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대표작
1. 개요
닌텐도의 대표적인 게임들과 미디어 믹스를 정리한 문서. 닌텐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퍼스트 파티와 세컨드 파티, 서드 파티 게임 시리즈를 서술한다.
후술된 게임 중 가장 유명한 시리즈는 마리오 시리즈, 젤다의 전설 시리즈, 포켓몬스터 시리즈로 닌텐도 3대 게임이라 칭하기도 한다.
2. 대표작
2.1. 닌텐도 프랜차이즈
발매 순서 대로 나열. 공식 홈페이지에서 "닌텐도의 소프트" 로 분류되면 닌텐도의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
- 마리오 시리즈[마젤포동]
- 동키콩 시리즈
- 펀치 아웃! 시리즈
- 젤다의 전설 시리즈[마젤포동]
- 메트로이드 시리즈
- 닌텐도 테트리스[1]
- MOTHER 시리즈
-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 에프제로 시리즈
- 파일럿윙즈 시리즈
- 별의 커비 시리즈
- 스타폭스 시리즈
- 피크로스 시리즈
- 포켓몬스터 시리즈[마젤포동]
- [2]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동물의 숲 시리즈[마젤포동][3]
- 피크민 시리즈
- 스플래툰 시리즈
- 방가방가 햄토리 시리즈[4]
- 황금의 태양 시리즈
- 전설의 스타피 시리즈
- 제노블레이드 시리즈
- 쿠루링 시리즈
- 기능성 게임 시리즈
- 두뇌 트레이닝 시리즈
- 영어 삼매경 시리즈
- 듣고 쓰고 친해지는 DS 영어 삼매경
- 살아있는 영어로 강해지는 실전 DS 영어 삼매경
- Wii Fit 시리즈 및 피트니스 게임
- Wii Fit
- Wii Fit Plus
- Wii Fit U
- 링 피트 어드벤처
- 닌텐독스 시리즈
- 응원단 시리즈
- 카일 하이드 시리즈
- 리듬 세상 시리즈
- 패미컴 탐정클럽
- 죄와 벌 시리즈
- 죄와 벌 지구의 계승자
- 죄와 벌 우주의 후계자
- Wii 시리즈
- Mii 시리즈
- Girls Style 시리즈
- 카드 히어로
- 영 제로 시리즈[5]
- 점프 스타즈 시리즈
- 컬드셉트 시리즈[6]
- 롤링 웨스턴 시리즈
- 말랑말랑 두뇌교실 시리즈
- 비트 제네레이션 시리즈[7]
- 아트 스타일 시리즈[8]
- 베요네타 시리즈[9]
- BoxBoy! 시리즈
- 애스트럴 체인[10]
2.2. 콘솔 게임
- 개구리를 위하여 종은 울린다
- 덕헌트
- 어반 챔피언
- 익사이트 바이크
- 마하 라이더
- 아이스 클라이머
- 벌룬 파이트
- 토마토 어드벤처
- 수수께끼의 무라사메 성
- 007 골든 아이
- 도신 더 자이언트
- 숨은 소질을 깨우는 그림교실
- 레고 시티 언더커버
- 마블 얼티밋 얼라이언스 3: 블랙 오더
- 신나는 Wi-Fi 게임 전집
- 함께 싹둑하고 스니퍼즈
- 판도라의 탑
- 이터널 다크니스
- 친구모아 아파트
- 마벨러스: 또 하나의 보물섬
- 모모타로 전철
- 에버 오아시스
- ARMS
- 조이사운드 for Wii U, 닌텐도 스위치
- Nintendo Labo
- ASTRAL CHAIN
- 링 피트 어드벤처
- 세계 놀이 대전 51
2.3. 아케이드 게임
- 동키콩(게임)
- 동키콩 Jr
- 동키콩 3
- 마리오브라더스
- 펀치 아웃!!
- 킬러 인스팅트
- 킬러 인스팅트 2
- 에프제로 AX
- 동키콩 정글 피버
- 동키콩 바나나 킹덤
- 포켓몬 배트리오
- 포켓몬 트렛타
- 폿권: POKKÉN TOURNAMENT
- 리듬 천국 아케이드
- 크루즌 시리즈
- 크루즌 USA
- 크루즌 월드
- 크루즌 엑소티카
- 크루즌 블래스트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GP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GP 2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GP DX
- 별의 커비 반짝반짝 메달랜드
- 별의 커비 메달랜드의 마법의 탑
- 루이지 맨션 아케이드: 아케이드판 이식은 캡콤에서 하였다.
