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의 기념일. 동방 프로젝트는 캐릭터의
에 대한 설정정보가 없는지라 다른 장르에 비해 팬들이 유독 이 기념일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덕분에
등에서는 해당 기념일마다 해당 캐릭터의 팬아트가 우수수 업로드된다. 물론 이런 날을 못 맞추는 사람도 존재하기에 하루 늦게 올린 경우엔 '~~의 날을 맞추지 못한 사람의 날' 같은 태그도 존재한다.
를 이용한 것이 많으므로 숫자 읽는 방법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
를 참고하자. (일본어)
날짜
| 기념일 이름
| 해당 캐릭터
| 설명
|
1월 5일
| 교수의 날
| 오카자키 유메미
| 간판기인 '이치고 크로스', 테마곡 Strawberry Crisis등 딸기와 관련이 많다. 이치 = 1, 고 = 5.
|
1월 6일
| 레이무의 날
| 하쿠레이 레이무
| 0(레)1(이)6(무)
|
1월 7일
| 히나의 날
| 카기야마 히나
| 1(히)7(나)
|
1월 9일
| 이쿠씨의 날
| 나가에 이쿠
| 1(이)9(쿠)
|
1월 10일
| 모미지의 날
| 이누바시리 모미지
| 1(원)1(원)0(오) = 왕왕오(개짖는 소리)
|
2월 2일
| 평범한 마법사의 날
| 키리사메 마리사
| 2(후)2(two) = ふつう(보통)
|
2월 4일
| 요우무의 날
| 콘파쿠 요우무
| 요우무의 직업이 정원사인데, 정원사는 일본어로 '니와시(庭師、にわし)'라고 한다. 2(니)와4(시)
|
2월 7일
| 미코씨의 날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
| 쇼토쿠 태자의 생일
|
2월 8일
| 쿠타카의 날
| 니와타리 쿠타카
| 2(니)8(와)
|
폭신파직의 날
| 엘렌
| 폭신폭신거리는 느낌을 일본어로 '후와후와(ふわふわ)', 파직거리는 느낌을 일본어로 '파치(パチ)'라고 하는데, 2(후)와후와, 8(파)치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엘렌의 머리카락이 폭신폭신거리고 파직거리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하술될 2월 18일과 2월 28일, 매월 28일 또한 동일한 사례.
|
2월 10일
| 후토의 날
| 모노노베노 후토
| 2(후)10(토)
|
니토리의 날
| 카와시로 니토리
| 2(니)10(토)
|
니토후토의 날
| 카와시로 니토리 & 모노노베노 후토
| 서로의 기념일이 겹친 것을 이용한 커플링 기념일이다.
|
2월 18일
| 마미조씨의 날
| 후타츠이와 마미조
| 2(후타츠)1(이)8(와)
|
폭신파직의 날
| 엘렌
| 2월 8일의 사례 참고.
|
2월 23일
| 유유코의 날
| 사이교우지 유유코
| 2(후)2(지)3(미)=富士見
|
2월 28일
| 폭신파직의 날
| 엘렌
| 2월 8일의 사례 참고.
|
2월 29일
| 썩은 살의 날
| 미야코 요시카
| 2(후)2(니)9(쿠) = 腐肉(썩은 살)
|
3월 1일
| 레미레이의 날
| 레밀리아 스칼렛&하쿠레이 레이무
| 0(레)3(미)0(레)1(이)
|
3월 2일
| 서니 밀크의 날
| 서니 밀크
| 3(사)2(니)
|
3월 3일
| 동방 히나마츠리
| 카기야마 히나
| 히나마츠리
|
3월 4일
| 묭의 날
| 콘파쿠 요우무
| 3(묭의 '미(み)')4(묭의 '용(ょん)')
|
3월 5일
| 무녀의 날
| 하쿠레이 레이무 & 코치야 사나에
| 무녀를 일본어로 '미코(みこ)'라고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 직업이 무녀인 레이무와 사나에를 연상케 한다. 3(미)5(코)
|
미코의 날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
| 3(미)5(코)
|
3월 7일
| 사나에씨의 날
| 코치야 사나에
| 3(사)7(나)
|
3월 8일
| 묘렌의 날
| 히지리 묘렌
| 3(묘의 '미(み)')8(묘의 '요(ょう)')
|
3월 9일
| 사쿠야의 날
| 이자요이 사쿠야
| 3(사)9(쿠)
|
사구메의 날
| 키신 사구메
| 3(사)9(구)
|
미샤구지님의 날
| 미샤구지님[1] 모리야 스와코의 스펠 카드 중 하니인 그것 맞다.
