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수사국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연방수사국


}}}
'''설립일'''
1908년 7월 26일
'''국장'''
크리스토퍼 A. 레이
'''주소'''


J. 에드거 후버 빌딩
워싱턴 D.C.
'''소속'''
[image] 미국 법무부
'''모토'''
Fidelity, Bravery, and Integrity
신의, 용기, 진실

1. 개요
2. 역사
3. 관할
4. 수사 권한
5. 주요 활동
6. 타국 수사기관과의 비교
7. 외국 지부
8. 계급
9. 역대 국장
10. 논란
11.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12. 인터넷 밈 - FBI다! 문 열어!
13. 기타
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 법무부 산하의 연방수사국('''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본부는 워싱턴 D.C.에 있고 본부 빌딩을 초대 국장의 이름을 따서 J. 에드거 후버 빌딩이라고 부른다.[1] 산하 특수부대로 각 지부별로 FBI-SWAT를 보유하고 있으며 SWAT의 상위호환격인 HRT 또한 두고 있다.

2. 역사


1908년 BOI(Bureau of Investigation)라는 이름으로 출발해 1933년에 DOI(Division of Investigation)를 거쳐 1935년 FBI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미국의 형사법이 주마다 다르기 때문에 '연방정부 차원에서의 사법권을 행사할 기관'이 필요하여 만들어졌다. 한국과는 달리 미국은 주마다 치안기구가 별도로 있어 행정구역이 다르면 경찰조직도 완전히 별개가 된다. 심지어 같은 주 안에서도 어떤 지역은 아직도 주민들이 선출한 보안관이 한두 명 활약하고 있기도 하고, 어떤 지역에서는 다른 나라의 경찰급 거대 조직이 만들어져 있기도 하고 그런 식이다. 결과적으로 과거 FBI가 없었을 때는 조직범죄나 여러 주에 걸쳐서 발생한 범죄 사건을 조사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 FBI이다. 참고로 FBI의 설립자 중 한명이 나폴레옹 1세의 조카손자인 찰스 조셉 보나파르트이다.[2]

3. 관할


FBI는 법무장관의 지휘·감독을 받는 체제로 되어 있고 FBI는 미 헌법과 연방법이 부여하는 200여 가지의 영역에 걸친 관할권(jurisdiction)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주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Act for Protection of Foreign Officials: 외국 주요인사 경호
  • Admiralty Matters: 해상범죄 수사
  • Anti-Racketeering, Anti-Trust: 불법적인 교역행위, 독점, 기업담합
  • Assaulting or Killing a Federal Officer: 연방공무원에 대한 공무방해, 살인
  • Assaulting the President of the USA: 대통령에 대한 공격행위
  • Atomic Energy Act: 핵에너지 관련 법
  • Automobile Information Disclosure Act: 자동차 생산, 수입업자 간의 불법행위
  • Bank Robbery and Embezzlement: 연방법률에 의해 설립된 은행에 대한 강도 횡령
  • Bankruptcy: 파산법 관련 범죄
  • Bribery: 연방공무원의 뇌물 수수행위
  • Civil Rights Act: 시민권 침해관련 범죄
  • Election Laws: 선거법 관련범죄
  • Desertion from the Armed Forces: 탈영병 수사활동
  • Destruction of Aircraft or Motor Vehicles: 항공기 또는 주간 외국간 교역에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파괴행위
  • Escape and Rescue: 연방법률에 의해 구금된 피의자도주, 도주원조행위
  • Espionage: 간첩행위
  • Extortion: 갈취행위
  • Falsely Claiming Citizenship: 시민권 위조 획득
  • Murder, Mass Murder, Serial Murder: 살인, 대량살인, 연쇄살인
  • Murder in Multiple States: 2개 이상의 주에 걸친 살인사건.
  • Protect the United States from terrorist attacks: 테러 공격에 대한 방어
  • Protect the United States against cyber-based attacks and high-technology crimes: 사이버 범죄 예방
  • Combat public corruption at all levels: 모든 단계의 부정부패 수사
  • Combat transnational/national criminal organizations and enterprises: 초국가적/국가적 범죄조직 및 기업과의 싸움
  • Combat major white-collar crime: 화이트칼라 범죄 수사

