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이대학
1. 개요
도쿄도 치요다구 후지미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일본의 명문 사립대학으로 일본 내에서 상당한 역사를 자랑한다. 도쿄 6대학 중 하나이며, MARCH 중 하나이다.'''自由を生き抜く実践知'''
자유롭게 살아갈 실천적 지혜
대학의 약칭은 '''호다이(
2. 교가
3. 역사
1880년 4월 설립된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2] 와 1886년 설립된 도쿄불학교(東京仏学校)를 전신으로 하는 대학이다. 1883년 프랑스 출신의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Gustave Émile Boissonade)가 교감으로 부임한 이후 프랑스 전통법학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전신인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는 일본의 5대 법률학교[3] 가운데 최초로 설립되었다.
1920년 대학령에 의해 대학이 된 사립대학 중 하나이며, 일본의 사립대학 중 가장 오래된 법학부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 사립대학으로는 처음으로 사회학부가 설치되었고, 경제학부는 게이오기주쿠대학에 이어 2번째, 경영학부도 메이지대학에 이어 2번째로 설치되었고 많은 전통학부가 존재한다. 1947년에는 일본 최초의 대학 통신 교육 과정을 설립하였다.
3.1. 연혁
- 1880년 도쿄 스루가다이(駿河台)에 도쿄법학사(東京法学社) 설립.
- 1881년 도쿄법학교(東京法学校)로 개칭.
- 1883년 초대 교감(教頭) 귀스타브 에밀 보아소나드(Gustave Émile Boissonade) 취임.
- 1885년 통신교육기관 설치.
- 1886년 일불협회(日仏協会)의 전신인 불학회(仏学会)에 의해 도쿄불학교(東京仏学校) 설립 (불학교 = 프랑스학교).
- 1889년 도쿄법학교와 도쿄불학교가 합병. 와후츠법률학교(和仏法律学校)로 개칭 (와후츠 = 일본과 프랑스).
- 1903년 전문학교로 승격. 호세이대학으로 개칭.
- 1904년 청나라 유학생을 위한 법정 속성과를 설치.
- 1909년 설립 30주년 기념식 거행. 시부사와 에이이치[4] , 가쓰라 다로[5] , 주일프랑스대사 참사관 등 참석.
- 1917년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의 전신인 3대학 리그(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메이지대학)에 가입, 4대학 리그(早慶明法)결성.
- 1920년 대학령에 의해 대학으로 승격. 법학부와 경제학부를 설치.
- 1921년 현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에 이전.
- 1922년 법학부에 문학과, 철학과 신설. 법문학부로 개편.
- 1925년 도쿄 6대학 야구 연맹 출범.
- 1928년 설립 50주년 기념식 거행. 다나카 기이치[6] , 미즈노 렌타로[7] , 하라 요시미치[8] , 고토 신페이[9] , 주일프랑스대사 등 참석.
- 1930년 도쿄 6대학 야구 리그 첫 우승.
- 1936년 대학 부지 내에 호세이중학교(法政中学校, 현 호세이대학 중학교・고등학교) 설립.
- 1944년 공학부의 전신인 호세이대학항공공업전문학교(法政大学航空工業専門学校) 설립.
- 1947년 법문학부를 법학부, 문학부로 개편.
- 1950년 공학부 설치.
- 1952년 주오노동학원대학(中央労働学園大学)을 합병. 사립대학 최초로 사회학부 설치.
- 1964년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준공.
- 1972년 학생회관 준공.
- 1977년 국제교류센터 설치.
- 1980년 설립 100주년. 일본여자학원(日本女子学園) 부지에 80년관(도서관, 연구실동) 준공.
- 1984년 타마(多摩) 캠퍼스 준공. 경제학부, 사회학부가 이치가야 캠퍼스에서 타마 캠퍼스로 이전.
- 1999년 국제문화학부, 인간환경학부 설치.
- 2000년 설립 120주년. 현대복지학부, 정보과학부 설치. 이치가야 캠퍼스 보아소나드 타워 준공.
- 2001년 경제학부에 국제경제학과 신설.
- 2002년 사회학부에 미디어사회학과 신설.