| 3(미)샤9(구)지
|
3월 10일
| 사토리의 날
| 코메이지 사토리
| 3(사)10(토)
|
사리엘의 날
| 사리엘
| 3(사)리10(엘[2] '엘'은 성경에서 천사를 가리킨다. 천사를 일본어로 '텐시(てんし)'라고 하는데, 텐시에서 '텐(10)'을 따 온 것이다. )
|
3월 12일
| 미코토지의 날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 & 소가노 토지코
| 3(미)10(토)2(지)
|
3월 18일
| 이나바의 날
| 이나바 테위 &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
| 1(이)7(나)8(바) → 1월 78일 → 3월 18일(31일+28일을 뺀 것이다. 윤년에는 3월 17일에 하려나?)
|
3월 20일
| 미코후토의 날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 & 모노노베노 후토
| 3(미)코2(후)10(토)
|
3월 21일
| 서니 밀크의 날
| 서니 밀크
| 3(사)2(니)1(이)
|
4월 6일
| 요우무의 날
| 콘파쿠 요우무
| 4(요)6(무)
|
묭미아 데이즈
| 콘파쿠 요우무 & 루미아
| 4월 6일은 상술되었듯 요우무의 날, 다음 날인 4월 7일은 매월 7일이 루미아의 날이라는 점에서 유래된 커플링 기념일이다.
|
4월 7일
|
4월 10일
| 파르시의 날
| 미즈하시 파르시
| 질투 = 싯토 = 4(시)10(토)
|
4월 28일
| 시즈하의 날
| 아키 시즈하
| 4(시)2(즈)8(하)
|
4월 30일
| 백택의 날
| 카미시라사와 케이네
| 4(시라)3(사)0(와)
|
5월 5일
| 코코로의 날
| 하타노 코코로
| 5(코)5(코)로
|
5월 6일
| 5(코)코6(로)
|
5월 10일
| 코토히메의 날
| 코토히메
| 5(코)10(토)
|
5월 14일
| 코이시의 날
| 코메이지 코이시
| 5(코)1(이)4(시)[3]
|
5월 15일
| 메이링의 날
| 홍 메이링
| 5월=May, 15=인(원자번호 15)=린
|
코이코코의 날
| 코메이지 코이시 & 하타노 코코로
| 5(코)1(이)5(코)
|
5월 16일
| 사랑빛의 날
| 키리사메 마리사
| 5(코)1(이)이6(로)
|
5월 26일
| 코코로의 날
| 하타노 코코로
| 5 26 → 5 (x2 두개) 6 → 5 5 6 → '코 코 로' 라는 연결
|
6월 1일
| 무라이치의 날
| 무라사 미나미츠&쿠모이 이치린
| 6(무(라))1(이치)
|
6월 4일
| 리글의 날
| 리글 나이트버그
| 6(무)4(시) = 벌레
|
6월 5일
| 순호의 날
| 순호
| 6(June)5(코) = 쥰코(순호를 일본식 발음)
|
6월 6일
| 세키반키의 날
| 세키반키
| 6(로쿠)6(로쿠) = '''로쿠로쿠'''비
|
6월 9일
| 파츄리의 날
| 파츄리 널릿지
| 파츄리의 말버릇 무큐 = 6(무)9(큐)
|
신교쿠의 날
| 신교쿠
| 신교쿠의 음양옥 형태로서의 모습이 아리비아 숫자 '6'과 '9'를 닮은 것에서 유래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신교쿠 항목 참조.