4. 수사 권한


미국 전역이 관할이라[3] 관할 구역과 수사권이 넓지만 2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범죄자가 연방법을 위반 혹은 범죄를 저지른 그 주를 벗어나야 연방사건이 된다. 전자라면 그 주에서 FBI의 수사협력을 요청해야만 가능하고, 후자라면 FBI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개입할 수 있다. 주 사법기관은 담당사건이 연방기관으로 이관됨을 굉장히 꺼림직하게 생각하는데, 연방사건이 되어 버리면 꼭 범죄를 저지른 주로 소환되어 재판 받는다는 보장이 없다. FBI가 체포한 범죄자를 워싱턴의 연방재판소로 던져버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범죄자가 다른 주로 도주 후 2차 범행을 저지르면 더 골치 아파지는데, 어느 주에서 재판하고 사법처리 해야될 지 알력 싸움이 벌어진다. 살인 범죄자가 다른 주로 도주해 절도죄를 저지르면 살인을 저지른 주에서 징역이든 사형이든 최종적 사법처분을 받음이 관례지만, 양 지역 전부 살인 같은 강력범죄를 저지르면 이제 주 사법부끼리 피 튀기는 알력 싸움이 벌어진다. 여기다 FBI까지 끼어들어 연방재판소로 던지고 싶어 한다던지, 범죄자가 극형을 피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처벌이 가벼운 주에서 재판을 받으려고 변호사를 쓰기 시작하면 그야말로 점입가경이 된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는 연방재판소 - A주 재판소 - B주 재판소로 몇 년 동안 재판만 받든 경우도 있다.
원주민 보호 구역에서 일어나는 중범죄와 '주' 수준 사법경찰이 존재하지 않는 푸에르토 리코, , 아메리칸 사모아 등 해외 영토는 물론 미국 국적 선박/항공기 및 미 대사관 내에서 발생한 범죄에 대해서도 수사권한이 있다.[6] 해상 범죄의 1차적인 단속은 국토안보부 소속 미 해안경비대가 하지만, 범죄자 체포 및 제압 후에는 FBI가 용의자와 사건 일체에 관한 조사를 인계받는다.
당연하게도 미 연방수사국은 수사권만 가지고 기소권은 없으므로 연방검찰이나 주검찰의 협조 하에 기소한다.[7] 다만 주 검찰은 미연방수사국의 활동을 감독할 수 없으며, 주 검찰의 수사 요청을 거부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연방검찰도 마찬가지로 연방수사국에게 수사를 요구할 수 없고, 연방수사국의 활동을 지휘하지도 않는다. 이처럼 한국[8]이나 일본[9], 프랑스, 독일 등 검사의 권한이 강한 대륙법계 국가의 경찰과 달리 미 연방수사국은 수사에 있어 상당히 강력한 권한을 가진다. 다만 영장청구와 체포와 같이 사법기관의 영장 발부가 필요한 일은 해당 사건을 담당하는 검사의 손을 거칠 수밖에 없으므로 FBI에 파견되어 협업하는 검사가 아예 없지도 않고, 검사 출신 국장도 많다.[10]

