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궁

 




1. 개요
2. 고려 이전의 행궁
2.1. 신라의 행궁
2.2. 후고구려의 행궁
2.3. 후백제의 행궁
3. 고려시대의 행궁
3.1. 개성지역의 행궁
3.2. 개성지역 이외의 행궁
4. 조선시대 행궁
4.1. 경기지역의 행궁
4.2. 경기지역밖의 행궁


1. 개요


'''행궁'''() 혹은 '''이궁'''()은 군주왕족이 일을 본궁 밖에서 임시로 숙박 혹은 경숙(經宿)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왕이 도성 내외를 막론하고 숙소로 한번 결정하면 행궁의 명칭을 부여받았다. 왕이 어떤 곳에 행(幸)한다는 의미 자체가 그곳을 행궁으로 만드는 의미를 지녔기 때문이다. 또한 행궁은 왕이 머무는 곳이었기에, 머무는 동안이나 이후에도 계속해서 왕이 머무는 경우 궁궐과 같은 대우를 하였다.
행궁의 목적은 크게 '''전란대비용'''과 '''휴양용(초수행궁)''', '''능행용'''으로 나뉘며, 이외에도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보호,봉안하기 위해 만든 전주행궁 같은 특수한 목적의 행궁과 이태조 행궁 같은 저택형 행궁 도 존재한다.
왕이 지방에 행차하는 순수는 고대부터 있었고[1] 왕이 아무데서나 아무렇게 숙박할 리는 없으니 행궁제도 자체도 삼국시대 때부터 시행되었을 것을 추정할 수 있지만, 자세한 기록이 부족해 구체적인 목록이나 관리 실태를 알기는 힘들다. 그러다 강력한 중앙집권화가 이뤄졌던 고려시대조선시대에 더욱 제도화되어 수많은 행궁이 건립되었다. 특히 고려는 대규모 행궁을 건립하여 사용하였는데, 서경의 대화궁과 영변의 육상궁부터 남쪽 경주의 조유궁[2]과 울산의 태화사까지 전국 곳곳에 행궁을 건립하였다.
대부분 도성을 벗어나 원거리를 행행하는 능행(陵幸), 원행(園幸), 강무(講武), 온행(溫幸) 시에 임시로 숙소를 만들거나 관사를 이용하면서 행궁이라고 호칭하였다. 왕이 행궁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고위 관원이나 지역 관장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행궁은 왕의 임시 처소로서 영구적인 궁의 역할은 하지 않았다. 실제로 왕이 행행한 지역의 행정 명칭을 붙여 지칭하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왕이 임시로 머문 이후 정식으로 행궁이 되는 경우도 없지않아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영변행궁영유행궁, 의주행궁이다.
조선후기에는 외침을 당해 왕이 임시로 피신하면서 이용한 곳이나 미리 왕실의 보장처에 행궁을 마련하면서 이름을 붙인 경우도 있다. 그러한 목적에서 만들어진것이 강화행궁남한산성 행궁 그리고 북한산성 행궁으로 이들 행궁은 산성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의 적으로부터 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진 국왕 전용의 행궁이었다.
왕이 별 이유 없이 지방으로 이동하는 데는 막대한 예산이 소모되었으므로 조선시대부터는 예산 낭비를 막는다는 의미로 지방 순수 자체가 줄어들었다. 왕이 경기도 안쪽이나 온양온천 등 한양에서 가까운 지방까지만 주로 돌아다니면서 자주 쓰이지도 않는 행궁의 규모도 점차 줄어들었고,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고려의 대규모 행궁이자, 조선의 행궁이자 영변 3대사찰인 천주사에 위치했던 영변행궁병자호란당시 불타면서 사실상 대규모 행궁과 이궁시대는 끝을 향했다. 다만 남한산성 행궁강화행궁,화성행궁과 같이 중대규모 행궁이 다시 중건되거나 건립되기도 하였다. 행궁제도의 전성기인 고려시대 이후 쇠퇴하던 행궁제도는 광무6년에 지어진 풍경궁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2. 고려 이전의 행궁


고대에도 행궁은 많이 지어졌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고려-조선시대 각종 전란으로 인한 소실 때문에 실물이나 운영에 대한 기록은 거의 사라졌다. 현재는 고대의 행궁은 대부분 찾아보기 힘들다.

2.1. 신라의 행궁


  • 포석정 - 현재 논란이 있으나, 일부 학자들은 이곳에 이궁이나 행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 남궁 - 남궁의 경우는 행궁인지 이궁인지 밝혀진것이 아직 없다. 하지만 '남궁지인' 이라는 기와가 발견된 시기가 통일신라 말기와 유사하다.
  • 북궁 - 상황 진성여왕이 거주하는 용도로 쓰였고 본궁과 별개의 위치이나 평소 용도는 알기 어렵다.