2.4. 모바일 게임
2.5. 영상매체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젤다의 전설(애니메이션)
- 동키콩(애니메이션)
- 에프제로 팔콘 전설[11]
- 극장판 동물의 숲
- 별의 커비/애니메이션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피크민 시리즈 애니메이션
- 명탐정 피카츄(영화)
- [12]
2.6. 테마파크
2.7. 서드파티 독점작
사실상 닌텐도의 준 세컨드 파티라고 볼 수 있다. 세컨드 파티와의 차이점이라면 닌텐도가 퍼블리셔로 있지 않다.
- FAST 시리즈[13]
- 내일은 택시왕 : 신나는 대구여행
- 라이브 어 라이브
- 레이튼 교수 시리즈
- 리틀 돌 프린세스
- 브레이블리 시리즈
- 세계수의 미궁 시리즈
-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 아이언 마스터
- 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 - 21세기에 본가라고 할수있는 메트로바니아 형식의 게임은 닌텐도 콘솔로만 나온다.
- 어나더 코드 시리즈
- 엘프볼링
- 요괴워치
- 마리오 + 래비드 킹덤 배틀
- 천지창조(게임)
- 카두케우스 시리즈
- 케로케로 케로피의 대모험
- 역전재판 시리즈
-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 푸른 뇌정 건볼트 시리즈
- 뇨키뇨키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디바 MEGA39's
2.8. 플랫폼별 세부 분류
2.8.1. 가정용
- 패밀리 컴퓨터/게임 목록
- Super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게임 목록
- 닌텐도 64/게임 목록
- 게임큐브/게임 목록
- Wii/한국어판 목록
- Wii U/게임 목록
2.8.2. 휴대용
2.8.3. 하이브리드
[마젤포동] A B C D 이상 마리오, 젤다, 포켓몬 세 시리즈는 닌텐도의 전통적인 대표 게임 시리즈 3인방으로 국내에서는 마젤포라고도 불린다. 다만 포켓몬은 닌텐도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게임 프리크, 크리쳐스 등과 지분을 나눠갖고 있는 포켓몬 컴퍼니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형식이라 다른 게임과 자주 엮이는 마리오와 젤다랑은 달리 대난투를 제외하면 다른 게임과의 접점이 적은 편이다. 2005년 NDSL 이후로는 동물의 숲 시리즈도 크게 흥하며 마리오 시리즈, 젤다의 전설 시리즈, 포켓몬 시리즈와 함께 닌텐도를 대표하는 게임이 되었다.[1] 테트리스 게임 자체는 테트리스 홀딩스의 소유지만 닌텐도 기종으로 발매되는 테트리스는 닌텐도 독점작이며, NES, 게임보이, DS 버전 같이 닌텐도가 직접 제작한 작품도 있으며, 모든 닌텐도 테트리스의 유통은 닌텐도가 담당하고 있다.[2] 본래 닌텐도의 게임이였으나 시리즈를 제작하던 레어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된 이후로 소속이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로 바뀌였다. 하지만 인수 이후로 신작이 단 하나 밖에 나오지 않은데다 그것조차 망했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선 그냥 닌텐도의 대표작으로 취급되고 있다.[3] 놀동숲은 1,175만장, 튀동숲은 1,282만장이 팔리고, 모동숲은 3,118만 장이 팔리는 쾌거를 보여줬다.[4] IP 자체는 닌텐도의 소유가 아니지만 게임 제작은 전부 닌텐도와 세컨드 파티 회사인 알파드림에서 제작했고, 유통은 닌텐도에서 담당했다. 미야모토 시게루가 제작에 관여했다.[5] 영 제로 월식의 가면부터 닌텐도가 브랜드를 구입해서 제작하고 있다.[6] 컬드셉트 3DS부터 컬드셉트 리볼트까지 해당[7] Skip사가 주로 닌텐도 하청을 받아 제작하는 일련의 디자인/퍼즐게임 시리즈군이다.[8] 위와 마찬가지로 Skip사가 주로 닌텐도 하청을 받아 제작하는 일련의 디자인/퍼즐게임 시리즈군이다.[9] 원래 세가의 게임이었는데 세가가 퍼블리싱을 포기해서 사라질 뻔한 걸 닌텐도가 개발비를 전액 지원하며 닌텐도 독점작이 되었다.[10] 닌텐도가 타사의 IP를 인수하였다.[11] 팔콘 펀치가 나온 그 애니메이션이다. 챔프TV에서 더빙 방영.[12] olleh tv에서는 애니메이션 카테고리에 이 프로그램이 등재되었다. 물론 저 프로그램 자체는 한국닌텐도와 연관이 큰 프로그램이긴 하다.[13] 에프제로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