5. 주요 활동


FBI의 주요 활동 범위는 대부분 미국 국내 영토인데, 방첩 임무와 미국 연방 차원의 마피아, 갱스터, 마약 카르텔 같은 범죄조직, IS나 다윗파, 백인 우월주의 조직 같은 극단주의 테러리스트를 담당한다. 실제로 1970년부터 마피아를 '미국 정부에 심각한 위해를 끼치는 조직'으로 간주하고[11] 마피아 추적과 수사에 들어간 뒤로 여러 의미있는 진전을 이루었다. KKK단도 FBI에게 공공의 적으로 지목받아 무참히 박살났다.[12] 한때 조직원이 수천 명, 수만 명에 달하던 조직들조차 돈 벌 길이 막히고 교도소 형량이 20~30년, 심각할 경우에는 세 자리 숫자로 늘어나자[13] 대부분 자멸해버려, 심지어 조직원을 다 합해도 2~3명밖에 안 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 반대급부로 소규모 갱단이 난립하여 경찰력으로 다 잡기가 불가능할 지경이라 그 부분에서 골머리를 썩는 중. 특히 이 소규모 조직을 연결해서 문제가 생길 때는 직접적으로 문제를 일으킨 조직을 잘라먹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새로운 범죄 카르텔 시스템이 출현하고 있어 이전까지 꼭대기를 쳐서 조직 자체를 와해시키는 방식이 안 통하고 있는 상황.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테러리스트 조직의 점조직/세포조직화와 유사한 변화라는 점이다. 그래서 FBI는 항상 범죄조직들을 감시하며 그들이 범죄를 저지를경우 수사에 나서서 소탕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크리스틴 모나코 뉴욕 시 FBI 대변인은 '''"테러가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2번은 방첩, 3번은 사이버 범죄, 4번이 공공비리 혹은 조직범죄라고 밝혔다. 1980~1990년대엔 마피아로 대표되는 조직범죄가 FBI의 최우선 과제였던 것에 비하면 많은 변화가 온 셈.
2005년에는 여태까지 중구난방으로 퍼져있던 안보 부서들을 국가안보부(NSB)로 통합시켰고, 2014년에는 정보부(Intelligence Branch)가 국가안보부에서 분리돼서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FBI 요원들 사이에서도 국가안보와 범죄수사로 경력이 두 갈래로 나누어졌다고 한다. 즉, 911테러 이전에 비해서 국가안보의 중요성이 더 부각됐다고 볼 수 있고, 테러와의 전쟁을 위해서 CIA와 미국 국방부와 협력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국외 활동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국방부가 아프가니스탄에서 진행하는 특수작전에 FBI 요원이 투입된다는 사실이 보도된 적도 있다. FBI는 현장에서 체포한 테러리스트와 용의자들을 구금하고 심문하여 합법적으로 기소할 수 있는 증거를 모으고, 국방부는 FBI의 전문 지식을 공유 받아서 특수작전을 계획할 때 활용한다고 한다.#
911 테러 이후, FBI는 범죄 사건이 발생하고 나서 반응하는 집단에서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는 집단으로 변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FBI의 첩보 수집 능력은 점점 발전하고 있으며, FBI 내에서도 이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된 정보부(IB) 설립도 정보기관으로 성장하기 위한 FBI의 노력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FBI 자체가 태생적으로 수사기관이기 때문에 정보기관으로 발전하기 힘들 것이라는 비판은 꾸준히 나오고 있으며#, 반대파들은 차라리 국토안보부의 권한을 확대시키거나 아니면 영국의 MI5처럼 완전히 새로운 방첩기관을 만들자고 주장하고 있다. 일단은 9/11 국정조사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서 FBI는 미국 방첩과 테러 방지의 최전선에 서있는 기관이다.
또한 FBI는 페도필리아를 주적으로 두고 있다. '아동 포르노 동영상을 받을 수 있는 링크'라는 홈페이지를 만들고 그걸로 접속자들을 낚아서 체포하기도 한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힘 좀 쓰는 미국의 기관인 만큼, 명성이 자자하여 해당자들에겐 공포의 대상이다. 어느 정도나면, 평소 배 째라는 태도로 모든 의혹과 주장을 무시하던 매춘 관련 인터넷 사이트가 “저 사이트가 국제 아동 성매매에 연관되었다.”라는 소문이 돌자마자 “그런 놈이 있으면 당장 운영진에게 신고바라며, FBI의 수사 협조 요청이 들어온다면, 아주 기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FBI에 적극 협조하겠다.”라고 말하는 공지가 즉각 올라왔을 정도이다. 저렇게 하지 않으면 FBI를 상대하기 때문이다. 체포를 안 해도 일단 클릭한 사람은 '''무조건 조사한다.''' 가끔 이러한 링크에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이 클릭하기도 한데, 만약 그 외국인이 미국 해외속령 국적이라면 얄짤없이 잡힌다. 그러나 이것은 독수독과 원칙을 무시한 수사 방식이므로 결국 폐지되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조사는 아직도 하고 있는 듯.
[image]
승자는 마약 따윈 안 한다네
골든 액스 화면
한때 청소년 마약 근절 캠페인도 하였다. 게임을 주로 즐기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90년대 미국 오락실 게임 가동 시 FBI 로고와 함께 "승자는 약 같은 거 안 한다(Winners Don't Use Drugs)"란 문구가 출력되었다.
불법복제 근절도 주 목표. 1990년대 모뎀시절 주로 자기들만의 BBS[14] 서버를 이용하는 대형 릴리즈 그룹 몇 개를 본보기로 개박살 내버리고 이제 불법복제는 없어졌다고[15] 여겼으나 인터넷의 등장으로 여전히 전쟁 중이다. 2001년엔 유명한 릴리즈 그룹 'Razor1911'의 주요 멤버들을 강제정모시켰고[16], 2006년엔 리니지2 대형 프리 서버 홈페이지에 FBI 로고를 인증했다. 요즘은 대형 토렌트 공유 커뮤니티 공지사항에 '닫습니다', 'XX로 서버 이전합니다'를 작성하게 하거나 FBI 로고 인증을 한다.
금융범죄 소위 화이트 칼라 범죄도 수사를 하는데, 2000년대 초반에 인력을 엄청나게 줄여서 버나드 메이도프 사건과 같이 굵직한 금융 사기범이 존재하는 것을 알면서도 인력 부족으로 제대로 처신하지 못했다.
연쇄살인범 검거율에 공헌한 프로파일링 수사기법은 FBI에서 완성, 보급되었다. 현대에는 국가 단위에서 많은 기관들과의 대테러활동 협력과 IT 보안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6. 타국 수사기관과의 비교


