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창작물
1. 개요
한국사에서 조선은 기록이 상세한 편이라 역대한국사왕조들중 배경으로 쓰이는 경우가 제일 많다.
이 문서는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설명하며, 가장 왼쪽에 표시된 것이 원작, 오른쪽이 파생 작품으로 원작보다 유명한 경우에는 굵은 표시를 한다.
2. 게임
- 군주 온라인
- 던전 앤 파이터의 지벤 황국 - 스팀 펑크에 조선을 더했다.
- 메이플스토리의 아랫마을 - 게임 내의 스토리는 한국 전래동화이며, 테마 역시 조선이다.
- 보드게임 세종
- 분로쿠 조선의 역 - 일본의 보드 게임 잡지인 게임 저널 제31호에 나온 보드 게임.
- 사이퍼즈 - 시간적 배경은 1930년도로, 실제 역사와 달리 조선이 근대화된 채 건재하며 원래는 성종 때 해체된 체탐인도 당대까지 남아 있다. 또한 조선 국적자의 능력자가 3명이나 있다.
- 세종(보드 게임)
- 소울 칼리버 시리즈 - 시간적 배경은 임진왜란 전후인 1580~90년대이며 조선인 캐릭터 3명이 플레이어블로 등장하는만큼 해당 캐릭터들의 배경 스토리로도 등장한다.
- 신 조선협객전
- 오성과 한음(1993)
- 워해머 히스토리컬: 조선군
- 일지매전 만만파파식적
- 임진 1592
- 임진록: 동토의 여명[1]
- 임진록 1
- 잃어버린 제국[2]
- 임진록 2
- 전국시대 쇼군의 그림자
- 조선협객전
- 조선의 임금(보드 게임)
- 천하제일상 거상
- 충무공전 1
- 충무공전2: 난세영웅편
- 탐정뎐
- 홍길동전(1993) - 허균의 소설인 홍길동전을 원작으로 한 게임.
3. 드라마
- 간서치열전
- 거상 김만덕
- 고운님 여의옵고(1980)
- 공주며느리
- 공주의 남자
- 구가의 서
- 군주 - 가면의 주인
- 궁중잔혹사-꽃들의 전쟁
- 나의 나라
-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드라마 - 소설)
- 녹두꽃
- 다모
- 닥터 진[3]
- 단장
- 땀의 순교자, 탁덕 최양업
- 대검자
- 대군 - 사랑을 그리다
- 대망
- 대박(드라마)
- 대명
- 대왕 세종
- 대왕의 길
- 대원군(1966)
- 대장금 - 장금이의 꿈(애니메이션)
- 대풍수
- 독립문
- 동방의 빛
- 동이
- 동정부부 요안, 루갈다
- 마녀보감
- 맥(脈)
- 먼동
- 명가
- 명인백선
- 명성황후(드라마)
- 미스터 션샤인[4]
- 민며느리
- 바람과 구름과 비
- 백일의 낭군님
- 불멸의 이순신
- 별순검
- 비밀의 문
- 사모곡
- 사미인곡(1977)
- 사임당, 빛의 일기
- 삼총사(드라마)
- 상궁나인
- 상놈탈출기
- 상도
- 서궁
- 성(聖) 김대건
- 세종대왕(1970)
- 수양산맥
- 수청기행
- 순교자 강완숙
- 실록대하소설
- 심청전(1971)
- 아씨
- 안국동 마님
- 암행어사
- 야경꾼 일지
- 여보 정선달
- 여인열전 황진이(1982)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연화
- 오렌지 마말레이드 2기 (5화~9화)
- 옥중화
- 왕도(드라마/1976)
- 왕과 비
- 왕의 얼굴
- 용의 눈물[5]
- 유심초(신봉승 극본)
- 육룡이 나르샤
- 윤지경
- 이산
- 인목대비(1974)
- 인수대비(드라마)(정하연 극본)
- 일지매(2008)
- 일출봉
- 임금님의 첫사랑
- 임꺽정(1996)
- 임진왜란 1592(드라마)
- 장희빈(1971)
- 장희빈(1995)
- 장희빈(2002)
- 짝패(드라마)
- 정도전(드라마)
