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X/게임 목록

 


1. 개요
2. MSX1용 게임
3. MSX2용 게임
4. MSX2+/turboR용 게임
5. 국내 제작 게임


1. 개요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MSX용 게임의 목록이다. 개인용 컴퓨터지만 게임기로 인식될만큼 많은 게임들이 발매되어서 목록을 기재한다. 재믹스용으로 알려진 게임들 역시 원래 MSX용 게임이므로 통합하여 다루도록 한다.
  • MSX만의 오리지널 게임이거나 MSX로 최초 발매된 게임은 특별히 (★)로, 타이틀 자체는 다른 기종에도 있거나 타기종에서의 이식작이지만 MSX판만 다른 기종과 전혀 다른 사실상의 MSX 오리지널 작품인 경우에는 (☆)표시한다.
  • MSX2용 게임 중에 (2+)로 표시된 것은 MSX2+의 자연화모드, 전방향 스크롤 등에 대응하는 게임이며 (TR)로 표시된것은 MSX turboR의 R800 고속모드에 대응하는 게임이다.

2. MSX1용 게임


국내에서 유통된 재믹스 게임은 재믹스 슈퍼 V/터보 전용으로 발매된 극소수의 게임을 제외하면 모두 MSX1용 게임이었으므로 재믹스 게임을 찾는다면 본 목록 참조.

3. MSX2용 게임


MSX1용과 타이틀이 중복되는 것은 MSX1, 2용이 별개로 발매된 작품이다.
  • 1942
  • 간다라
  • 격돌 페넌트레이스 시리즈
    • 격돌 페넌트레이스 (★)
    • 격돌 페넌트레이스 2 (★/2+)
  • 기기괴계
  •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 다윈 4078
  • 대전략 시리즈
    • 대전략
    • 슈퍼 대전략
    • 캠페인판 대전략 II (TR)
  • 대항해시대
  • 드래곤 슬레이어 시리즈
    • 제나두[6]
    • 로맨시아
    • 드래슬레 패밀리
    • 소서리안[7] (TR)
    • 드래곤 슬레이어 6 영웅전설
  •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 디스크 스테이션(★)
  • 라스탄 사가
  • 라스트 하르마게돈
  • 랑펠로
  • 로도스도 전기
  • 로얄 블러드 (TR)
  • 루팡 3세 시리즈
  • 마도물어 1-2-3(★) [8]
  •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 마이트 앤 매직
    • 마이트 앤 매직 2
  • 메탈기어 시리즈
  • 몽환전사 바리스 2
  • 버블보블
  • 뿌요뿌요(★)
  • 사령전선
  • 사크 시리즈
  • 삼국지 시리즈
  • 수호전 천명의 맹세
  • 스내쳐
  • 스크램블 포메이션
  • 스페이스 맨보우(★/2+)
  • 슈퍼 로드러너 [9]
  • 아쉬기네 시리즈
    • 아쉬기네 - 전설의 성전사
    • 아쉬기네 - 허공의 아성
    • 아쉬기네 - 복수의 불꽃
  • 아웃런
  • 악마성 드라큘라(☆)
  • 알레스터 시리즈
    • 알레스터
    • 알레스터 2
    • 알레스터 외전 [10]
  • 알카노이드 2 - Revenge of Doh
  • 언데드라인(★)
  • 에메랄드 드래곤
  • 오우거
  • 왕가의 계곡 II - 엘 기자의 봉인(★)
  • 우샤스(★)
  • 울티마 시리즈
  • 위저드리 시리즈
    • 위저드리
    • 위저드리 2
    • 위저드리 3
  • 은하영웅전설 시리즈
    • 은하영웅전설
      • 은하영웅전설 파워업&시나리오집
    • 은하영웅전설 2 (TR)
      • 은하영웅전설 2 DX kit (TR)
  • 이스 시리즈
  • 이카리
  • 자낙 EX(☆) [11]
  • 전뇌학원 시리즈
  • 제독의 결단 (TR)
  • 제비우스(☆)[12]
  • 마왕 골베리우스(☆/2+) [13]
  • 콘트라(☆)
  • 테트리스 [14]
  • 파이널 판타지 1
  • 파이어 호크: 일명 '덱스더 2'
  • 판타지 존 2
  • 패미스타
  • 펭귄군 워즈 2 (★) [15]
  • 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
  • 프린세스 메이커 1 (TR)
  • 피드백(★)
  • 핑크삭스(★)
  • 하이드라이드 시리즈
    • 하이드라이드 1 (디스크판)
    • 하이드라이드 3
  • 힘내라 고에몽
  • PSY O BLADE

4. MSX2+/turboR용 게임


전용 게임만을 기재한다.
  • 프레이: turboR 버전이 MSX2용과 별도로 제작되었다.

5. 국내 제작 게임


재미나가 제작한 게임 중에서 본 항목에 없는 게임에 대해서는 재미나 항목을 참조할 것.
  • 꾀돌이(게임)
  • 그날이오면 2[16]
  • 슈퍼보이[17]
  • 아기공룡 둘리
  • 형제의 모험[18]

[1] 꽤 나중에 이식되어서인지 MSX판만 타기종과 BGM이 전혀 다르게 되어 있고 그래픽도 새로 그렸다. 게임 내용은 약간 조정한 부분이 있지만 거의 동일.[2] 봄버맨 시리즈의 프로토타입[3] 아케이드판 스파르탄 X의 이식. 아스키 제작.[4] 아케이드판 스파르탄 X와는 전혀 다른 게임. 영화 원작 쾌찬차를 게임화. 포니 캐논 발매.[5] 원더보이와 어떤 관계에 있는 게임인지는 타카하시 명인의 모험도 항목을 참조.[6] MSX1판과 별개의 이식작. MSX1판보다 먼저 디스크 매체로 나왔으며 어레인지 없이 원판에 충실한 이식이다. 이식도는 2M 롬으로 나온 MSX1판보다 떨어진다.[7] 시리즈 중 팔콤이 이식하지 않은 유일한 작품. 브라더 공업 발매. 하청 제작사가 원래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만들다가 처음으로 만든 게임이 이거라서 이식도가 영 좋지 못하다.[8] 마도물어 2디스크 스테이션 수록작으로 나온 후 1, 3편 시나리오를 추가해서 발매.[9] 아케이드판 로드러너 4 - 제국으로부터의 탈출을 베이스로 이식[10] 단독작품이 아닌 디스크 스테이션 가을호 수록작이나 국내에는 단독작품처럼 유통되었다.[11]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판을 베이스로 제작했으나 볼륨이 증가.[12] 아케이드판의 이식인 '리콘' 시나리오와 MSX 오리지널인 '스크램블' 시나리오가 수록.[13] 세가 마스터 시스템판을 베이스로 만들었으나 데모는 완전신규이며 게임 내용도 완전히 새로 만든 리메이크작.[14] MSX로도 테트리스는 여러 버전이 나와있으나 정식으로 라이센스를 받은 것은 BPS의 MSX2 버전 뿐이다.[15] 2편만 MSX 오리지널. 1편은 아케이드에서의 이식이다. 1편은 256K, 2편은 2M로 2편의 볼륨이 더 크고 스토리 모드도 존재한다.[16] 1편은 광고만 게재되고 개발중지.[17]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의 도작.[18] 마리오브라더스의 도작. '최초의 상업용 국산 MSX 게임'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