|
6월 11일
| 우산의 날
| 타타라 코가사 외
| 우산의 날이다. 양산 캐릭터도 포함
|
6월 14일
| 무의식의 날
| 코메이지 코이시
| 6(무)1(이)4(시)키
|
로리 코이시의 날
| 6(로)리 코1(이)4(시)
|
6월 16일
| 마리앨리의 날
| 키리사메 마리사&앨리스 마가트로이드
| 사랑빛의 날 (5월 16일) 7색 인형사의 날 (7월 16일) 사이가 6월 16일이기 때문에
|
6월 24일
| 누에의 날
| 호쥬 누에
| UFO의 날
|
6월 27일
| 유카메리의 날
| 야쿠모 유카리 & 마에리베리 한
| 영국계 일본인 소설가 코이즈미 야쿠모(귀화 이전의 이름은 라프카디오 헌)의 생일인데, 해당 인물의 이름은 각각 유카리와 메리의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하였다. 메리 = 유카리 떡밥에 근거한 커플링 기념일.
|
7월 4일
| 플랑쨩의 날
| 플랑드르 스칼렛
| 495년의 파문 → 4월 95일(월 당 30일씩 빼서.) 결과적으로는 테위, 우동게와 유사한 사례가 된다.
|
이름 없는 캐릭터의 날
| 이름 없는 캐릭터들[4] 구작 중보스들, 대요정, 소악마, 책읽는 요괴, 이름 없는 신령, 봉래인형 자켓소녀, CD라벨 소녀 등.
| 7(나나)4(시), 일본어로 '이름이 없다'라는 뜻을 가진 '나나시(名無し)'와 발음이 같다.
|
7월 6일
| 나무삼의 날
| 히지리 뱌쿠렌
| 7(나) 6(무) .3이 빠졌지만, 보통 나무삼도 줄여서 나무로 끝낸다.
|
제1차 리리카의 날
| 리리카 프리즘리버
| 피아노의 날인데, 피아노를 통해 리리카가 면주하는 키보드를 연상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
7월 7일
| 루미아의 날
| 루미아
| そ~なのか~(그런건가~) → なのか(이레)
|
7월 9일
| 아야치르의 날
| 샤메이마루 아야 & 치르노
| 7월의 다른 이름 후미즈키('''文'''月) + ⑨
|
7월 12일
| 이쿠씨의 날
| 나가에 이쿠
| 한 해의 193(이쿠상)번째 일. 윤년에는 11일에 올리는 걸까?
|
7월 14일
| 유카의 날
| 카자미 유카
| 해바라기의 날
|
유우아야의 날
| 카자미 유카 & 샤메이마루 아야
| 7월의 다른 이름 후미즈키('''文'''月) + 해바라기의 날인데, 해바라기를 상징하는 캐릭터인 유카를 융합한 것이다.
|
7월 16일
| 7색 인형사의 날
|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 7(나나)1(이)6(로)
|
7월 20일
| 나즈린의 날
| 나즈린
| 7(나)2(즈)0(린)
|
8월 3일
| 야사카 카나코의 날
| 야사카 카나코
| 8(야)3(사)日(카). 한자까지 동원된 희귀한 사례다.
|
8월 4일
| 쿄코의 날
| 카소다니 쿄코
| 8(야) 4(four) = 야호~!