- 2003년 캐리어디자인학부 설치. 경영학부에 경영전략학과와 시장경영학과 신설. 문학부에 심리학과 신설.
- 2006년 카에츠여자학원중고등학교(嘉悦学園女子中学校・高等学校) 부지 인수, 캠퍼스 확장. 이치가야 캠퍼스 후지미자카교사(富士見坂校舎) 이용 개시.
- 2007년 이치가야 캠퍼스 소토보리 교사(外濠校舎) 준공.
- 2008년 공학부를 이공학부와 생명과학부로 개편, GIS(글로벌교양학부) 설치.
- 2009년 스포츠건강학부 설치.
- 2010년 설립 130주년. 복지커뮤니티학과, 임상심리학과 신설.
- 2013년 도쿄 6대학 첫 여성총장 (다나카 유코, 田中優子) 선출.
- 2016년 이치가야 캠퍼스 후지미 게이트(富士見ゲート) 준공.
- 2019년 이치가야 캠퍼스 오우치야마 교사(大内山校舎) 준공.
4. 캠퍼스
4.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
- 도쿄도 치요다구 후지미(富士見) 2-17-1
보아소나드 타워, 후지미자카, 소토보리, 후지미 게이트 등 학교 시설은 깔끔하고 후지미 게이트 같은 경우는 아주 신설이다. 55년관, 58년관은 많이 낡아 사라질 예정이며 현재 철거공사가 진행중이다.
3~400명 이상의 대규모 수업은 주로 소토보리와 후지미 게이트에서 이루어지며 세미나와 연구 위주의 소규모 수업이 보아소나드 타워에서 이루어진다.
소토보리 1층에는 세븐일레븐이 있는데 도쿄도내 세븐일레븐 매상 Top 3 점포에 든다고 한다.
근처에 이치가야역과 이다바시역이 있는데 이치가야역이 30m정도 더 가깝다.
바로 옆에 야스쿠니 신사랑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중앙본부가 있다.
중핵파계 활동가들이 대학 당국의 학생운동 탄압을 규탄하는 집회를 하곤 한다.[10]
4.2. 타마(多摩) 캠퍼스
- 도쿄도 마치다시 아이하라마치(相原町) 4342
별명 ‘호세이산(法政山)’. 캠퍼스 안에 V브리지와 호세이대교라는 큰 다리가 두개나 있다. 산[11] 한 가운데에 있다. 덕분에 뭘 어떻게 하던 버스가 강제되어[12] 학생들의 불만이 지대한 편.
1학년은 체육 수업이 강제되는데[13] 이 체육관이라는 곳이 캠퍼스 한구석에 있다. 고로 경제학부라면 모를까 사회학부, 현대복지학부는 체육수업 전에 다른 수업이 있다면 꽤나 바쁠듯. 학내에서 운영하는 버스가 있긴하나...
경제학부내에 평화기념비[14] 가 있다. [15]
소재지를 하치오지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마치다시이다.
4.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 도쿄도 코가네이시 가지노초(梶野町) 3-7-2
가장 가까운 역은 히가시코가네이역.
