이 부담스럽고 자가 피해때문에 생각보다 리스크가 크다. 하지만 막상 교전시에는 데미지가 다소 애매하다.
  • Shotgun Pistol (산탄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0>29>'''56'''
89
15
85
산탄총의 권총형. 권총주제에 총알은 펑펑 쏘고 다닌다. 데미지는 막강해서 근거리전에서 쓸만하다. 한마디로 약탈자의 권총형.
고렙에서 풀업하면 미니건 샷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3→18
93
10→12
110→120
268코인에 살 수 있는 개 모양 권총. 전체적으로 평범한 성능을 가진 권총이다. 쏠 때 개 짓는 소리가 난다.
  • Alien Blaster (외계인 블래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8→25
83→84
8→9→10
110→115→120
위 외계인 소총의 권총형. 벽에 반사되는 푸른색 광선을 쏜다. 외계인무기 전체가 다 그렇듯이 비추하는편.
  • Dual Hawks (매 두마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6
94
24
120
레드 트윈스, 듀얼 리볼버의 최종 상위호환격이다. 역시 괴랄한 가격을 갖고 있지만 헤드샷 몇방이면 무덤으로 들어가는 플레이어를 볼 수 있을 뿐더러, 쌍권총이기 때문에 탄약이 넉넉한편. 다만 계속 쏘면 쏠수록 집탄 범위가 넓어진다. 2x 조준경이 지원된다. 모델은 데저트 이글의 아종인 IMI 데저트 이글.
  • Infiltrator (인필트레이터 / 잠입자)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8
97→98
40→50
110→120
패스트 데스의 뒤를 이을 기관권총. 2x줌에 연사도 좋은데다가 데미지도 높다. 거기다가 위의 페스트 데스와 마찬가지로 아무리 쏴도 에임이 벌어지질 않는다. 원거리에도 중거리에서도 근거리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유용한 총.
  • Red Twins (레드 트윈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3→18
95
20→25
110→120
양손형 무기. 데미지도 적절하고 기동성도 괜찮지만 반동 제어가 연사시 반동제어가 힘들다.(지금은 아레의 터보 피스폴과 가격이 같다 필요가 없다)
  • Turbo Pistols (터보 피스톨)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17→25
95
20→28
130
양손권총치곤 데미지가 상당히 쏠쏠히 들어가준다. 연사력도 좋은걸 보면 나름 밥값은 하는 무기. 여담으로 이 무기는 이 게임의 어떤 말괄량이 소녀가 쓰는 무기의 패러디이다. 다만 원본처럼 연사형이 아니라 단별식 무기이다.
  • Zombie Slayer (좀비 슬레이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2→17
93→94
12→14
120
M1911을 모티브로 한듯한 권총
2배율 줌이 있고 기본 데미지가 상당해 초반에 사두면 캠페인에서 매우 잘 써먹을수 있다. 허나 후반에 가면 더 좋은 무기에 묻히게 된다.

  • Nuclear Revolver (핵무기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7→15→23
91→92
6→7
110→120
4배율 줌인이 가능하나 그다지 큰 의미는 없다. 범위 피해성능은 그저 그런 편. 참고로 히트스캔이다. 뎀지가 비슷한 유형의 무기인 죽은 별에 비교하면 똥이라 이무기를 살 것이라면 죽은 별을 사는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자가 피해가 없어 로켓점프를 할 때 만큼은 유용하나 Oxbacode#를 쓰는게 나을정도.
  • Minigun Pistol (미니건 피스톨)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3
87
90
110
성능은 그저 그런 기관단총 형식의 총이다. 에임이 자신있으면 한 적에게만 계속 갈기는게 좋다.
  • Love Spell (사랑의 주문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6
92
1
105
보조 방어용 주문서로 쓰이며, 이 무기에만 있는 특징인 매력 디버프가 있다.
  • Bell Revolver (종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9
92
7
120

크리스마스 기념 이벤트 당시 등장. 가성비가 영 좋지 않은 무기. 시끄러운 피기와 같이 범위피해를 가진 음파 형태의 발사체가 나간다. 발사음이 종소리인게 특징. 장전속도와 기동력은 무난하고 연사력이 좋다. 하지만 그에 비해 탄약은 7개뿐이라서 탄약소모가 크고, 데미지도 플라즈마 시리즈 수준에 심지어 보석 무기이다.
  • Dual Laser Blaster (듀얼 레이저 블레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6
100
50
115
줄여셔 듀레블. 비싼만큼 성능도 사기적인 총. 주로 저격총이 반샷 떴을때 마무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고수가 작정하고 쓰면 어마어마한 DPS로 대학살을 일으킬수 있다. 그러니 에임에 자신 있다면 사는게 좋다. 하지만 연사속도가 너무 빨라서 3초만 갈겨도 탄창 하나가 날아가버리기 때문에 탄창 관리는 필수중에 필수다.
  • Dead Star (죽은 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6→24
83
6
120
유저들의 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 마치 죽은 별을 떠올리게 하려는듯이 총 위아래로 가시가 돋혀있고 색상도 보랓빛이다. 보조 무기 중 가성비가 탁월한 편이다. 범위 피해를 주며 기동력도 좋고 데미지도 좋은 무기이지만 장탄수가 6발밖에 안된다. 다만 히트스캔방식이라 제트팩타고 날아다니면서 갈기면 데미지를 꽤 줄수있다.[16]그래도 무기를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모두 코인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유저들에게 나름 괜찮은 선택. 30렙정도에서도 애용된다. 주로 저격무기로 적을쏴서 적이 딸피일때 마무리로 사용한다.
  • Mercenary (용병)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8→13→21
100
24→30→35
100→110
반자동이 붙어있어 조준점이 쉽게 벌어지지 않는다는점이 패스트 데스의 상위호환이다.
발사하면 5발씩 끊어서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성능은 애매한데 공격력은 다른 연발 부무장과 별반 다르지 않은 편이다. 발사속도는 표기상 100으로 아주 빠르고 실제로도 확실히 빠른 편이지만 반자동이 연사속도를 다 깎아먹어서 실제 연사력은 97~98정도에 그치는 편이다. 게다가 장탄수도 연사력에 비하면 그리 넉넉한 편은 아니라 쓰기가 쉽지는 않다. 하지만 일단 헤드에 5발을 다 박으면 피해량이 절대 무시할만한 피해는 아니기에 잘 쓴다면야 쓸 수 있는 총기이다. 반자동 무장이 다 그렇듯 모두 명중하면 깡딜이되지만 끊어 쏘기때문에 빗나갈때는 딜로스가 상당히 크니 잘 고려 해보자.
  • Orbital Pistol (오비탈 피스톨)
능률
발사율
장탄수
무게
29
86
6
10
충전해서 위성을 조종하여 공격하는 방식의 무기. 충전무기중에서 가장 짧은 충전시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충전시간 때문인지 풀 충전을 하지 않으면 쏠수가 없다. 헤드샷 판정이 안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3방은 쏴야 적이 죽는 쓰레기 무기이다. 10배율 조준경이 탑재되어 있다. 한때 전투 등급이 있었을땐 17렙 오비탈 피스톨의 데미지가 수직상승하여 풀갑옷이라도 '''원콤을 내버릴수 있었다'''. 그래도 여전히 맞추기 어렵다. 참고로 이펙트가 c&c의 이온캐논을 닮아 엄청 멋지다.
15.5.0 업데이트 덕에 이제 쓸만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가격에 비해 약하기에 자주 보이지는 않는 총.
  • Adamant revolver (단호한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9
92
10
7
13.2.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스팀 리볼버의 색놀이 버전. 다만 위력은 더 절륜하다.
  • Thunderer (번개의 신)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8
67
6
14
근절자의 강화 버전. 장탄수가 2줄고 무게가 3더 무겁지만, 풀 업글에 버닝 티아라를 장착시 또한 근절자에 비해 판정이 후하기 때문에 줌샷을 안해도 맞았는데 맞았다는 표시가 안뜨는 경우도 적다. 245보석이라는게 조금 흠이긴 하지만 성능을 보면 꽤 괜찮은 가성비이니 근절자 유저는 보석이 모이면 이걸로 갈아타자.
  • Emperor's servants (황제의 하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8
98
90
9
13.2.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양손 기관단총의 색놀이이며 한 탄창의 총알수가 20 증가하고 치명률이 4 올랐다. 다만 무게가 2 늘었다.
  • Electro-Blast Pistol (전자폭발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85
11
6
풀갑유저를 2방에 박살내는 강력한 무기. 연사속도도 괜찮고 탄창도 넉넉한 편이며 무게도 가볍지만 그놈의 탄속 때문에 쓰기가 어려운 무기. 탄속이 꽤나 느려서 예측샷을 하지 않는 한 원거리에서 유저들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 Laser revolver (레이저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4
91
12
7
13.3.0 때 나온 무기. 12.2.0 때 나온 무기인 처형자(Executioner)의 색놀이 버전이다. 연사력이나 뎀지도 괜찮고 벽 관통까지 있어서 꽤 좋은 총이지만, 가격이 190보석으로 조금 부담스럽다.
  • Airblade Spell (에어블레이드 마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70
1
7
13.1.0 때 나온 무기. 위 독 마법과 같이 출시된 마법서 무기다.
  • Monster blaster (몬스터 블래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83
6
75
13.5.0 때 나온 무기. 위 죽은별의 색놀이 무기이다.
  • Multitasker (멀티태스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3
96
30
90
13.5.0 때 나온 무기. 위 터보 권총의 색놀이 무기로 상당히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있다. 슬로우도 붙어 있고 광역 피해를 주지만 범위가 작다는 단점이 있다. --로켓점프가 가능하지만 자가 피해와 함께 본인에게 둔화 효과가 걸린다.
  • Spender (스펜더)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2
84
10
75
14.0.0 때 나온 무기. 돈다발을 발사해 광역 피해를 입힌다.
  • Void energy pistol (진공 에너지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94
10
75
14.0.0 때 나온 무기. 위 발포 우주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상위권 유저들도 가끔씩 쓰는총. 데미지와 발사속도 모두 적절하다. 다만 플레이어들이 잘 안 쓰는 것일뿐
  • Acid pistol (산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93
15
75
14.0.0 때 나온 무기. 위 물 권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플레이할때 코빼기도 안보이는 권총.
  • Antique pistol (골동품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93
10
75
14.0.0 때 나온 무기. 아래 오래된 동지의 색놀이 버전이다.성능 자체는 쓸만한데, 가격에 비해 메리트가 너무 떨어지기에, 아무도 안 쓰는 총. 모델은 마우저 C96.
  • Pizza heater (피자 히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3
100
55
75
14.0.0 때 나온 전자 방사기 무기. 근접할 시 높은 DPS로 상대를 구워버리지만 너프를 먹고 화력이 줄어들었다. 거기에 가격 또한 300보석 언저리로 꽤나 비싼 편.
  • Sawed-off Shotgun(단총신 산탄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
76?
4
??
15.6.0 때 최고레벨 45레벨 확장과 함께 나온 무기로, 210보석이라는 것과 풀강시 근접 헤드 한방이라는 것 외에는 밝혀진 바가 없다. 장전모션이 특이한데 장전 시 총을 버리고 새 총을 꺼낸다.

5. 근접 (Melee)


3번째에 위치해있다. 총알이 없을 때 쓰이거나, 이동용으로 쓰이는 무기. 일부 무기는 광역피해를 사용한다.

5.1. 정규 무기



5.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17]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5.3. 기타


아직 신규 업데이터에 맞춰 재분류되지 못한 무기들.
  • Combat Knife (전투용 칼)
치명률
속도
기동력
4
93
115
기본적으로 주는 근접무기이다. 별로 좋지않다.
  • Candy baton (캔디 봉)
치명률
속도
기동력
등급
26
98
120
신화적인
행운의 체스트에서 뽑을 수 있는 무기. '신화적인' 이라는 등급을 처음으로 제대로 달성한 무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드가 풀갑이여도 2방인데 공속이 그에 못지않게 빠르다. 그래서 휘두르기만 해도 유저들이 막 썰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입수 난이도 때문에 쓰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업데이트로 인해 부품을 모아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해금 난이도가 수직상승하였다.
치명률
속도
기동력
5→9→12
92
115→120
35원에 저렴한 만큼 쓸모가 없는 곡괭이. 2번 업그레이드 가능. 여담로 해당 무기의 90% 세일때의 가격이 '''5'''코인이었다.
  • Warrior Axe (전사의 도끼)
치명률
속도
기동력
6→14
90
115→125
50원에 어느정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도끼. 2번 업그레이드 가능. 현재 업데이트로 적을 타격하면 출혈을 일으킨다.
  • Knight Sword (기사의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6→9→16
92
120
70골드에 파는 검. 2번 업그레이드를 하면 상당히 쓸만해진다. 모티브는 빼도박도 못할이것.
치명률
속도
기동력
8
93
130
85골드에 파는 전기톱. 업그레이드 불능. 비교적 싸고 기동성도 좋으니 이동용으로 쓰자.
  • Lava Flail (용암 도리깨)
치명률
속도
기동력
10
80
65
120골드에 파는 도리깨. 일단 맞춰도 데미지도 약하고 화염데미지도 볼거 없고 이속도, 공속이 모두 낮다. 발사하고 1초뒤에나 딜이 들어가는 기적의 쓰레기이다.
  • Scythe (낫)
치명률
속도
무게
12
89
4
150골드에 파는 낫. 치명타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무게 또한 매우 가벼워서 이동과 기습에 효과적이다.
  • Dark Force Saber (다크포스 세이버 / 사브르)[18]
치명률
속도
기동력
16→18→25
92
85
100젬으로 사는 광선검. 스타워즈에 나오는 광선검의 패러디. 2번 업그레이드 가능. 최종 업그레이드를 마치면 픽셀 건에서 제일 뛰어난 기동성을 지닌 무기가 된다. 업데이트로 인해 현재는 불 디버프를 준다. 현재 15.4.0 패치로 기동성이 85로 떨어졌다.
  • Fire Orb (불의 구슬)
치명률
속도
기동력
7→14→18
85
100→105
폭풍망치의 바리에이션쯤 되는 180골드 마법봉. 공격 버튼을 누르면 불이 주위로 퍼져나간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11.1.1 업데이트로 불 디버프가 생기면서 불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되었다.
  • Katana (카타나)
치명률
속도
기동력
15→19
94
120→130
185골드에 사는 일본도. 가격이 어느정도 싸기 때문에 세일때 사는것도 좋긴하다. 1번 업그레이드 가능. 기동성도 좋아서 많이 쓰이는 편. 출혈 디버프가 달려있다.
  • TIGER (호랑이)
치명률
속도
기동력
10→23
95
110→120
공격하면 장난감 호랑이 머리가 튀어나와 공격을 한다. 참고로 근접무기중 가장 속도가 빠르다. 다시 돌아왔다가 다시 삭제되었다. 한국어 이름이 '''탕이거'''로 번역되어 있다.
  • Zombie Head (좀비 머리)
치명률
속도
기동력
12→18→22
92
70
좀비머리를 통째로 들고있는 특이한 외형을 가지고있다. 맞으면 독 디버프가 걸린다. 몸샷은 아프지는 않으나 헤드에 맞으면 어느정도 대미지를 줄수있다.
  • Storm Hammer (태풍 망치)
치명률
속도
기동력
24
84[19]
75
가격은 무려 '''999코인'''[20]이나 되는 모든 코인 무기 중에 가장 비싼 가격을 자랑하는 무기지만 돈값은 확실히 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공격은 망치를 휘두르면 플레이어 주변에서 번개가 나오는데 모습이 영락없는 토르의 망치다. 데미지가 흉악해서 메크나 터렛을 한두방에 보낼수도 있고 풀세트 갑옷을 2~3방 휘둘러주면 영락없이 숯가루가 되는 플레이어들을 볼수있다. 그리고 광역 데미지도 있어서 플레이어 가까이 있는 적들이 있다면 더블킬도 가능. 하지만 현재는 방어구 양도 늘어나고 지속적인 너프와 더불어 대전층같은 더욱 좋은 무기들이 많아지면서 퇴물이 되었다.
  • Duel Machete (듀얼 마체테)
치명률
속도
기동력
9→15→23
93
110→120
양손으로 쓰는 마체테. 불의 악마의 하위호환. 출혈이 가능하다.
  • Chainsaw Sword (톱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19-3→'''56'''
96
4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울트라마린들이 쓰는 검과 비슷한 그것. 공격 시 톱날을 들이대며 상대를 아예 갈아버린다. 최종 업그레이드시 불의 악마보다 더 높은 치명률을 가지나 태풍 망치에 묻혀서 잘 보이지 않는다.
치명률
속도
기동력
등급
22
95
120
위대한
작은 쌍검이다. 중독 디버프가 있다.
  • Nunchucks (쌍절곤)
치명률
속도
기동력
등급
23
88
130
희귀한
공격속도가 조금 느리다. 젬 90개로 구매할 수 있으며, 130의 기동성을 지녀 꽤나 용이하다.
  • Santa Sword (산타의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등급
20
96
120
전설적인
피격시에 슬로우 디버프를 준다. 이 무기를 들고 있는 상태엔 자신 근처에 있는 적들에게 슬로우 디버프를 거는 눈보라가 휘날린다. 다만 눈보라 자체의 데미지는 미미할뿐더러 둔화효과마저 별로 강하지 않다.
  • Sword Of Shadows (그림자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등급
24
81
90
전설적인
충전식검이다. 검 충전이 2초 가량 걸리는데, 완충시 투명 버프를 받는다. 하지만 투명 상태에서 점프시에 투명이 풀린다.[21]
  • Power claws (파워 발톱)
치명률
속도
기동력
26
90
115
픽셀건 10.5.0 업데이트로 등장한 행운의 체스트에서 뽑을 수 있는 신화적인 등급의 무기. 보다시피 정신나간 치명률[22]을 갖고 있지만 매우 좁은 공격범위로 인해 그다지 좋게는 느껴지진 않는다.
게다가 황금 우정, 스파크 상어와 마찬가지로 부품을 모아야 획득할 수 있게 바뀌어 해금이 더 어려워졌다.
  • Ruler Sword (자로 만든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20
96
120
공속이 꽤 빠르며 가볍지만 특수 능력이 없다.
  • Core Sword (코어 스워드)
치명률
속도
무게
25
82
15
12.6.0업뎃으로 등장한 대검무기. 공격속도가 느리다.
  • Combat yoyo(컴뱃 요요)
치명률
속도
기동성
25>'''56'''
64
85
23렙부터 잠금해제되는 '치명률 25 시리즈'의 일원인 무기다. 모든 근접 무기 중 클랜 무장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치명률(만렙 29)를 가지고 있고, 사거리도 근접 무기 중 가장 긴 무기라 칼 파티에서는 사실상 얘 아니면 태풍 망치를 잡을 사람이 없다. 수영장 파티같이 작은 맵에서는 사실상 근접 무기 중 태풍 망치와 함께 위험 순위 1위에 속하며, 설명에는 안 써져 있지만 약간의 벽 관통이 있고, 한 번 공격시 최대 2회의 대미지를 준다[23]가격은 350골드.
그리고 제트 텐더라이저와 더불어 상점 양대산맥 근접 무기중 하나로, 긴 사거리를 이용해 최근에 나온 사기 근접 무기인 '''피리를 든 너구리'''와 '''나이트의 도끼'''[24][25]를 카운터 칠수 있는 무기다!
치명률
속도
무게
'''56'''
87
4
13.2.0 때 나온 무기. 우선 코인 무기라 무과금한테는 반가운 무기다. 게다가 치명률은 어둠의 힘 사브르보다 3 더 높다. 무게는 너프를 먹어서 엘더 포스 사브르와 동일하다. 가격을 보면 분명 좋은 근접무기다. 업데이트로 데미지가 56으로 늘었다
  • Zeus-chain sword (제우스-체인 검)
치명률
속도
무게
24
82
7
13.1.0 때 나온 무기. 두번째 체인 샷 무기다. 여러명의 적군을 죽이는 데 특화되어있다. 다만 헤드샷 대미지는 없다.
  • Steampunk Fist (스팀펑크 주먹)
치명률
속도
무게
29
89
6
13.2.0 때 나온 무기. 파워 주먹의 색놀이 버전이자 열화 버전이다. 슬로우 없는 파워 주먹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Sword & Shield (검 & 방패)
치명률
속도
무게
28→56
89
7
13.3.0 때 나온 색놀이가 아닌 무기. 상점에서 최초로 구매할 수 있는 아머 보너스가 달린 무기다. 방어구 3칸을 늘려준다.
  • Good & Evil (음양)
치명률
속도
무게
46
89
75
13.5.0 때 나온 로미오와 줄리엣의 색놀이 무기이지만 성능은 정반대다. 풀갑유저도 헤드 1방 몸통 1~2방에 보내버릴 수 있으며 원콤이 안나더라도 랜덤 이펙트가 붙어있어 사실상 즉사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그에 맞게 할인시에도 435젬이라는 현존하는 픽셀건 최고가를 자랑하기 때문에 현질러들이 아닌 이상 얻기 매우 어려운 무기이다. 그러나 확실히 밥값은 해내는 무기.
  • Demon sword (악마의검)
치명률
속도
무게
4
71
65
위 코어스워드의 색놀이 무기. 치명률이 코어 스워드보다 낮은점만 빼면 코어스워드 판박이. 15.4.0 업데이트로 레이저 대포와 단호한 레이저 대포와 같은 사정의 피해자가 되어버렸다.
  • Bone crusher (뼈 분쇄기)
치명률
속도
무게
26
86
85
원시 업데이트때 나온 무기. 딜이 거의 안들어가며 크리티컬이 있어도 딜이 별로다.
  • Jet tenderizer (제트 텐더라이저)
치명률
속도
무게
33
64
85
충전식 근접 무기.어느 게임 캐릭터의 무기를 모티브로 만든 무기. 풀 충전시 적을 한 방에 심판하며 특이하게도 헤드샷 판정이 있다. 그러나 쓰기 어렵고 인기가 없어서 음양과 컴뱃요요에게 밀렸지... 만 충전 게이지 패치 이후로 훨씬 쓰기가 쉬워져 채용률이 많이 늘어났다. 게다가 최근에 나온 '''피리를 든 너구리'''와 '''나이트의 도끼'''를 제대로 카운터 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이다.
  • Last Samurai(마지막 사무라이)
데미지
사속
무게
??
90
85
카타나 색칠놀이. 옛날 상자 이벤트 때 한번 나왔던 검이다. 검 주변에 신비한 나선형 이펙트가 있다.

6. 스페셜 (Special)


4번째에 위치해있다. 다양한 콘셉트을 가지고있는것이 특징.

6.1. 정규 무기



6.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26]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6.3. 기타


아직 신규 업데이터에 맞춰 재분류되지 못한 무기들.
  • Simple Flamethrower (간단한 화염방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
98
40
110
켐페인 모드 2-2 챕터의 파라오 미라 보스를 죽이면 나오는 무기. 성능은 생각보다 좋아 간단한 산탄총과 궁합이 좋다.[27] 다른 총 게임에서도 볼 수 있듯, 이 게임의 화염방사기도 에임이 필요없어 초보자들이 애용한다.
  • Flaming Volcano (불타는 화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98
80
110
상자에서 뽑는 화염방사기. 고전압의 하위호환. 11.1 업데이트 이후 화염 지속 데미지 효과를 추가하면서 아쉬웠던 한발을 채워주는 깡딜무기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클래식 무기다. 12.1 업데이트때 사라졌으나 12.5 업데이트에 다시 나왔다. 그러나 다시 삭제되었으나 배틀로얄 모드에서만 다시 등장한다.
  • High Voltage (고전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6→23
98
65
120
이 무기를 든 플레이어는 절대 근접전으론 이길 수 없었다. 공격범위가 넓어 무빙도 무의미하고 기동력도 당시로선 굉장히 높은 수치인 120이나 되는데다 DPS가 매우 절륜해 근거리에서 상대를 그야말로 '''구워버렸다.''' 그러나 화력 인플레가 심해져 원거리에서도 이에 못지않은 DPS를 뽑아낼 수 있어진데다 갑옷의 존재로 인해 예전만큼 순식간에 상대를 녹이지 못하게 되어 "접근해야 한다"는 리스크가 상당히 크게 작용하게 되어 사장되어 버렸다. 그러나 여전히 갑옷이 얇은 플레이어에겐 상당히 위협적이긴 하다. 여담으로 구버전에서는 2배율 조준경이 장착되어 있었지만 애초에 접근형 무기라서 줌이 의미가 없던지라 조준경이 삭제된 상태다. 현재는 잘 안보인다. 끔찍하게 높은 연사력과 DPS에 비해 아무런 디버프도 없고 범위도 아래 애완용 드래곤보다도 더 좁기 때문이다.
  • Pet Dragon (애완 동물 드래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4→20
98
60→70→80
100→105→110
이른바 초보들 대학살 무기. 드래곤이 입에서 불을 뿜는 것으로 공격을 하는데 초반에는 데미지도 미쳤지만 범위도 미쳐서 유저들을 1~2초만에 녹여버리고 고전압과는 달리 화염 디버프까지 붙어있어서 제트팩을 좀만 지져도 잡을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무기를 웬만하게 쓰면 초보들이 하는 곳에서는 15킬 이상은 거의 기본이고 심하면 30킬도 내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최강의 성능을 자랑한다. 사거리도 은근 길어서 빠르지만 않으면 부담없이 상대방을 지질수도 있다. 하지만 고렙존으로 가면 갑옷이 많이 단단해 지므로 그 위상이 조금 떨어지기는 한다. 참고로 장전을 용에게 먹이를 주어서 하는 방식이 조금 독특하다.
  • Freeze Ray Rifle (얼음 광선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9→25
97→98
50→80
110→120
189젬에 살 수 있는 광선방사기. 상당히 강력한 스펙을 갖고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면 그게 흠. 과거엔 4배 조준경이 달려있어 저격도 가능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공격할경우 순식간에 상대방을 보내버릴수있다. 이 무기를 풀업하면 중화기 무기 중 '용의 숨결(Dragon breath)'라는 광선형 무기와 맞먹는 스펙을 자랑하나 용의 숨결보다 장전속도가 느리고 발사음이 작다.
  • Dracula (드라큘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8
89
16
110
못형태의 발사체를 쏘는 무기이다. 흡혈이 붙어있어 타격시 체력을 회복한다. 그러나 사실상 흡수량도 데미지도 워낙 미미하고, 정작 갑옷은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쓸모없다. 그나마 픽셀건 무기중에서 유일한 흡혈이 붙어있는 무기였으나 이 무기가 부끄러워질 정도로 강한 흡혈무기 애니 낫, 엔지니어 엑소 스켈레톤이 나오면서 완전히 잊어졌다.