2.2. 후고구려의 행궁



2.3. 후백제의 행궁



3. 고려시대의 행궁


고려의 경우는 행궁이지만, 이궁과 동일한 지위를 누리었고, 일단 행궁의 규모 자체가 기본 중대규모이다. 거기다가 고려의 궁궐을 쌓는 방식인, 계단식 건축을 하였으니, 실제로 느끼는 규모는 조선시대 행궁과는 확연히 달랐을 것이다.

3.1. 개성지역의 행궁



3.2. 개성지역 이외의 행궁


  • 강화도 지역의 행궁
강화도 지역에서는 개성지역의 궁궐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들 궁이 행궁으로서의 지위는 개성지역의 행궁과 이궁들과 똑같이 동일하였다. 다만 현재 강화도지역에서 이궁이나 법궁으로 사용되었던 궁은 남아있지 않다.
  • 강도본궐 - 고려궁지라고 하며 몽골과의 여몽전쟁 이후 허물어 졌다.
  • 연경궁 - 강도 연경궁으로 불린다. 기록에 따르면 강화도 견자산 남쪽 아래 어딘가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제포궁 - 현재의 강화중성 근처에 있었던 궁으로 추정된다.
  • 승천부 신궐
  • 경령전
  • 마니산 이궁
  • 흥왕리 이궁
  • 삼량성 가궐 - 삼량성 안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현재도 터로 전하는곳이 남아있다.
  • 신니동 이궁 - 정식명칭은 전해지지 않으며, 이궁이라는 표현이 기록되었다.
  • 신니동 가궐 - 정식명칭은 전해지지 않으며, 가궐이라는 표현이 기록되었다.
  • 강안전
  • 용암궁
  • 장봉궁
  • 관서궁
  • 인화리 이궁 - 현재 고려궁터로 추정되는 곳이다.
  • 신정리 이궁 - 현재 고려궁터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 선원사 - 현재 이궁터라는 주장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 현재 기록상에서 나오는 강화도 지역의 궁궐은 20개가 넘으나,현재 발견된 추정발굴과 발굴결과의 횟수는 아직까지는 5군데에 불과하다. 추가발견시 작성하도록 한다.
  • 경주지역의 행궁
    • 조유궁 - 고려 초기에 헐었다는 기록만 있으므로 옛 신라왕궁 중 일부를 활용한 이궁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까지 조유궁의 위치와 규모 그리고 역사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연구와 해석이 다르다.
    • 월성 - 신라의 멸망직후는 이궁으로서의 지위를 누리다가 이후 관리되지 않게되어 적어도 9세기에서 10세기 말에는 이미 무너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동궁 - 신라멸망직후 행궁으로의 지위로 격하되었다. 이후 고려정부에 의해서 강제로 무너져 10세기 초에는 없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 서울(남경)의 행궁
    • 남경 별궁
    • 남경 대궁 - 남경별궁과는 다른 궁궐로, 고려사에서 "남경 새 대궐" 이라는 문구를 쓴것으로 보아서 남경지역에 대형궁궐이 들어섰음을 알수있다. 위치는 지금의 청와대 위쪽으로 이후 조선의 궁궐과는 다른 위치이다.

  • 강원도 지역의 행궁

  • 평안도 지역의 행궁
    • 영변행궁 - 지금의 천주사 부지에 위치하였다고 추정되고있다.
  • 기타 등등지역의 행궁
    • 혜음원 - 지금의 파주 혜음령에 위치하였다. 역원과 사찰, 행궁이 같이 혼합된 경우이다.
    • 회덕행궁 - 지금의 대전광역시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대규모 저택. 고려귀족의 저택 겸 행궁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
    • 용장산성 행궁 - 삼별초의 궁궐이자 고려시대의 행궁이다. 현재 남한지역에 남아있는 유일하다시피 한 고려궁궐이다.
    • 숭산행궁 - 고군산군도에 위치하였던 행궁.

4. 조선시대 행궁



4.1. 경기지역의 행궁



4.2. 경기지역밖의 행궁


[1] 고대는 친정의 의무가 강했고 삼국시대엔 전쟁이 꾸준히 잦았기 때문에 왕이 전국 여기저기 돌아다닐 일은 고려, 조선 때보다 오히려 더 많은 편이었다.[2] 다만 조유궁은 현종 때 경주에 있는 걸 헐었다는 기록에 나오기 때문에 고려왕조가 지은 행궁이 아니라 고려 초기까지 남아있던 신라 궁궐의 일부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