|
토지코의 날
| 소가노 토지코
| 8(얀) 4(요) = 얏떼얀요(해치워 주마)
|
하시히메의 날
| 미즈하시 파르시
| 8(하) 4(시)
|
8월 5일
| 야고코로의 날
| 야고코로 에이린
| 8月5日頃=85頃=야고코로
|
하타노 코코로의 날
| 하타노 코코로
| 8(하)5(코)
|
8월 6일
| 요우무의 날
| 콘파쿠 요우무
| 8(요우)6(무)
|
아야레이무의 날
| 샤메이마루 아야 & 하쿠레이 레이무
| 8(야)0(레이)6(무)
|
8월 8일
| 슈퍼 야츠하시의 날
| 츠쿠모 야츠하시
| 8(야)X2
|
제2차 리리카의 날
| 리리카 프리즘리버
| 건반의 날인데, 리리카가 건반 악기인 키보드를 연주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
8월 9일
| 액신님의 날
| 카기야마 히나
| 8(야)9(쿠), 야쿠(액)
|
하쿠레이의 날
| 하쿠레이 레이무
| 8(하)9(쿠)
|
8월 12일
| 루나사의 날
| 루나사 프리즘리버
| 6(로→루)7(나)3(사) 이쪽은 플랑과 달리 테위, 우동게의 경우와 비슷한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똑같다.
|
8월 20일
| 아야니토의 날
| 샤메이마루 아야 & 카와시로 니토리
| 8(야)2(니)10(토)
|
하니와의 날
| 조토구 마유미
| 8(하)2(니)0(와)
|
8월 28일
| 8(하)2(니)8(와)
|
9월 6일
| 스와코의 날
| 모리야 스와코
| 9(쿠)6(로)지만 케로로 읽어버리자.
|
쿠로코마의 날
| 쿠로코마 사키
| 9(쿠)6(로)
|
아야사나의 날
| 샤메이마루 아야 & 코치야 사나에
| 8(야)3(사)7(나) 테위, 우동게 및 루나사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
9월 8일
| 카구야의 날
| 호라이산 카구야
| 9(구)8(야)
|
'''9월 9일'''
| 치르노의 날
| 치르노
| ⑨
|
9월 10일
| 쿠모이 이치린의 날
| 쿠모이 이치린
| 9(쿠)모이1(이치)0(린)
|
9월 19일
| 츠쿠모가미의 날
| 츠쿠모가미 캐릭터들
| 츠쿠모(九十九)
|
9월 30일
| 동방향림당 발매일
| 모리치카 린노스케
| 책읽는 요괴 포함
|
쿠루미의 날
| 쿠루미
| 9(쿠)3(루미)[5] 히라가나의 'る(루)'와 모양이 비슷하고, 독음이 '미'이기 때문이다. 0(마루이)[6] '둥글다'라는 뜻. '쿠루미'는 일본어로 호두를 가리키는데, 호두의 모양이 둥글다는 점에서 유래되었다.
|
10월 3일
| 도레미의 날
| 도레미 스위트
| 10(도)0(레)3(미)
|
10월 4일
| 토요히메의 날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 10(토)4(요)
|
텐시의 날
| 히나나위 텐시
| 10(텐)4(시)
|
10월 5일
| 텐코의 날
| 10(텐)5(코). 10월 6일은 텐코의 날에도 맞추지 못한 사람들의 날이다.
|
10월 9일
| 텐구의 날
| 텐구 캐릭터들
| 10(텐)9(구). 한국에선 한글날.
|
아큐의 날
| 히에다노 아큐
| A(16진법의 10)+9(큐)
|
10월 10일
| 첸의 날
| 첸
| 10(텐)이지만 첸으로 읽어버리자.[7] 그런데 독일어로 10은 진짜로 '첸(zehn)'이라고 한다! 다만 zehn의 일본어 표기는 ツェン.
|
슈퍼 이치린 타임
| 쿠모이 이치린
| 1(이치)와 0(린)이 두 번 반복된다.