  • Snow Storm (스노우 스톰 / 눈 폭풍)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5
98
70
100
화염이 아니라 눈보라를 방사하는데 화염방사기가 붙어있다. 중력장 효과를 가져서 타격한 적을 끌어당길 수 있으며, 슬로우 효과까지 붙어 있어서 저격 무기와 쓰면 안성맞춤이다. 물론 후반가면 안 쓰인다. 게다가 상대가 고스트 랜턴 등의 근접전 특화 무기를 들고 있다면 역관광 당하기 십상이다.
  • Laser Spear (레이저 창)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76
1
120
투사체 형식으로 발사하는 창이다. 발사하기 전 약간의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타이밍을 봐가면서 쓰자. 가격에 비해 성능은 적절한 편. 초반에 쓰기 좋다.
  • Plasma Spreader (플라즈마 방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2
99
40
125

플라즈마탄을 연속으로 발사하는 총. 예전에는 버그로 처음 3발은 적에게 데미지가 들어가지만 그다음부터는 아무리 적에게 쏴도 데미지가 안들어가고 탄이 자폭했지만 현재는 고쳐졌다. 데미지 분배방식이 달라진 13.5.3 기준으로 현재는 밥값은 하는 총이 되었으나 다시 관짝으로 들어갔다.
  • Electric Arc (일렉트릭 아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3
100
70
120
전설적인
하얀빛의 레이저가 발사되는 무기. 레이저 주변에 전기장 이펙트가 있으나 데미지는 없다. 가격에 비해 성능이 별로이기 때문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
  • VACCUMIZER (버큐마이저)
치명율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4→36→'''56'''
99
35
100
275젬에 살 수 있는 광선방사기. 연사력과 기동력, 장탄수 모두 부족하지만 대신 매 초마다 들어가는 데미지가 흉악하다. 다만 쓰기도 매우 힘들고 날아다니는 후반대에선 사실상 들면 호구가 된다. 이름의 뜻은 진공청소기이다. 그런데 최근 업뎃으로 그 부족한 장탄수가 70이 되었다가 15.1 패치로 다시 반토막이 나버렸다.
  • Mystical Ore Emitter (신비한 광석 방사기)
치명율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9
98
70
115
신비한 광석의 에너지를 분출한다. 성능은 별로 좋지 않다. 연사력이 빨라 캠페인에서는 쓸만 하지만, 범위가 너무 좁다는 단점이 있다. 생각보다 DPS가 높지만, 그 DPS를 뽑아내려면 정말 초근접으로 붙어야된다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왠만하면 쓰지말자.
  • Solar Ray Rifle (태양 광선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7→24
97→98
35→40→45
110→120→125
169젬에 살 수 있는 광선방사기. 위 Freeze Ray Rifle의 하위 호환이다. 얼음광선 소총보다 레이저가 굵다.
  • Laser Disc Thrower (레이저 디스크 스로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7
91
10→12
100
200코인에 판매하는 무기. 말그대로 플라즈마 디스크를 발사하며 적을 뚫는다. 나쁘지 않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투사체의 속도가 느리다.
  • Shuriken Thrower (수리검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12→17
90
10→12→14
110→115→120
2배 조준경, 출혈뎀에 적을 뚫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근거리전에서 매우 쓸만하다. 근거리에서 뭉쳐있는 적들에게 쏘면 적들이 영혼으로 산화하는것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해당 무기는 손이 아닌 팔에 매는 무기다.
  • Frost Beam Spell (서리 광선 주문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16
98
1
110→120
주문서 계열의 무기 중 유일하게 광선형 무기로 처음에는 100발이 넘는 탄창을 가진 무기였다. 이전에는 그저 그런 수준의 무기였지만 12.1.1 버전에선 제일 흉악한 무기이자 최악의 무기로 변해버렸다. "패치 내용에는 서리빔 주문서의 데미지를 조정했습니다."라고 나와있었으나 데미지를 잘못 조정해 스치기만 해도 죽는 무기가 되었다. 그래서인지 이 무기로만 게임을 진행하는 사람들이 태반이고, 당연히 버그 수정이 되어야 할 판. 그리고 다음날 마이너 패치로 오류가 수정되었다.
  • Nail Minigun (네일 미니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15→
96→97
40→50
100→110
가격은 100젬. 이름 그대로 손톱이 나간다.[28] 슬로우 + 반자동 + 출혈 콤보로 인해 현재 유저들이 가장 애용하는 무기. 게다가 생각보다 화력도 절륜하다. 심지어 대공에 매우 적합한데, 이유는 슬로우가 공중에서 걸리면 서서히 추락하고 상승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13.5.3 기준으로 대부분의 슬로우 무기들의 말뚝딜이 감소되어버리고 슬로우 효과가 미미해졌고 결국 카사노바와 고드름 미니총과 같이 사용률이 하락해버렸다.
  • Gas Launcher (가스 런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7→24
98
60→75
110
295 코인에 파는 스페셜 무기. 적을 중독시키는 초록색 가스를 발사한다. 화염 방사기가 다 그렇지만 연사력과 데미지도 꽤 준수한 편이고, 장전도 빠르다.
  • Barrier Rifle (베리어 라이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91
25
11
적을 관통하는 투사체를 발사하는 무기. 다만 데미지가 영 좋지않고 투사체 속도가 느려 맞추기도 힘들어 대인전에선 부적절하다. 에너지 실드 옵션이 붙어 있다. 여담으로 처음 나왔을때 이름이 장애물 소총이었다.
  • Trapper (덫을 놓는 사냥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6→23
81→82
5→6
100→110
노란색의 덫을 발사한다. 위의 수리검 투척기의 상위호환격이나 탄창 수는 훨씬 적다. 위의 수리검 투척기는 후반부에 고렙이 되면 별 쓸모가 없어지지만 이건 후반부에도 상당히 쓸모있다. 풀업시 몸샷으로 두방이면 풀갑옷도 천국으로 보내줄 수 있다. 또한 이 무기는 '때부터 풀업까지 전부 코인만 들어간다. 무기의 가성비를 생각하면 사는것도 꽤나 괜찮은 선택이다. 옛날 헤드샷 데미지가 있었을 때는 만렙 유저도 한 방에 보내 버리는 무시무시한 무기였으나 헤드샷 데미지가 삭제된 이후로 레이저 바운서에 밀려 채택되지 않고 있는 비운의 총이기도 하다.
  • Electromagnetic Cannon (전자석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2
73
5
110
한방의 데미지는 적을 신속히 끔살시킬 정도로 강력하다. 이 무기의 진가는 적이 뭉쳐있는 상황에서 나타난다. 적에게 명중하면 발사체가 여러개로 분산되며 색이 하얗게 변하며 적에게 적중하면 다시 몇차례 피해를 주는데 약간의 유도성을 가지고있어 주변 가까운 거리의 적들도 공격해서 잡을수있기때문에 포인트 캡쳐 모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수이싸. 다만 너프 이후 뎀지가 약간 낮아졌다.
  • Laser Bouncer (레이저 바운서)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6→23→'''56'''
73→74
6→8
100→110
10.3.0 업데이트때 240코인의 가격으로 나온 리코쳇달린 프로토타입. 외형은 레일건. 좁은 곳에서 최고의 무기로, 발사시 주황색의 광선이 나가는데, 최종 업그레이드 시 '''헤드샷 한 방으로 풀갑옷은 그냥 개박살을 내버린다.''' 그리고 리코쳇 고유의 성질과 피어싱 샷을 이용한 연쇄킬을 만들어낼수도 있다. 이 무기는 수영장같은 좁은 곳에서 쓰는 게 좋다. 다만 조준 기능이 없어 원거리에선 사격이 힘든편. 가격은 꽤 비싸지만 해당 무기의 성능을 생각해보면 정말 굉장한 가성비가 틀림없다.
  • Heavy Shocker (헤비 쇼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2
98
70
115
생긴건 정수기같이 생긴게 데미지도 많이 주는데다가 발사하는 동안 주변도 공격하는 전기장을 생성한다. 의외로 캠페인에서도 득을 보는 능력. 대신 총을 지속적으로 쏠때만 이 구체가 생기므로 탄약 관리에 유의할 것.
  • Bad doctor (나쁜 의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3
87
10
115
11.0 업데이트로 등장한 신규 무기. 최초로 독 디버프를 주는 무기이다. 발사 시 궤적이 남고 연사력도 느리지만 오히려 안전성이 더 높으며 후술한 '독한 베인보다 더 다루기 쉽다. 다만 탄속이 굉장히 느리기 때문에 이걸로 저격할 생각은 말고 근거리에서 정확히 머리에 꽂아넣어주자. 독 데미지는 2~3회 입히는것으로 확인됐고 독 때문에 죽을 경우 사망 표시에 독병이 뜬다.
  • Acid Cannon (산성물질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5→22
91
18→20
100→110
은근 데미지를 잘 주며 연사력도 높고, 적 관통도 돼서 쓸만하다. 여담으로 특수무기 중 유일하게 금장 스킨이 있었으나 14.0.0 업데이트로 애니 낫 금장 스킨이 나오면서 유일하게는 아니게 되었다. 여담으로 예전 이름은 산성계곡이었다.
  • Toxic Bane (유독한 베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10
5
110
위의 미친 의사의 강화판이라지만 사실 더 다루기 어렵다. 독을 풍기는 범위가 은근히 작으며 곡사로 날아가며 명중률도 사실 그렇게 높지도 않다. 그래도 독 데미지는 더 강하게 준다.
  • Fidget thrower (피젯 스피너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3
82
16
7
전설적인
12.2.0 독립기념일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3가시 상태이상(독, 출혈, 화상)들 중 하나를 피격당한 상대한테 준다.
  • Adamant Spear (단호한 스피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
55
1
7
전설적인
13.2.0 때 나온 무기. 위 레이저 스피어를 색놀이한 무기다. 성능 자체는 좋은 편에 속하지만, 레이저 바운서와 반사경에게 밀려 그렇게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 Reflector (반사경)
능률
발사율
장탄수
무게
등급
28
64
8
11
전설적인
13.2.1때 나온 무기. 위 레이저 바운서의 색놀이 버전. 능률만 '''5''' 올랐다. 나머지 능력은 전부 똑같아서 왜 나왔냐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지만 데미지가 급상승을 하여 레이저 바운서에 죽지 않는 유저들을 골로 보낼 수 있다. 때문에 리코쳇을 잘 쓰거나 레이저 바운서 유저는 이걸로 갈아타자. 단 가격이 '''225'''보석이라는 점은 기억해 두어야 한다. 이후 15.4.0 업데이트로 데미지가 풀강한 레이저 바운서와 17이나 차이가 나게 되었다. 반사경이 레이저 바운서의 하위호환이 되어버리는 역참사가 일어났다.[29]
  • Music Lover (음악 애호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87
15
7
위대한
13.1.0 때 나온 무기. 위 피젯 스로워에서 상태이상을 빼버린 것이다. 피어싱 샷 때문에 좁은 맵에서는 좋으나 일반적인 맵에서는 어떤 상태이상도 없어서 그저그런 무기다. 350골드다. 15.4.0 업데이트로 풀강을 해둔 사람들은 56이라는 굉장한 데미지를 보게 될 것이다.
  • Mini alien spaceship (미니 외계 우주선)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94
12
11
위대한
13.1.0 때 나온 무기. 벽에 튕기는 투사체를 발사하는 무기다. 헌데 범위 대미지도 없고 헤드 대미지도 없고 대미지도 안아파서 비싼 코인을 요구하는데도 가성비측에선 위 음악 애호가보다도 더 후달린다. 가격은 무려 '''420'''골드.
  • Death Claws (죽음의 발톱)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8
83
15
11
13,3,0 때 나온 무기. 위 덫을 놓는 사냥꾼의 색놀이 버전이다. 덫놓사에 비해 치명률이 5 올랐으며 장탄수도 9 올랐다. 그외에 능력치들은 전부 똑같다. 물론 덫을 놓는 사냥꾼보다는 훨씬 강력하다.
  • Snowball (스노우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
80
1
90
말 그래도 스노우볼. 부케와 함께 픽셀 건 최고의 개그 무기. 이름처럼 스노우볼을 던지며 샌드박스 전용이다. 당연히 데미지는 있으나 마나한 수준이지만 이거에 죽을 경우 굉장한 굴욕이 된다. 여담으로 설날 상자 이벤트에서 열쇠 50개로 여는 파이터 상자에서 레벨 16 스노우볼을 뽑을 수 있는데 능률은 자그마치 '''35'''
  • Curse Spell (저주 마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7
70
1
9
13.1.0 때 나온 마법서 무기다. 독 마법과 똑같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독 대신 출혈 디버프를 가지고 있다.
  • Good doctor (굿 닥터 / 좋은의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77
14
70
나쁜의사의 색놀이 버전으로 나쁜 의사와 서로 상반되는 무기. 이 쪽은 독 디버프 대신 출혈 디버프와 함께 흡혈을 한다. 데미지 자체는 괜찮으나 탄속이 느려 상대에게 근접하거나 좁은 맵에서 사용하는걸 추천.
  • Poison Dart (독 화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67
1
90
나쁘지 않다. 비록 투사체긴 하지만 그 투사체가 아주 빠른 속도라 히트스캔이랑 비슷하다. 게다가 이속 하락에 독까지 붙어있고 무엇보다 사속이 느리지 않기 때문에 이속 하락으로 느려진 적의 머리를 노려서 제압할수 있다.
  • Sparkling Eel (반짝이는 장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81
5
75
예전 할로윈 이벤트 무기 스워머의 색놀이 버전이지만 성능은 완전히 다르다. 전자기식 대포의 상위호환으로 사속이 꽤 빨라서 몰려있는 적을 한꺼번에 처리할수 있다.
  • Lava Thrower (용암 투척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71
5
55
삭제된 무기인 네이팜 캐논의 색놀이 버전이자 동위호환 무기. 네이팜 캐논도 상태이상 패치 후에 괜찮다는 평을 받는데 이 무기는 네이팜 캐논과 완전히 똑같기 때문에 평이 좋다.
  • Captain (선장)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86
10
75
삭제된 무기인 작살 총의 색노링 버전이며 관통과 출혈을 지니고 있는 평범한 무기이다. 큰 장점이 없지만 단점도 없는 무난한 무기.
  • Nitrogen Sprayer (질소 분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1
89
80
65
가스 발사 장치의 색놀이 버전이다. 가격이 꽤 비싸지만 밥값은 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화염 방사기 답게 주변에 있는 사람을 엄청난 속도로 처리한다. 하지만 사거리가 모자라니 접근을 하고 쓰길 바란다.
  • Plasma Cutter (플라즈마 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6
91
10
70
레이저 디스크 스로워의 색놀이 버전이다. 화염 디버프와 빠른 사속덕에 학교맵의 복도에 갈겨주면 꽤 킬을 할수있다. 딜이 굉장히 세다. 자그마치 헤드 3방. 하지만 탄속이 존재하여 예측샷을 잘 해야 킬을 할 수 있다. 피어싱 샷이라는 특성상 좁은 실내 맵이랑 상성이 좋다.
  • Electric Vortex (전기 소용돌이)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9'''
98
70
70
테슬라 캐논의 색만 바꾼 색칠 놀이 버전.
좋은 특성인 중력을 가지고 있어서 좋아 보이지만, 이 무기는 픽셀건 희대의 쓰레기 무기이다.
사거리는 3칸으로 6~8칸의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 다른 방사기 계열 무기들에 비해서는 매우 짧고, 일반 범위 안에서는 약 10방으로 이 조차 심각하게 약한 편이며 최대 사거리에는 폴리곤 더미를 약 '''100~200방''' 이상을 때려야 겨우 죽일 수 있다.
일반 플레이어에게는 정확히 측정 불가 할 정도의 데미지를 가지고 있으나 약 '''200~300방''' 으로 추정된다. 옆 칸에 근접 무기 범위가 전기 소용돌이보다 넓어서 근접 무기로 옮기라는 말도 나오는 상황. 출시 된지 꽤나 지났음에도 여전히 버프를 받지 못한 것을 보니 큐빅게임즈도 완전히 잊은듯 보인다. 다만 이렇게 쓰레기 같은 성능 덕분에 유저 층에서는 재미 용으로 꽤나 많이 쓰이고 유튜브에서도 전기 소용돌이 관련 영상에서 전소는 매우 좋은 무기라며 유저들끼리 예능용 무기로 전락하였다.슬로우 강도가 상급으로 조정되는 버프 먹었다. 이젠 붙기만 하면 좋은 무기가 되었다. 붙기만 하면......(그냥 쓰지 말자)
  • Total Annihialation(완전 섬멸자)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69
7
80
15.6.0 업데이트의 최대레벨 45레벨 확장으로 인해 추가된 무기. 헤드 데미지가 없고 크기가 굉장히 작지만 풀강시 2방이라는 것이 이 무기의 성능을 굉장히 높여준다.
  • Hedgehog(고슴도치)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110
80
6
우르릉, 쾅! 하위버젼 하지만 그 나름 좋은 버그도 가지고 있다
방법은 1.떨어지면서 아래에 발사한다
2.이단점프를 한다
3. 반복
이렇게 한다면 7단점프까지 되며 제트팩이 없을때도 조금씩 날수 있다

7. 저격수 (Sniper)


저격용 무기. 원래는 스페셜의 일부였으나 지금은 개별분리 되었다. 몇몇 활 종류들은 옆동네 모 게임의 활을 대놓고 배껴왔으나 소송을 건 이후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활 종류와 줌이 없는 무기는 저격수 요새에 들고 갈 수 없다.[30])

7.1. 정규 무기



7.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31]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7.3. 기타


아직 신규 업데이터에 맞춰 재분류되지 못한 무기들.
  • Sniper Rifle (저격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
72
5
100
캠페인 월드 2-1 치킨맨 보스를 클리어하면 얻을수있으며 기본적으로 받는 저격총이다. 대미지는 답이없다. 10배율의 조준경이 지원된다. 모델은 영락없는 모신나강인데 어째 탄창이 클립형이 아니다.
  • Hunger Bow (굶주린 활)
치명률
공격
기동력
4
84
100
대놓고 상위호환이 2개나 존재하고 성능도 안좋고 강화도 불가능해서 그냥 쓰레기. 헝거게임의 활을 패러디한걸로 보이는 활이다.
  • Magic Bow (마법 활)
치명률
공격
기동력
7
84
120
위 무기의 상위호환형이나 이것도 또 상위호환형이 있기 때문에 필요 없다. 여담으로 말하자면 한때는 무한탄창 / 벽뚫기가 동시에 있는 사기 무기였으나 지금은.. 이후 화염 데미지 추가이후 엄청 세졌다. 현제는 삭제되었다가 상자에서 다시 뽑을수있게 부활하였다.
  • Crossbow (석궁)
치명률
공격
기동력
4→8→11
81
110→120
클래식 무기. 위 무기의 상위호환형이나 이것도 또 상위호환형이 있기 때문에 필요 없다.
  • Cupid's Bow (큐피트의 활)||치명률||공격||기동력||
16
83
110
조준경이 없고 범위 피해가 있는 활. 말 그대로 사랑의 화살을 쏜다. 샌드박스 전용무기
  • Tactical Bow (작전 활)
치명률
공격
기동력
7→13→18
91
100→105→110
활계의 상위 포지션. 4배 조준경을 갖고 18이라는 좋은 치명률을 가지고 있지만 이 무기의 가장 좋은 점은 장전 없이 지속적인 슈팅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끈질기게 따라다니며 저격을 시도할 수 있단 말씀.이 녀석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원거리 대공 대응 능력'''인데, 제트팩을 타고 맵 끝자락까지 간 유저를 대충 조준하고 이 활을 갈기면 잘 맞는다. 풀갑옷도 4~5방이면 버티질 못하고 천사가 된다. 지금은 릴리소프트 에서 약간의 에임 보정을 제거 해버려서 퇴물이 되어버렸지만 여전히 쓸만하다.
  • Thunder Spell (번개 주문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17
69
1
110→120
히트스캔 광역피해 대미지가 들어가는 방식의 번개 마법서 무기. 높은 기동성을 가진 고레벨들이 아니고선, 아니 고레벨이어도 피하기가 매우 어렵다. 적을 직접 조준하기 보단 이단점프 or 제트팩을 사용해 높은곳에서 적이 서있는 땅을 공격하는 느낌으로 몇번 때려준다면 적은 숯덩이가 되어있을것이다. 상위 호환 마법으로 그림자 마법이 있다.
  • Mr.Squido (미스터 스퀴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4→20
70→73
5→7
100→110
신사 차림의 오징어가 먹물 비슷한 액체를 쏘는 무기. 폭발 대미지가 있어 조준을 잘 못하는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특별한 장점은 없다. 장전할때 모자에 돈을 넣어주는 모습이 특이하다.
  • Guerrilla Rifle (게릴라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8→14
87
8→9
100
220코인에 살 수 있는 저격소총. 모델은 SVD. 데미지는 잔혹한 머리사냥꾼보다 낮고 연사력이 빠르다. 업그레이드는 2번 할수있긴 한데 후반에 좋은 무기들에게 묻힌다. 과거에는 가장 비싼 무기였다.
  • Brutal Headhunter (잔혹한 머리사냥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
76
7
100
150코인에 살 수 있는 저격소총. 모델은 그 유명한 베럿M82A1 초반구간에서도 구려서 겉보기에는 비싸기만 한 쓰레기 무기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프로토타입의 원조격인 무기다.''' 갑옷이 아예없던 구버전 픽셀건에서는 '''모든 무기중 유일하게 적을 한방에 처지할 수 있는 무기였였다.''' 하지만 그때 당시 픽셀건의 유저수가 지금보다 낮았고, 접은 구버전 유저들이 너무 많다 보니 지금은 퇴물이나 그래도 전설의 레전드 취급은 받는 프로토타입에 비하면 찬밥, 대안습인 셈.. 여담으로 발사음과 장전소리가 묘하게 간지난다. 이후 등급이 '흔한' 으로 내려가면서 더욱더 쓰이지 않게 되었다.
  • Dater Hater (커플 안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9
78→84
4→8
100→115
9.2.0 발렌타인 데이 업데이트때 추가된 저격형 석궁.[32] 10배 고배율 스코프가 달려있다. 원래 마지막 키스와 함께 발렌타인 데이때 추가된 무기였지만 10.0.0 업데이트때 사라졌다가 돌아왔다. 데미지가 낮기때문에 한방 헤드가 나지않으므로 조심할것. 고요함 옵션이 달려있기때문에 저격할때 위치를 들키지않고 잡을수있기때문에 암살형 저격플레이를 선호하는 유저라면은 추천한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16→21
67→69
4→5→6
100→110
가격은 320코인, 할인시 225코인.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든이라는 과학자가 에이리어 52에서 발명한 소총으로, 고든이 실험을 하다가 나온 핑크색 물질로 개발한 것이다.[33] 이 물질은 벽을 뚫는 특징이 있었으며, 곧바로 이 무기는 생산에 들어갔으나 중단되었다.
현재는 안티히어로와 반챔에게 한방 저격총의 자리를 빼앗겼으나 사람들이 여전히 애용 한다. 멀티에서 사기적인 성능을 보이는 것과 달리 캠페인에서는 그다지 특출난 성능을 보이지는 못하나, 보스를 사냥할때는 유용하다. 타 저격총에 비해 판정이 상당히 안좋기때문에 정확히 조준했는데도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사실 이는 거의 모든 벽 관통이 붙어 있는 총들의 공통점이며, 아직까지 해결이 안 된 버그 중 하나이다. 만약 자신이 무과금 유저이고 원거리 헤드샷 플레이를 즐긴다면, 아니 그런 플레이를 조금이라도 할 수만 있다면, '''이 무기부터 구비할 것을 적극 추천한다.'''
프로토타입의 레이저는 다른 레이저 무기들(안티 히어로 소총 등)의 레이저보다 가늘기 때문에 조준을 좀 더 신중하게 할것. 방어도가 낮은 레벨 1~10 구간까지는 바디샷도 모든 레이어들을 한방에 보냈지만 현재는 헤드 두방.
레벨이 높아져도 프로토타입은 한 방만 맞아도 상대 플레이어에게 치명상을 남길 수 있었다.
만렙이 돼서도 쓰는 사람들이 꽤 있다. 만약 자신이 저격 프로라면 스나이퍼 맵에서 다른 사람들은 5킬씩 하는데 혼자 20킬 0데스씩 하기도 하는건 옛날얘기. 지금은 헤드2대 맟춰도 안죽는다.
15.1.0 업데이트로 '레일건'과 '안티히어로 소총', '반 챔피언 소총'과 '프로토타입 S'등하고 사이좋게(?) 헤드샷 2방으로 데미지가 조정되었다.
13.0.0 업데이트 이후 치명률이 '''29'''에 탄창이 '''9''' 인 클랜무기 프로토타입 S 가 나왔다.
어느 업데이트 때인지는 모르지만 '''만렙 치명률이 24로 올라갔다.''' 만렙 유저도 헤드샷 한 방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15.5.0 업데이트로 다시 만렙 유저도 1방에 죽일 수 있게 됐다.
요즘 무기고에서 삭제됐다.
  • Electro Blast Rifle (전기 충격 라이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9
78
10→12
100
가격은 220코인. 저격소총에 넣기는 애매한 총이나 10배 조준경이 달려있다. 적이나 장애물에 쏘면 스파크 폭발이 일어나는데. 폭발 대미지에 히트스캔이라 이걸 잘만 이용하면 더블킬도 할 수 있다. 다 좋은것 같으나 이 무기는 헤드샷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적을 한번 맞추면 폭발 효과로 인해 적이 뒤로 밀려나기 때문에 저격의 기능도 떨어진다. 번개 주문서와 비교되는데 기동력이 120인 번개 주문서와 달리 조금 느린 대신 치명률이 조금 높은 편이다.
  • Impulse Sniper Rifle (충격 저격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6→24
87→88→89
9→10→12
100
가격은 180젬. 초반에는 별로지만 업그레이드할수록 점점 강해진다. 다만 업그레이드 가격이 '''274'''젬으로 더럽게비싸다. 옛날 버전에 처음 나왔을 때는 암살 기관총, 근절자와 더불어 대여 형식으로 쓸 수 있었다. 현 메타에서는 이거 살 바에 하단에 레일건이나 안티 히어로 라이플, 반-챔피언 라이플을 사는게 훨 낫다. 최근 패치로 삭제되었다.
  • Space Rifle (우주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3
82
7
120
간지나는 이름과 달리 가격도 비싸고 성능도 특출나지 못한다. 현재는 삭제된 상태. 12.1.1업데이트에서 다시 나왔는데 풀업 시 치명률이 23으로 올랐다.
  • Laser Crossbow (레이저 석궁)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
80
9
115
7
어딘가가 무척 애매한 총. 연사속도, 줌 크기, 벽관통까지 있지만 그 데미지 때문에 빛을 못 받는 총. 댐지가 많이 낮아서 보석템 스나임에도 불구하고 헤드를 2방이나 맞춰야 한다. 단 12렙[34]전까지는 데미지도 한방이고 높은 장탄수와 관통이 빛을 발해 리볼버식 운영이 가능하여 꽤 좋다. 에임만 좋아도 연승하여 10렙안에 루비 리그는 기본이다. 이후 15.5.0 업데이트에서 버프되었지만, 여전히 만렙 기준 1방이 안 나기 때문에, 별로 쓰이지 않는다.
  • "Sunrise" ("동틀 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7
88
24
120
레버액션방식 소총. 가격은 190젬. 특이하게도 공속이 매우 높은데 그 페널티 때문에 데미지는 저격총 치고는 많이 부족한 편. 이는 한방컷을 목표로 하는 저격총에게 있어서 굉장한 불이익이다. 애초에 보석으로 파는 저격 무기를 살꺼면 반 챔피언 소총을 사는데다가 빠른 공속의 저격 무기를 쓸꺼면 비슷한 가격의 아스트랄 보우를 사지 아무도 이 무기를 쓰지 않는다. 이 무기를 사는 거 자체가 굉장히 어리석은 셈. 수집가가 아닌 이상 구매할 생각 말도록.
  • Poison Hunter (포이즌 헌터)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7
87
8
110
위에있는 게릴라 소총과 하위호환하며 근접에서도 원거리에서 써도 괜찮다. 다만 동급 스나이퍼와 비교가될정도로 성능이 좋지않지만 독 효과가 그걸 보충해준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어느 게임져격수쓰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 Anti-Hero Rifle (안티 히어로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4→19→26
66→68
5→6
110
현재까지 희대의 극찬을 받으며 프로토타입을 능가하는 미친 대미지를 자랑하는 저격총. 초록색 레이저를 발사하며, 줌도 높고 데미지도 3번째로 강력해서 젬으로 사는것이 아깝지도 않을 정도. 색놀이인 반 챔피언 소총이 있는데도 건제할 걸 보면 대단한 무기. 하지만 17레벨이 되면 사실상 모든 저격수 무기의 상위호환인 '''반 챔피언 소총'''이라는 더 강한 사기 무기가 있다.
'''15.2.0업데이트로 옛날에 17레벨 안티를 뽑았던 사람들은 데미지가 31로 올랐다.'''
15.5.0 업데이트로 데미지가 버프되었다(최대 65). 반 챔피언 소총을 살 수 없게 된 이후로 구매 가능한 벽 관통 능력을 가진 저격총들 중 가장 강력하다.
  • Railgun (레일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4
75
7
105