- 정조암살미스터리: 8일
- 정화
- 제중원
- 조선 총잡이
- 조선로코 녹두전
- 조선왕조 500년
- 조선추리활극 정약용
- 집념 - 소설 동의보감(이은성 저) - 동의보감(드라마/1991) - 허준(드라마/1999) - 구암 허준
- 징비록
- 천둥소리
- 천명
- 철인왕후
- 최강칠우
- 추노
- 춘향전(1971)
- 쾌도 홍길동
- 킹덤(드라마)[6]
- 태양인 이제마
- 파천무
- 포도대장
- 풍운
- 한성별곡
- 해치
- 향단전
- 홍국영
- 홍길동
- 화정
- 황진이(2006)
- 황희정승
- 횃불
- 회심곡
- 7일의 왕비
4. 만화
- 가비왕
- 고우영 일지매 - 돌아온 일지매(드라마)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영화)
- 권율장군
- 귀록
- 나는 인어로소이다
- 나비혼 - 나비혼(소설)
- 녹두전 - 녹두전(드라마)
- 도문대작
- 대란
- 더 헌터
- 맹꽁이 서당
- 묘진전
- 므시미르
- 바람
- 바람소리
- 바람을 가르며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 반월
- 밤을 걷는 선비 - 밤을 걷는 선비(드라마)
- 버닝헬
- 보빙사
- 살생부
- 세자전
- 신의 나라
- 심봉사전 심학규전
- 야뇌 백동수 - 무사 백동수(드라마)
- 여혜
- 역사 속에 숨은 영웅들
- 오늘은 조선 한양에서
- 오늘도 사랑스럽개 과거편
- 오성과 한음(박수동 저) - 신판 오성과 한음
- 오성X한음
- 왜란종결자 - 왜란종결자(소설)
- 이순신: 전사와 수호자
- 이순신세가
- 임금님의 사건수첩 - 임금님의 사건수첩(영화)
- 잡초와 갈대
- 전도가
- 제주구슬할망
- 조선 과학 삼총사
- 조선왕조실톡
- 조선좀비실록
- 조선 협객유랑기 솔개편
- 충무공
- 칼부림
- 타임인조선
- 탐나는도다 - 탐나는도다(드라마)
- 토끼(백성민 저)
- 파행
- 포천
- 풍장의 시대
- 하노백
- 한섬세대
- 한성 1905
- 호랑이형님
- 호맹
- 화음의 정원
- 혼담별곡
- 효게모노
- 흉기의 발명
- 1598
5. 무용극
- 명성황후(1994)
- 명성황후(2007)
6. 뮤지컬
- 명성황후(2007)
- 화성에서 꿈꾸다
- 이순신(2010)
7. 소설
- 객주 - 객주(드라마/1983) - 장사의 신 - 객주 2015(드라마)
- 격류
- 고금청담
- 고산자 - 고산자, 대동여지도(영화)
- 광해, 왕이 된 남자 - 광해, 왕이 된 남자(영화)
- 광해의 연인
- 구로시오
- 구르미 그린 달빛
- 권율(신봉승 저)
-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
- 금삼의 피 - 연산군(영화/1961)
- 난세의 칼
- 난중무사
- 남한산성(소설) - 남한산성(영화)
- 노서아 가비 - 가비(영화)
- 논개(김별아)
- 다정불심 - 다정불심(영화/1967)
- 단종애사
- 달과 그림자
- 달과 같
- 대수양
- 대춘부(소설/박종화 저) - 대춘부(드라마)
- 마의 백광현 - 마의(드라마)
- 명량(박은우 저) - 명량(영화)
- 명량 죽음의 바다
- 바람의 화원 - 바람의 화원(드라마) - 바람의 화원(만화)
- 반역(최남백 저)
- 방각본 살인 사건
- 변방에 우짖는 새 - 변방에 우짖는 새(연극)
- 봉황의 비상
- 불꽃처럼 나비처럼 - 불꽃처럼 나비처럼(영화)
- 불멸 - 불멸의 이순신(드라마)
- 불의 여신 정이 - 불의 여신 정이(드라마)
- 빙애
- 뿌리깊은 나무 - 뿌리깊은 나무(드라마)
- 비스트 월드(백천유 저)
- 사도세자 암살 미스터리 3일
- 사설 정감록 - 왕도(1991/드라마)