FBI는 미국 법무부, 그러니까 연방검찰 소속이다. 한국 검찰의 수사과나 조사과가 검찰청 하위 기관으로 독립한 형태라고 보면 된다. 한국 검찰의 수사과에는 검사가 없는 것처럼 FBI 내에도 검사가 들어가는 보직은 없다. 그러니 미국 실정법상 경찰은 아니지만 수사기관이니 소속 직원들을 사법경찰관리라고 볼 수는 있다. 이런 이유로 FBI 요원들은 경찰처럼 제복공무원도 아니고, 순찰이나 경비근무는 하지 않고 수사 관련 업무만 본다. 다만 청사 경비대원은 경찰공무원 신분이다.
FBI는 연방 정부 차원의 법집행을 하는 수사기관이며 한국은 연방국가도 아니고, 미국과는 크게 다른 형사사법제도를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도에 대격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FBI에 해당하는 기관이 있을 수가 없다. 굳이 비교해 본다면 현재의 국가수사본부, 즉 예전의 경찰청의 일부[17] + 검찰청의 일부[18][19] + 국가정보원의 국내 업무를 합친 것과 비슷하다.
경찰청에서는 수사국 특수수사과, 지능범죄수사대 + 보안국 보안수사대[20] + 외사국 외사수사과[21] + 사이버안전국 사이버수사과에서 FBI처럼 국익에 피해를 입힌 사건과 전국에 걸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수사를 전담하고 있다. 지방경찰청으로 따지자면 관할 지방을 기반으로 하지만 수사는 전국에서 할 수 있는 광역수사대가 있다.[22]
검찰청에서는 2013년 폐지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가 대형 권력 비리를 수사했다. 폐지 후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와 대검찰청 반부패부가 이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23]
국가정보원에서는 방첩, 안보 수사 즉 대공용의점이 있는 국가보안법 위반사범 수사를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FBI 국가안보국과 비슷했으나 이 기능은 곧 폐지되고 국가수사본부로 넘어갈 예정이다.
한국은 중앙집권국가라 FBI가 각 지방의 경찰 및 다른 연방기관과 수평관계인것과는 달리 경찰청은 엄연히 지방 경찰의 상급기관이다. 그러나 토지 및 사물관할만 달리할뿐 특수수사과 또는 광역수사대 수사관이 일선 경찰서 수사관을 지휘할수는 없다
홍콩 경찰 본부인 경무처도 산하에 형사보안국을 두며 여기에는 중안조라는 특수범죄 수사과가 존재해 FBI와 같은 역할을 한다. 성룡이 주연한 영화 중안조가 바로 이 홍콩경찰 내 특수수사팀 이야기다. 홍콩은 영국식 경찰 시스템으로 미국이 법무부 산하에 FBI를 두는 것이나 한국에서 검찰청이 특수수사를 하는 것과 달리 수사가 경찰로 일원화되어 있다. 부정부패 사건의 경우 별도 수사기관인 염정공서가 담당한다.

7. 외국 지부


미국 외의 국가에도 대사관에 지부가 있다. 역할은 미국 FBI와 전 세계인들 사이의 교량역할을 주로 하면서 현지 경찰, 검찰과 합동수사이다.[24] FBI가 해외에서 직접적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미 대사관이 테러를 당하거나 미국 국적 항공기가 해외에서 사고를 당하는 등, 해외에서 발생한 미국의 피해 사건 사고의 경우 조사차원에서 이동하기도 한다. 간접적으로는 국제 범죄가 국내에서 벌어졌을 때 이에 대한 수사를 하는 것이다.
한국 지부는 2000년 7월 12일 주한 미국 대사관 내에 아시아에서는 10번째로 개설된 이후 계속 존재하고 있다. 초대 FBI 한국 지부장은 이승규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재임했고, 2대 지부장인 맹주성은 2003년부터 재임하고 있다.
일본에도 주일미국대사관 내에 지부가 존재한다.

8. 계급


  • 수뇌부
    • Director: 국장
    • Deputy Director: 부국장
    • Chief of Staff and Special Counsel to the Director: 비서실장
    • Deputy Chief of Staff: 부비서실장
    • Associate Deputy Director: 보조 부국장
    • Executive Assistant Director: 행정 부국장 보좌
    • Associate Executive Assistant Director: 보조 행정 부국장 보좌
    • Assistant Director: 국장 보좌
    • Deputy Assistant Director: 국장 부 보좌
  • 실무진
    • Special Agent-in-Charge(SAC): 지부장
    • Assistant Special Agent-in-Charge(ASAC): 지부장 보좌
    • Supervisory Special Agent: 감독 수사관
    • Senior Special Agent: 선임 수사관
    • Special Agent : 수사관
    • New Agent Trainee : 신입 훈련 수사관
계급체계가 죄다 보조니, 보좌니 하는게 붙어서 혼란 스러운데 미국의 대부분의 계급 체계가 이런 식이다.[25] 경찰의 경우 깔끔하게 군입계급을 써서 인식하기 편하다.