프로토타입과 안티 히어로 라이플과 성능이 비슷한데, 이쪽은 빨간 레이저를 날린다. 풀업시 풀갑옷유저를 헤드샷 시 그냥 천국으로 보내버리는 절륜한 대미지를 자랑하고, 장탄수도 프로토타입이나 안티 히어로 소총보다 1 더 높다.[35] 하지만 이벤트로 17렙 레일건을 주면서 쓰는 유저가 대폭 증가하였다. 여담으로 판정이 상당히 기묘하여 윗부분을 맞췄는데 아래를 맞췄다고 뜨는 경우가 가끔 있다.
안티 히어로 소총과는 표기 데미지는 같으나, 발사율이 높을수록 한방 데미지가 낮아지기 때문에, 안티 히어로 소총이 우위에 있다.
  • Laser Bow (레이저 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5→22
79
1
110→120
활시위를 당겨서 활시위 중앙의 레이저 발사기로 레이저를 쏘는 원리인듯하다. 이 무기는 확실한 레이저 바운서의 상위호환이다. 대미지는 비슷하지만 줌이 달렸고 확실히 연사력도 빠르다. 그리고 이것또한 리코쳇이 되므로 외계인 블라스터, 레이저 바운서와 연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성능이 무척이나 좋아서 좋은 가성비를 자랑한다. 여담으로 상자까기 업뎃에서 파이터 상자에 나왔었다. 그런데 비슷한 스탯의 외계인 저격수 소총이 나오면서 살짝 빛이 바랬다가 다시 뜨고 있다.
  • Elf's Revenge (엘프의 복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1
77
8
'''130'''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때 나온 대물 저격소총. 높은 데미지와 빠른 연사력이 기본 옵션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다른 저격 무기와 대비되는 130의 엄청난 기동성이 특징이다.'''. 심지어 '''헤드가 한방'''이었지만 업데이트로 인해 두방으로 너프가 되어서 아무도 안쓴다.
  • Charge Rifle (충전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3
79
100
100
최초의 '''충전식 소총'''으로 에너지를 충전 후 일격을 발사한다. 탄창은 100발이나 되지만 1발마다의 데미지는 꼴불견일 정도로 처참하기에 최대 충전치인 25발을 충전해야 겨우 본전을 뽑으므로 실질적 장탄수는 4발. 참고로 설명에는 안 써져 있지만 벽 관통이 붙어있다. 만렙까지 코인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기에 무과금이라면 프로토타입 다음으로 쓸 만하다. 발사속도가 79지만, 풀차지를안하면 쓸게 못 된다. 이걸 들고 있는 적이 자신을 보고도 쏘지 않고 있다면 그건 충전 중인거다.
여담으로 충전 중이거나 풀 충전이라 손을 화면에 붙이고 있을 때 죽으면 손을 뗀 걸로 인식이 돼 레이저가 발사돤다. 적이 정면에 있다면? 똑같이 죽는거다.
또 다른 여담으로 충전식 저격총이라는 점이 모 게임저격수를 연상케 한다.
  • Semi-Auto Rifle (반자동 저격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4
93
18
100
3발씩 끊어쏘는 붉은 저격소총. 의외로 3발 전부 맞추면 본전은 뽑는 무기이나 1발당 데미지는 약해 별로 안 쓰인다. 여담으로 불펍식이다.
  • Photon Sniper Rifle (광자 저격수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76
7
110
최초의 화염 지속피해 저격총이다. 광자 시리즈가 그렇듯 이녀석도 화염 지속피해를 가지고 있다. 탁월한 가성비와 화염 지속피해라는 옵션으로 압도적인 위력을 발휘한다. 성능이 좋은 광자 시리즈중 하나이다. 2018년 9월 기준으로 3000점대에서도 쓰이고 있는 중으로 그나마 널리 쓰이고있는 광자 시리즈 총기이다.
  • One shot (원샷)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5→29
51
4
100
12.5.0때 나온 저격소총. 이름 그대로 어딜 맞추든 '''한 대만''' 맞춰도 조상이랑 하이파이브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죽창이지만 반챔을 얻기 전까지 쓰다가 버려지는 불쌍한 총. 근데 시즈 모드에서는 가끔 한 방 컷이 안 나서 조금 애매하지만 엄청 많이 보이는 총 중에 하나다. 그러나 데미지에 너프를먹어 벽도 뚫리는 반챔이 더좋다. 그리고 한방컷이 안난다. 그런데 반챔없는 사람들은 다 이거써서 나중엔 전투시 원샷유저들로 우글우글하다..
15.1.0 업데이트로 헤드샷 한대로 다시 상대를 하늘나라로 보내버릴 수 있는 유일한 총이 되었다가 다시 너프먹어서 데미지 비교해보면 반챔의 절반정도밖에 안되었다가 15.4.0 버전 기준으로 풀강시 만렙 몸통을 맞추어도 상대를 천사로 만들어 버릴 수 있게 되었다.[36]
15.6.0 업데이트로 황금 스킨이 나왔는데, '''매우 멋지다'''
  • Future sniper rifle (미래의 저격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17→25
73
15
11
네트워크만 연결되어있으면 210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살수있다.
데미지도 25라는 낮지 않은 수치에 15발이라는 매우 넉넉한 장탄수로 무장된 저격총. 게다가 '''코인'''으로 살 수 있는 무기이기에 가성비가 꽤 좋다. 여담으로 데스티니에 나오는 무기개발사인 해케사의 무기 컬러링에서 색을 따 왔다.
  • Astral bow (아스트랄 보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87
1
8
13.1.0에서 나온 무기. 생김새가 정말 아스트랄하게 생겼다. 관통성능이 있고 탄창보급량도 넉넉하고 연사력도 적합하기에 난전에서든 원거리에서든 잘 쓰인다. 다만 자체 딜은 높지 않은데다가 결정적으로 조준경이 없다.
  • Adamant Sniper Rifle (단호한 저격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89
10
12
게릴라 소총의 색놀이 버전. 성능이 두배로 좋아졌으나 가격이 너무 애매하다.
  • Sakura (벛꽃)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6'''
98
20
11
반자동 저격총의 색놀이 버전. 발사율이 98이라 이게 전탄을 다 맞아도 특출나게 아프진 않은 수준이다. 특히 특유의 반자동 성능 때문에 맞추기는 더 어렵다. 발사율이 수정되어야 잘 쓰여질 것 같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8
64
15
11
위 Mr. Squido의 색놀이 버전이다. 4배 줌이 없어진 대신 대미지가 7 오르고 장탄수도 8 올랐다. 줌이없기 때문에 멀리 있는 타겟들은 맞히기가 매우 힘들어 중거리 저격을 해야 하는 등 다른 저격 무기들과는 '''확연히 다른 플레이 스타일을 선보여야 한다.''' 이와함께 엄청난 범위피해의 특성이 맛물려 수영장 파티같이 작은 맵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37]
다른 사기 저격총이 너프먹는 와중에 작은 크툴루는 크게 너프먹은 적은 '''아직 없다.''' 다른 말로 예기하자면 채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이 무기도 '''은근히 사기 무기라는 소리.''' 발사속도, 데미지, 장탄 수 등 줌이 없다는 점 외에는 사기 총이 되기 위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
스폰 후 잠시동안 무적 시간이 있는 것을 이용해서 이 총으로 로켓점프를 해 수영장 맵에서 바로 지붕으로 올라온 뒤 저격을 시작할 수도 있다. 범고래 급은 아니지만 그런 면에서도 생각보다 괜찮은 이론상 만능 스나이퍼.
  • Wyvern (와이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0
77
14
7
13.2.0 에 나온 그나마 색놀이 버전이 아닌 총이다. 치명률이 30이고 장탄수도 꽤나 높고 독 상태이상을 들고 있어서 상위권에서는 꽤나 쓰인다. 그리고 기동력이 저격총이라고는 보기 힘들정도로 높은 편이다. 모양과 색깔을 봐서 방사능 총 같다. 높은 발사율,많은 탄창 덕분에 막 난사하고 다녀도 된다. 30이라는 높은 능률 덕분에 이렇게 높은 발사율에도 불구하고 '''거의 헤드가 한방이다.'''[38]가격도 나쁘지 않지만 뭔가 포지션이 애매한 총이다.
배틀로얄에선 더럽게 높은 똥파워와 높은 독딜, 그리고 넉넉한 탄창으로 인해 깡패총이 돼버렸다.
모델은 게파드 M6 Lynx로 추정.
  • Shadow Spell (그림자 마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7
70
1
7
13.1.0 때 나온 마법서 무기. 위 작은 크툴루와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크툴루보다는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크툴루보다는 발사 속도가 빠르고 장전도 필요 없으며 무게도 가볍고 공격 범위도 은근 넓은편이라 제트팩을 매고 하늘에서 폭격하면 킬수가 미친듣이 쌓인다. 매우낮은 185젬으로 판매되며 이 무기만 들면 고수 취급 받을 수 있다. 특히 마법사 지팡이, 흑마법사 지팡이, 죽은별과 함께 사용하면 엄청난 대학살을 할 수 있다. 마법서에서 가장 대우받는 사기 무기. 15.1.0 업데이트로 딜 너프를 당해버렸다.
  • Eva (에바)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9
77
16
11
상자 이벤트 무기. 모습 자체는 충격 저격수 소총의 색놀이인데 성능이 완전히 다르다. 우선 원본인 충격 저격수 소총과 발사속도가 달라져서 와이번과 동일하다. 여담으로 이름과 디자인은 에반게리온의 초호기에서 모습과 색깔을 가져온것이다. 업데이트로 이제 전투 패스에서 획득 가능하다. 적을 총 3번쏴야 죽게되는것으로 변경.
  • Supercharged Rifle (과급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3
77
10
11
13.5.0 패치 신규 무기로 가격은 285젬. 32렙에 언락되는 전기 폭발 라이플의 색놀이로 능률이 상당하여 모든 적들을 한방 컷 내버린다. 게다가 광역이라서 동시에 적을 한 방에 보내버릴 수도 있다.
15.1.0 업데이트로 적 플레이어를 3번 쏴야 사살할 수 있게끔 딜능력이 하향되었다.
  • Alien sniper Rifle (외계인 저격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1
61
15
75
13.5.1 패치로 등장한 외계인류 무기이다. 처음에는 평범한 무기였으나 패치후 '''97'''의 연사력으로 엄청나게 상승했다. 그러나 피해량이 애매하고 레이저가 너무 튀어서 무섭게 쓰이진 않았다.
15.1.1 업데이트로 연사속도가 61로 조정되었다. 그런데 이거 하나만 조정했는데 '''반 챔피언 소총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 Bone Sniper Rifle (뼈 저격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9
76
8
65
13.5.1 패치로 등장한 원시인 무기. 고배율 스코프에 평벙한 데미지 출혈로 무엇 하나도 꿀리지 않는다.
  • Shaman's Bow (주술사의 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0
64
1
85
피젯 스로워에 이어서 랜덤 디버프를 장착한 무기. 두방컷이 나지만 디버프로 남은 체력을 깎아서 나쁘지 않다.
15.2.0업데이트로 '''헤드 한방으로 적을 천사로 만들어버릴수 있는 원샷급 무기'''였으나 다시 너프되어 2방으로 줄고 잘 안보이게 되었다가 다시 원샷이 되었다.
  • Neutraizer (중화 장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1
90
15
70
일단 굉장히 강한 DPS를 자랑한다. 데미지는 한방이 아니지만 그걸 뒷받침하는 연사력이 장난이 아니라서 살상병기가 된다. 다만 정신나간 발사율에 비해서 탄창이 너무 적다. 연사력과 탄창, 그리고 데미지가 적당한 와이번에 비해서 한 탄창이 순식간에 비워진다.
  • Arch Angel (대천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6
84
1
70
전술 활의 색놀이 버전이다. 원본에서 데미지가 올라가고 가젯 블로킹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방공무기가 되었다.
  • Gauss Rifle(가우스 캐논)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
71
6
50
15.6.0 최고레벨 45레벨 확장에 의하여 새로 나온 총이다. 피어싱 샷과 4배율이 달려있다.
상대를 두방 컷 내는 공격력과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애매한 연사력을 가지고 있다. 적을 관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크게 유용하지는 않다.
장탄수가 6발로 살짝 넉넉하고 느릿느릿하게 장전하는 다른 저격총들과는 달리 장전속도가 꽤나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위치를 광고하기 십상인 레이저 기반 저격총들에 비해 눈에 잘 띄지 않는 무시 못할 장점도 있다.

8. 중화기 무기 (Heavy)


6번째에 위치해있다. 주로 폭발물과 상당한 범위를 지니고있다. 주로 중,근거리에서 많이 쓰이는 무기다

8.1. 정규 무기



8.2. 이벤트 무기


Trader's Ban[39]이나 특정 테마 기간에만 판매하거나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무기들이다.

8.3. 기타


아직 신규 업데이터에 맞춰 재분류되지 못한 무기들.
  • Signal Pistol (신호탄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9
49
1
100
흔함
''' '''
맨 처음 지급되는 총.
데미지가 좀 심하게 약해서 맨 처음 플레이 할때와 죽음의 게임 모드에서만 효과를 본다. 죽음의 게임에서는 적들에게 한방만 맞춰도 죽일 수 있지만 맞추기가 굉장히힘들다. 최근 업데이트가 되면서 엄청난 버프를 먹었다.
  • Grenade Launcher (유탄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4
60
'''1'''
110
흔한
대놓고 상위호환이 몇개씩 존재하는데다 가격은 135코인이나 하는 가성비 최악의 무기. 모델은 M79. 그나마 옛날에는 아래에 화염폭풍이 이 무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 사는 사람은 있었지만 후에 다른 무기로 개별분리 되면서 버려졌다.
  • Apocalypse (아포칼립스 / 파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4→8→12
10
'''1'''
100→110
흔하진 않은
AT4가 모티브인 로켓 발사기. 장탄수도 1발이라 한번 쏘면 끝이지만 연사력이 '''10''' 이었다가 '''15'''로 고쳐졌으나 이것도 그다지 높은 연사력은 아니라 풀갑옷 유저도 2~3방으로 죽일수있다.
  • Anti - Gravity Blaster (반중력 우주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5→8→14
74→76→77
6→8→9
120
흔하진 않은
가격은 모두 합쳐 봤자 365코인 120젬이며, 성능은 이와 동가격인 무기보다 훨씬 뛰어나다.[40]9발이라는 절륜한 장탄수, 120이라는 높은 기동력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비록 레벨 27이후 부터는 무리여도 26까지는 실력이 받쳐준다면 학살 플레이가 가능할 정도
여담으로 총기 디자인이 포탈 시리즈포탈건을 매우 닮았다.심지어 발사음까지도 매우 비슷하다. 덤으로 현재는 삭제됐지만 멀티플레이 매치에서 애퍼쳐 사이언스의 테스트실 삘나는 맵도 있을 정도이니 그리고 연구소 맵에 있는 광고에서 이 무기는 중력 대포라고 광고하고 있다. 이 무기로 적들을 용암속으로 밀쳐넣으라고 한다. 옛날 이야기지만 이걸로 풀갑을 장착한 유저를 잡을려면 5~6발을 날려야 죽는데 그게 엄청 어렵다는 게 문제
  • Firestorm (화염 폭풍)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5→13→17
71→75
4→6
110
레어
모델은 밀코 M32. 한때 튜토리얼 무기로 잠깐 사용되었다. 반중력 우주총보다 비싼 주제에 스텟은 낮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는데, 2배 줌이 있어서 활용도는 더 높다기에는 유탄이 곡사 형식으로 발사돼서 결국 비슷비슷. 현재 삭제되었다. 이거 들고있으면 다른 유저에게는 로켓점퍼로 보인다.
  • Avalanche (아발란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2→17→24
95→97
30→45→50
100→105→115
레전더리
눈덩이를 쏜다. 일단 눈덩이 대포의 상위호환이라 성능은 괜찮지만 이거들고 전장에서 싸울 생각이라면 그냥 다른 걸 쓰자. 현재는 삭제되었다가 크리스마스 업데이트로 다시 나오긴 했으나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는 고드름 미니건으로보인다.
  • Alien Cannon (외계인 대포)
치명율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6→13→19
78→80→81
6→7→8
100→105→110
흔한
외계인 무기중 하나. 이것도 역시 총알이 통통 튀며 터지기까지 한다.
  • HIPPO (하마)
치명율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3→17→24
97
35→40
100→110
에픽
하마를 닮은 기관총. 데미지도 좋고 쓸만하다. 여담으로 그 하마가 아레나와 협동 서바이벌 맵 중 하나인 공포의 휴양지의 하마다.
  • Big Buddy (빅 버디)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13→19
31→36→40
3→4→5
85→90→95
본게임 최악의 기동성과 매우 느린 발사속도를 갖춘 무기. 하지만 모든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면 매우 강력한 데미지를 선사할 녀석으로 바뀐다. 얼마냐면 '''대포알[41] 한 방이면 한때 풀갑옷 유저들을 산산조각 낸다.''' 아쉽게도 10.1.0 업데이트때 사라졌다. 여담으로 현재는 사라진지 오래됐지만 갖고만 있다면 사용하는 유저들이 보인다.
현 픽셀건 버전에서 한방으로 끔살되는 폭발 무기가 없는 상황에서 빅 버디는 아주 유용하게 쓰이고있는 모양. 만약 아포칼립스 초기형으로 적들을 한방에 죽이는게 보인다면 무기 형태가 바뀌어서 그렇게 보일뿐이지 사실 빅 버디로 죽이고 있는 거다. 상단 킬 표시에 빅 버디 마크가 그 증거. 그리고 1.12 업데이트 이벤트로 다시 얻을 수 있게 되었다.[42] 그리고 기존 업그레이드가 코인 140개에서 보석으로 바뀌었다.
13.5.0 업데이트로 모든 무기의 대미지 분배방식이 달라져버렸다. 그런데 오히려 너프로 1방딜이 약화 되었다. 결국 나락으로 떨어졌다.
15.1.0 업데이트로 대미지 분배방식이 달라져 '''저 미친 한방딜을 다시 맛볼수 있게 되었다.'''
15.7.0 업데이트로 직격탄 딜이 98로 크게 감소해버렸다.
  • Hydra (히드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0→17
65→67
5→6
100
흔하진 않은
다연발 발사기. 성능은 그럭저럭 값은 하는 편. 장전 효과가 상당히 기묘한데, 위쪽에 뭔가 주황색 구슬같은걸 끼워넣는다. 쏠 때에는 여러개의 투사체를 순서대로 발사한다.
  • Mines Launcher (지뢰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0→17
88→89
12→15
100
흔한
유탄발사기. 하지만 위의 수류탄 발사기와는 차원이 다른데, 그 이유는 바로 '''연사력'''. 업그레이드해서 가지고 다녀 보자. 폭탄이 막 날아다닌다. 덤으로 못맞춘 분들을 위하여 지뢰 기능까지 있으니 한 번 뿌리면 펑펑하고 터지는 적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유탄의 폭파 대기시간은 최대 약 1.25초 가량. 뉴비들에게는 장난감 폭격기를 연상케 한다.
  • Fireball Spell (불덩이 주문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5→22
69
1
110→120
가성비 좋은 코인무기이다. 높은 데미지에 장전도 없어 사용하기 쉬운 무기이다. 최근 업데이트로 화염 데미지까지 더해져 사기가 된 무기. 하지만 폭발 범위가 꽤 짧다.어차피 개개인의 차이니깐 그리 신경쓰진 말자. 참고로 풀강시 불덩이 두세번만 맞아도 대부분의 적들은 잿더미가 된다.
  • ARMAGEDDON (아마겟돈 / 재앙)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1→17→23
71
4
100→105→110
레전더리
전체적으로 미사일 방사기의 상위호환. 엄청 비싸지만 제 값을 한다. 모델은 M202로켓발사기. 과거에는 파워가 MAX라서, 단 한 방에 플레이어들을 골로 보내버리는 픽셀 건 최강 무기 중 하나였다. 허나 지금은 제대로 묻힌 무기중 하나지만 어쩌다 쓰는 사람이 보인다.
이후 15.5.0 업데이트로 인해 최대 데미지가 65로 올라서 쓸만해졌으나 그렇게 많이 보이지는않는다.
과거엔 아포칼립스의 최종 강화형태였으나 업데이트 이후로 개별 분리되어서 돈 날린 유저가 상당히 많았다.
  • Dark Matter Generator (암흑 물질 생성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6→23
90→91
12→15
100
레어
플레이어들을 빨아들이는 암흑 물질을 발사하는 대포. 가격에 비해 성능은 별로다. 여담으로 총 모양이 하프 라이프에서 개발이 취소된 블랙홀 총과 유사하다. 골드로 구매할수있다.
  • Bass Cannon (베이스 캐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1→20
43
5
100
레어
디자인의 모티브는 세인츠 로우 4에 나오는 덥스텝 건. 발사시 형형색색의 파동이 나가는데 연사력도 그렇고 썩 좋지는 않은 무기인듯 하다. 과거에는 연사력이 낮은 강력한 무기였으나 현재 갑옷과 티아라, 체력장비들의 등장으로 몰락했다. 다만 이후 15.1.0 업데이트 이후 2방 무기가 되면서 쓸만해졌다.
  • Loud Piggy (시끄러운 돼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8→24
62
4→5
100
레전더리
돼지의 외침을 무기로 쓴다. 판정도 애매하고 장전속도가 느리기로 악명높았지만 최신 버전 기준으로 상대를 돼지 멱따는 소리로 단 두 발 만에 보내버릴 수 있게 되었다.
  • Nutcracker (호두까기 기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5→22
81
5
110
에픽
호두까기 인형의 이름을 갖다 붙인 총. 로켓발사기이기도 하다. 허나 이 총 살 바에는 아래의 스팅어를 사는게 훨 낫다. 현재는 삭제되었다. 1.3?정도에 다시 나오긴했는데 다른사람에게는 수류탄 발사기로 보인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2→17→25
79→81→83
4→5→6
110
레전더리
예전에 대여템이던 무기. 그 스팅어 맞다. 미사일에 유도기능까지 있는데다 25라는 정신나간 치명률과 6발의 장탄수를 합치면 그야말로 학살이다. 유도 기능을 사용하려면 미사일을 발사한 후 시야를 돌려보자. 미사일이 십자선을 따라간다. 근데 좀 조준하기엔 불편하다. 그래도 연사력이나 4배 줌 등은 괜찮으며, 잘 쓰면 확연히 좋은 무기. 다만 2번째 업그레이드 가격이 '''329'''젬이다.
'''이젠 이거 사는것보다 차라리 행운의 체스트 뽑기 하는게 더 좋을정도로 가성비 최악의 무기라고 현재는 불린다.'''
  • Solar Power Cannon (태양열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등급
13→19→23
67→70→72
5→7→10
110→120
레전더리
본격 위에서 서술한 반중력 우주총의 상위호환형. 노업글도 두방이면 루비갑옷 유저도 박살내는 데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정신나간 범위딜로 유저들을 학살하였다. 풀업하면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2차 업그레이드을 마치면 치명률 27의 절륜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업데이트로 치명률이 23으로 하향되었다가 이번 15.4.1업데이트를 거치면서 데미지가 62로 챔피언 태양열 대포보다 3씩이나 더 올라 챔피언 태양열 대포의 상위호환이 되어버리는 역참사가 일어났다. 하지만 어차피 딜은 둘다 두방이다.
PC버전에서는 이 무기가 구현이 됐지만 능력치는 다르다. 심각하게 하향을 먹은 것은 바로 단 3발뿐인 탄창. 하지만 장전속도가 매우 빠르다.
  • Dragon Breath (용의 숨결)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6→23→'''68'''
98
80→100
120
레전더리
엄청난 장탄수를 가졌고, 연사력과 데미지도 나쁘지 않다. 여담으로 추가 당시에는 '''30'''이라는 당시 픽셀건 최고의 치명률과 벽뚫기 버그까지 있기때문에 발사하면서 스폰지역만 쏘고있어도 사람들이 다 죽어나가는 희대의 사기 무기였으나 너프를 정말 제대로 먹어버리고 지금은 관짝에 처박혔다. 그래도 위 얼음 광선 소총보다는 조금 낫다.
  • Laser Minigun (레이저 미니건)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5→'''68'''
97
75
100
레전더리
'''297'''젬에 파는 무기. 프로토타입 레이저를 기관총급 연사력으로 발사한다. 발사체는 벽관통도 되며 그 데미지도 흉악하다. 데미지는 근~중거리 총 중에는 최상위권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탄퍼짐이 굉장히 심했다만 최신버전 기준으로 탄퍼짐이 매우 감소했다. 옛날 고랜이 나오기 전에는 픽셀 건 최강의 무기로 불렸으며, 여러 너프와 개선되지않는 집탄률로 퇴물이었다가 밸런스 패치 이후 집탄률이 개선되어 다시 그 미친 딜을 맛 볼 수 있게 되었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9→'''68'''
77
8
120
레전더리
유탄발사기의 최종 테크. '''29'''라는 상당한 치명률과 8발이라는 절륜한 장탄수, 120이라는 높은 기동성은 상대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준다. 다만 가격이 무려 '''310'''젬. 거기다가 잘 튕기지도 않고 그다지 멀리 나가지도 않으며 멀리서 맞추려면 조준도 어려워서 결론은 사용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 Ka-Boom! (카-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3→17→44
86→
8
100→110
레전더리
맨위 지뢰 발사기의 상위호환. 발사시 다이너마이트가 나가며, 성능은 지뢰 발사기와 같이 대충쏴도 잘맞는 점과 흉악한 데미지가 특징이다. 부가기능으로 바닥에 흩뿌리면 지뢰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아군에게 닿아도 터지기 때문에 적에게 쏘다가 아군이 눈앞으로 다가와 자폭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 Toy Bomber (토이 봄버 / 장난감 투척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2→17→23
82→84
6→8
110→120
에픽
생김새나 매커니즘이나 정크랫의 폭탄 발사기를 따라한 듯한 무기.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엄청 튕긴다" 라고 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장난감을 발사한다. 우르르 쾅! 보다는 탄이 작고 엄청나게 튕겨서 정작 자기가 쏘고 탄을 미처 못 보고 자폭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일어난다. 그러나 오히려 이 단점이 장점이 될 수 있는법. 일단 엄청나게 튕기기 때문에 반복 샷 임에도 불구하고 제트팩을 잡을 수 있으며, 좁은 맵에서는 그냥 학살무기다. 또한 연사력이 좋기 때문에 상대방의 멘탈을 폭격할 수 있는데 방법은 조금씩 뒷무빙 하면서 상대한테 갈기는 것이다. 그러면 상대방은 폭탄에 의해 계속 밀려서 제대로 쏘지도 못하고 죽어버린다.
  • Rocket Crossbow (로켓 석궁)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1→17→24
82→83
8→10
100→110
에픽
데미지와 장탄수도 나쁘지 않고 재장전 속도도 상당히 빠르지만 문제는 총알이 꽤나 느려 정확히 맞추기는 어렵다. 그러나 꽤 후한 광역 데미지가 있어 제트팩을 타고 다니며 아래로 밀집구역에 쏴주면 대단한 쾌감이 느껴진다. 다른 무기에 비하면 성능은 좀 떨어지나, 고수가 잡으면 하늘에서 총탄비가 빗발치는 것을 볼 수 있다.
  • Rocket Jumper (로켓 점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8
88
14
110
이름그대로 로켓점프용 무기이다
신화등급까지 업그레이드한다면 만렙유저를 2대에 태운다
  • Grenadier (그레네디어 / 근위 보병)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87
14
115
나왔을 당시 장폭을 제치고 엄청난 op무기였지만 너프 이후 마법사 지팡이가 등장하면서 쓰는 사람이 매우 줄어들었다.
  • Double Dragon (더블 드래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76
10
110
한번에 여러발이 나간다. 별로다.
  • Spark Shark (스파크 상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8→'''74'''
87
10
115
신화적인
32레벨부터 획득 시 치명률 '''74'''이라는 괴악한 데미지를 자랑하며. 빠른 연사력으로 적을 압도하나 단점은 투사체가 느린데다가 장전 시간도 느리고 폭발 범위가 타 중화기 무기들에 비해 50퍼센트 좁지만. 상대 적을 느리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같은 팀원에게 좀더 손쉽게 적을 사살하게 만드는 기회를 만들어 줄수도 있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0
74
8
110
에픽
발사 시 벽에 붙는 점착 폭탄을 발사한다. 연사력이 느리고 사정거리도 얼마 되지 않지만 벽이 많고 판정이 애매하다 싶은 곳에 3~4발 쏴붙여주면 진정한 지뢰가 완성된다. 점착폭탄 폭발 대기시간은 6초가량. 그전에 적이 부딪히면 폭발한다.
15.1.0 업데이트로 탄창이 '''3''' 늘어나는 버프를 먹었다. 이것으로 채용률이 조금 상승할지도?
  • Charge Cannon (충전식 캐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4
27
125
110
에픽
마치 자리야의 입자포를 떠오르게 하는 무기. 하지만 원거리 공격밖에 불가능하며 충전식으로 공격한다. 임팩트가 상당히 강렬한게 특징이며 충전중일때 앞부분의 날개 부품이 움직이는 것도 깨알 디테일.이 무기의 가장 큰 단점은 충전중엔 점프를 못하여 점프하려다 자폭할수있는 점이다.에초에 탄속도 느려서 맞추기도 힘들지만 풀 충전시에는 한방에 천국으로 보내줄수있는 강력한 무기.
  • Big Fatality Gun (빅 페이탈리티 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28
70
12
전설적인
12.1.0때 나온 무기. 위 충전식 캐논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범고래가 데미지를 자신한테 주지 않는 대신 로켓점프가 막히게 너프되면서 이 무기가 떠오르고 있다. 데미지는 1~2씩 들어가는 대신 범고래만큼이나 점프 높이가 놓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데미지가 44인데도 풀차지하여 상대에게 발사할 시 '''한방컷이 난다.'''
  • Ghost Lantern (고스트 랜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1
'''15'''
4
110
에픽
줄여서 '''고랜''' 이라고 도 부른다.
마인크래프트의 가스트를 닮은 파란색 유령을 쏘아 보내는 무기. 무서운 학교나 수영장 같은 좁은 맵에서의 복도에서는 그 성능이 빛을 발하며, 업그레이드를 하지않아도 풀갑옷까지 순식간에 기화하는 적들을 볼 수 있다. 유일한 걸림돌은 느릿느릿한 발사속도. 과거에는 고랜발사후 속히 다른 무기로 바꾸고 다시 고렌을 쏘는 스왑 스킬로 연타력을 커버할수 있었으나 현재 스왑은 막히게 되었다. 킬이 막히고 범위가 너프되기 전까지 픽셀 건 사상 최악의 밸붕 총으로 악명을 떨쳤었고, 이 때문에 외국 위키의 고스트 랜턴 댓글창은 한때 고랜을 욕하는 글로 가득 차 있었던 적이 있었다.
더군다나 몇몇 고렌 유저들은 이런 개사기 총을 등 뒤에 업고 여러 무과금들에게 인성질 시전을 해 픽셀 건 총들 중 안티가 가장 많은 총이 되었다. 라이벌격인 같은 태양열 대포와 비교 해보자면, 데스매치 같은 개인전은 고스트 랜턴, 팀 배틀 같은 경우는 태양열 대포가 좋다. 여담으로 유령을 발사한 뒤 유령에 전자기식 대포를 맞추면 유령의 이동경로에 따라서 전자석 캐논의 총알도 함께 폭발하며 이동한다. 이를 전술적으로도 써 보자. 너프로 범위가 절반 가량 줄어들었다.
13.5 버전에 밸런스 시스템이 바뀌면서 데미지가 급감하여 퇴물이 되었으나 15.1 버전 업데이트로 다시 데미지가 롤백되었다.
  • Wizard Wand (마법사 지팡이)
치명률
발사속도
기동력
21
83
120
말 그대로 마법지팡이. 원래는 Archmage Dragon Wand(대마법룡 지팡이)라는 간지삘나는 이름을 가졌으나 지금은 이모양이 되었다. 당시 마법 활과 같은 운명을 겪고 12.1.0업데이트로 사이좋게 다시 나왔는데 예전에 호구같은 모습을 버리고 새롭게 탈바꿈을 했다. 범위 공격이 조금 넓어서 듬성듬성 쏴도 앵간한 플레이어들이나 몹들은 다 맞는다. 데미지도 굉장히 흉악한데다가 '''히트스캔이다.''' 사실상 스왑 유저들의 하드 카운터다. 여담으로 이 녀석의 부활과 동시에 상위호환이었던 흑마법사 지팡이는 버프를 제대로 받지못해 오히려 호구에 등극하는 '''역참사'''가 벌어졌다. 그러나 마지는 판정이 흑마법사 지팡이에 비해 터무니없이 좁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너프되었다.
하지만 다시 버프를먹고 초사기가 되었으나 15.1.0때 흑마지가 높은 딜, 넓은 판정으로 제대로 상위호환으로 부활하고 심지어 15.9.0 업데이트로 등급이 강등되어 풀강해도 45라는 데미지밖에 못 가지는 관짝 신세가 되었다.
  • Dark Mage Wand(흑마법사 지팡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31
71
1
75
전설적인
위의 마법사 지팡이의 상위 호환버전. 마법사 지팡이와 함께 10.0.0에 삭제 되었다가 12.1에 부활한 마지와는 달리 영영 버려졌다. 다만 가지고 있다면 쓸수는 있다. 13.5.0 까지는 넓은 범위와 괜찮은 딜링으로 써먹을수 있었으나 13.5 이후에 데미지 분배방식이 달라져 데미지가 급감하여 퇴물이 돠었다. 그러다 다시 15.1에 무기 데미지 분배방식이 달라져 예전처럼 2~3방만에 유저를 보내버릴수 있게 되었다.
게임이 시작하고 나서 처음 3~4대는 상대에게 데미지가 안 들어가는 버그가있는데 이는 허공에 몇번 쏘면 해결된다.
  • Piranha (피라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9→'''65'''
68
4
70
전설적인
만렙시 '''65'''이라는 미친 치명률과 6연발에 모두 맞을 시 '''레벨에 상관없이 즉사'''하는 무기. 덕분에 490코인이라는 미친 가격을 자랑한다. 한 발당 6개의 로켓을 발사한다. 이것이 단점으로도 작용하는데, 로켓을 다 맞추기 힘들다. 하지만 이정도는 실력이 된다면 커버가 가능한 수준이며, 연발인 덕에 상대방의 체력이 적을 때 끝내기가 쉽다는 점과 미사일 탄속이 굉장히 빠르다는 등의 장점 덕분에 2018년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중화기중 하나로 그들 중에서도 가장 사용이 까다롭기 때문에 플레이어들에게 '실력무기'라는 소리를 듣는 무기이기도 하다.
  • Bomber Slinger (봄버 슬링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5
82
1
7
위대한
모양은 새총같이 생겼으며 유탄을 발사한다. 데미지가 수류탄 급이라 즉사에 가까운 피해를 내지만 공격속도와 장탄수가 낮아서 잘 쓰이진 않는다. 근데 이 호구같은 성능에 너프를 먹어 잘 보이지도 않는다.
  • Adamant Bomber (단호한 폭격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
84
12
7
전설적인
13.2.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장난감 폭격기의 색놀이 버전이다. 원본에 비해 치명률이 5 올랐고 장탄수도 2 올랐다. 나오자마자 상위권에서는 많이 쓰였는데 만렙을 겨우 네 방으로 보내며, 수영장 파티에서는 지붕 위에 올라가 스팸하는 것으로도 1등을 딸 수 있다. 코인으로 살 수 있지만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사용방법 등 자세한 내용들은 장난감 폭격기를 참조.
최근 엄청난 밸런스 붕괴 무기가 되었는데 17레벨 단호한 폭격기가 버그로 인해 적을 '''한 방에 처치하게 바뀌었기 때문.''' 덕분에 수영장 파티는 단폭으로 넘쳐나게 되었고 단호한 폭격기가 있는 팀은 거의 반드시 승리할 정도로 판을 치고 있다. 단폭으로 학살을 펼치는 유저를 "단폭충"이라면서 욕하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 굴러다니는 폭탄 하나하나가 빅 버디급 데미지가 됐는데 단폭을 안 쓰는 유저 입장에선 돌아버릴 지경이다.
게다가 이는 17레벨 한정으로 17렙 미만 단폭은 원콤이 나지 않아서 1.3.50 이후 단폭을 구매한 유저들은 받는 피해가 굉장히 막심하다.[43] 근데 최근에 다시 잠수함패치가 있었던듯하나, 여전히 강력하다.
  • Sly Avenger (교활한 복수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
88
12
7
전설적인
13.2.1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카 붐!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4 올랐고 발사속도가 1 올랐다. 그러나 15.9.0 업데이트로 잠수함 패치가 있었는지 갑자기 데미지가 3~4방으로 너프되었다.
  • Dragon King (드래곤 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68'''
99
90
70
전설적인
13.2.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용의 숨결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5 올랐다.에임이 좋아야 킬을 딴다. 에임 안좋으면 쓰레기.
  • Renegade (변절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68'''
80
14
75
전설적인
13.2.1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로켓점퍼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10''' 올랐다.
  • Killer whale (범고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87
18
6
위대한
13.2.1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스파크 샤크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은 2 줄었으나 장탄수는 4 더 올랐다. 스파크 샤크와 다르게 이 무기는 적을 관통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스파크 샤크보다 치명률은 줄었는데 수영장맵에선 이 무기를가지고 그냥 학살을 벌이는 유저도 있다. 한번 맞으면 스로우가 걸리기 때문에 적이 이걸 들었다면 멀리 튀자. 투사체의 속도가 꽤 느려서 멀리 피한후 저격무기로 뚝배기를 따주자. 참고로 이 무기에는 넉백은 있는데 자가피해를 주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여 로켓점프를 해서 공중에서 과급같은 걸로 갈기는 유저들을 볼 수 있다.
현재는 아예 무기보단 이동기가 되어버으나 15.9.1 현재 로켓점프 반동이 제거되었다.
  • Deadly beat (치명적인 울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55'''
16
75
위대한
13.2.1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베이스 대포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풀업기준으로 4 더 올랐다. 위력이 이름 그대로 '''치명적이다.''' 풀업기준으로 한 발당 대미지가 피통을 54칸 깎아버리는 상당히 위험한 무기다. 추가로 베이스 대포와 달리 이쪽은 장탄수도 12발인데 '''코인무기다.''' 때문에 상위권에서는 꽤많이 보이는 무기다.
  • Manga Gun (망가 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8
22
70
12
전설적인
13.3.0 때 나온 무기. 위 빅 페이탈리티 건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4 오르고 발사속도는 6 줄었다. 발사속도는 원본과 똑같다. 특이점으로는 풀차징 상태로 발사한 총알이 벽이나 적에게 맞을경우 '''BOOM!''' 이라는 텍스트가 나타난다.
  • Space Disinfector (공간 살충제)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등급
24
91
15
12
위대한
13.3.0 때 나온 무기. 위 암흑 물질 생성기의 색놀이 버전이다. 치명률이 1 오르고 발사속도는 1 늘었다. 그러니까 실제 성능은 암흑물질 생성기하고 그냥 판박이라는 소리. 그냥 진짜로 도색만 한 암흑물질 생성기다. 성능은 매우 괜찮다.
  • Earth spike Spell (어스 스파이크 마법)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9
77
16
11
13.1.0 때 나온 마법서 무기. 위 불덩이 마법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두번째로 클러스터 폭탄을 가지고 온 무기다.
  • Soul Thief (영혼 도둑)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3
79
6
65
13.5.0 패치 때 나온 무기. 스페셜 범주에 있는 고슴도치를 색깔만 바꾼 뒤 중화기로 옮겨 놓고 성능을 아예 바꿔 놨다. 출혈을 일으키는 구체를 발사하며 적을 관통한다. 하지만 비싼만큼 좋다. 일단 풀갑옷도 두방이다.
15.1.0 업데이트로 딜능력이 하향조정되었다.
  • Manticore (맨티코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5
80
6
65
13.5.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외계인 대포의 색놀이 버전이다. 아주 통통 튕긴다. 데미지는 꽤 좋다.
  • Military grenade launcher (군용 수류탄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5
72
4
70
14.0.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화염폭풍의 색놀이 버전이다.
  • Circus cannon (서커스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5
14
4
65
14.0.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위 빅 버디의 색놀이 버전이다. 15.1.0업데이트로 빅 버디와 같은 미친 한방딜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빅버디와 같이 발사속도, 장탄수, 장전속도 모두 느리다. '''심지어 15.9.0 밸런스 패치로 2방컷이 나게 되었다.'''
  • Energy Drill (에너지 드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3
21
70
65
14.0.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 8번째로 등장한 충전식 무기다. 강력하지만 충전식 무기의 고질적인 문제로 충전중엔 점프가 불가능하다. 좁은 맵에서 괜찮은 효율을보이지만 전혀 안보인다.
15.9.0 업데이트로 투사체가 터질 때 나오는 이펙트가 리메이크 되었다.
  • Primal Beast (원시 야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9
80
10
65
원시시대 세트무기. 뛰어나진 않지만 결코 나쁘진 않으며 화염 디버프 덕분에 한방컷은 발생하지 않아도 부활을 대기하는 상황 도중에 죽는 모습을 볼수 있다.
  • Eye of Ra (라의 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2
27
60
75
충전식 중화기이며 화염 데미지까지 갖고 있기에 풀차지된 상태로 맞으면 죽음은 확정이다.
  • Torpeado Launcher(어뢰 발사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
6
??
15.6.0 최고레벨 45레벨 확장으로 생겨난 무기로, 잠수함 모양을 하고 있다. 옆에 달린 두 개의 어뢰 발사기에서 어뢰를 한 번에 두개씩 발사한다는 것, 헤드 데미지가 없고 두방컷이라는 것, 그리고 360코인이란 것 외엔 밝혀진 바가 없다.