버스가 적기 때문에 역에서 학교까지 걸어다니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5. 학부, 학과
5.1. 이치가야(市ケ谷) 캠퍼스
5.1.1. 법학부
- 법률학과
- 정치학과
- 국제정치학과
5.1.2. 문학부
- 철학과
- 일본문학과
- 영문학과
- 사학과
- 지리학과
- 심리학과
5.1.3. 경영학부
- 경영학과
- 경영전략학과
- 시장경영학과
5.1.4. 국제문화학부
- 국제문화학과
5.1.5. 인간환경학부
- 인간환경학과
5.1.6. 캐리어디자인학부
- 캐리어디자인학과
5.1.7. 디자인공학부
- 건축학과
- 도시환경디자인공학과
- 시스템디자인학과
5.1.8. GIS (글로벌교양학부)
- 글로벌교양학과
5.2. 타마(多摩) 캠퍼스
5.2.1. 경제학부
- 경제학과
- 국제경제학과
- 현대비즈니스학과
5.2.2. 사회학부
- 사회정책과학과
- 사회학과
- 미디어사회학과
5.2.3. 현대복지학부
- 복지커뮤니티학과
- 임상 심리학과
5.2.4. 스포츠건강학부
- 스포츠건강학과
5.3. 코가네이(小金井) 캠퍼스
5.3.1. 이공학부
- 기계공학과
- 기계공학 전수
- 항공조종학 전수
- 전기전자공학과
- 응용정보공학과
- 경영시스템공학과
- 창생과학과
5.3.2. 생명과학부
- 생명기능학과
- 생명기능학 전수
- 식물의과학 전수
- 환경응용화학과
5.3.3. 정보과학부
- 컴퓨터과학과
- 디지털미디어학과
5.4. 통신교육과정
- 법학부
- 문학부
- 경제학부
6. 대학원
- 인문과학연구과
- 철학전공
- 일본문학전공
- 영문학전공
- 사학전공
- 지리학전공
- 심리학전공
- 국제일본학 인스티튜트
- 국제문화연구과
- 국제문화전공
- 경제학연구과
- 경제학전공
- 석사(M.A.) 프로그램
- 박사(Ph.D.) 프로그램
- 경제학전공
- 법학연구과
- 법률학전공
- 정치학연구과
- 정치학전공
- 국제정치학전공
- 사회학연구과
- 사회학전공
- 경영학연구과
- 경영학전공
- 경영학전공 야간코스
- 공생정책연구과
- 공생정책학전공
- 서스테이너빌리티학전공
- 인간사회연구과
- 복지사회전공
- 임상심리학전공
- 인간복지전공
- 정보과학연구과
- 정보과학전공
- 디자인공학연구과
- 건축학전공
- 도시환경디자인공학전공
- 시스템디자인전공
- 정책창조연구과
- 정책창조전공
- 캐리어디자인연구과
- 캐리어디자인학전공
- 이공학연구과
- 기계공학전공
- 전기전자공학전공
- 응용정보공학전공
- 시스템이공학전공
- 응용화학전공
- 생명기능학전공
- 연대사회 인스티튜트
- 스포츠건강연구과
- 스포츠건강학전공
- 법무연구과 (법과대학원)
- 이노베이션 매니지먼트연구과 (경영대학원)
7. 부속 기관
- 아메리카 연구소
- 이온 빔 공학 연구소
- 이노베이션 매니지먼트(Innovation Management) 연구 센터
- 에이징(Aging) 종합 연구소
- 에코(Ecology) 지역 디자인 연구소
- 오하라(大原) 사회문제 연구소
- 오키나와 문화 연구소
- 국제 일본학 연구 센터
- 정보 기술 연구 센터
- 정보 미디어 교육 연구 센터
- 체육/스포츠 연구 센터
- 지역 연구 센터
- 일본 통계 연구소
- 노가미(野上) 기념 노가쿠 연구소
- 비교 경제 연구소
- 보아소나드 기념 현대법 연구소
- 마이크로 나노테크놀로지(Micro-Nano Technology) 연구 센터
8. 국제 교류
국제적인 평가로는 2020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1001+위(일본 랭킹 71-75위), 2020년 THE 세계 대학 랭킹에서 1001+위(일본 랭킹 56위), ARWU(세계 대학 학술 평가) 2019에서는 1001+위(일본 랭크 외)를 기록했다.
8.1. 해외 거점교류 기관
8.1.1. 아시아
8.2. 한국 대학 · 연구 기관과의 관계
- 연세대학교
- 연세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 덕성여자대학교
- 성공회대학교 사회사연구소
- 서울대학교 경영학부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고려대학교
- 가천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하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중앙대학교
- 건국대학교
- 경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호서대학교
9. 부속 학교
- 호세이대학 중학교・고등학교 (法政大学中学校・高等学校)
- 호세이대학 제2중학교・고등학교 (法政大学第二中学校・高等学校)
- 호세이대학 국제고등학교 (法政大学国際高等学校)
10. 기타
과거에는 학비가 사립대학 중에서 전국 최저 클래스였던 탓에 빈곤한 학생들이 다닌다는 이미지가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사립대학이랑 별 차이가 없어 돈에 여유 있는 학생들도 많다.