9. 역대 국장



FBI 국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1972년부터 상원의 청문회를 거쳐서 임명된다.[26] 1976년 이후 사망, 해임, 퇴임하지 않는 이상 FBI 국장의 임기는 10년이나, 초대 국장 존 에드거 후버(48년)와 6대 국장 로버트 뮬러(12년)을 제외하고는 이 임기를 채운 사람은 없다.[27]

9.1. 존 에드거 후버


[image]
1924년부터 무려 48년간에 걸쳐 국장이던 존 에드거 후버는 그가 FBI 국장으로 지낸 48년동안 총 8명의 미국 대통령[28]백악관을 거쳐갔으며 미국 내 유명인과 정치인에 대한 약점을 죄다 조사하고 다녔으며[29], 그 정치적 파워가 극에 달해서 '''대통령조차도 함부로 하지 못할 정도'''였다.[30] 사실상 현대 FBI의 위상은 그가 거의 만들었을 정도다.[31]
가장 큰 예로, 후버 시절 FBI가 미국 본토 내에 있는 소련 스파이들을 타도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퍼레이션 솔로'는 엄청난 성과를 올려서[32] 무려 30년간 소련 고위층을 가지고 놀았다. CIA는 이게 탐났는지 오퍼레이션 솔로를 CIA에 주거나 참여하게 해달라 했지만 FBI는 당연히 거부.
THE X-FILES의 소재가 되어 '사실 외계인의 비밀을 숨기고 있다!'라는 음모론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나중엔 허구한 날 실제로 '그런 부서가 있냐'고 문의가 들어왔다나 어쨌다나... 외계인의 존재를 숨기고 있다면 솔직히 NSA가 더 가능성이 있다.
소련 KGB가 그를 실각시키기 위해 갖은 애를 다 썼으나 실각은커녕 도리어 KGB가 역관광당한 경우까지 있어 결국 죽기 전까지 국장으로 남았고 결국 대인배 러시아조차 인정한 '베스트 오브 대인배'로서도 명성을 떨치고 있다.(…) 특히 2005년에 신설된 산하 조직인 국가보안부(NSB: National Security Branch)는 "에드거 후버가 무덤에서 다시 '부활'했다"는 소문이 날 정도로 이미 이곳저곳에서 악명을 드높이고 있다.
자세한 것은 존 에드거 후버 참조.

10. 논란


보스턴의 아일랜드계 갱 두목인 화이티 벌저와 손잡고 보스턴 마피아를 수사한 적이 있다. 근데 벌저한테 FBI 요원이 이용당하면서 벌저 갱단이 더 설치게 되는 빌미를 만들어버렸다. 결국 어찌어찌해서 소탕하고 화이티 벌저도 끝끝내 추적해 잡긴 했지만, FBI의 망신거리 중 하나다.[33]
FBI의 고참 요원인 로버트 핸슨(Robert P. Hanssen)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돈을 받고 소련에게 정보를 유출했다가 2001년 검거되었다. 이건 FBI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정부 전체가 경험한 최악의 정보유출 사건이라고 미국 법무부는 묘사했다. 한네슨 요원은 15개의 혐의에서 15개 모두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받고 ADX 플로렌스 교도소에서 복역 중이다. 이 사건을 소재로 다룬 브리치(2007)라는 영화가 있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를 노골적으로 지원하는 등 선거 개입을 했다는 논란이 있다. 결정적인 것은 대선을 약 11일 앞두고 힐러리 클린턴 이메일 재수사를 시작한 점으로 힐러리의 지지율이 주춤하여 트럼프에게 힘이 실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지지자들은 FBI 국장인 제임스 코미를 격렬하게 비판했고, FBI 내부에서도 법무부 일에 FBI가 참견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며 국장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매카시즘 시절엔 레드퍼지를 부추기며 반공을 빌미로 시민들을 감시하고 사찰했다. 관련 기사 물론 방첩기관이다보니 스파이 색출은 당연하겠지만 지금도 FBI가 시민들의 사생활을 감시한다고 우려하는 여론이 있다.

11.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image]
북미산 DVD나 비디오, 혹은 간혹 한국에서도 DVD에서 간혹 나오는 경우도 있고, 약 10년 전에는 아무런 제목도 없는 비디오에서도 볼 수 있었다. 굽시니스트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에서도 패러디되었다. 한국에서는 주로 야동(...)의 시작지점에서 볼수있는데 모든 야동에서 해당 문구가 뜨는건 아니고 노모자이크 영상에 한해서만 뜬다. 그 이유인 즉슨, 일본에서는 모자이크 처리 되지 않은 작품들은 모두 일본 형법상으로 불법인데, AV 제작사들이 꼼수를 부려 일본의 음란물 규제를 받지 않는 해외 수출용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일본 내수용이지만 표면상으론 미국 등에 수출하는 작품들이기에 FBI의 경고문이 뜨는 것이다.
[image]
FBI는 '''네가 딸치는 걸 보고 있다.'''

'''"미국에 말이야, FBI라고 있어 FBI!"''