9. 죽음의 게임 / 캠페인 무기


켐페인 에서 보스를 잡으면 얻을수 있거나 죽음에 게임에서 쓸수 있는 무기.
최근 16.0.0 업데이트로 월드 4의 전용 무기가 생겨났으며, 이 무기들은 기간 한정으로 '상인의 밴'에서 구매할 수 있었다.
  • Uzi-Uzi (우지-우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
98
30
120
월드 1-1 농장 맵에서 나오는 경찰 보스 좀비를 죽이면 나오는 총.
이름대로 우지다. 기동력과 장전속도가 매우 빠른게 특징.
  • Old Revolver (낡은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
91
6
100
월드 1-3 도시맵의 경찰 보스를 죽이면 주는 권총. 리볼버답게 강력한 데미지를 갖고 있다. PGW에선 구입을 해야하지만 초반엔 아주 쓸만하다.
  • AK Mini (AK 미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
98
30
100
월드 1-4 병원맵에서 전기톱으로 무장한 좀비 보스를 죽이면 나오는 무기. 위에 AK-48 과는 다르게 소형화 버전에 연사력도 보다 빠르다. 모델은 AKS-74U.

  • Army Rifle (군대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
98
40
100
월드 1-5 다리 맵에서 보스를 죽이면 나온다. 전투 소총 디자인에 국방색 도색과 스코프와 유탄발사기 를 갖춘 무기. 40발 탄창에 3배 줌, 높은 데미지로 후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 Heavy Machine Gun (중기관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
98
100
90
월드 1-6 감옥맵에서 강도좀비를 죽이면 나오는 무기. 절륜한 장탄수로 언제나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서바이벌과 죽음의 게임에서도 나온다. 모델은 울티맥스 100 주의해야할점은 무게가 상당히 나가기때문에 서바이벌에서 사용시 잘못하면 몹들에게 따라잡혀 다굴빵당하고 순식간에 게임오버될수있다.
  • Double-barreled Shotgun (더블 배럴 샷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5
74
2
120
월드 1-7 공원맵 슬랜더맨 보스를 죽이면 나오는 무기. 말그대로 더블 배럴 샷건. 연사력은 좋지만 더블 배럴의 특성상 2발 탄환이라 눈 깜짝할새에 다 쓰게 되고 장전 시간도 오래걸리고 탄약을 모두(최대 40발) 모으기까지 정말 오래걸린다. 게다가 데미지도 애매해서 헤드샷 플레이가 많이 요구된다. 참고로 양쪽 포신 발사는 없다.
  • Alien Gun (외계인 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
92
8
110
'''한때 패스트 데스 이상의 무과금 보조무기'''
월드 1-8 에이리어 52맵 중무장한 외계인 보스를 잡으면 나오는 총. 8발 탄창을 가지고 있으나 데미지는 좋지 못하고 판정도 약간 이상한 편, 하지만 구버전때 이 무기는 캠페인 말고도 pvp에서도 사용 가능했다.
당시 패스트 데스는 싸긴 해도 3렙을 찍지 않으면 최고의 성능은 못 내었고 주 무기, 저격총에 돈을 다 써서 보조무기를 안 산 유저들이 많이 사용했다. 기본무기인 픽셀건보단 훨씬 좋을 뿐더러 장탄수는 8발로 높고 소소한 딜을 주어서 고수들도 애용한 무기.
  • 0xbadc0d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
90
12
115
월드 3의 최종보스인 버그를 죽이면 나오는 무기. 발사시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이진 코드빔이 나가는데 쏘다가 뭔가에 부딪히면 코드가 산화하는 이펙트가 나온다. 단점은 폭발 데미지가 없어서 적 근처에 쏘면 적이 그냥 튕겨나가고, 한발 한발 몸에 정확히 맞혀야 되는데다가 데미지도 꽝이라 쓰기도 불편하다. 다만 폭발 데미지가 없는 바람에 로켓점프를 할때 아주 편하다. 요즘은 패치로 인해 터질때 더 다양한 색의 폭발이 일어난다.[44] 위력이야 꽝이긴 하지만 슬로우 무기에 맞았을 때 긴급용으로 탈출할 수 있는 이동이나 회피용으론 꽤나 좋은 총이다. 다만 여러모로 테크닉이 많이 필요하다. 현재에는 범고래에 밀려 보기가 힘들다.

9.1. 큐빅 무기


가상 세계 챕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고유 무기들이다. 기존에 착용하는 무기들은 전부 이것들로 대체되며, 상인의 밴에서 기간한정으로 구매할 수 있다.
  • System Admin (시스템 관리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96
35
80
시작부터 지급되는 메인 무기. 연사력과 피해량 모두 괜찮아서 최종전까지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광역 피해가 달려 있지만, 범위가 매우 작아서 실질적으로는 장식에 가깝다.
  • Flash Drive (플래시 드라이브)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82
5
70
시작부터 지급되는 보조 무기. 패스트 데스, 용병, 리퍼와 동일한 메커니즘이다. 폭발성 투사체를 연속으로 3번 날린다. 광역 피해가 달려 있지만, 범위가 매우 작아서 실질적으로는 장식에 가깝다.
  • Disconnector (연결 해제 장치)
치명률
발사속도
기동력
65
89
70
쿠로타 2를 클리어하면 지급되는 근접 무기. 토마호크처럼 탄약을 소비하여 도끼 모양 투사체를 날린다. 관통 기능은 없다.
  • Network Streamer (네트워크 스트리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96
50
70
보급소 방어를 클리어하면 지급되는 스폐셜 무기. 화염 방사기로, 미니건 계열처럼 약간의 시전시간이 있다.
  • Antivirus (안티바이러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71
8
80
월드 4 - 3를 클리어하면 지급되는 저격수 무기. 줌을 하면 적의 위치를 투시할 수 있고, 탄환이 적을 관통한다. 또한, 지형지물에 반사된다.
  • BIG DATA (빅 데이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5
17
100
80
월드 4 -5를 클리어하면 지급되는 중화기. 대형 페이탈 대포, 캐넌 장전, 망가 건처럼 충전하여 발사하는 무기이다. 피격 시 출혈 , 중독, 화상 중 무작위 디버프를 건다.

10. 샌드박스 전용


샌드박스 전용 맵에서 사용하는 무기들. 참고로 샌드박스가 아닌 모드에서도 사용이 된다.
  • Just A Hand (그냥 )
치명률
속도
기동력
'''0'''
95
120
샌드박스를 시작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무기. '''0'''이라는 치명률을 가지고 있으나 애초에 공격무기가 아니므로 별 상관은 없다.
  • Mr.DeeJay (Mr.디제이)
치명률
속도
기동력
6→16
77
110→120
샌드박스 전용. 샌드박스 무기답지 않게 상당히 강력하다. 그리고 탄창이 '''무한이다'''. 사용하면 '(내이름)은 (옆의 사람 이름)과 춤을 춥니다'라는 표시가 뜬다. 즉 춤추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무기 '''사실은 암살자 망토를 끼면 적들을 순삭시키는 무시무시한 무기다.''' 사용시 음표 효과가 쓰는 플레이어 기준으로 사방팔방 튀어나간다.
  • Fireworks Launcher (불꽃놀이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9
86
5
120
이름 그대로 발사시 폭죽이 터진다. 하늘에다 발사하면 멋지다. 참고로 샌드박스에선 이걸로 유저들을 밀칠수있다.

  • Balloon Cannon (풍선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7
78
8
110
말 그대로 풍선을 쏜다. 성능은 기대하기 어려우나 상대를 밀치는데는 좋다. 예전에는 지역피해가없었지만 최근 1.1.0.6? 업데이트때 지역피해가 추가되었다.
  • Bouquet (꽃다발)
치명률
속도
기동력
20
85
120
역시 샌드박스 모드를 위한 무기로 데미지는 기대할 수준이 못된다 다만 재밌는 점이라면 휘두를 때 꽃이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
  • Cupid's Bow (큐피드의 화살)
치명률
공격
기동력
16
84
110
샌드박스 모드를 위한 활로 상대방을 맞추면 사랑한다고 나온다. 신기하게 범위 데미지가 있다.
  • Hockey Stick (하키채)
치명률
공격
기동력
14→21
89
125
모습이 딱 하키채다. 그래서 들고있는 모습도 언제든지 하키를 칠것같은 모습이다. 신기하게도 치명률이 높다.
  • Snowball (눈덩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8
51
1
130
눈덩이인데 치명률은 다른 무기들보다 높다. 그러나 비록 치명률이 높다 해도 광선이 나돌아다니는 서버에 이거 들고 들어가는 것은 좋지 못한 짓이다. 다만 샌드박스 맵에서 눈싸움을 하기에는 좋다. 최근 설날 상자 이벤트에서 나오는 파이터 상자에서 16레벨 눈덩이를 뽑을 수 있는데 능률은 자그마치 '''35'''
여담으로 최근패치로 장전이 필요없이 던질수있다

11. 픽셀 건 월드 전용


3D의 PC버전인 픽셀 건 월드의 이벤트 전용으로 등장하는 무기들. 단위는 3D와 다르므로 유의.
현재는 베타 테스트가 종료되어 의미 없어진 항목이다.
  • Morgan’s Arquebus (모르간의 화승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
60
6
111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주무기. 산탄총이다. 공식 설정에 따르자면 헨리 모르간이 사용했던 산탄총으로, 모든 적들을 두려움에 떨게 했다고 한다.
  • Blackbeard’s Pistols (검은수염의 쌍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7
103
12
125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보조 무기. 검은 수염이 결투에서 쌍권총 여러 자루를 들고 싸움에 임했다는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
  • Jamaican Madness (자메이카의 광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
667
100
121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스페셜 무기. 화염 방사기의 포지션을 가지고있다.
  • Sea devil (바다의 악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60
30
8
86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중화기. 현재는 사라졌지만 모바일판의 빅 버디처럼 엄청난 치명률을 자랑하는 대신 기동성이 매우 낮다. 유저들은 빛의 검, 어둠의 검의 하이점프를 이용한 스왑을 사용한다.
  • Silver’s Musket (실버의 머스켓)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00
24
1
81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저격소총. 롱 존 실버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8x 조준경이 달려있으며 200이라는 치명률로 모든 플레이어를 한방에 끔살시킬 수 있다. 다만 단발이라 잘못 맞추면 끝장.
  • Sparrow’s Sabre (스패로우의 세이버)
치명률
공격속도
기동력
108
90
130
해적 이벤트로 등장한 근접무기. 이 무기가 성능쪽으로 빛의 검과 어둠의 검에게 밀려 쓰는 사람을 볼 수 없다.
  • Chubacca's Crossbow (츄바카의 석궁)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
60
10
105
우주 전쟁 이벤트로 등장한 저격 무기. 우키 보우캐스터를 모티브로 한 석궁.
  • Light Swords / Dark Swords (빛의 검 / 어둠의 검)
치명률
공격속도
기동력
150
100
121
우주 전쟁 이벤트로 등장한 근접 무기. 하지만 이건 지금까지 팔고 있다. 빛의 검은 푸른색, 초록색이고, 어둠의 검은 둘다 붉은색이다. 예전엔 가격이 28900원 이었으나 최근 패치로 인해 85000원으로 인상했다. 추가 능력으로 점프 높이가 올라간다.
  • Shuriken Minigun (수리검 미니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1
231
25
115
쿵푸 이벤트로 나온 주무기. 팔에 끼워 수리검을 발사하는 석궁 형태의 주무기. 피어싱 샷도 같이 달려있어 적을 관통한다.
  • Tiger Claws (호랑이의 발톱)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3
113
20
115
쿵푸 이벤트로 등장한 보조 무기. 호랑이의 앞머리처럼 꾸민 총. 한 번 쏘면 한번에 3발의 총알을 발사한다. 격자를 향한 총알은 직선으로, 다른 2개는 각각 왼쪽, 오른쪽 대각선을 향해 발사된다. 연발로 발사할수록 격자가 벌어져 명중률이 떨어진다.
  • Water Spirit (물의 정신)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
554
60
111
쿵푸 이벤트로 등장한 스페셜 무기. 수룡의 형상을 한 화염방사기형 무기이다.
  • Dragon Cannon (용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0
42
6
105
쿵푸 이벤트로 등장한 중화기. 용의 형상을 한 바주카포이다. 발사한 탄알이 폭죽과 같은 효과의 빛를 낸다. 리코쳇 효과가 있어서 탄알이 벽에 붙이치면 반사된다. 그런데 탄알의 속도도 빠르고 리코쳇도 있어서 좁은 곳이 아니면 잘 맞지 않는다. 그래서 넓은 곳에선 목표물을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
  • Dragon Bow (용궁)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3
40
1
100
쿵푸 이벤트로 등장한 저격 무기. 여러가지 장식을 단 활. 화살촉에 폭죽을 붙혀 지역 피해 효과가 있다. 줌은 6x줌이다. 실버의 머스켓처럼 1발은 아니고 활이니 장탄수가 1발로 표기되어 있다. 활 류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격자가 표시 되어 있어 사격하기 더 쉽다.
  • Fantasy Sword (판타지 소드)
치명률
공격속도
기동력
161
60
111
쿵푸이벤트로 등장한 근접무기. 이전에 등장한 Sea Devil은 치명률은 비슷했지만 기동력이 낮고 폭발이나 탄알로 목표를 맞추지 못하면 끝이고, Nutcracker는 위와 동일하고 탄창이 3발이 였다. 하지만 이 무기는 '''지역 피해까지 있다.''' 다행이 지역피해가 자신의 주위가 아니라 앞이라는점. 전방에 짧은 참격을 발사한다. 가격도 90000원. 하지만 현질러들은 이런 가격을 무참히 짓밟고 이 무기를 사용한다. 뭐 그나마 별로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다행이다. 왜냐하면 Dark Sword, Light Sword이 둘을 사용하기가 더 편하기 때문이다. 광선검으로 판타지 소드 유저들을 대항하는 게 가능해 사람들이 광선검을 더 애용한다. 여담으로 파이널 판타지 7에서 가져온것이다.

12. 클랜 무기


13.0.3 업뎃으로 클랜 시스템과 함께 추가된 무기들. 기존의 무기의 색놀이 버전이 많다. 각 등급별로 서술하기 바람.