메이지대학에 대항해서 보아소나드 타워를 지었는데, 높이는 이겼지만 내용물은 패배다. 면적에서도 졌다. 애초에 리버티 타워는 학생용으로 만들어진 것에 반해, 보아소나드 타워는 교수용으로 만들어진 모양이고 그 탓에 빈 교실이 많은 듯하다. 사실은 리버티 타워라고 이름 짓고 싶었으나, 자금난으로 착공이 늦어지는 사이 메이지대학이 먼저 사용해, 보아소나드 타워가 됐다는 듯하다.
약칭을 '법대(法大)'로 할지 '법정(法政)'으로 할지 의견이 갈린다. '법정생(호세이세이)'은 어감이 별로라 '법대생'을 쓰고 싶지만, 어느 대학인지 전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 '법대(法大)'라는 약칭을 쓰는 대학은 호세이대학이 유일하다.[16]
이공학부에 생명과학부라는, 오랜만에 이름이 멀쩡한 학부가 생겼다. 하지만, 학과에 따라서는 후쿠시마로 던져진다. MARCH에서 유일하게 파일럿 육성 코스가 있다.
애니메이션 골든 타임의 주인공들이 다니는 후쿠라이대학(福来大学)의 모델이 된 대학이다.
최근 수험생과 수험 업계 사이의 평판이 좋다. 학생 사이에서도 애교심이 생겨나고 있다고.
11. 출신 인물
11.1. 정치인
- 나카무라 우메키치 - 일본 제57대 중의원 의장, 제20대 건설대신, 제9, 10대 법무대신, 제86대 문부대신, 제32대 법무대신
- 노사카 코켄 - 일본 제61대 건설대신, 제59대 내각관방장관
- 스가 요시히데 - 일본 제7대 총무대신, 제79-81대 내각관방장관, 제99대 내각총리대신
- 스즈키 나오미치 - 전 유바리시 시장, 현 홋카이도 지사
- 쑹자오런 - 중화민국 언론인, 정치가, 혁명가
- 오나가 다케시 - 정치인, 전 오키나와현 지사
- 왕징웨이 - 중화민국 정치가, 혁명가, 왕징웨이 정권 초대 주석
- 우에다 기요시 - 전 사이타마현 지사, 참의원
- 윤영선 - 대한민국의 정치인
- 이범석 - 대한민국의 외교관
- 저우언라이 - 중화인민공화국 초대 국무원총리
- 쥐정 - 중화민국 제2대 사법원장
- 칸다 히로시 - 일본 제29, 30, 41, 42대 후생대신
- 쿠라이시 타다오 - 일본 제11, 15대 노동대신, 제37, 38, 41, 45대 농림대신, 제38대 법무대신
- 후한민 - 중화민국 정치가, 혁명가
- 히라노 사다오 - 참의원
11.2. 기업인
- 모토야 후미코 - APA호텔그룹 사장
- 미야지마 히로유키 - 빅 카메라 사장
- 박정기 - 전 한국전력공사 사장
- 박종선 - 기업가, 전 정당인
- 조홍제 - 기업가, 효성그룹의 창립자, 전 제일제당 사장, 경제학부 졸업
- 한창우[17] - 마루한의 창립자, 경제학부 졸업
11.3. 작가
- 고토 겐지 - 프리랜서 기자
- 김남천 - 북한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 김진섭 - 수필가, 전 서울대학교 교수, 전 성균관대학교 교수
- 박태원 - 일제강점기, 북한의 시인, 소설가
- 신석초 - 대한민국의 시인, 교수
- 아키야마 미즈히토 - 소설가
- 요시다 레이코 - 각본가
- 요시다 슈이치 - 소설가
- 이원조#s-2 - 문학 평론가
- 이토이 시게사토 - 카피라이터
- 이하윤 - 시인, 번역가
- 주영섭 - 일제강점기, 북한의 연극인, 극작가
- 허준(1910년생) - 일제강점기, 북한의 시인, 소설가
11.4. 아나운서
- 도사카 준이치 - NHK 아나운서
- 스가와라 치히로 - TV 아사히 아나운서
- 스즈키 나오코 - NHK 아나운서
- 시나다 료타 - TBS 테레비 아나운서
- 우가진 메구 - TBS 테레비 아나운서
- 이케타니 마이 - TV 아사히 아나운서
- 치바 미노리 - NHK 아나운서
- 쿠노 시즈카 - 니혼 TV 아나운서