살인의 추억

미국 매체에서는 지역 경찰과 대립하는 구도가 자주 나오는데, 대형 사건의 경우 연방법 적용을 받는 경우가 많아 강제로 수사권이 FBI로 이관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역 경찰이 죽어라 현장에서 구르며 거의 범인을 잡기 직전까지 갔는데 '''FBI가 갑자기 나타나 '주워먹기'를 시전했습니다 + 지역 경찰의 고생은 묻힘''' 이라는 이유로[34] 관계가 좋지 않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덕분인지 수사물에서 지역 경찰이 주인공일 경우 FBI는 '어깨에 힘주고 건방떠는 재수없는 놈들'이 된다. 대표적으로 다이하드 시리즈가 그 예.[35] 그리고 FBI가 주인공일 경우 반대로 지역 경찰들이 '괜히 띠껍게 구는 무능한 놈들'이 된다. 열심히 딴 주와 관계된 사건, 아동관련 사건, 마피아 관련 사건이라는 증거를 찾으려고 돌아다니게 된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창작물의 경우고 현실에서는 정말 마지막 순간에 나타나서 수사권 가로채기 할 일도 없고 해서 서로 딱히 대립하지는 않는다. 대형 사건의 수사권을 빼앗아간다고 해 봐야, 미국 경찰들도 공무원인건 마찬가지라 남이 자기 일 대신해주겠다는데 딱히 싫어할 이유는 잘 없다.
유독 일본 창작물에서는 전 세계에 요원들을 파견하는 비밀스러운 특수조직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명탐정 코난이나 데스노트.[36] 이것의 영향인지 한국에서의 FBI의 이미지도 거의 동일하다. 단 최근에는 미국 드라마나 할리우드 범죄물 영화 등을 한국인들이 많이 접하면서 이런 인식은 CIA로 많이 옮겨갔고, FBI는 본래의 정체성인 경찰의 이미지로 돌아온 편이다.
  • 24 - 시즌 7 워싱턴 DC에 있는 FBI 요원들이 CTU 시절에 행해졌던 불법 고문으로 인해 기소된 잭 바우어를 데리고 테러의 배후를 파헤치게 된다. 러네이 워커잭 바우어가 한 팀이 되어서 사건을 수사하고 테러리스트들과 대결한다.
  • GTA 시리즈에서는 수배 레벨이 높을때 경찰과 함께 출현한다. GTA 4 이후의 세계관에서는 FIB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MP5 기관단총(3에서는 AK47)만 들고왔던 3D 시리즈랑은 다르게 기관단총 외에 추가로 산탄총과 돌격소총으로 무장했다. GTA 4의 게임상 인터넷에서 Littlelacysurprisepageant.com라는 사이트를 들어가면, FIB 경고 페이지가 나오고 바로 별 5개가 뜨는데, 이 사이트가 사실은 아동 포르노를 찾는 페도필리아를 낚기 위한 공권력의 낚시.
  • 대체역사소설인 Steele에서는 GBI(Government Bureau of Investigation)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국장은 당연히 에드거 후버.[37] 참고로 이 소설에서의 FBI는 정부와 군부 내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에 불만을 품거나 가카의 정책을 비판하는 사람들을 잡아들여서 나치 스파이 혐의를 씌워서 추방해버린다.
  • 퓨처라마에서는 FBI가 게임기에서 "Winners Don't Play Videogames"가 뜨도록 고쳐놨다(...).
  • 도라에몽에서는 미래에 FBI가 만든 암호 해독기라는 게 있다.
  • 화이트칼라 시즌 1 10화에서는 Female Body Inspector라는 농담이 있다.
  • 프렌즈에서도 로스가 Female Body Inspector라고 쓰여진 티셔츠를 맘에 들어하는 장면이 나온다.
  • 덱스터의 여주인공 데브라 모건은 "개같은 머저리 집단(Fucking Bunch of Idiots)" 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에서 멀티플레이어 세력 중 하나로 나온다. 주로 용병 세력에 대항군으로 나오는데, 등장 맵은 Express, Raid, Aftermath, Grind, Studio, Detour[38]으로, 모두 미국 국내를 배경으로 하는 맵들이다. 걸걸한 용병 오퍼레이터의 목소리와 반대로, 깔끔하고 경찰 지휘관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오퍼레이터를 가진다.
  • 마인드헌터는 FBI의 프로파일링 수사기법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과정을 다룬다.

12. 인터넷 밈 - FBI다! 문 열어!



주인공이 파티에서 신호탄을 쏘다가 테러범으로 간주당해(...) FBI에게 잡혀가는 컨셉의 영상. 당연히 가짜다. 다짜고짜 세간살이를 개박살내고 용의자를 헬기에 매달려 보내는 FBI는 없을 것이다.