12.1. 레어(희귀한) 무기


  • Veteran (베테랑)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4
97
80
11
영웅, 메크 중라이플과 같은 저사속 고화력의 메인무기. 데미지가 꽤 높기 때문에 잘 쓰면 꽤 강력하다지만 그래봤자 성능은 별로 안 좋다. 모델은 브렌 경기관총. 여담으로 게임 내에선 제향 군인이라 표시된다.
  • Flag keeper (깃발 수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4
84
16
7
"동틀 녘"의 색놀이 무기. 치명률이 3 낮아지고 장탄수가 4 늘어났다. 원래는 신화적인 등급에 넣으려 했는지 디자인이 신화적인 클랜 무기들과 비슷하다. 데미지 버프로 간혹 보인다.
  • Leader's sword (지도자의 검)
치명률
발사속도
무게
21
90
6
쉽게 얻을 수 있는 만큼 호구 같은 능력치를 가진 근접 무기. 클랜 무기들 중 유일하게 언커먼 등급에 속해있었으나 레어로 올라갔다. 디자인이 신화무기들과 비슷하다. 한국어로 보면 지도자의 검지도자의 검지도자의 검으로 출력된다.
  • Blighter (블라이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4
72
10
75
요새의 색놀이 버전이다. 클랜 무기면서 희귀한 등급이라 원본보다는 얻기 쉽지만 원본보다는 약하다.
  • Neon Fighter (네온 전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4
98
50
85
잠입자의 색놀이 버전이다. 원본도 원샷 메타 때문에 안보이는데 이녀석은 그것의 동위호환이니 그래도 주무기를 샷건으로 쓴다면 방어용으로 쓸수는 있다.
  • Warmaster (워마스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4
96
45
70
메크 중소총의 색놀이 버전이다. 원본도 고데미지 저사속인지라 그다지 좋진 않다고 생각하겠지만 결코 나쁜 무기가 아니다. 메가 건이라는 대체제가 너무 강하기 때문일뿐 결코 약하지 않다.

12.2. 에픽(위대한) 무기


  • Dino slayer (디노 슬레이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87
12
10
엄청난 파괴자의 색놀이 무기. 대미지와 연사력이 꽤나 쏠쏠하며 전체적으로 위의 중산탄총[45]이나 프레데터보다 좋다. 모델은 그 유명한 SPAS-12.
  • Secret Agent (비밀 요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95
18
4
히트맨 권총의 상위 호환. 줌기능이 4배로 강화되었으며 독 디버프까지 생겼다. 사실 약해보이지만 헤드4방이면 적들을 순삭시키는 무시무시한 무기. 쓸만한데다가 4배줌, 독 디버프,크지 않은 총성 등등이 겹쳐 쓸만한무기. 사실 해금난이도도 그리 높지 않다. 만약 난전중에 주무기가 재장전을 해야한다면 써보자.
  • Chip sword (칩 소드)
치명률
공격속도
무게
35
89
6
공격할때마다 근처에 전기장을 생성하는 근접 무기. 데미지도 강하고 공속도 빨라 클랜전에서 유용하다
다만 헤드샷 판정이 없다는 점은 아쉽다.
  • Void ray rifle (무효 광선 소총 / 공허 광선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99
60
7
태양광 소총의 상위 호환. 데미지도 그럭저럭 잘 들어가며 가젯 무효화가 달려있어 생각보다 유용하게 쓸수있다.
실질 DPS는 꽤 높다. 한국어로는 무효화된 광선검으로 출력됐다.
  • Vampire hunter (뱀파이어 헌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84
14
10
커플 안티의 상위 호환. 다른 점이라면 탄창수가 14로 늘어나고 출혈 디버프가 생겼다. 게다가 다른 대다수의 저격총들과 달리 이쪽은 '''탄퍼짐이 아예 없다.''' 명중률이 굉장히 좋은 총이다.
  • Soulstone (소울스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15
1
9
고스트 랜턴의 색놀이나 다름없으나, 디자인이 미묘하게 달라진 중화기. 이 총 때문에 고랜은 잘 안보이게 됐으나 최근 랭크전에는 고랜 대신에 이 총을 스팸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이 보인다. 그래서인지 패치로 클랜 상자에서 재료가 나오는 등급이 올라갔다. 역시 고랜과 똑같이 속도가 느려서 반응 속도가 빠르면 잘 피할 수 있다.

12.3. 레전더리(전설적인) 무기


  • Black mamba (블랙 맘바)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32
97
50
75
카사노바의 상위 호환. 높은 공격력 + 기존의 이속 감소 + 독이라는 무시무시한 조합으로 강력해졌다. 여담으로 이 무기의 발사음은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의 TMP와 동일하다. 장탄수가 50에서 30으로 너프를먹었지만 여전히 OP다. 거기에 4배율 조준경이 달려있어 지정사수소총처럼 활용도 가능하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CIWS. 그러나 15.1.2 버전 기준으로 '''탄창이 30발에서 다시 50발'''로 롤백되었다. 대신 DPS가 수직하락했다. 때문에 채용률이 조금 하락해버렸다.
결국 15.2.0 업데이트로 철퇴가 내려졌다. '''슬로우효과가 삭제되어버린것.''' 이로인해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져버렸다. 하지만 다시 탄창이 30발이 되는 퍄치후 36으로 오른 치명률에 힘입어 채용률이 엄청나게 높아졌다.
  • Mountain wolf (산속 늑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32
95
10
70
데저트 이글의 색놀이. 스코프가 4배로 늘어나고 데미지가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총성이 저격총급으로 크다.
  • Electrosphere (대전층)
치명률
공격속도
유동성
32
74
50
불의 오브의 색놀이 무기로 태풍 망치의 강화형 무기다. 다만 유동성이 너무낮다.
낮은 유동성 때문에 칼 파티 빼곤 거의 안 보인다
  • Frozen dragon (얼어붙은 드래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32
98
70
65
펫 드래곤의 색놀이 버전. 상상을 초월하는 데미지에 슬로우까지 걸리기 때문에 한 번 걸리면 살아 나올 가망이 없다.
15.1.2 업데이트로 딜능력이 14발 맞춰야 상대를 죽일수 있게끔 너프되었다. 그래도 강력해서 근거리에서쏘면 적들이 파랗게 산화한다.
단점은 유동성. 근접무기들고 최대한 붙어준뒤쏘자.
  • Prototype S (프로토타입 S)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32
59
9
50
프로토타입의 색놀이 버전. 장탄수와 데미지를 보면 완벽한 프로토타입 상위호환이다. 벽 뚫는 원 샷 정도의 사기성이 있으나, 해금 난이도가 최근 더 어려워져 쓰는 사람을 보기 힘들다. 업데이트로 안티 챔피언 소총이 너프되고 얘가 버프되면서 완전한 상위호환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극악의 해금 난이도는 여전하다.[46] 너프를 먹어 조준경이 10배율에서 4배율로 변경되어 장거리 저격에는 반챔라이플한테 밀린다. 그러나 15.1.0 업데이트가 되면서 탄창이 다시 9발로 롤백되었다. 대신 블랙맘바와 마찬가지로 한발뎀지는 약해졌으나 여전히 헤드샷은 한방이다.
하지만 16.5 패치때 갤러리라는 시스템이 생겨, 티켓 500개로 간단하게 구매가 가능해 예전보다는 사용자가 비교적 많아 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현재는 6발이다.
  • Hurricane (허리케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32
75
6
65
아마겟돈의 색놀이 버전. 13.5.0업데이트로 로켓 한발의 데미지가 수직상승해버렸다. 다만 판정이 많이 좁다는 단점이 있다.최근에 좀 보인다.
15.1.2 업데이트로 딜능력이 하락되었다. 이로 인해 채용률이 수직하락해버렸다.

12.4. 마이티컬(신화적인) 무기


클랜 시스템이 2.0으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클랜 등급이 생겨났고,[47] 이 등급에 따라 신규 클랜 무기들이 추가되었다.
이 무기들은 '''클랜 전쟁'''을 통해 얻는, 클랜 전용 재화인 '''은'''으로 구매하는 '''대형 클랜 상자'''와, 상자를 열수록 게이지가 올라가며 2000의 게이지를 다 채우면 열 수 있는 '''클랜 특급 상자'''에서 조각을 모아 얻을 수 있다.[48]
하지만 어째선지 구 클랜무기[49]들의 행방은 묘연해졌다...[50]

12.5. 나무 등급 무기


기본 등급인 나무 등급에서부터 얻을 수 있는 무기.

12.5.1. 목록


  • Excalibur (엑스칼리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99
90
11
자동 피스메이커와 유사한 디자인의 무기. 높은 공격력과 추가 방어력 버프, 그리고 최근 버프된 연사력으로 인해 '''1초만에 적을 녹이는 무시무시한 무기가 되었다.'''
하지만 모든 미니건 계열의 무기가 발사 전 딜레이가 생기는 '''미니건''' 옵션이 생겨 이 무기도 성능이 낮아졌다...
  • Reaper (리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65
5
7
특이하게도 5점사 다단샷 권총이다. 탄퍼짐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호구 무기였으나, 현재는 그럭저럭 나아진 편이다. -[51] 문제는 탄퍼짐이 아니다. 탄속이 느린 탓에 제대로 맞추기 힘들다...
방어구를 2 올려주지만, 이걸쓰느니 에픽등급의 비밀요원이 낫다.
로켓점프가 가능하다.
  • Power Fist (파워 주먹)
치명률
공격속도
무게
74
90
6
공격시 상대를 느리게 하기 때문에 밥값은 한다. 사실 슬로우 걸기도 전에 '''펀치 한방에 상대가 죽어버린다.''' 근데 '신화적인' 무기다 보니까 해금이 프로토타입 S만큼 어려워서 차라리 보석을 잔뜩 긁어모은 유저들은 음양을 쓴다. 업데이트로 딜이 너프를 먹어 쓰는 사람이 줄었다.
  • Poseidon trident (포세이돈 트라이던트)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71
1
7
레이저 창, 단호한 창의 상위호환으로 투사체가 약간 작지만 투사체의 속도가 빨라서 나쁘지는 않다. 게다가 선딜 또한 상당히 빠르다. 쏠 때 맑고 청명한 물소리가 난다.[52]
  • Third eye (제 삼의 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68
7
11
일반적인 성능은 평범한 스나이퍼지만[53] 이 무기의 장점은 벽뒤에 있는 상대를 보는 엑스레이 비전이다. 레이저 무기가 아니라 벽 관통은 못하지만 그래도 데미지가 높아서 강력하다.
15.2.1 기준으로 한방 딜이 크게 늘어났다. 특이사항으로, 사격시 조준점이 크게벌어져 노줌상태와 장거리전에서 크게 불리하다.
사족으로 어느샌가 탄환의 사양이 레이저에서 일반 탄환으로 바뀌게 되어 여러 명의 적들을 관통할 수 없게 되었다. 다만 저격소총 특성상 크게 문제는 안 된다.
  • Eraser (이레이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25
100
14
폭발 범위가 넓은 중화기. 그러나 이 무기의 장점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사하면 적중한 위치에 '''플레이어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을 잠시 생성한다.''' 심지어 이 중력장 안에 들어가 있을 경우 피해까지 받는다.
풀차지 상태에선 일격이다. 옛날엔 이레이저가 나타나면 다들 탈주했지만, 요즘은 많이 약해져서 멀리서 저격무기로 잡으면 그만이다. 충전식 무기기 때문에 점프하면 발사되기 때문.
클랜 전쟁 컨텐츠의 몬스터 습격에서 꽤나 유용한데, 중력장으로 잡몹이고 보스고 일정 시간동안 묶어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12.6. 강철 등급 무기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무기의 명칭은 아서 왕 전설에 나오는 '''원탁의 기사'''의 기사들의 이름을 따 온 것이다.[54]

12.6.1. 목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23
98
36
65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메인 카테고리 무기. 반자동이며 피어싱 샷을 탑재한 투사체 탄환을 발사한다. 수영장 복도,학교맵 복도 등의 실내 공간에서 유용하다. 장전시 끼우는 총구에 있는 광석을 바꿔 끼운다.
17.7 벨런스 패치로 데미지가 롤백되었다. 수영장 파티같은 좁은 곳에서 꽤 쓸만해졌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23
89
6
65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보조 카테고리 무기. 탄속이 있는 투사체 탄환을 발사하며 조준경과 치명타 옵션을 탑재했다. 상술했듯 탄속이 존재해 예측샷을 구사할 줄 알아야 제 성능을 낼 수 있다.
여담으로 랜슬롯과 탄환 모델링이 같다.
랜슬롯과 같이 데미지가 버프되었다. 그러나 큰 체감은 나지 읺는다.
치명률
발사속도
무게
423
55
65
'''교늑과 함께 급습 타임어택의 중추'''[55][56]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근접무기. 차징 후 '''돌격'''[57], 출혈 옵션이 탑재되어 있다.
풀차징 돌진 시 궤적 내의 적들은 그냥 죽는다고 봐도 될 정도로 강력하고,[58] 설령 반샷이 났더라도 출혈 딜이 보완해주기 때문에 문제 없다.
또한 돌진류 무기 특성상, 이동에도 꽤 도움이 된다.[59]
하지만 모든 충전 무기의 게이지 충전률이 롤백되면서 성능이 떨어졌다.[60] 그러나 그마저도 또 너프를 먹어 그냥 걸어나는 것보다 0.2초 빠른 속도...
상기한 너프 때문에 현재는 급습 타임어택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23
98
40
65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스페셜 카테고리 무기. 화염 방사기이며, 중력, 화상 능력을 탑재했다.
DPS가 상당히 높고 중력으로 상대를 끌어서 확실하게 끝낼 수 있고, 범위도 꽤나 넓어서 쓸만하다. 다만 중력을 탑재한 무기 특성상 적을 끌어들이다 근접전에 강력한 무기를 들고 있다면 역관광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61]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23
67
6
65
'''반챔의 상위호환 격 저격총'''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저격 소총. 벽 파괴, 점프 불가능 옵션을 탑재했다. 한방 피해량이 상당히 높고 점프 불가능까지 탑재하여 상대의 무빙을 제한시킬 수 있는 강력한 총.[62] 모듈 없이 버닝 티아라와 망토만 있어도 몸 1방이 나온다. 다만 상위 랭크로 갈수록 너도나도 높은 모듈을 껴서 다른 총들도 몸 1방이 나와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그래도 충분히 얻을 가치가 있는 총이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23
78
7
65
강철 등급 이상의 클랜에서 해금되는 중화기. 반복 샷, 화염, 클러스터 폭탄 옵션을 탑재했다.
특이하게도 곡사포 형식의 무기라 대포가 위로 솟아 있는데, 때문에 여타 중화기와 달리 투사체가 위로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간다. 때문에 직사를 하려면 시선을 아래로 내려야 한다. 덤으로 궤도를 구해서 발사할 수 있게끔 크로스헤어가 되어있다.[63]
상당히 높은 화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데미지는 1~2방이며 연사 속도도 상당히 빠르다. 공격 범위도 제법 넓어 좁은 맵에서는 그만큼 엄청난 효율을 보여준다. 그러나 탄속이 다른 중화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며, 곡사포의 특성상 사거리가 한정적이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64]
클러스터 폭탄이 변경되기 이전에는 장애물 쏘기에서 블록을 순식간에 없애 상대를 고립시키는 플레이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클러스터 폭탄이 탄착 지점 주위에 무작위로 터지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12.7. 황금 등급 무기


황금 등급 이상에서의 클랜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12.7.1. 목록


  • 황금 형제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9
50
65
데미지 부스트와 치명타 능력을 가진 양손 기관총. 피어싱 쉘과 같이 쓴다면 굉장히 높은 화력을 보여준다. 원래는 25발이라는 매우 낮은 장탄수를 보유했지만 50발로 상향을 받았다.
  • 갱스터 방패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2
6
55
초당2%의 체력을 회복하고 10%의 피해를 반사하지만 데미지에 비해서 탄창이 너무 작다는것이 단점이다
버프로 매우심하던 탄퍼짐이 버프로 어느정도 줄어들었다
반사장치와 같이 사용하면 '''초근접으로 최통몸빵을 맞았는데 최통유저가 죽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 캐시백 2배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89
X
100
100이라는 민첩한 기동성과 3방이라는 준수한 데미지, 체인 샷에 둔화까지 가진 상당한 성능의 근접 무기.
높은 기동성 때문인지 마법모듈의 특수효과인 극심한 갈망과, 클랜가젯인 영혼 지팡이의 이속증가 효과를 받지 못한다.
  • 화려한 비트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89
12
65
'''범위 공격 근접 무기의 스페셜 버전.''' 7칸의 범위와 매력 디버프, 아군 치유, 3방이라는 준수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말 그대로 근접전에 특화된 무기라 일단 근접만 한다면 점수 먹기는 쉽다.[65]
  • 저격수 녀석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89
6
65
리볼버에 부품을 단 모습의 저격 무기. 원본이 리볼버라 그런지 연사 속도가 매우 빠르며, 관통과 출혈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데미지는 빠른 연사 속도에 걸맞지 않게 1 ~ 2방으로 높은 편. 다만 장탄수가 6발로 적기 때문에 막 난사하면 순식간에 탄약이 바닥난다.
  • 보석 파워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83
8
50
로켓 런처에 미니건이 결합된 특이한 구조의 중화기. 매우 높은 순간 화력을 가졌지만, 특유의 공회전과 적은 장탄수 때문에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현실적인 모드에서는 특유의 고화력으로 상대를 갈아버릴 수 있다.

13. 챔피언 무기 (Champion Weapons)


13.2.0 업데이트때 추가된 무기로 상점에서 구할 수 있는 신화 등급의 무기이다. 챔피언 무기들은 기존에 존재하던 무기에서 색을 바꾼 무기들이다.
  • Champion Peacemaker(챔피언 중재자)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99
110
65
미니건 계열 중 엑스칼리버랑 어깨를 나란히 하는 최강이다. 하지만 미니건 계열의 단점인 딜레이 발생과 1발당 꽂히는 데미지가 약해서 숙련도가 어느정도 요구되는 무기이다. 자동 피스메이커의 색놀이 무기.
  • Champion Mercenary(챔피언 용병)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99
25
65
5발씩 끊어져서 발사되는 반자동 권총, 약 13발정도에 적을 숯덩이로 만들수 있어서 안 좋을 것 같지만 5발 간격으로 매우 빠르게 적에게 꽂히기 때문에 실력만 받쳐준다면 권총 중 상위 티어로 체감할 수 있다. 용병의 색놀이 무기.
  • Champion Electric Ark(챔피언 일렉트릭 아크)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98
70
75
모든 발사속도가 높은 레이저 무기가 그렇듯, 에임률이 좋지 않으면 없으니만 못한 무기이다. 하지만 신화적인 무기 등급으로 어느정도 데미지 기대는 할 수는 있다. 일렉트릭 아크의 색놀이 무기.
  • Anti-Champion Rifle(반-챔피언 소총)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0
6
65
다른 챔피언 시리즈와 함께 나온 스나이퍼. 대부분의 유저들은 몸샷 한 방에 죽였었지만, 헤드샷 한방, 몸샷 두방으로 너프되었다. 전엔 보석 안 쓰고 계속 모으면 살 수 있는 가격이었다. 그러나 보석이 터무니없는 가격의 골드로 바뀌고 총의 상위호환인 모가나가 생기고 이보다 더 좋은 무기들이 출시되어 이제는 잘 쓰이지 않는 총이 되었다.안티 히어로 소총의 색놀이 무기.
  • Champion Solar Canon(챔피언 태양 대포)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3
10
65

14. 특별 이벤트 무기


메인화면의 툴팁을 통해서 뽑기나 인게임에서 열쇠를모아 상자등에서 조각을 일정량 모아야 얻을수있는 무기로 엄청난 현질을 요구하며 정신나간 데미지를 지니고있다.

14.1. 크리스마스 이벤트


  • Laser Assistant(레이저 조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98
60
7
13.1.0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이다. 화상 디버프에, 아머 보너스를 탑재했다.
13.2.0 업데이트로 가뜩이나 성능이 괴랄한데 '''8배 줌 기능'''을 달고 나왔다.
그야말로 미친무기 그 자체.
업데이트로 치명타 → 화염으로 바꿔 그 미친 데미지가 너프를 먹게 되어 퇴물이 되어버렸다.
  • Dual Cryo Pistols(이중 냉동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96
20
4
13.1.0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이다. 빠른 탄속의 고드름을 쏘는 데다가 적군을 추적하고 맞은 적을 느리게 만드는 꽤나 성가신 총이다. 적군을 인식하는 범위가 나노봇 라이플이나 벌떼 마법처럼 넓지 않아서 무빙하는 적은 쉽게 맞추지만 정작 가만히 있는 적은 못 맞춘다.
15.2.0 업데이트로 다른 유도탄 무기와 달리 혼자서만 삭제되지 않았다.
15.7.0 업데이트로 유도 능력이 삭제되었다.
  • Sharp Snowflake (날카로운 눈꽃송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77
1
9
13.3.0 업데이트로 기간제 상자에서만 뽑을수 있는 무기다. 3번째 클러스터 폭탄효과를 가진 무기다. 극악의 확률로 뽑을 수 있는 총이다보니 성능이 사기적인데 단 2방에 풀갑이 박살나고 탄속도 매우 빠르다.
지금은 너프를 먹어 3방은 맞춰야 하고 탄속이 느려 잘 맞지도 않는다.
  • Christmas ultimatum (마지막 크리스마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54
8
9
13.1.0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이다. 자체 위력도 빅 버디 급으로 높고 클러스터 폭탄이라는 능력 때문에 로켓에 직격 당했다면 그대로 즉사였으나 너프먹었다.
여담으로 클러스터 폭탄은 잘 보면 장난감 폭격기의 탄환과 모델링이같다
그러나 베디비어,많은 클러스터류 무기와함께 너프를먹었는데,로켓속도50%감소(제트연료10레벨로 어거지로 버틸수있다.),데미지27%감소로 관짝에 들어갔다. 근데 여전히 많이 보인다.
* Automatic Decorator (자동장식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4
87
20
9
13.2.1 업데이트로 기간제 상자에서 뽑을수 있는 무기다. 꽤나 쓸만한 편. 제작의 크리스마스 세트를 현질하면 얻을수 있었으나 삭제되었다.

14.2. 과학 연구소(외골격) 이벤트


첫 번째 신화무기 세트다.
  • Stormtrooper Exoskeleton (돌격대원 외골격)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8
50
50
자비없는 연사속도에, 슬로우가 갖춰져 있는 메인 무기. 성능은 좋은편이다. 한번맞으면 그대로 녹아버린다고 보면된다.
15.99.0 업데이트로 탄창이 60발로 줄었고 탄창 최대 충전수가 120발로 줄어드는 너프를 먹었다. 하지만 아직도 사기다.
  • Hitman exoskeleton (암살자 외골격)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4
18
50
공격에 화염이 붙어있어 에임이 좋면 무쌍이 가능한 무기지만 외골격시즌 무기가 다 그렇듯이 시야가리는게 심하기때문에 썩 그렇게 좋지는않다. 거기에 연사를 하다보면 조준선이 샷건 수준으로 벌어진다. 여담으로 총에 하나씩 L(왼쪽)과 R(오른쪽)스티커가 붙어있다.
  • Berserk exoskeleton (광전사 외골격)
치명률
발사속도
기동성
74
94
85
톱과 출혈 기능을 갖춘 근접 무기. 하지만 범위가 너무 작아서 이것도 다른 것에 비하면 별로 안 좋다. 현재는 1.5초만에 상대를 삭제시킨다.
  • Engineer exoskeleton (엔지니어 외골격)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4
100
70
85
높은 연사력과 속도로 끝장을 보는 무기. 탄 소모가 심하기때문에 에임실력이 중요하다. 외형이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닥터 옥토퍼스와 유사하다.
  • Sniper exoskeleton (저격수 외골격)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4
71
20
85
엑소파일럿 스켈레톤 이벤트로 나온 무기다. 탄창이 '''20'''이라는 저격총 치고는 말고안되는 수치를 가지고있으며 벽관통도 들고 왔다.
  • Demolition exoskeleton (파괴자 외골격)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4
75
8
85
엑소파일럿 스켈레톤 이벤트로 나온 무기다. 한번에 4개의 미사일이 튀어나오고 미사일을 다 맞으면 무조건 사망이다. 미사일 하나의 딜은 높지않다. 로켓점프용으로는 쓸만하다.

14.3. 스나이퍼 토너먼트 무기


14.0.0 업데이트로 무과금들을 살려보기 위해 나온 이벤트다. 저번과 달리 스나이퍼 토너먼트를 플레이하여 티켓을 모아 모은 티켓으로 각 파츠를 얻게 된다. [66]
  • Cyborg hand (사이보그의 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7
97
40
90
14.0.0 이벤트로 나온 무기. 위 레이저 조수의 열화버전. 줌도 4배고 화상 디버프도 없다.
기동성이 레이저 조수보다 좋은 것이 장점. 막상 써보면 깡딜도 굉장히 좋다. 재장전속도도 굉장히 빠르다.
  • Revolver Sniper rifle (리볼버 스나이퍼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7
87
4
60
원샷의 상위호환이었던 무기
14.0.0 이벤트로 나온 무기. 전에는 헤드 몸 다 한방으로 매우 강력한 무기였지만, 너프로 몇방을 더 때려야 죽는다. 게다가 크로스헤어때문에 멀리서 쏘면 잘 안맞는다.
  • Destruction System (파괴 장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7
60
6
65
마지막 크리스마스와 동급이었던 무기
너프 이전에는 무조건 한방, 넓은 지역피해, 굉장히 빠른 탄속으로 마지막 크리스마스의 상위호환이었지만, 너프 이후로 마지막 크리스마스와 같이 두방으로 변경됐다.
그래도 여전히 빠른 탄속과 넓은 지역피해 덕분에 많이 쓰인다.

14.4. 배틀 로얄 출시 이벤트 무기


15.0.0 업데이트로 나온 이벤트 무기들이다. 배틀 로얄 모드에서 주워서 쓸 수 있는 무기다. 권총을 제외하곤 위 이벤트 무기들보다 떨어지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로얄 세트는 모두 슬로우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 무기들을 모두 장착한다면 보너스 효과가 발동된다.[67]
  • Royal fighter (로얄 파이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98
45
75
15.0.0 배틀로얄 출시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다. 연사력이 빠르고 슬로우와 4배 줌을 가지고 있다.
배틀로얄 모드에서는 몇 안되는 전설적인 이상 등급의 무기들 중 하나다. 빠른 연사속도와 작은 탄퍼짐으로 상대를 퍼렇게 이온화해버리는 실로 신화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다.
예전에는 아예 안쓰였는데 배틀로얄 모드에서와는 달리 실전에서는 빠른 연사력과 달리 너무 적은 탄창, 있는건지 없는건지 모르겠는 슬로우 효과가 이 무기의 발목을 잡는다. 거기다가 이 무기를 대체할 수 있는 무기는 상점에도 있다. 빠른 연사력과 4배 줌으로 상대를 갈아버리는 건 미래 경찰 소총도 할 수 있는 일이며, 슬로우같은 유틸성을 노렸다면 카사노바와 고드름 미니총을 고르는 편이 더 이득이다. 적진에 돌격해서 상대 진영을 무너뜨리는 전법도 쓸 수 있겠지만 그럴 바에 '''코인만 드는''' 미니건 샷건을 쓰는 것이 더 이득이다.
사실 15.0.0 때는 이렇게 안습하진 않았다. 오히려 그 때는 7발이라는 정신나간 딜능력을 가지고 있었기에 이정도로 약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15.1.0 업데이트로 대미지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지자 다른 총들과 성능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묻혀버린 것이다. 여러모로 버프가 시급한 총이다.
15.4.0 업데이트로 버프를 먹었다. 약 6발만에 상대가 녹아버리며 15.6.0 업데이트로 탄창이 45로 늘어나는 버프를 받았다.
  • Royal revolver (로얄 리볼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84
12
75
15.0.0 업데이트때 나온 무기. 치명률이 75고 헤드샷 2번만 맞춰도 상대를 이온화시킬 수 있다. 번개의 신과 근절자만큼의 딜은 나오지 않지만 높은 사속과 적질한 탄창으로 이 둘과 차별화가 가능하다.
여담으로 과거 배틀로얄에서 멀티테스커보다 약했다고 서술되어있었지만 15.1.2기준으로 멀티테스커가 배틀로얄에서 사용불가능하게 되어서 비교가 불가능해졌다.
  • Royal sniper rifle (로얄 저격 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88
15
70
15.0.0 배틀로얄 출시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다. 사속이 빠르고 슬로우 효과를 가지고 있다. 배틀로얄에서는 이 사속과 넉넉한 탄창을 가지고 있어 좋은 성능을 발휘하나실전에서는 로얄 파이터와 마찬가지로 거의 안 쓰인다.
이녀석의 가장 큰 문제점은 딜능력과 다른 총들과 너무 성능이 겹친다는 것이다. 딜능력이 헤드샷 2방인데, 메타가 한방딜에 중점이 되어있는 지금 반 챔피언 소총과 레이저 활 등한테 밀린다. 탄창이 저 둘보단 많다는게 위안점. 탄창으로 차별화를 하자니 탄창이라면 이미 와이번, 아니 백번 양보해줘도 '''코인만 드는''' 미래 저격 소총하고 콘셉트이 겹친다. 사속이 빠르다는것이 위안이긴 하지만 이건 또 단호한 저격 소총과 콘셉트이 겹친다. 거기다 이쪽도 '''코인만''' 든다.
단호한 저격 소총이 메타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데 이 녀석이라고 다를 바가 없다.
슬로우로 차별화를 하기엔 슬로우 효과가 미미하다. 차라리 와이번의 독딜을 기대하는 편이 더 좋다.
  • Royal Ashbringer (로얄 파멸의 인도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2
85
15
75
15.0.0 배틀로얄 출시 업데이트 때 추가된 이벤트 무기다.
이놈은 위에 세놈들보다 더하다. 15라는 탄창과 85라는 사속을 가진, 능력치만 보자면 정말 좋다.
하지만 이놈도 거의 안 보이는데 범위가 정말 좁다. 농담않고 태양열 대포를 쓰다가 이걸 쓰면 암걸릴 정도로 공간 살충제가 더 좋아보일정도로 범위가 좁아터졌다.
거기다 탄창 보급하는 것도 문제인데 총알을 얻으면 받는 총탄 보급량이 3이다. 사실 이건 위에 파괴 장치도 갖고 있는 문제지만 저녀석은 딜능력이 매우 우수한데다가 탄속도 굉장히 빨라서 크게 부각되진 않는다. 하지만 이녀석은 딜능력이 좋냐고 하면 그것도 아니다. 저 탄을 4발을 맞춰야 하는데 범위가 넓은 태양열 대포도 맞추기 힘든 현 메타에 저 탄환을 4발 맞는 사람이 있을리가.
결론적으론 안좋으나 최근엔 버프를 먹었는지 두세방만에 유저가 골로가며 범위도 넓어졌다.