- 쿠로세 쇼이 - 후지 테레비 아나운서
- 하라다 슈스케 - TV 도쿄 아나운서
- 히라마츠 슈조 - 니혼 TV 아나운서
11.5. 연예인
- 마에다 아키 - 배우
- 무라카미 히로아키(법학) - 배우
- 스기노 요스케 - 배우
- 아키모토 요스케 - 배우
- 야다 유우키 - 댄서 (WEBER의 리더)
- 야마시타 호타카 - 가수. 이키모노가카리 멤버
- 이와오카 토오루 - 가수. Da-iCE 멤버
- 오구라 유코 - 그라비아 아이돌
- 이이즈카 마유미 - 성우, 배우
- 이지은 - 배우
- 이토 아츠시 - 배우
- 코모토 히로토 - 가수. 블루 하츠 멤버
- 코바야시 나오키(NAOKI) - 가수. J Soul Brothers 멤버
- 쿠사노 히로노리 - 가수, 모델. 前 NEWS 멤버
- 타카하타 미츠키 - 배우
- 토쿠다 코지 - 탤런트, 블루종 치에미 with B
- 하라다 아오이 - 아이돌. 케야키자카46 멤버
- 하타 모토히로 - 뮤지션
11.6. 성우
11.7. 선수
- 나카무라 타이치 - 농구선수
- 나카야마 쇼타 - 야구선수
- 미시마 카즈키 - 야구선수
- 사토 유카 -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
- 아라이 히로마사 - 야구선수, 야구지도자
- 야마모토 코지 - 야구선수, 야구지도자
- 오미 유스케 - 축구선수
- 우에다 아야세 - 축구선수
- 에가와 스구루 - 야구선수
- 이나바 아츠노리 - 야구선수,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 타부치 코이치 - 야구선수, 야구지도자
- 혼다 타쿠야 - 축구선수
- 후쿠다 코키 - 야구선수
- 후쿠하라 미네오 - 야구선수, 야구지도자
- G.G.사토 - 야구선수
11.8. 그 외
- 곽양춘 - 릿쿄대학 제21대 총장[18]
- 시미켄[19] - 일본 AV 배우 겸 유튜버
- 마츠모토 하지메 - 좌익 활동가
- 여홍구 - 여운형의 차남
- 우에하라 히로미 - 재즈 피아니스트
- 하병옥 -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제45대 중앙 단장
[1] 학부생[2] 1881년 도쿄법학교(東京法学校)로 개칭[3] 도쿄법학교 (현 호세이대학), 메이지법률학교 (현 메이지대학), 센슈학교 (현 센슈대학), 도쿄전문학교 (현 와세다대학), 이기리스법률학교 (현 주오대학)[4] 당시 남작[5] 제11, 13, 15대 내각총리대신[6] 제26대 내각총리대신[7] 제36대 문부대신[8] 제31대 사법대신[9] 당시 제7대 도쿄시장[10] 학생들에게 방해만 될 뿐, 아무도 듣지 않는다.[11] 지도[12] 몇년전에 학생할인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그 전에는 일반요금 적용. JR니시하치오지-학교 요금이 월 만엔을 넘어갔던듯. 학생요금 적용 이후에는 월 7-8천 수준[13] 필수, 못따면 유급[14] http://www.hoseikeiyukai.jp/event/kinenhi.html[15] 많은 학생이 학업의 도중에 군이나 공장에 동원되어 학원과 학문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불행한 시대가 있었다. 50년전의 일이다. 너희들은 절대 그러한 청춘을 보내서는 안된다. 1995년 8월 호세이대학 경제학부 동창회[16] 일본 위키백과 참조[17] 2016년 일본 6위의 부자[18] 릿쿄대학 전후(戦後) 첫 외국인 총장. 임기 : 2018년 4월 1일 ~ 2022년 3월 31일[19] 졸업하진 못하고 중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