개그 영상을 만들기 위한 소스 영상. 해당 영상의 녹색 화면에 원하는 장면을 넣어서 개그 영상을 만드는데 쓸 수 있다.
FBI! Open Up!이라는 외침과 함께 돌입하면서 집안을 개박살내는 .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오퍼레이터 중 한명인 뮤트리워크 전 저택 맵의 아이방으로 들어간 뒤 누워서 스마트폰을 꺼내 감시 기능을 활성화하는 모션의 스마트폰 화면에 각종 일본산 AV/야애니[39]의 장면이나 인터넷에 올라오면 뜨거운 감자가 될 법한 논란거리들을 붙여놓고는 중요한 타이밍에 갑자기 '''FBI OPEN UP!!!''' 이라는 소리가 재생되고 우렁찬 폭발음과 함께 적팀 대원들[40]이 사방의 벽 바리케이드[41]를 깨부수고 들어와 생판 난리를 친다. 정작 에임도 제대로 안하고 집만 부순다. 이 밈 덕에 뮤트는 히키코모리에 야애니 덕후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유사한 밈으로는 'Ladies & Gentlemen, We Got Him'이 존재한다. Breakbot의 Baby I'm Yours 음악이 사용된다. 14초 쯤에 대사 "Ladies and gentlemen, we got him"이라고 말하며 위의 쳐들어오는 영상과 함께 원곡의 볼륨을 올린 버전이 틀어진다. 여기서 체포했다는 그는 다름 아닌 사담 후세인. 브리핑 발표하는 사람은 폴 브리머.

13. 기타


  • 2019년 9월 22일 크리스토퍼 A. 레이 FBI 국장이 한국을 방문해 23일에는 민갑룡 경찰청장을, 24일에는 윤석열 검찰총장을 만나고 돌아갔다. FBI 국장의 방한은 20년 만이다.