14.5. 시간 여행자 이벤트 무기


[68]
15.2.0 업데이트로 나온 이벤트성 무기다.
  • Viking (바이킹)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2
72
8
75
15.2.0 업데이트로 나온 이벤트성 산탄총이다. 성능이 상당히 좋은데 전탄 명중시 헤드가 한방이며 출혈 디버프를 걸어주고 방어구 보너스를 주지만 이 총의 진가는 피격당한 상대를 영구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점이었으나 스턴능력이 바로 다음패치에 삭제되었다. 버그였던듯 2020년 7~8월 기준으로 2번이나 바이킹을 얻을 찬스가 있었다 뽑기 이벤트와 상인 밴.
  • Cursed pirate (저주받은 해적)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2
88
1
75
15.2.0 업데이트로 나온 이벤트성 무기다. 투사체가 돌아가면서 쏘아지는 레이저창, 단호한 창, 애니낫과 달리 투사체가 일직선으로 나간다. 한마디로 맞추기가 굉장히 어렵다.
예측, 초근접샷, 긴 통로[69]등 에서만 폭딜이 잘 들어간다.
  • Gladiator (검투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2
85
18
75
15.2.0 업데이트로 나온 이벤트성 무기다. 다른 저격수 무기와는 다르게 히트스캔이 아니지만 딜은 우수해 2방이다.

14.6. 사이버 세트 무기


1.5.3.0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다. 이전 사이보그 손 같은 무기가 추가되었다.
  • Cop's club (경찰 곤봉)
치명률
발사속도
기동성
31
86
75
슬로우, 화염이 붙어있는 근접 무기이다. 이속이 75로 이동용에는 부적합하다. 한국어로는 발톱 충격기라고 번역됐었다.
  • Sniper cyber module(스나이퍼 사이버 모듈)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1
97
24
65
10배율 줌이 붙어있는 반자동 저격총으로 사쿠라와 같은 콘셉트의 무기이다.
  • Rocket hands(로켓 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1
75
10
55
파괴자 엑소스켈레톤과 같은 여러발이 한꺼번에 나가는 중화기이다.

14.7. 할로윈 세트 무기


15.4.0 패치로 생겨난 이벤트성 무기. 모든 무기의 기동성이 80이다.
  • Poisonus Vine (유독한 덩굴)
치명률
연사력
장탄수
기동성
74
96
40
80
성능은 레이저 조수에 연사력 1을 낮추고, 장탄수를 40정도 낯췄으며, 능력을 화염에서 독으로 바꾼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탄창 관리가 어느정도 필요하다.
  • Ritual Revolvers (의식용 권총)
치명률
연사력
장탄수
기동성
특수 능력
74
93
20
80
싱글 샷, 화염
촛불이 달려있는 권총으로 몸통 4방 헤드 3방 정도면 순식간에 적이 천사가 되는 마법을 보여준다. 에임이 어느정도 받춰줘야 무기 성능을 뽐낼 수 있다. 2020년 10월 25일의 로터리에서는 잼 10개면 무한으로 돌릴 수 있는 오류가 떠서 10분만 투자하면 만들 수 있었다 모든 유저에게 적용된건 아닌거같다.
  • Deadman's Rifle (망자의 소총)
치명률
연사력
장탄수
기동성
특수 능력
기타
74
69
14
80
싱글 샷, 지역 피해,
헤드샷 판정 없음
쏠때 해골 이펙트가 나오며 2방이면 사망한다. 과급 소총보다 연사가 1 높으며 장전시 총구의 해골을 빼는 연출이 나온다.

14.8. 황량한 서부 세트


세번째 전투패스와 함께 추가된 무기로, 모두 끼면 이펙트가 발동된다.
  • Hand Gatling(핸드 개틀링)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99
100
75
4번째로 추가된 미니건 무기. 능력치는 적당하다.
  • Lamp Revolver(램프 리볼버)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81
11
85
전기폭발 소총과 비슷하다. 처음 이름이 전기 폭발 권총 이었다.
  • Laser Carbine(레이저 카빈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84
12
80
벽 관통이 달려있으며 헤드가 2~3방이다.

14.9. 사이버 선교자 세트


마찬가지로 세번째 전투패스와 함께 초가된 무기로, 모두 끼면 이펙트가 발동된다.
  • Triple Musket(삼중 머스킷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76
12
85
샷건 권총과 비슷한 성능이지만 데미지는 훨씬 강력하다. 한때 이름이 샷건 권총이었다.
  • Thanksgiving Pie(추수감사절 파이)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69
71?
75
스페셜 무기에는 별로 없는 한방컷 무기 였다. 헤드샷 데미지가 없으며, 지역피해가 들어간다.
현재는 두 세방 맞춰야 적이 죽을 정도로 너프를 많이 먹었다.
  • Corn Launcher(옥수수 발사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15
1
75
클러스터 폭탄에 지역피해까지 걸려있어 상대를 한방으로 끝낼 수 있다.
'''그.러.나.''' 17.6 2번째 패치로 데미지57%감소로 이젠 영원히 쓰이지 않게 되었다.

14.10. 블로거 세트


제작사인 Cubic.Games와 협업하고 있는 유튜버인 ECKOSOLDER를 위한 무기들이다. 세트 착용 시 효과는 펫의 공격 무효화. 상자 뽑기에서 조각을 얻어서 제작할 수 있다.
  • Eckodile Rifle[70]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91
15
80
악어 입 속에 총구가 있는 형태. 원래 이 총은 저격수 범주에 있었고 발사율이 62였으나 패치로 메인으로 오게 되었다. 딜이 무지막지하게 강해서 헤드 두세방이면 적이 산화하는걸 볼 수 있다.
  • Like Launcher (실행기처럼)[71]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68
1
80
펀치총에 펀치 대신 좋아요가 달려 있는 총. 접촉 기폭 장치에 끈적이는 갱까지 달려 있어 한방 컷 지뢰로 쓸 수 있다.[72]
  • Snap Attacker[73]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73
13
80
사진기 형태를 하고 있는 총. 특이하게도 렌즈가 아니라 위에 있는 플래시에서 총알이 나온다. 과거에는 메인 범주에 산탄총 계열이었다. 슬로우 디버프가 존재한다.

14.11. 외계인 산타 세트


픽셀건 세트중에 거의 안보이는 세트중 하나
세트효과는 자신의 주위에있는적에게 슬로우를 건다
  • 우주파괴자 (Space Devastator)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
85
5
55
아마 조각샷건중에 가장 쓰레기 인듯한 무기이다[74]피어싱샷이 붙어있다
  • 스노 블레스터 (Snow Blaster)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
74
6
65
슬로우+지역피해가 붙어있는 무난한 권총 탄속이 없어서 쓸만하다.
하지만 인게임에선 잘 안보인다[75]
  • 힘의 곤틀릿 (Gauntlet of Power)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
76
6
65
바닥로점이 되고 데미지도 나쁘지않아 인게임에서 약간씩 보인다

14.12. 슈퍼 솔져 세트


마블의 윈터 솔져를 패러디 한 것으로 보이는 세트.[76]
  • 폭풍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8
25
65
4배 줌이 달려있는 메인 소총. 왜인지 부가 효과로 지역 피해가 달려있다.
  • 감독자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4
10
55
8배 줌과 투시 능력을 가지고 았는 저격총. 투시는 할 수 있지만 제삼의 눈처럼 총알이 벽 관통이 되지 않아 적이 어디로 움직이는지 감시하는 기능으로 쓰인다.

  • 선동자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61
1
65
땅바닥에 독 지뢰를 깔 수 있는 중화기. 작은 생김새로 보조무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화기이다. 발사하면 총알이 바로 사라지지 않고 바닥에 박혀 독을 계속 뿌린다.
여기까지만 읽으면 좋아보이지만, 안타깝게도 그렇지않다. 매우긴 드는 모션+직격3방+시작탄약10발,최대탄약20발 이 네개의 단점들이있어 안습이다. 그나마 장애물쏘기에서 한번에 많은 오브잭트를 파괴할수 있지만, 그마저도 바로 터져버린다.
비추

14.13. 오리지널 세트


전에 나왔던 세트를 재탕했다. 신전 수호자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그닥 좋진 않다.
  • 치유의 잉어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4
20
65
매우긴 드는모션+탄속때문에 안쓰이는 무기다.
  • 달 도끼창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X
X
65
근접인데 드는 모션이 있고
데미지도 개 별로다
출혈뎀은 볼것도 없다
  • 신전 수호자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8
10
55
어떤곳을 맞혀도 2방이 난다 쓸만하다

14.14. 쿠키 왕 세트


쿠키 미니건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14.15. 포탈리우스 세트


세트 효과 : '''모든 벽 관통 무기의 벽 관통 시 데미지 감소 효과가 삭제된다.'''[77]
  • 포탈리우스의 분노
지형에 반사되는 투사체를 발사하는 무기. 데미지는 그리 높지 않다.
  • 치핑 채찍
데미지는 4방. 공격 속도가 빨라 실질적인 총 데미지는 높은 편이다. 지역 피해 무기이지만 전방만 공격 가능하다는 것이 단점.
  • 포탈리움 소총
'''벽 관통 미션 클리어의 핵심 무기.'''데미지는 헤드샷 1방, 몸샷 2방으로 평범하나, 탄창과 발사율이 높아서 강한 총이다.
포탈리움 풀 세트를 착용한 뒤 신탁[78] 모듈 조합과 엑스선 안경 가젯을 착용하면 '''벽 관통 미션을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

14.16. 거대 돌연변이체 세트


  • 이중분노
강하다. 데미지도 4방으로 강하고, 연사력도 만만치 않다

  • 치명적인 용해장치
옛날엔 강했지만 지금은...
옛날과 지금과 능력치를 비교하면
옛날은 범위도 매우 넓고 독뎀 포함 1방이였지만, 현재는 패치로 3방이 되었다.
그리고 범위도 변화가 있는데, 옛날에는 3칸이 넘었지만, 현재는 범위가 완전 좁다
이래도 얼마나 안좋은지 체감이 안들면,
아무튼 이거사면 흑우취급 받는다.

고인.
  • 잔혹한 희석제
3방, 탄속, 적은 탄창, 적은 유동성이라는 최악의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체인샷이 있어서 좁은맵
한정 사기 스페셜이다. 그래도 좁은맵에선 잔혹한 희석제를 쓰는것보단
뒤에 설명할 파동 펄스를 사용해라.

14.17. 블록맨 세트


  • 블록 엽총
외형을 보면 좋은듯 하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완전 안좋다. 그냥 안좋다. 드는모션이 있고, 2~3방이고, 유동성도 50으로 매우 낮다.
  • 블록 소총
이 세트에서 유일하게 사기다. 데미지는 2방으로 평범 하지만,
발사율이 높아 완전 사기이다.
  • 블록 화염방사기
화염방사기중엔 좋은 편이지만, 범위가 안좋아서 얘도 그닥이다.

14.18. 미스터 과일 세트


  • 아이스크림 발사기 (ice cream launcher)
데미지는 3방으로 매우 평범하고 사기 능력인 매력이 부과되어 있다. 하지만 드는모션이 있어서 그닥이다.
  • 소다 팝 (soda and pop)
데미지는 1방이다. 옛날에는 2방이였지만, 상향으로 매우 좋아졌다.
  • 오렌지 킬러 (orange killer)
데미지가 매우 허약하고, 발사율도 좋지 않다. 거기다가 탄창도 적어 그냥 쓰레기다.
17.7 2차 패치로 인해 데미지 11% 감소를 먹고 쓰레기에서 개쓰레기로 진화하였다

14.19. 우주 챔피언 세트


세트 효과 : 경기 중 획득 점수 증가
  • 교활한 늑대 (SLY WOLF)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44
250
50
특수 능력 : 방어막, 돌진
최초로 출시된 보호막과 돌진 기능을 가진 무기. 사용 중일 때 방패를 펼쳐 전방의 거의 모든 공격을 막을 수 있다.[79]
'''클랜 습격과 은 광산의 필수 무장 중 하나'''로, 디버프 장판을 형성하는 방어 시설[80]과 전설[81]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공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영웅적인 에페와 악마 포집기와 함께 클랜 습격과 은 광산 플레이 시 필수 무장으로 쓰인다.[82]

  • 자랑스러운 독수리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80
15
50
특수 능력 : 대상 표시
최초의 대상 표시 무기. 장탄수가 매우 넉넉한 것이 특징이다.
  • 용맹한 사자
공격속도
기동성
83
65
특수 능력 : 초강력 펀치
최초의 초강력 펀치 무기. 4번째 타격마다 초강력 펀치가 발동되며, 발동 시 주변에 더욱 높은 피해를 입히며 화염 디버프를 준다. 공격력은 4방.

14.20. 디지털 영웅 세트


  • Digital Sunrise(디지털 일출)
[image]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76
14
50
디지털 영웅 세트의 핵심 무기. 적을 맞추면 15%의 출혈 피해를 두 번 입힌다. 저격 무기치고 스탯 배분이 매우 훌륭하고, 모듈과 장비만 잘 맞추면 몸 1방이 뜨는 절륜한 공격력을 가졌다..만 더 높은 방어력을 가진 클랜 갑옷과 다른 방어구의 출시로 인해 클랜 갑옷을 한 방으로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모듈이 무려 '''10레벨'''이다. 덤으로 할로윈 마스크까지 필요하며 신화적인 등급 갑옷은 한 방조차 나지 않게 되어 절실히 버프가 필요한 총이 되었다. 후술할 레이저 순환기와 함께 비공개 노아머에선 자주 보인다.
  • Wave Pulser(파동 펄서)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74
20
50
적을 맞추면 점프 불가능을 건다. 발사하는 투사체가 매우 거대한데, 벽 관통이 없어서 주변 지형지물에 증발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과거에는 모듈과 장비를 극딜로 세팅하면 1방이 떴지만, 피해량이 너프되면서 세트 맞추는 용도 이외엔 버려지는 무기가 되었다.
  • Laser Cycler(레이저 순환기)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87
12
50
주는 딜레이가 전혀 없고, 피해량도 그럭저럭 높아 스왑용으로 적합한 보조 무기. 다만, 모듈빨을 심하게 타기 때문에 모듈 레벨이 낮다면 권장되지 않는다. 보통은 8레벨의 모듈 이상부터 레이저 순환기가 권장된다.

14.21. 생쥐왕 세트



14.22. 고대의 달인 세트



14.23. 외계인 장군 세트



14.24. 땅딸보 세트


• spiny shooty (스피니 슈티)
장점 하나 없는 미니건 특성이 있고 데미지는 평범한 편이지만 워낙 좋은게 많은 현재 매타에서는 쓰는 사람이 매우 드물다.
• watcy snipe (워치 스나이피)
이 스나이퍼만의 특이한 점은 지뢰 스나이퍼라는 점이다. 땅에 발사시 땅에 달라붙고 적이 다가올시 터지며 데미지를 준다. 데미지는 2~3방으로 준수한 편이다.
다만 저격수 보다는 스폐셜이나 중화기에 가까운 무기
• pully blasty (풀리 블래스티)
이 세트에서 가장 많이 선호되는 무기이다.
매우 좋은 특성인 클러스터 폭탄을 가지고 있으며 데미지도 모듈로 최대 1방을 만들 수 있다. 한때는 마지막 크리스마스와 맞먹었지만 현재는 데미지 너프를 받아서 그저 하위호환이 되버렸다.

14.25. 기계공 세트



14.26. 불가사의한 소환사 세트


  • 검 소울 카드(Sword soul card)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4
15
55
한 번의 공격으로 탄환 3개를 소모하면서 3개의 검기를 날리며, 화염 디버프를 추가로 입힌다. 좁은 곳에서 매우 강하지만, 공중에 있는 상대한테는 불리하다. 참고로 이펙트와 달리, 중앙에만 피격 판정이 존재한다.
17.7 2차 벨런스 패치로 30%데미지 감소를 먹었다. 이제 클랜 갑옷을 입은 사람은 2방컷이 나지 않는다.
  • 활 소울 카드(Bow soul card)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55
1
55
실질적인 성능은 드래곤의 물기 이상이지만, 샷 충전 무기의 기본 충전량이 삭제된 후에 출시된 탓에 가장 성능이 나쁜 무기로 평가된다. 그래도 풀 충전 시 적을 한 방에 보낼 정도의 위력을 가지고 있지만, 오랜 시간을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살려내기 힘들다는 것이 문제.
  • 장창 소울 카드(Lance soul card)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67
7
50
탄속과 공속이 중화기치고 매우 빠르고, 최소 두 방이라는 어마무시한 데미지를 자랑한다. 게다가 맞추면 65%의 독 데미지까지 추가로 입힌다! 한 대만 맞아도 거의 원콤이라는 소리. 치명적인 용해장치의 완벽한 상위호환. 현재 중화기 원탑인셈. 하지만, 17.8 밸런스 패치로 인해 데미지가 23% 감소되는 너프를 먹어 이젠 어떠한 갑옷도 한방을 낼 수 없게 되었다. 기본갑옷도 마찬가지. 이제 직격은 독데미지가 겨우 13%X2 즉, 26%만 들어가는데, 지역을 맞춰야 독데미지가 50%가 넘게 들어간다. 이젠 고인이 된 셈.

14.27. 해양 연구 키트


세트 효과는 가젯 쿨타임 단축이지만, 오류로 인해 적용되지 않는다.
  • 에코 스캐너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98
100
75
피자 히터처럼 보조 무기에 배정된 방사기 계열 무기. 사거리가 무려 12칸으로, 모든 방사기들 중에서 독보적으로 길다. 대신, 이에 대한 패널티로 좌우간격 판정이 많이 좁은 편이다. 적을 감지하는 줌은 장식에 가까운 기능.
  • 수중 카빈총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6
7
55
자랑스러운 독수리의 완벽한 상위호환.
  • 잠수함 드론 스테이션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8
8
50
로켓 점프가 불가능하지만, 탄속과 공속이 중화기치고 빠르다. 화력도 이에 정비례하여 2방이면 터진다.

14.28. 타이탄 세트


세트 효과는 '''받는 피해 80% 감소 및 피해 반사.''' 고의로 데드존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죽는 일은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2차 밸런스 패치때 받는피해 80% 감소가 사라졌다.
(하지만 최근 패치로 다시 돌아왔다!!! 다만 강철 등급 클랜 갑옷과 써야만 쓸만하다.)(결투에서 상자뜯기 좋다.)
  • 화염의 분노
새로운 능력으로 유효 영역을 들고 왔다. 물론 데미지 스피어와 별로 차이는 없다. 파이로 1116, 소방관의 상위호환이지만 이쪽 역시 다른 신화급 라이플의 하위호환 신세라 세트 맞추는 용도로써의 가치가 큰 무기.
  • 태고의 추위
공격이 두 번 적중하면 초강력 펀치가 충전된다. 충전 시 도끼날에 얼음이 붙으며, 주변을 둔화시키는 광역 피해를 입힌다. 원펀치 곤틀릿의 하위호환이지만, 성능 차이는 심하지 않기 때문에 곤틀릿이 없다면 대체재로 쓸만하다.
그러나 이후 밸런스패치로 공격력이 5%감소되며 원 펀치 건틀렛의 하위호환이 되었다. 심지어 원펀치 건틀렛은
너프를 받지도 않았다!
  • 땅의 전율
샷 충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 다만, 이에 대한 대가로 기본 데미지가 살짝 낮다.

14.29. 음험한 하데스 세트


세트 효과는 초당 방어구 1 ~ 2% 재생. 매우 초라하지만, 세트 무기 전원이 OP이기 때문에 무시해도 된다.
  • 트리플 바이트
하데스 세트의 핵심이자 역대 근접 무기 중에서 밸런스 논란으로 문제가 많았던 적폐 무기. 빠른 공속에 맞지 않는 높은 데미지를 광역으로 넣다보니 에너지 방패를 끼고 이것만 휘두르면 분노는 우습게 찍을 정도로 괴랄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너프 전에는 칼 파티에 들어가면 아군이든 적군이든 이것만 끼고 싸웠을 정도. 너프를 먹은 현재는 예전만큼의 화력은 안 나오지만, 여전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 영혼의 지휘자
반챔의 상위호환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세트 무기들 중 가장 성능이 떨어진다. 나머지 두 무기가 성능이 원채 괴랄해서 이 무기가 나설 자리가 없기 때문.(...)여담으로, 이걸로 적을 처치하면 시체가 아래로 빠르게 떨어지는데 이게 좀 웃기다.
  • 케로베로스
모든 클러스터 중화기의 상위호환. 빠른 탄속 + 클러스터 폭탄 + 2방컷 피해를 연사력 74로 뱉어낸다. 트리플 바이트와 달리 너프를 먹지 않아서 현재도 주력으로 쓸 수 있다. 타이탄 세트 너프 전에는 피해 감소를 받고 이걸로 학살하는 유저들이 난무했다.

14.30. 신화 영웅 세트



14.31. 버그 캐쳐 세트


세트 효과 : 사망 시 점프를 막고 기동성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판 생성[83]
*Cheater Hunter(사기꾼 헌터)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98
40
65
능력 : 랜덤 효과
헤드샷 4~5방, 몸샷 5~6방이라는 준수한 성능을 가진 메인 무기. 평범하게 좋은 라이플이다. 메인 무기 중에서는 드물게 8배율 스코프를 장착하고 있다.[84]
*Super Fixer(슈퍼 해결사)
공격 속도
유동성
89
85
능력 : 가젯 방해자, 점프 불가능
상대의 점프와 가젯 사용을 막는 유틸성을 가진 근접 무기. 헤드샷 2방에 몸샷 3방이라는 우수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Bug Cleaner(버그 클리너)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98
30
55
능력 : 중력, 점프 불가능
4~5방의 공격력을 가진 전자 방사기. 상대를 끌어당길 수 있으며, 점프를 차단해 기동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방사기 중에서는 무난하게 좋은 편.

14.32. 아트 부문 세트


세트 효과는 리스폰 후 무적 시간 동안 은신.
  • 건 포스 FGX
치명적인 꼬리에서 연사력을 더 높히고 재탕한 무기. 공격을 5번 맞추면 초강력 펀치가 충전된다. 기본 피해량이 떨어지고 탄속이지만, 슬로우 효과 덕분에 무난한 편.
  • 디지털 드로잉 패드
외형으로 보면 뇌우의 히트스캔 버전. 망자의 소총의 상위호환. 기본 데미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치명타가 안 터져도 체감은 없다.
  • 렌더 스테이션
불확실성 방출기의 상위호환. 일부 사운드도 불확실성 방출기에서 가져왔다. 타 1티어 중화기에 비해선 밀리지만, 단독으로 쓰기엔 충분하다. 다만, 스왑 딜레이가 매우 길어서 스패밍용으로만 가능하다.

14.33. 게임 디자이너 세트



14.34. 프로젝트 매니저 세트



14.35. 뱃사공 세트



14.36. 아쿠아 워리어 세트



14.37. 태양 세트


세트 효과는 화상 면역 및 화상 지속 시간 연장이지만, 버그로 인해 적용되지 않는다.
  • 별 조각
설명서 지침 중화기를 보조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모양새로, 범주가 다른 걸 제외하면 저들과 성능이 똑같다 보면 된다. 다만, 기본 스펙이 빈약해서 단독으로는 써먹기 힘들다.
  • 자기 폭풍
저주받은 해적의 상위호환이지만, 단점 역시 동일해서 쓸모가 없다.
  • 태양 플레어
발사율
수용력
유동성
83
1
50
능력 : 샷 충전, 유효 영역, 플라즈마 로켓[85]
충전식 중화기. 새로운 효과로 플라즈마 로켓을 가지고 왔다. 충전 시간도 1초로 매우 짧고, 데미지는 평균 2 ~ 3방으로 꽤 높아 제트팩과 은신, 로켓 점프의 하드 카운터이다.[86] 플라즈마 로켓과는 별개로 로켓 자체에도 피격 판정과 지역 피해가 존재한다.[87] 때문에 로켓을 직격으로 맞으면 로켓의 자체 피해 + 플라즈마 로켓의 자동 공격을 모두 맞아 즉사할 수 있다.
자동 공격의 특성상 사람이 많을수록 효율이 상승하는데, 특히 데스매치나 팀 대결처럼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에서 진가를 발휘한다.[89] 따라서 해당 모드에서 태양 플레어를 만난다면 최우선 공격 타겟으로 삼는 것이 좋다.
협동 서바이벌이나 몬스터 포위전에서는 체력이 적은 잡몹이나 암살자를 처리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90]
하지만 20.0 밸런스 패치로 인해 탄창이 8에서 1로 줄었고 기본 데미지가 2~3방이었던 태양 플레어는 고인이 되고 말았다......

14.38. 여름 정신 세트


세트 효과는 체력 및 방어구 1 ~ 2% 재생. 체력은 버그로 인해 적용되지 않는다.
  • 황홀한 제단
최근 양산되고 있는 신화 탄속 라이플 치고는 기본 피해량이 매우 높다. 탄속으로 바뀐 폭풍이라고 볼 수 있는 무기. 그 덕분에 단독으로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 마법의 부메랑
정박용 닻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부메랑 특성 무기. 효과만 부메랑인 저쪽과 달리 이건 진짜로 부메랑이다. 벽 파괴가 있어도 데미지 패널티가 없어서 온전하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데, 웃기게도 이게 역으로 독이 되어 되돌아오는 거리를 좁혀서 피해를 빠르게 넣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기본 스펙이 출중한 것도 아니고, 스왑 딜레이는 쓸데없이 길다.
  • 영혼 마스크
중화기로 옮겨진 교활한 늑대로 요약할 수 있다. 교늑과 달리 돌진이 없어서 이동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탄약이 심각할 정도로 부족하다. 투사체 몇 번 쏘다보면 금방 거덜날 정도.