|
10월 15일
| 마리앨리의 날
| 키리사메 마리사&앨리스 마가트로이드
| 버섯의 날[8] 일본특용임산진흥회가 1995년 5월 총회에서 제정했다. 가을 하면 버섯이며, 특히 10월은 버섯류의 수요가 정점에 달하는 달으로 10월의 한 가운데인 15일을 기념일로 지정. 이자 인형의 날[9] 일본인형협회와 일본 완구 및 인형 연맹이 1965년 제정했는데, 1972년 '근본적인 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며 적극적인 활동은 휴지. 하지만 일반에는 보급되어서 이 날 전국 각지에서 인형공양이나 인형감사제가 개최된다고 라서
|
10월 16일
| 레이마리앨리의 날
| 하쿠레이 레이무 & 키리사메 마리사 & 앨리스 마가트로이드
| 앨리스의 이명이 '칠색의 인형술사'인데, 레이무는 홍백, 마리사는 흑백이다. 즉 칠색 + 붉은색 + 검은색 + 하얀색을 더하면 10색이 되는데, 색깔을 일본어로 '이로(いろ)'라고 한다. 10가지의 1(이)6(로)
|
10월 25일
| 토지코의 날
| 소가노 토지코
| 10(토)2(지)5(코)
|
10월 28일
| 코이시쨩×2의 날
| 코메이지 코이시
| 514(こいし)×2=1028
|
11월 10일
| 키스메의 날
| 키스메
| 11(요이 or 이이) 10(이도), 요이 이도(괜찮은 우물)
|
11월 11일
| 온바시라의 날
| 야사카 카나코
| 온바시라 몽뎅이 X4
|
포 오브 어 카인드
| 플랑드르 스칼렛
| 플랑드르 X4
|
11월 24일
| 요우무의 날
| 콘파쿠 요우무
| 11(요이 or 이이) 24(니와시), 요이 니와시(괜찮은 정원사)
|
12월 8일
| 바늘 공양의 날
| 타타라 코가사
| 동방자가선에서 코가사가 등장한 편이 바늘 공양의 날 에피소드. 코가사가 메인인 날은 아니고, 다른 캐릭터들의 일러스트에 코가사가 꼽사리로 나오게 된다
|
12월 9일
| 비봉 구락부의 날
| 비봉구락부 캐릭터들
| 12(히후)9(쿠라부). 비봉구락부.
|
12월 10일
| 이치후토의 날
| 쿠모이 이치린 & 모노노베노 후토
| 1(이치)2(후)10(토)
|
날짜
| 기념일 이름
| 해당 캐릭터
| 설명
|
월요일
| 달 캐릭터의 날
| [설명] 너무 많이 존재하므로 옆에 있는 설명란 및 그 각주를 참고하기 바란다.
| 월요일이므로 달과 관련된 캐릭터들이 주인공이 되는 요일이다. 해당 캐릭터들의 유형으로는 총 네 가지가 존재한다. 예시는 각주에 설명되어 있다. 1. 이름에 '달 월(月)' 자, 혹은 달을 뜻하는 '루나(ルナ)'가 들어가 있는 캐릭터.[예시1] 무게츠, 겐게츠, 루나사 프리즘리버,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루나 차일드. 2. 의상 디자인에 달이 들어가 있는 캐릭터.[예시2] 파츄리 널릿지, 구작 마리사, 헤카티아 라피스라줄리, 예시 1에서 이미 언급된 루나사 프리즘리버. 3. 사용하는 스펠 카드의 이름에 '달 월(月)' 자나 '루나'가 들어가 있는 캐릭터.[예시3] 환상「루나 클락」, 학부「보름달의 폼포코링」. 4. 달의 도시#s-2와의 관계가 있는 캐릭터.[예시4] 레이센, 키신 사구메, 예시 1에서 이미 언급된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역시 예시 1에서 이미 언급된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
화요일
| 나즈린의 날
| 나즈린
| 화요일을 뜻하는 Tuesday(튜즈데이/투즈데이)는 일본어로 チューズデイ라 표기하며, '츄(チュー)'는 일본어로 쥐 울음소리를 나타낸다.
|
금요일
| 카레와 무라사의 날
| 무라사 미나미츠
| 일본 해군 → 해상자위대의 주말카레. 주5일제의 영향으로 금요일에 카레를 먹는다.
|
일요일
| 메를랑의 날
| 메를랑 프리즘리버
| 모자의 태양 모양 장식물 때문에 태양 → 일요일
|
'''365일'''
| 미노리코의 날
| 아키 미노리코
| 3(미)(노) 6(리) 5(코). 일어나라 농민들아. 매일 그려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