14. 관련 문서



[1] 예전엔 로버트 케네디 빌딩(연방 법무부 겸 연방 검찰청 청사)을 같이 썼으나, 1973년 완공된 후 여기로 이주했다. 거리는 바로 맞은 편에 있을 정도로 가깝다.[2] 시어도어 루스벨트 내각에서 해군 장관을 지냈다.[3] DEA, ATF, USMS도 FBI와 마찬가지로 미국 전역이 관할권이다.[4] 이 사건은 치과의사가 만취상태에서 흡연하려다가 제지당하자 난동을 피워 테이저건으로 제압된 사건이다. 이 편은 부산/김해발 괌행 대한항공 KE2115편이었다.[5] 이 사건은 하와이로 입국불허당해 한국으로 돌아가던 중, 면세점에서 구입한 양주를 기내에서 비워 만취상태로 어린아이를 괴롭히고, 승무원에게 난동부려 회항한 사건이 있었다.[6] 2013년 포스코 임원 기내 승무원 폭행 사건 사건, 대한항공 괌 비행기 난동사건[4], 하와이안항공 난동사건[5]당시 캘리포니아 주경찰이 아니라 FBI 요원이 출동한 것, 케냐 미 대사관 폭탄 테러 당시 FBI가 수사를 맡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7] 미국은 연방검찰, 주검찰, 지역검찰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각각이 기소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8] 2021년부터 개정 형사소송법이 시행되어 일본처럼 경찰이 1차적 수사기관이 되었다. 단 부패범죄, 공직자범죄 등 중대한 6대 범죄는 검찰이 수사에 우선권을 가진다.[9] GHQ 점령기인 1948년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경찰이 1차적 수사기관이 되었다. 단 정관계 뇌물 사건이나 탈세, 중대한 경제 사건 등은 검찰 특수부, 특별형사부가 직접 수사한다. 이외에도 살인 사건이나 복잡한 경제 사건 등은 수사 초기부터 검사가 경찰을 지휘, 지원하면서 공조 수사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제도의 영향을 받았지만 오리지널 대륙법계 국가인 프랑스, 독일 이상으로 검사가 수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권한이 크다.[10] 대표적으로 로버트 뮬러. 이 사람은 후버 다음으로 긴 임기를 지낸 국장으로 임기를 채우고(10년), 연장까지 받은(2년) 사람이다.[11] 그 전까지의 FBI 의 공식 입장은 "마피아라는 조직범죄집단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자칭 '마피아 집단'이라고 하고 있는 동네 깡패집단만 있다!"라는 입장이었고 대형 조직범죄단속은 안 하고 소규모 조직만 때려잡고 있었다. 대표적인 기록이 후버 시절 FBI 공공의 적 1호 존 딜린저. 냉전이니까 그나마 통했던 거지 저 소리는 몇 십 년 뒤, 아니 후버가 죽은 70년대 시점에서도 거짓말한 죄로 비난받고 잘릴 수준의 헛소리다. 후버 국장은 실제로 뉴욕 마피아 보스 프랭크 코스텔로와 센트럴 파크를 산책할 만큼 신뢰관계가있던 사이였다. 한 마디로 한통속.[12] 그러다보니 백인 우월주의 단체들도 FBI를 무서워한다.[13] 이렇게 엽기찬란한 형기가 튀어나오는 까닭은, 종전의 '무기징역'이 한 번 감형되면 30년형 등으로 쭉쭉 깎여나갔기 때문. 이에 아예 "평생 못 나오게 만들어주마"라는 목적으로 징역 100년, 심하면 징역 1,000년까지도 선고할 수 있다. 무기징역을 중복으로 때리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게 가능한 이유는 여러 기소 건수를 별개로 합산하기 때문으로, 대한민국의 경우는 여러 기소 중 최고 형량만을 주기 때문에 불가능하다.[14] 한국으로 치면 PC통신.[15] 당시 모뎀 시절이라 전화추적하면 별 수 없이 연방감옥 아니면 벌금. 게다가 전화추적은 별 어려운 것도 아니였다.[16] 그러나 레이저는 2006년부터 와레즈 활동 일선에 복귀.[17] 수사 및 대테러 업무[18] 정확하게는 사무국 조사과나 수사과, 사건과(이들이 압색을 나간다.) 소속 검찰수사관들. FBI 요원은 검사가 아니며, 검찰수사관들이라고 다 수사 업무에 투입되는 것도 아니다. 굳이 억지로 맞추자면 미국 연방 법무부 산하엔 다양한 수사, 법집행기구가 나뉘어져 있고, 한국 검찰수사관은 다 합쳐져 있다는 정도.[19] 또한 주 검찰에는 각 주의 첫째 문자+BI라는 수사 기구가 있는데, 한국에서 번역할 때 주로 주검찰수사관으로 번역하며, 판례에서도 등장한다.[20] 보안국 예하의 보안수사 1~3대, 경찰청이 국정감사에 제출한 내용에 공개돼 있으며 기밀이 아니다.[21] 외사정보과 및 외사수사과에서 수사 전담, 국제수사 공조는 외사수사과 인터폴계, 다시 말해 인터폴 한국지부 담당이다.[22] 예를 들자면 서울강남경찰서에서 추적하는 범인이 해운대에 있다면 부산 해운대경찰서에서 범인을 검거해 강남경찰서로 인계해야 하지만 광역수사대는 지역 구분 없이 부산까지 쫓아가서 범인을 잡을 수가 있는 것이다.[23] 중수부가 있을 당시에는 검찰총장 다음이 중수부장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강한 부서였다.[24] 예를 들어 2001년 한국 이태원동의 바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의 재판과, 2015년 마크 리퍼트 대사 습격 사건에서 한국 경찰청, 검찰과 합동으로 수사했다.[25] 행정수반의 경우 장관-부장관-부장관보-차관-차관보[26] 표성수가 쓴 미국의 검찰, 한국의 검찰이라는 책에 따르면 국장은 차관보급에 해당된다.[27] 대행과 현직 국장을 제외한 7명의 국장 중 최단 기간 재직자는 제임스 코미 국장이다. 로버트 뮬러는 임기를 다 채우고 나서 연장 받았다.[28]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29] 이 과정에서 도청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30] 할리우드에서도 직접 출연해서 홍보하고 다닌 탓에 할리우드 자체 내에서 두려워 할 정도[31] 이런 이유로 현 FBI청사가 '존 에드거 후버 청사'로 명명되었다.[32] 자국 내의 스파이를 잡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젝트였는데 얼떨결에 소련 내부의 모든 상황을 알 수 있을 만큼 정보력이 강화 되었다.[33] 후에 화이티 벌저는 2018년 감옥에서 어느 마피아 조직원 출신 인물에게 살해당한다.[34] 특히 후버 국장 시절.[35] 단 3편까지 4편은 미국 전체라서 오히려 FBI가 선역이다. 5편은 러시아라 등장 안한다.[36] 다만 FBI는 미국인과 연관된 범죄를 수사하는 기관이며 이는 그 미국인이 해외로 나가도 적용되기 때문에 해외의 미국인들과 관련해서 조사를 나왔다고 하면 말이 된다. 명탐정 코난 같은 경우는 검은 조직이 워낙 세계구급 조직이기 때문에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시작된 수사가 그들의 본거지인 일본까지 이어졌다고 볼 수 있고, 데스노트 역시 키라 사건이 인터폴에서 논의될 정도면 분명 미국에서도 벌어졌을테니 그것에 대한 수사를 한다고 볼 수 있는 것도 있고, 무엇보다 작중에서 국가 단위로 도움을 요청할 정도의 위상을 가진 L(데스노트)이 비공식적 수사협조 요청을 보낸 상황이니 역시 아주 개연성이 없는 설정은 아니다. 다만, 일본 창작물에서 나오는 것처럼 '비밀' 조직인 건 절대 아니다. 오히려 모르는 사람이 없는 아주 훤하게 공개된 공개 기관이다(...).[37] FBI가 1908년 창설될 당시 이름이었던 BOI(Bureau of Investigation)의 변형이다. 현재 이름인 FBI는 1935년 후버 국장 시절 변경된 명칭.[38] 앞의 5개 맵은 모두 로스 앤젤레스를 배경으로 하지만, 이 맵만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39] 이쪽이 주로 주가 된다.[40] 예비 병력 이다.[41] 이 게임에서는 뚫려있는 문 틀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각종 장비로 부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