15. 전투 패스 전용 무기


여기 무기들은 전부 전투 크레딧을 구입하거나 모아서 업그레이드를 구입해야한다.
재탕해 새 무기처럼 나온 무기가 몇개 있다.
  • Heart of volcano (화산의 심장)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62
10
75
불사조 시즌의 무기이다. 지역 피해 대신 체인샷이 붙어있고 두방이다.[91]
  • Cyber pistol (사이버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31
62
14
75
사이버 시즌의 권총.
맞으면 느려지고 2배줌이 달려있다.
  • Ultimatium (최후 통첩)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75
'''37'''
1
65
'''픽셀 건 최고의 데미지를 자랑하는 주무기'''
사이버 시즌의 무기이다. 벽관통을 지닌 산탄총이다. '''몸샷 한 방'''이라는 절륜한 공격력을 지니고 있다.[92] 단점이라면 후딜이 느리다는 거지만, '''후딜이 들어오기도 전에 상대가 죽기 때문에''' 별로 의미는 없다.
15.5.0 업데이트로 벽 관통 무기들의 데미지가 벽을 통과하는 순간 줄어들게 되었지만 그래도 사기적이다.
11월29일 상인의 밴으로 나왔는데 가격이 무려
'''1000보석이다(...)'''
전탄 기준 몸샷400% 헤드600%....
몬스터들은 그냥 원거리에서 잡는다.
5월 1일에 다시 한번 나왔다.
이번에는 크리스마스 스킨과 함께 나왔다.
  • Steam Gun (증기 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성
65
99[93]
50
80
사이버 추수감사절 시즌의 무기로, 헤드 7~8방의 위력을 자랑한다.
  • Cooler (쿨러)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8
40
80
사이버 크리스마스 시즌의 무기로, 이름은 쿨러지만 정작 용병과 고드름 미니총의 특수탄환만 나갈 뿐 슬로우 디버프는 없다.
  • Frost Shot (서리 샷)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15
80
크리스마스 침공 시즌의 무기로, 벽 통과에 8배 줌이 달려있고, 풀강시 헤드 2방이다.
  • Ice Generater (얼음생성기)
크리스마스 침공 시즌의 무기. 딜이 매우 약한 스페셜무기다. 드는모션이 더럽게 길다.
  • Plasma Minigun (플라즈마 미니건)
크리스마스 침공 시즌의 메인무기. 좋아 보이고 외형도 간지나지만 탄속+미니건으로 쓰레기다.
  • Spec Ops Pistol (스펙 옵스 권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2
20
80
작전명 '스노우'(Operation 'SNOW')시즌에 나온 무기로, 이전 전투패스 무기들과는 달리 헤드가 7방이다. 단점은 장탄수가 20발이라는 점.
  • Tactical Knife (전술용 칼)
도전무기인데 평범한 근접무기 수준이다.
  • Night Hunter (밤의 사냥꾼)
작전명 스노우 시즌의 메인무기.
무난하다.
  • Armadillo (아르마딜로)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75
15
1
65
스펙옵스 권총과 함께 작전명 스노우 시즌에 나온 무기. 옥수수 발사기처럼 적을 한방에 끝낼 수 있다.
클러스터 폭탄, 8배 줌, 방어구보너스가 달려있어 사기소리를 듣는다.
요 녀석도 17.6 2차 패치로 데미지50%감소로 손과 발이 잘려 나갔다.
  • Mithril Rifle (미스릴 소총)
마법시즌 의 메인무기로 래이저로 나가고 제한도 무제한이라 한때 가장 많이 사용했던 총기였다
  • Harpy (하피)
마법시즌 무기중에서 가장 쓰래기인 권총
재장전이 0.5초밖에 안걸린다
  • Runic Hammer (룬 망치)
마법시즌의 샷충전 근접무기
그당시엔 엄청나게 쓰래기 였으나 현제 미친 버프를받고 헌역으로 뛰는 무기들중 하나이다
상인의 벤으로 한번 풀린적이 있다
  • Medusa (메두사)
마법시즌의 미니건 계열 '''중화기'''
발사하기 전 공회전 시간이 너무나 길어 잘 안쓰인다..
하지만 독뎀이 생각보다 괜찮다
  • Hypersound Uzi (극초음파 우지)
슈퍼 히어로 시즌의 보조 무기
반동이 들어가 있어서 호불호가 갈리는 무기이다
여담으로 장전 모션이 엄청 멋있다
  • Double Gum (이중 껌)
슈퍼히어로 시즌의 중화기
맞으면 느려진다. 이 이점 때문에 쓸만하다
  • Black hole (블랙홀)
슈퍼히어로 시즌의 저격총
로점이 되는 이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썻던 총이다
  • Adamant Claws (단호한 발톱)
슈퍼히어로 시즌의 근접무기
칼파티,수영장 파티,콜로세움에서 많이 쓴 무기였다
생명 갈취가 붙어있어서 맞으면서 유저들 썰고 다닐수 있었다.
  • taste life (쓰레기 소총)
서바이버 시즌의 저격총
그냥 무난한 저격총 해드 몸 둘다 2방이며 1방무기 없을때 쓰면 된다.
  • Charged injector (충전된 주입기)
서바이버 시즌의 스페셜 무기
체인샷이 붙어있고 스왑에 딱 맞는 무기이다
  • Firefighter (소방관)
서바이버 시즌의 메인무기
30렙 무료 지급 무기로, 쏠쏠하게 뽑히는 화상데미지, 데미지도 나쁘지 않고 준수해 여기까지만 말하면 갓총이지만 아쉽게도 탄속때문에 별로이다.
  • Huge boy (거대한 소년)
서바이버 시즌 30레벨 신화무기로, 똑같이 한발무기인 옥수수 발사기,아르마딜로보다 지역피해가 넓은 편이다. 업뎃 전에는 반샷이 떠서 별로였지만, 모듈 버프를 먹고 난 후 유산탄,파우치 조합으로 미쳐날뛰고 또 공격모듈도 레벨업을 하면 안그래도 넓은 지역피해인데 한방이 나버린다.
  • laser ray rifle (레이저빛 소총)
반자동 특유의 데미지 분산 때문에
엄청 쓰레기다. 딱 전패 1렙무기 수준
  • Clockwork cannon (시계태엽 대포)
장난감 시즌의 중화기 무기로
수영장 파티,콜로세움에서 예측샷 무기로 많이 사용된다
바닥에 튀기기도 해서 이거 든 상대와 만나면 꽤나 짜증난다
장탄수가 3발이라 약간 애매하다...
  • Transformed machine Gun (변형 기관총)
장난감 시즌 30레벨 신화무기로, 한번에 3발씩 나가는 특이한
무기이다. 발사율도 97로 빠른편에다, 3발 다 맞으면 5방만에 보낼 수 있는엄청난 스펙을 보유하고 있다.
-

  • Transformed Blaster (변형 블레스터)
장난감 시즌 30레벨 무기이다
스왑도 안되고 레이저가 나가는 방식이라
적을 맞추기도 꽤 어려운 무기
가젯 방해자가 있어서 잘쓰면 쓸만하다
  • Knife and compass (칼과 나침반)
여름시즌 1레벨 무기이다
적을 탐지하는 기능이 들어가 있다
나침반의 빨간색 침이 적을 북쪽을 향하게 하면 적이 있음을 알려주는 무기.
하지만 적 맞추기가 꽤나 어렵다
  • Scout's Rifle (정찰대원 소총)
저격총이다 하지만 매우 쓰레기이다... 데미지가 헤드2방 몸3방으로 매우 낮다.
  • Maga-hone (거대한 뿔)
점프 불가능이 탑제된 무기로 상당히 좋은무기
하지만 범위가 매우 짧다
맞으면 느려지기도 해서 상대가 가지고 있으면 상당히 골치아픈 무기이다
  • Racoon with a pipe (피리를 든 너구리)
여름 시즌 30레벨 신화무기로, 공격을 하면 피리를 든 너구리가 피리를 불며 전방에 음파가 퍼져 나가는데, 웬만한 플레이어들은 '''1~2방만에 즉사해버리는데다, 범위마저 상당히 넓다.''' 이러한 사기성이 10.0.0 버전 당시의 태풍망치를 연상케 한다...
현재는 쓴 너프를 먹고 엄청난 고인이 되어버렸다..
동렙기준 4~5방정도가 나고 나이트의 도끼의 등장과 룬망치의 버프로, 너프 전 특히 콜로세움, 수영장파티, 칼파티에서 이젠 아예 보이지 않는다....
  • Werewolf Claw (늑대인간 발톱)
여름시즌의 도전무기로, 유동성 85에 상대들이 2~3방 나버리고,
출혈뎀도 꽤 쌔다. 출시 이후에는 너구리때문에 쓸때 없다고들
많이 했지만, 너구리가 너프먹은 이후에도 제트와 나이트의 도끼때문에 잘 보이지않는 비운의 무기이다...
  • Knight's Axe (나이트의 도끼)
완전 원거리 공격은 아니지만 왠만한 근접무기보다 사거리가
길다. 체스시즌에 나온 무기로 1레벨때 획득이 가능하다.
데미지도 약한게 아니라서.. 요즘 칼파티에서 이놈만 보인다.
  • pawn's Gun (폰의 총)
체스시즌 30레벨 전설무기로, 여러모로 평범한 무기다. 그럭저럭한 발사율, 봐줄만한 데미지, 장전속도도 보통이다. 그래도 단점을몇개 꼽자면, 느린 유동성과 딜레이가 있는정도밖에 없다.

  • battle rook (배틀 룩)
체스시즌의 스패셜무기 엄청난 쓰래기 무기다.
맞으면 느려지고점프도 할수 없다
  • Inevitability (필연성)
체스시즌 30레벨 신화 보상이며, 줌이 달려있지 않다.
하지만 몸샷 데미지가 어마무시하며, 4모듈을 낀다면
'''몸샷 1방이 뜬다''' -
특이한 단점이 존재하는데,
다른 무기와 다르게 사거리가 존재한다.
그런데... 이무기는 왜있는지 모를 가젯 '''방해자'''가
붙어있다. 무기 자체는 쓸만하다
  • Checkmate (체크메이트)
체스시즌의 도전무기로, 딜레이를 '''무조건'''거쳐야 해서 일단 스왑은 불가능하다. 치명타가 뜨면 2방정도이고, 뜨지않으면 3~4방
정도이다. 발사율은 94로 샷건치고 매우 빠르다. 하지만 이무기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데.. 상점에 골드로 파는 샷건보다 효율이
떨어지는데 얻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이 개똥인 무기가 결투에서
이것만 쓰는 빌런을 만난다면 상당히 골치 아프다.
  • Super shot riple (슈퍼샷 소총)
위와 같이 블랙홀과 많이 닮았다.
헤드판정은 없으며, 몸 2방이 난다.
지역피해가 달려있지만 없나니만도 못하다.
최근 블랙홀과 에바가 로켓점프를 하면 데미지를입기때문에 마땅한 저격수가 없다면 써도 크게 나쁘진 않을 거 같다.
  • Tube backpack (튜브 배낭)
아케이드 시즌의 스패셜 무기이다
루핑 샷이 있지만 없는 수준..이고
맞으면 불에타며 3~4방에 적이 정리된다
여담으로 백팩위에 몬스터는 급습에 나오는 꽃 몬스터에 눈알스티커를 붙여놓은 것이다(...)
  • Pixel stream sword (픽셀 스트림 검)
아케이드 시즌의 근접무기이다
성능은 그저그렇다
  • PewPew riple (퓨퓨 소총)
아케이드 시즌의 30레벨 신화무기로, 발사율 98에 헤드 6방정도로 그럭저럭한 총이다.
이 총은 뭔가 특이한데, 투시에 랜덤효과 까지 붙어있어서 그냥 짬뽕총이라 보면 된다.
효과가 겹치게 되면 헤드5방정도가 난다.
  • Hard corn (딱딱한 옥수수)
추수감사절 시즌의 메인소총.
블랙맘바에 소음기능이 빠지고 독대신 흡혈기능이 들어갔다고 보면된다.
  • Spiritual Rifle (영적인 소총)
추수감사절 시즌의 저격소총
투시경이 붙어있어서 쓸만하다
  • Cooking totem (요리용 토템)
고스트 스톤과 소울스톤의 스패셜 버전
팀원과 자신을 치유할수 있는데 팀원치유는 없는 수준이고 잠깐들어서 자신의 피를 채우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그래도 데미지는 준수한 편이지만 드는 모션을 무조건 거쳐야 하며 나가는 시간도 있기에 쓰기가 약간 애매한 총이다.
  • Hot greeting (따듯한 인사말)
  • Stome of all the sea (모든 바다의 폭풍)
추수감사절 시즌의 도전 무기로
발사할때마다 두발이 나가는데
데미지와 범위가 너프되기전 빅버디급이다
흡혈이 붙어있어서 이걸 빗맞아도 지역피해가 넓기때문에 흡혈댐으로 죽는 유저가 종종보인다
  • Cracker Gun (크래커 총)
동화 시즌 1래벨 프리미엄 무기로
샷건 권총보단 안좋은 그냥 쓸만한 샷건형 권총
매력과 피어싱이 붙어있다
  • Snow Queen wand (눈의 여왕의 지팡이)
동화시즌 무기로 좁은곳 한정 사기무기가 된다
  • Heroic Epee (영웅적인 에페)
공격속도
기동성
89
85
동화시즌 30레벨 근접무기로 지역 치유와 독이 붙어있다.[94]
이것만 있으면 힐팩대용으로 쓰는것도 가능할 뿐만아니라 주변의 팀원도 같이 치유해준다.공격력과 공속이 높아서 이것만으로 적을 썰고 다니는 유저들도 있다
'''클랜 습격과 은 광산의 필수 무장 중 하나.''' 상술한 자가 치유 능력으로 교활한 늑대와 함께하면 혼자서도 거의 모든 공격을 버틸 수 있다.[95]
  • Royal marriage Officiant (왕실의 결혼 주례)
동회시즌의 저격총 64랩 기준 적이 단 2방만에 썰려나간다
매력이 붙어있어서 적들에겐 죽을맛 가끔 제트팩을 타고 이 무기로 학살하는 유저도 종종 보인다
  • Ice club(얼음 곤봉)
동화시즌의 도전무기
무려 제트팩을 타는 상대에게도 맞춰지는 무기이다
상대가 들고있으면 꽤나 짜증나는 무기
휘두르면 바닥에 얼음가시가 생기는데 이게 무진장 아프다
이거를 들고있는 유저를 봤다면 근접은 포기하고 원거리에서 잡는걸 추천한다
  • River dragon(강 드래곤)
오리엔탈 시즌의 저격총. 쓰레기 소총 변형버전
  • Sharp Fans(날카로운 부체)
오리엔탈 시즌의 스페셜 무기이다
말 그대로 역대급 사기무기인데
스치기만 해도 죽어버릴 뿐만 아니라
몸샷 1대 헤드 1대라는 정신나간 데미지를 탑제했다[96] 출혈이 달려있다
  • Sprit staff(영혼의 지팡이)
-
여름 시즌의 피리를 든 너구리의 데미지가 이 무기로 롤백한 느낌이다.
광역뎀도 엄청날 뿐만아니라 불 까지 붙어서 이 무기를 든 상대를 만나면 매우 짜증나는 무기.
  • Offensive Fireworks(불쾌한 불꽃놀이)
3발이 동시에 나가고 데미지도 어마무시한데다 불타기까지 하는데 불타는 데미지도 어마어마하다.
이걸 든 상대를 만나면 자신은 어느샌가 로비에 있을것이다
3발 다 안맞아도[97] 한발만 맞아도 엄청 아프다
말 그대로 사기를 뛰어넘은 OP무기.
  • Explosive Lemonade(폭발성 레모네이드)
오리엔탈 시즌의 도전무기.

16. 상인의 밴 무기


이벤트랑 별개로 친다.
상인이 파는 상인 한정무기를 기재한다.
  • 마녀의 양 가마솥
풀 차징으로 공격시 플레이어를 양으로 바꿔버린다.
양으로 변한 플레이어는 물기밖에 안되며 체력이 20이 된다.
  • 리사이저
특정 유저를 공격하면 그 유저의 머리 확대가 된다. 이는 다른 플레이어 시점애서도 보인다.
27레벨기준 헤비루비갑옷 3방컷이다.
  • 스파클링 하이드라
체인샷으로 근처에있는 유저를 죽이고 데미지가 높기에
적들이 2명이상있을때 쏘면 더블킬도 먹을수있는 무기이다.


17. 무기고 한정 무기


15.7.0 업데이트 이후로 생겨났으며, 일정 기간을 두고 거의 매 업데이트마다 추가되는 한정 무기들이다.

17.1. 1차 무기들


  • Evil Snowman(사악한 눈사람)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81
20
70
눈사람의 얼굴이 총 뒤에 있고 앞에서는 눈덩이가 나간다. 눈덩이에 지역 피해와 독뎀이 붙어있으니 상대할때 주의할것.
  • Ice King Anger(얼음 제왕의 분노)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7
40
60
굉장히 멋지게 생긴 총이나 실상은 영하 상위호환. 자동 옵션 외에는 옵션이 아무것도 없다.
  • Gift Stitcher(선물 봉제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5
71
12
70
산탄총. 출혈 뎀이 들어가 있지만 방어구 보너스가 었어 바이킹의 하위호환으로 보인다.
  • Gifted Revolvers(축복받은 리볼버)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16
80
싱글 샷에 피어싱이 달려 있다. 장전 시 쓰던 총을 버리고 새 총을 꺼내 쓴다.
  • Ice Cream Pistol(아이스크림 권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1
8
80
아이스크림 세 덩어리가 한번에 나가는 권총. 지역 피해가 달려있다.
  • Venus & Mercury(금성과 수성)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45
98
50
70
양손 기관총의 하위호환이라는 것 외에는 할 말이 없다.
  • Whip With Cake(케이크를 포함한 휩)
데미지
발사속도
무게
65
64
80
컴뱃 요요와 외형만 다르고 모든것이 비슷하다.
  • Ice Paws(얼음 발)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89
80
슬로우 디버프가 걸린 파워 주먹 색놀이 무기로 이걸 풀강하면 딜이 파워 주먹과 맞먹는다. 최고의 가성비를 자랑하지만 가격이 440코인이라 노가다를 엄청 해야 하는 무기이다.
  • Necklace Of The Ice King(얼음 제왕의 목걸이)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64
1
70
'''현재 많은 스왑러들이 노리는 무기중 하나'''
요 녀석은 장전도 없고 딜레이도 없어 '''안성맞춤이다'''
고스트 랜턴 색놀이. 지역피해가 달려있고 히트스캔 방식이라 죽은 별과 같은 용도로 써도 될 듯 하다.
  • Asteroide(소행성)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64
10
70
화산의 심장을 스페셜로 그대로 옮겨온 것에 지역피해 옵션 하나 단 레이저 바운서 색놀이.
  • Festive Guitar(축제용 기타)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54
1
70
록 기타에 작은 종 두 개가 달려 있는 모양. 근데 이 기타에서 나오는 투사체가 엄청나게 빠른데, 그 속도는 애니낫의 투사체보다 빠르며 심지어 피어싱에 랜덤 효과까지 걸려 있어 직격당하면 2방컷이 된다.
  • Portable Gift Factory(휴대용 선물 공장)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55
84
12
65
덫을 놓는 사냥꾼의 상위호환이자 죽음의 발톰의 하위호환. 출혈 데미지 대신 랜덤 효과가 붙어 있고 나머지는 다 똑같다.
  • Frozen Lich Bow(얼어붙은 시체의 활)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1
1
80
싱글 샷에 지역피해가 달려있는데 슬로우 디버프까지 달려 있어 잘만 쓰면 사기인 무기지만, 역시나 활 종류기 때문에 투사체가 날아가는 데 시간이 걸린다.
  • Comet(혜성)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12
65
무게는 65로 매우 무거운 편이지만 많은 탄창과 연사력이 그걸 커버해주며, 리코쳇, 피어싱샷, 8배 줌까지 달려 있어 잘만 쓰면 저격계의 레이저 바운서가 될 수도 있는 무기이다.
  • Yetti Spirit(예티의 혼)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60
10
80
시끄러운 피기의 색놀이라고 보지 말아야 할 무기. 딜도 똑같이 들어가는 데다가 흡혈까지 달려있어 무시하지는 말아야 할 무기이다.

  • Meteor Shower(유성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1
14
65
네이팜 캐논을 중화기로 가져와 모양만 살짝 바꾼 뒤 탄창 수만 살짝 올려놓은 무기.
  • Gingerbread Homezooka(생강빵 홈주카)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54
1
70
아마겟돈의 색놀이. 모든 것이 똑같다.

17.2. 2차 무기들


  • Oh Deer[98](오 이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8
45
75
루돌프의 뿔이 달려있는 소총이며, 자동 외에 특별한 옵션은 없다.
  • New Year Defender(새해의 방어자)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8
35
80
방패와 한 세트가 된 무기. 방어구 보너스가 달려 있다.
  • Cryolator(냉담함)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35
76
14
75
위의 각주에서 설명했듯이 삭제된 무기로, 삭제되기 전에 사서 가지고 있던 사람만 쓸 수 있다. 루핑샷과 출혈뎀 그리고 지역 피해가 붙어 있다.
미출시된 무기로, 이 무기가 삭제되기 전에 샀던 사람만 쓸 수 있다.
  • Candy Axe(사탕 도끼)
데미지
발사속도
무게
65
84
80
날이 얼음으로 되어 있는 도끼이다. 출혈 데미지가 있다.
  • Cold Silence(차가운 침묵)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12
75
장전속도가 느린 편이며 8배 줌이 붙어있다. 외형이 굉장히 잘뽑혔다.
  • Proton Freezer(양성자 냉동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2
12
75
엑소스켈레톤 무기들의 파생형 무기. 파란색 투사체가 나가며 슬로우 디버프와 꽤 넓은 지역피해가 붙어 있다.

17.3. 3차 무기들


  • Semi-Auto Shotgun(반자동 샷건)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5
18
75
3점사 샷건.도대체 왜 3점사를 발랐는지 모르겠다.가성비 쓰레기,반동 쓰레기이다.왜 전설적인 등급인지도 모르겠다.
  • Propitiator(유화자)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92
12
80
소리가 굉장히 조용한 화염 디버프가 달려 있는 2배율 줌이 가능한 권총.
  • Combat Knife(전투용 칼)
데미지
발사속도
무게
65
84
80
전투 패스의 특정 6개 도전과제를 달성하면 주는 칼. 출혈 디버프가 달려 있다.
  • Deadly Digital System(치명적인 디지털 시스템)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14
75
엑소스켈레톤 무기들의 파생형. 랜덤 효과가 달려있다. 작은 조종기에 달려 있는 버튼을 돌려 최대치에 이르면 손을 놓는데, 이때 지역 피해가 들어간다.
  • Airstrike laptop(공습 랩톱)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76
7
75
오비탈 피스톨을 스페셜로 옮겨온 무기. 가성비가 쓰레기다. 오비탈 피스톨 풀강보다 딜이 덜 들어간다.
  • Police Zapper(경찰 전기충격기)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84
12
75
발사 시 작은 전기 투사체가 나가는데, 적지 않은 지역 피해에 슬로우 디버프가 걸려있다. 심지어 헤드샷 데미지가 있기 때문에스페셜계의 OP 무기가 될듯 하다.
  • Heavy Sniper Rifle(저격수 중소총)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69
10
65
스왑도 되고 데미지도 쎄서 요즘 뜨고 있는 저격총이다
  • Pixel-Cola Refresher(픽셀-콜라 리프레셔)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84
10
70
그냥 쓰레기다 100판하면 1명 보일까 말까 할정도로 쓰레기이다
  • Stinger 3000(스팅어 3000)
데미지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65
15
1
65
스팅어의 상위 호환. 그러나 장탄수가 하나이고 장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길어 좋지는 않다. 차라리 경찰재퍼를 사라.

18. 삭제된 무기


예전에는 존재 했으나 지금은 사라진 무기들. 주로 그 업데이트를 상징하는 이벤트성 무기가 많다. 몇몇 무기는 없어져도 갖고만 있다면 사용할 수 는 있다. 이후 업데이트로 몇몇은 다시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빅 버디가있다.
업데이트로 나온 무기중에서도 5월달 대규모 업데이트 복고풍 무기를제외하면 여전히 다른무기로 보이는 오류가있다.[99]
이젠 그냥 다 막 뿌린다
완전히 삭제되어 사용 불가능한 무기는 (☆) 표시
  • Social Uzi (소셜 우지)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유동성
99
30
70
페이스북 계정을 연동하면 '''공짜로''' 주는 우지. 기본무장 대신 사용할 수 있으며 성능이 기본 무기대비 좋다. 업데이트되면서 능률이 매우 올랐다.
15.4.0 업데이트로 삭제되었지만 가지고 있었던 사람은 그대로 남아있다.
  • Heavy Shotgun (헤비 샷건 / 중산탄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1→15→23
91→92
8→10→12
110→115→120
골드로 파는 산탄총.[100]모델은 PANCOR Jackhammer. 과거 픽셀건 역사상 산탄총이라고 여길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빠른 연사속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탄퍼짐이 꽤 넓어서 가까이 있을 때 쏴야 효력이 크다. 전반적인 능력은 프레데터보다 떨어지지만 가성비는 훨씬 좋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
  • Water Rifle (물총)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13
95
35→40
100
272골드에 살 수 있는 총. 광역 데미지가 있지만 탄속이 느리다. 최근에 상점에서 다시 판매하고있다가 꽃의 힘과 함께 내려갔다
  • Plasma Rifle (플라즈마 소총)[101]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구매
7
94
20
110
UP1
14
94
25
110
UP2
20
95
30
110
155골드에 살 수 있는 총. 2배 줌, 탄속이 느려서 쏘면 상대가 맞기전에 내가 죽는다. 여러 단점때문에 거의 안보이는 무장이다. 2번 업그레이드 가능. 현재는 삭제되었다.
  • Hot Plasma Pistol (뜨거운 플라즈마 권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
93
10
120
150코인에 살 수 있는 권총. 위의 플라즈마 권총의 상위호환형이었으나 10.0.0 업데이트때 삭제되었다.
  • Old Comrade (오랜 동지)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
92
10
120
120골드에 살수 있는 권총. 모델은 마우저 C96. 상당히 쓸만하다. 가격대비 효율도 좋았지만 현재는 상점에서 삭제된 상태다. 하지만 배틀로얄 업데이트로 배틀로얄 모드 한정으로 부활하였다.
  • Flower Power (꽃의 힘)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
80
9
120
135골드에 파는 총. 꽃을 쏜다. 폭발 데미지를 주며 로켓점프는 불가능하다. 버전 10.0.0때 상점에서 삭제되었다가 1.12업데이트로 상자에서 얻게되었다가 다시 삭제됐다.
  • Fire Demon (불의 악마)
치명률
속도
기동력
10→18→25
94
130
예전부터 활약했던 근접무기. 구매가는 255코인으로 할인시 180코인으로 살수있다. 무지하게 비싸고 강한고 가격 대 성능비 최강인게 특징.11.1.1 업데이트로 불 디버프가 생기면서 불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되었다. 여담으로 예전에는 불이 붙지 않은 검은색 검에서 업그레이드하여 지금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이었다.[102]
최근에는 상점에서 삭제됐다.
  • Carrot Sword (당근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10→15→22
94
130
당근 장식물을 모티브한 검. 불의 악마의 하위호환형이라 보면 된다. 10.0.0때 사라졌다가 10.3.1 부활절 업데이트때 다시 돌아왔다. 기동성이 130으로 이동용 사용을 추천한다. 현재 삭제되었다. 현재 당근 검은 기본 무기인 전투용 칼로 보인다.
  • Last Kiss (마지막 키스)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3→17
87→88→89
8→10→12
100→110→120
9.2.0 발렌타인데이 업데이트때 추가된 산탄총. 발사할경우 하트 여러개가 나간다. 원래 커플 안티와 함께 발렌타인데이 이벤트 무기였으나 10.0.0 업데이트때 사라졌다. 이후 커플 안티는 돌아왔으나 이 총은 돌아오지 못했다.
PGW에 다시 등장했는데 가격은 50000원대지만 엄청난 딜을 이끌고 온 사기템이 돼 버렸다. 모바일버전에도11.4.1에 다시 무기고에 추가됐다. 성능은 동일.
이후 다시 삭제된듯.
  • Lucky Strike (행운의 타격)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8→13→17
87→88→89
8→10→12
100→110→120
9.3.1 성 패트릭의 날 업데이트때 추가된 산탄총. 마지막 키스를 리스킨 한것이며 어찌된 일인지 세일을 하지 않는다.
이 무기는 바로 다음 패치인 9.4.0때 삭제되었다.
  • Missile Thrower (미사일 방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4
71
4
90
위의 아마겟돈을 재도색한 로켓포. 일종의 하위호환형이라 보면 된다. 괜찮은 성능을지녔으나 10.0.0 업데이트때 사라졌다.
  • Snowball Gun (눈뭉치 대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7→13→15
90→91
25→30
100
170골드를 주면 살 수 있는 총. 옛날에는 퇴물취급받고 있어도 안쓰는 무기였는데 현시점을 기준으로 매우 희귀한무기가 되어버렸다[103]근데 있어도 안쓰는이유가 아발란체급의 탄속,데미지까지 뭐 라이플 발당 데미지와 거의 비슷하다 심지어 탄속이 붙어있다면 왠만해서 다붙어있는 지역피해도 없다.
  • Cherry Bomb (체리 폭탄)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
79
6
120
소형 유탄발사기. 체리 비스무리한 폭탄을 쏜다. 로켓점프는 못한다. 여담으로 7.1.0 업데이트때 페이스북 무기 컨테스트 대회 우승자라고 한다.
\10.0.0업데이트때 상점에서 삭제되었다. 이후 이벤트에서 가끔씩 등장한다.
  • EINDRINGLING (침략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
98
40
100
6.3.1 디데이 업데이트때 120코인에 팔았던 기관단총. 모델은 MP40. 40발 탄창과 적절한 데미지를 갖고 있다. 참고로 Eindringling은 독일어로 침략자들을 말한다.
이후 다시 복구됐으나 안보이는것으로 보아 삭제된것으로 추정된다.
  • Brave Patriot (용감한 애국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
96
32
100
위의 침략자와 함께 같이 나온 총. 모델은 M1A1. 원래는 국토 방위군의 하위 호환형이었으나 지금은 개별분리 되고 아예 사라졌다. Pixel Gun World에선 이 무기가 도입이 되었으나 능력치는 다른듯 하다. 픽셀건 6주년 이벤트때 상인의 밴으로 다시 얻을수있다.
  • State Defender (국토 방위군)
[image]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9
98
60→70
100
위 용감한 애국자의 업그레이드 버전, 모델은 M1928. 2배 줌 기능이있고, 치명률 장탄수 모두 상당히 좋으며 가격도 저렴했기에 매우 유용했지만 상점에서 사라졌다. 픽셀건 6주년 이벤트의 상인의 밴으로 다시 얻을수있다.
  • Pig Hammer (돼지 망치)
치명률
속도
기동력
6
92
100
돼지가 머리에 달려있는 망치. 휘두르면 돼지 소리가 난다. 밑의 사악한 돼지 망치의 하위버전이다. 삭제됐으나 이벤트때 다시 얻을수있게됐다.
  • Evil Pig Hammer (사악한 돼지 망치)
치명률
속도
기동력
13
92
110
월드 2-3의 돼지보스를 연상시키는 망치. 휘두를때마다 꿀꿀 소리를 낸다. 원래는 돼지 망치의 업그레이드였으나 개별분리 및 삭제되었다. 허나 1.5.4.0 할로윈 이벤트때 200 골드로 다시 팔기도 했다.
  • Steam Power (증기의 힘)
[image]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67
3
120
60보석에 파는 산탄총. 모델은 더블 배럴 샷건의 아종인 트리플 배럴 샷건. 발사속도는 꽤 빠르고, 장전속도가 느리다. 한발 한발 데미지가 강하지도 않은데 장탄수가 3발이므로 잘 맞춰도 못 죽인다. 탄창이 버프되었으나 쓰레긴건 마찬가지. 스팀파워가 아니라 그냥 증기로 때리는 수준
현재는 상점에서 보이지 않는다. 단 상인의 밴에서 나온다.
  • Candy Baton (사탕 막대)
치명률
속도
기동력
20
92
120
황금 친구처럼 특별 선물 이벤트로 주는 무기, 그냥 보면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이나 주목할만한 점은 27이라는 엄청난 치명률로 풀갑옷 유저도 2방이면 썰려나간다. 최강의 근접 무기가 될수있었으나 태풍 망치에게 밀려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그 괴랄한 뽑기 확률로 인해서 묻혔다.
그리고 치명률이 20으로 너프되었다가 선물 이벤트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 Razor Thrower (전기톱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0
82
9
110
200골드를 주면 살수 있는 총. 10.0.0버전때 사라졌다.
  • Elephant Hunter (코끼리 사냥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
76
7
100
220코인에 살 수 있는 저격소총. 모델은Barrett M82를 사막도색 한것. 위 무기의 상위호환형이다. 실제로 이전에는 브루탈 헤드헌터 업그레이드가 이 무기였으나 후에 개별 분리및 10.0.0 업데이트로 삭제됐다.
다만 패치 이후 데미지를 예전보다 극한으로 올릴수있어서 가지고만 있다면 원 샷보다 유용하다.
  • Firestarter (화염시작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9
60
1
110
모델은 역시 M79. 위 유탄발사기보다 가격이 훨씬 싸며[104], 성능은 9밖에 안되는 치명률을 가지고있지만 데미지는 많이 들어간다.
10.0.0 패치때 사라졌다. 타 플레이어에게는 수류탄 발사기로 보인다.
  • Mega Destroyer (엄청난 파괴자)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4
87
11
110
모델은 SPAS-12. 7.1.0까지는 치명적인 사탕과 함께 유일한 산탄총이었다. 초기 무기치고는 괜찮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몹에게는 더욱 더 좋았다.
9.4.0에 사라졌다. 이 총을 가진 유저가있다면 그 유저는 올드비 중 올드비다.
현재 이 무기의 디자인은 크리스마스 파괴자와 디노 슬레이어가 계승하고 있다. 현재 업데이트로 시작된 로봇 vs 인간 상자 이벤트의 파이터 상자에서 얻거나 갤러리에서 250티켓으로 얻을수있다. 샷건인데 정조준을 할수 있다.
  • Battle Shovel (야전삽)
치명률
속도
기동력
5
89
130
능력치는 기본무기랑 같고, 가격도 심지어 30코인씩이나 한다. 즉 한마디로 최악이 돈낭비인 셈. 제작자들도 이를 당연히 알았는지 바로 삭제해버렸다. 캠페인 1-1 만화에서 머리없는 좀비가 이거들고 있다.
현재는 배틀로얄 모드에선 기본으로 주는 무기로 변경되었으며 제트삽, 황금삽등 스킨도생겼다. 현재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기본으로 지급된다.
흔한 등급중 유일하게 업글이 가능하다.

  • Cactus Sword (선인장 검)
치명률
속도
기동력
5
89
120
치명률도 그저 그렇고 공격도 느려 성능은 영 좋지 못하다. 8.2.1 업데이트 이후로 사라졌다.
  • Nanobot rifle (나노봇 라이플)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29
77
6
90
12.5.0에 나온 총. 이름이 나노봇 라이플인지라 작고 빠른 투사체가 적을 따라간다. 비싸지만 그만큼 성능이 사기적인 총.
2~3방[105]에 적을 천사로 만들어 버리고 연사력도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후반대에서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투사체의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아서 적을 쉽게 맞출 수는 없다.
무게가 무거워 기동력이 개판이라 원거리에선 어느정도 가까이 따라잡아준 다음에 쏴야하기때문에 고드름 미니총같은 슬로우를 걸어주는 무기랑 조합하는게 좋다.
결국 15.2.0 업데이트로 밸런스문제로 삭제되었다.
  • Smart Bullet Bazooka (스마트 총알 바주카포)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7→25
79
3→4
100
레전더리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킬러'''를 그대로 가져온 무기.
총 4발이라는 후달리는 장탄수와 느려터진 탄속으로 저평가받는 총이지만 실상은 막 쏴도 '''벽에 닿지 않는 이상 가까이 있는 적을 정확히 찾아가서 요격한다.''' 대신 무기가 투사체를 쏘고 폭발성인지라 다른 미사일이나 총격에 도탄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다만, 탄속이 많이 느리기에 공중의 적을 상대하기에는 어렵고, 점프를 하며 다니면 맞추기 어렵다. 높은 데미지와 범위 판정이 넓어 상당히 좋다. 만렙까지 코인으로 해결되어 무과금들이 사용하기가 다른 프리미엄들에 비해 쉽다.
15.2.0 업데이트로 밸런스문제로 삭제되었다.
  • Alligator (악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2→23
82→84
5→8
100→110
일종의 소이탄을 발사하는 총. 공격방식이 히트스캔에 광역 공격이다. 현재는 삭제된 무기.
  • Portable Death Moon (휴대용 죽음의 달)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25
87
9
120
아무리 봐도 데스스타를 모티브로 한 손목시계. 보랏빛 히트스캔에 광역공격 탄을 발사한다.[106] 여담으로 PC버전인 PGW에선 푸른 부분이 약간 붉은색이다. 삭제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가 다시 삭제되었다.
  • Harpoon Gun (하푼 건 / 작살 총)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13→18
87→88
10→12
110
네일 미니건과 같이 나온 스페셜 무기. 그러나 삭제되었다.
  • Bee Swarm Spell (벌떼 마법)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무게
20
89
1
7
후술할 스마트 총알 바주카랑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무기다. 사실 두 번째로 출시된 호밍 미사일 무기다. 전체적으론 상대를 스트레스 쌓이게 만드는 무기. 헌데 치명률이 최상급 티어에선 간지러운 수준이라서 최상위권에 가면 사실상 스마트 총알 바주카랑 달리 거의 안 보인다.
15.2.0 업데이트로 밸런스문제로 삭제되었다.
  • Judge (판정) (☆)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25→29
58
1
90
전설적인
로켓 컨트롤이라는 특성을 갖고 왔는데 이게 무엇인고 하니 투사체를 '''스스로 조종할 수 있다.'''
위력도 빅버디급이라 어디를맞든지 즉사이며 가끔은 판정오류때문에 '''안 맞아도 죽는다.'''
팀 타격에서는 제거대상 1위다[107]
다만 로켓의 소리가 꽤나 크고 로켓을 조종하는 동안은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에 리스크도 꽤 크다.
여담으로 로켓을 쏜후 죽으면 카메라가 검게 변한다, 이 상태에서는 로켓을 조종할수있으나 앞이 보이지 않으며 로켓이 터져야 화면이 돌아온다.
만약 지금까지 있었다면 교늑 카운터였을것이다.
2017년 12월 8일 업데이트로 총 장탄수가 2발로 줄어들었으며, 나노봇 라이플과 함께 더 이상 코인 무기가 아니라 보석으로 사는 무기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2017년 12월 13일 업데이트로 총 장탄수와 무게가 롤백되었다.
13.2.0 업데이트로 발사속도가 '''58'''로 상향되어 DPS가 수직상승했다. 다른 말로는 로켓 한발의 대미지는 수직하락해버린 셈.
업친데 덮친 격으로 총 장탄수가 1발로 줄어들었으니, 이로인해 이 무기를 쓰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15.2.0 업데이트로 밸런스 문제로 삭제되었다.
  • Anime Scythe (애니 낫)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31→'''75'''
64
1
70
레이저 창의 상위호환이 아닌 좁은 맵의 새로운 지배자.
13,3,0 때 나온 무기로 레이저 창과 비슷하게 작동하는 무기다. 두번째 생명력 흡수 무기이며 대미지가 굉장히 강력하지만 무지막지한 선딜레이와 좁은 판정이라는 단점 때문에 좁은 장소에서만 쓰인다. 좁은 공간에서도 선딜이 좀 있어 쓰기가 힘들긴 하지만 프로가 쓰면 이 무기는 좁은 맵 한정 플레이어 대학살용 무기가 된다. 그래도 좁은 맵에서 쓸수 있는 더 강한무기들이 많다.
원래 레이저 창도 데미지가 높아서 레이저 바운서가 없던 플레이어들이 썼지만, 이놈은 그 높은 데미지가 더 높아져서 바디샷, 헤드샷 한 방이면 어느 플레이어라도 맞으면 바로 죽는다.
선딜이 긴 것도 다르게 보면 잠시 에임을 가다듬고 발사하는 거라 상대방 플레이어에게 예측샷을 날리거나 방향 페이크를 시전해 날릴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큰 단점도 아니며 흡혈이라는 소소한 옵션도 달려 있고 공속과 투사체 모두 레이저 창보다 빠르다.
등장하자마자 레이저 바운서의 너프로 그나마 쓸만했던 단호한 스피어를 관짝으로 다시 쳐넣었다.
데미지도 애니 낫이 더 높기도 하고 반사경은 확실하게 상대방 머리를 조준해서 날려야 한방이지만, 애니 낫은 투사체의 범위가 넓어서 헤드샷 판정도 넓기 때문에 난이도도 그렇게 높지 않아서인 듯 하다.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소울이터에서 따 왔다.
14.0.0 버전 때 금장 스킨이 출시되었다. 금장 스킨의 평가가 매우 좋은데, 낫 전체가 황금빛으로 빛나며, 원래 하얗던 눈이 '''빨간색이 되면서 특유의 간지가 살아나게 되었다.''' 사실상 금장 스킨들 중 프로토타입과 함께 유일하게 사 볼 만한 스킨.
하지만 15.5.0 업데이트로 인해 다른 챔피언 테마 무기들과 함께 삭제되었다. 타 플레이어에겐 단호한 창으로 보이며 단호한 창에서 붉은 검기가 나온다면 바로 이 무기다. 현재는 돌아온 상황이다.
  • Pumpkin Thrower (호박등 발사기)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14→19
61
3
110
레전더리
한때 '''27'''이라는 개념없는 치명률을 들고 나왔기 때문에 풀갑옷 유저도 2방이면 삭제할 수 있었으나 10.0.0때 잠시 제거되고 10.1.0때 다시 돌아왔다가 다시 삭제되었다. 대신 소다 발사기라는 색놀이 기종이 있다.
  • Tesla Cannon (테슬라 캐논)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7→15→20
90→91
15→17→19
100
흔하진 않은
전기로 이루어진 구체를 빠르게 쏜다. 특히 근~중거리 전투에서는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반대로 말하자면 원거리에서는 쓰레기. 삭제됐으나 12.11업데이트로 부활했다가 다시 삭제됐다. 색놀이로 공격방식이 확연히 다른[108] 전기 소용돌이가 있다.
  • Easter Bazooka (부활절 바주카)
치명률
발사속도
장탄수
기동력
등급
8→15→21
15
1
120
에픽
부활절 업데이트때 나온 바주카. 모양은 RPG-7인데 진짜로 부활절 달걀이 나간다. 성능은 21의 높은 치명률과 달리 실전에서는 무갑옷 풀체력 유저도 한방에 보내지도 못하는 매우 안습한 데미지를 보여줬었다. 그러나 12.1.1 기준으로 대미지가 거의 빅버디급이 되었다. 현재는 삭제되었다. 비슷한 무기가 있다.

[1] 본인이 운이 좋다고 생각하면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2만원 정도 값어치의 보석으로 250개의 부품 중 95개밖에 획득하지 못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경험이 존재한다. 즉 이 방법으로 테마 무기 하나를 뽑고자 한다면 5만원 정도의 예산은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속 편하다. 물론 해당 위키러는 할인 패키지를 이용해 보석을 샀기 때문에 실제로는 만원 정도 소비한 셈이다. 하지만 사용할 수 있는 돈의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인 급식을 비롯한 학생의 경우 포기하면 편하다. 어차피 학생 신분으로는 픽셀 건을 돈을 들여가며 하드하게 파기도 힘들다.[2] Lottery를 이용하려 한다 해도 비슷하거나 더 많은 자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약 10만원 정도면 테마 무기들 중 하나를 거의 확정적으로 뽑을 수 있을 텐데, 이 경우에도 자신이 원하는 테마 무기를 정확히 뽑을 확률은 낮다. 그 대신 Lottery에서는 수 많은 다른 보상들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테마 무기 외적인 측면에서 자신의 인벤토리가 아주 풍부해질 것이다.[3] 이들은 모두 발사 속도가 98이며, 등급이 Rare이고, 자동 발사(발사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탄환이 계속 발사됨)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미니건처럼 발사 지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4] 이는 비단 이 총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돌격소총 종류에 해당되는 사항이다. 본 게임에서 돌격소총은 대체로 중거리전에서 가장 강하다. 다만 어설트 기관총의 경우 탄창수가 커서 전투 지속력이 더욱 뛰어나고 조준경 덕분에 장거리전에서 조금이나마 전투를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 중거리전이 아닌 상황이라도 어느 정도 퍼포먼스를 더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5] 근거리의 경우는 산탄총과 미니건, 그리고 각종 비히트스캔 한방류 무기들에 비해 딜량이 딸린다.[6] 바로 뒤에 설명하겠지만 해당 무기 역시 거듭된 밸런스 패치 및 경쟁 총기들의 등장으로 현재 패왕의 자리에서는 내려왔지만 여전히 강력한 무기 중 하나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7]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오버워치의 바스티온마냥 순식간에 전부 녹여버리고 그런 수준은 아니다. 애초에 그 데미지는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대가로 나오는 것이기도 하고.[8] 산탄총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9] 게임 내에선 매치 무거운 소총이라 나온다.[10]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11] https://youtu.be/_z1n5LmSHkg [12]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13]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14] 총기를 보면 일반 탄창이 아닌 연장탄창이 부착되어있다.[15] 업그레이드 순으로 Killer Mushroom (버섯 살인마) → Assassin Mushroom (버섯 암살자) → Amanita (광대버섯).[16] 업데이트로 탄창이 6발에서 5발로 줄어들었다가 최근에 6발로 다시 롤백되었다.[17]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18] 게임 내에선 어둠의 힘 사브르로 나온다. 세이버사브르는 뜻은 같고 미국식 영어와 영국식 영어의 차이뿐이라 큰 차이는 없다.[19] 원래 85이었다가 81이 되고 84로 올라갔다.[20] 세일가는 700코인.[21] 정확히는 점프하는 순간 충전이 풀리며 투명효과가 풀리는 것.[22] 이 역시 몇 레벨에 뽑느냐에 따라 치명률이 달라진다. 최고치는 26[23] 나갈때 1회+돌아올때 1회. 하지만 가끔씩 다딘 히트가 날 때도 있다.[24] 체스 시즌 전투패스 무기 중 하나이다. 상점의 그 도끼가 아니다![25] 그나마 너구리는 딜/범위 너프 후엔 사기 무기 자리에서 내려왔지만 나이트의 도끼는 떠오르는 신흥 강자나 다름없어서...[26]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27] 불을 붙이고 산탄총으로 쉽게 죽일수있다.[28] 사실은 못이다. nail은 못과 손톱이라는 뜻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29] 반사경 36 '''<''' 레이저 바운서 '''56'''[30] 아스트랄 보우는 이상하게 사용이 가능하다.[31]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32] 원형 탄창에 있는건 총알이아니라 화살이다.[33] 멀티플레이 맵 중 에이리어 52 연구소에서 이 물질로 이루어진 핑크색 텔레포터를 발견할 수 있다.[34] 무거운 철 갑옷 상태[35] 한방 딜 저격총이라 안티나 프로토보다 한명을 더 죽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한다.[36] 실험결과 몸통샷 대미지가 '''무려 101이다.'''[37] 특히 수영장 파티 맵에서 지붕 위로 올라가 크툴루 저격을 시작하면 좁은 맵과 복도 때문에 상대 팀에게 단호한 폭격기 급 공포를 선사할 수도 있다.[38] 맞으면 바로 죽는게아니라 실피가 되지만 독데미지로 남은 피를 정리한다.[39] 대개 2일~1주일의 기간을 두고 등장하는데, 상점에서는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 무기들을 상점 무기와 비교하여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좋은 무기들도 많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많기에 구입은 신중하게 결정하자. Trader's Ban이 떠나버리고 나면 그 즉시 다른 무기들을 진열하고 있는 또 다른 Trader's Ban이 찾아온다.[40] 한때는 Overcharged Blaster(과충전 발사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이름에 걸맞게 총 장탄수가 '''2436'''발이라는 지랄맞은 수치를 자랑했다. 이로인해 픽셀건 역사상 최대의 사기무기가 될 뻔했으나 너프당했다.[41] 여담으로 이 무기가 처음 나왔을때는 발사시에 나오는 대포알이 굉장히 크고 아름다웠으나 많은 업데이트를 거쳐 작아진 크기로 변했다.[42] 열쇠를 모아서 상자를 여는 방식인데 빅 버디가 나오는 상자를 열 때엔 일반 상자 '''30개'''가 필요하다. 이는 열쇠 750개에 해당하는 수치다.[43] 1.3.50 패치 이전 단호한 폭격기를 전부 업그레이드할 경우 17레벨이 된다.[44] 여담으로 이 무기가 '''75'''발이나 되는 충공깽스러운 장탄수를 가진 적이 있었으나. 개발자가 이건 좀 심했다고 생각했는지 12발로 조정됐다.[45] 하지만 중산탄총의 버프로 중산탄총이 더 좋다.[46] 다만 최근에 클랜 상자의 부품 드랍율이 높아져 전보단 비교적 쉬워진 편.[47] 신성 등급까지 있으나 현재는 황금 등급까지만 구현[48] 클랜전에서 1등 클랜으로 승리하면 받는 전쟁 승리자 상자에서도 부품이 나온다[49] 레어, 에픽, 레전데리 등급 무기들[50] 다만 상인의 밴이나 특가 상품으로도 구할 수 있고, 무엇보다 갤러리 시스템이 생겨 티켓만 있다면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51] 사실 5발 나가는 것이 맞다. 버그 때문에 효과음이 6연사로 들리는 것 뿐.[52] 조준점 보다 조금 아래에 투사체가 나간다 [53] 사실 스코프 능력은 프로토타입보다도 못한 3배율이다.[54] 이 때문인지 해당 무기들의 디자인은 중세풍 느낌이 물씬 풍긴다.[55] 다만 교늑은 기간한정 이벤트에서만 얻을 수 있고, 스페셜이라 탄창 제한도 있는데다 무엇보다 '''퍼시벌&라모락 보다 돌진거리가 짧다.''' 반면 퍼&라는 본인이 클랜에 속해 있고 열심히 활동한다면 얼마든지 얻을 수 있고 탄창 제한도 없어 마음껏 내지를 수 있다. 물론 교늑에겐 방벽이라는 차별점이 있긴 하지만 몹들의 공격을 굳이 막을 필요가 없는 급습에서는 글쎄...?[56] 다만 교늑은 '''기념비적인 최초의 돌진형 무기'''라는 점을 염두에 두자. 퍼&라가 등장하기 전엔 교늑이 급습 1티어였다[57] 교늑에 이은 '''두 번째 돌진 무기.'''[58] 하지만 로점, 흡입총, 이단 점프 등의 변수가 있어 확정 처치는 어렵다.[59] 패치 전에는 돌진류 무기로 공중에서 돌진하면 '''공중에서 그대로 일직선으로 돌진이 가능했었다.''' 그래서 로점 후에 교늑 내지는 퍼&라만 연사하여 '''공중을 활강하는(...)''' 미친 짓거리가 가능했었다. 그러나 패치로 공중에서 돌진을 하면 떨어지면서 돌진하게 되어 이제는 불가능하다[60] 초기엔 지금처럼 처음부터 차징이 되었다가 어느샌가 패치로 약 30% 정도의 게이지가 미리 충전된 상태로 충전이 되는데다 충전속도마저 버프를 먹고 상당히 빨랐지만, 현재 2020/4월 업뎃 기준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갔다.[61] 물론 얼음 폭풍마냥 딜량이 답없는 수준은 아니고 오히려 준수하기에 별 문제는 안 된다[62] 그러나 점프 봉인을 채 걸기도 전에 그냥 처리해 버린다...[63] ≡ 이런 식으로.[64] 출시 초기에는 직격과 범위 피해 모두 1방이라는 어마어마한 성능을 자랑했지만, 현재는 데미지가 32%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다.[65] 호위 모드에서는 이걸로 램에 붙어서 상대 팀의 접근을 불허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66] 현재는 특이한 이벤트는 사라진지 오래이다 줄여서 보석으로만 뽑을수있다 [67] 점프 높이 상승, 체력, 방어구 재생[68] 여담으로 외국커뮤니티에선 검투사와 저주받은 해적이 카테고리가 바뀌었다고한다. 원래 검투사는 스페셜로가고 저주받은 해적은 지역피해가 붙고 중화기였다고 한다. [69] 학교맵 통로, 수영장 파티 통로[70] 한국어 해석이 따로 없다.[71] 오역으로, Like를 전치사 뜻 "~처럼"으로 번역했다. "좋아요 발사기"가 정확한 명칭이다.[72] 깃발잡기에서 깃발밑에 붙여두는 전략이 있다.[73] 한국어 해석이 따로 없다. 대충 번역하면 '스냅 공격자' 정도가 될 것이다.[74] 블록샷건도 딜은 잘들어갔지만 얘는 딜도 잘안박힌다[75] 애초에 사이버산타 시리즈는 힘의 곤틀릿을 제외하곤 아예 안보인다해도 무난하다[76] 세트의 아이콘이나 스킨이 빼박 그분이다.[77] 다만 '''메인 무기와 저격 무기가 고정'''되므로 실질적으로 이 버프를 받을 수 있는 무기는 '''근절자와 번개의 신, 포탈리움 소총''' 뿐이다.[78] 마법 데미지 모듈 + 총구 제동장치 + 손잡이. 벽 너머의 상대를 일정 시간 동안 볼 수 있다.[79] 컴뱃 요요는 방패를 뚫고 들어오기 때문에 막을 수 없다. 요요 외에도 교활한 늑대를 무시하고 피해를 입히는 무기가 몇몇 존재하며, 클랜 포트의 전설 경비병은 클랜 습격/은 광산에서 3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분대를 맺을 경우 '''방패를 완벽하게 무시한다.'''[80] 핵 곡사포, 불덩어리 탑[81] 플레이 인원 3명 이상일 때 적용[82] 단, 전설 다수나 공격 속도가 빠른 방어시설들이 밀집하면 탄약이 순식간에 바닥나므로 조심.[83] 유언 특수능력을 가진 중화기를 든 상태에서 죽을 경우 유언이 발동하지 않고 세트 효과만 나온다.[84] 레이저 조수와 이것 외에 8배율 스코프를 가진 메인 무기는 거의 없다.[85] 투사체가 비행하는 동안 8칸 이내 적을 즉발로 공격한다.[86] 이 때문에 제트팩으로 공중에서 중화기 폭격을 하는 유저들을 쉽게 잡을 수 있다.[87] 로켓은 적을 관통할 수 있다.[88] 거대한 소년 같은 1방이 매우 강력한 무기, 파괴 시스템이나 어스 스파이크 마법처럼 넓은 공격 범위와 빠른 연사 속도를 가진 무기 등[89] 반면 결투 같은 1대1 상황에서는 효율이 감소한다. 자동 공격을 빼면 상대적으로 화력이 더 높은 무기[88]에게 밀리기 때문.[90] 체력이 높은 보스나 대형 몬스터 상대로는 효율이 떨어진다.[91] 체인샷으로 가끔 한방이 뜨기도 한다.[92] 중거리에서는 헤드샷 한방이다.[93] 인게임에서는 98에 가깝다.[94] 치유량은 초당 12%.[95] 물론 치유량 이상의 화력이 들어오면 위험하다.[96] 모듈 8렙 기준[97] 모듈 6렙 기준[98] 원래는 Oh Dear이었으나 알파벳 a와 e의 발음이 같은 점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일종의 언어유희[99] 예를들어 아발란체가 고드름 미니건으로 보이는 현상[100] 과거엔 흔한, 90코인 이었는데 전설적인, 153 다이아가 되었다.[101] 외형이 폴아웃 시리즈에 나오는 플라즈마 소총과 많이 닮았다.[102] 이 모델에서는 이름이 Skeleton Sword였다.[103] 그놈의 큢빖놈들이 현재 옛날무기를 상인의 벤과 상자이벤트로 마구 뿌려대는데 이녀석은 지금까지 등장한적이 없다 [104] 유탄발사기 가격 135젬, 화염시작기 가격 220코인[105] 출혈데미지 덕분에 '''한방도 난다'''[106] 폭발 모델링이 마법지팡이와 똑같다.[107] 정말로 판정이 너프먹기 전에는 사람들이 팀스트라이크에서 죄다 이것만 들고다녔다.[108] 이쪽은 상대를 끌어당기는 전자 방사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