- 사야가 김충선
- 상도 - 상도(드라마)
- 서산대사(신지견, 연인M&B 저)
- 서산대사(최명익 저)
-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 성균관 스캔들(드라마)
- 세조대왕(이광수 저)
- 세종대왕(박종화 저)
- 소설 목민심서(황인경 저) - 소설 목민심서(드라마)
- 수양대군(이광수 저)
- 숙적
- 신의 그릇
- 양녕대군(박종화 저)
- 왕을 만든 여자[7]
- 어을우동(신봉승 저)
- 여인천하(박종화) - 여인천하(드라마)
- 연못에 핀 목화 - 송경별곡
- 열녀문의 비밀 - 조선명탐정-각시투구꽃의 비밀(영화), 조선명탐정: 사라진 놉의 딸(영화)
- 열하광인
- 영원한 제국
- 왕의 여인 어을우동
- 왜란(신봉승 저)
- 왜란종결자
- 운부
- 운현궁의 봄
- 원균(고정욱 저)
- 원균 그리고 원균
- 유이화
- 이순신의 나라
- 이순신의 반역
- 이순신의 제국
- 이신
- 이화 - 이화(드라마)
- 일지매 - 일지매(1993/드라마)
- 임꺽정(김용제 저)
- 임꺽정(허문녕 저)
- 임꺽정(홍명희 저)
- 임진왜란(김경진 저)
- 임진왜란(김성한 저)
- 임진왜란(박종화 저) - 불멸의 영웅 이순신(만화)
- 자고 가는 저 구름아 - 왕의 여자(드라마)
- 장길산(황석영 저) - 장길산(드라마), 장길산(만화, 백성민)
- 장옥정, 사랑에 살다 - 장옥정, 사랑에 살다(드라마)
- 제중원(이기원 저) - 제중원(드라마)
- 전우치(드라마)
- 젊은 그들(소설/김동인 저)
- 제국의 역습(허수정 저)
- 제왕의 길
- 조선공주실록
- 조선마술사(김탁환, 이원태 저) - 조선마술사(영화)
- 조선 세자빈 실종사건
- 조선 정치의 꽃 정쟁
- 조선패설 밀애
- 찬란한 여명 - 찬란한 여명(드라마)
- 천군(무명 저) - 천군(영화)
- 칼의 노래
- 평!
- 하녀들 - 하녀들(드라마)
- 한명회(1992/신봉승 저) - 한명회(드라마)
- 해를 품은 달 - 해를 품은 달(드라마)
- 허임(성인규, 이상곤 저)
- 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
- 혈의 누(소설)
- 홍경래의 난(최항기 저)
- 환생군주
- 혁명(정확히는 조선, 청, 한족과 일본)
- 흑산(김훈 저)
- 7년전쟁(김성한 저)
8. 애니메이션
- 구국의 태양 성웅 이순신
- 꼬마어사 똘이
- 돌아온 영웅 홍길동
-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 의적 임꺽정
- 장금이의 꿈
- 충무공 이순신 난중일기
- 태백산 호랑이
- 홍길동(1967/애니메이션)
9. 연극
- 궁리
- 나는 너다
- 물동이전
- 봄이 오면 산에 들에
- 비기 월단단
- 사도 사도세자 이야기
- 사랑, 그 아름다운 이름만으로
- 살짜기 웁서예
- 숙영낭자전을 읽다
- 왕과 나
- 운현궁 오라버니
- 이(爾) - 왕의 남자(영화)
- 장화홍련 실종사건
- 전기수
- 정씨 여자
- 조선 연정 스캔들 호야
- 조선의 뒷골목 이옥이야기
- 주공행장
- 주막
- 지옥도
- 철종 13년의 셰익스피어
- 코끼리와 나
- 피맛골연가
- 화선 김홍도
- 화성에서 꿈꾸다
- 화장
- 허난설헌
- 혜경궁 홍씨
10. 영화
- 가루지기
- 간신
- 강화도령
- 개벽
- 관상(영화)
- 광대들 풍문조작단
- 광해
- 군도: 민란의 시대 - 군도: 민란의 시대 외전(만화)
- 궁녀(1972)
- 궁녀(2007)
- 궁합(영화)
- 귀천도
- 그림자 살인
- 나는 왕이로소이다
- 나를 버리시나이까
- 남이 장군
- 논개(1956)
- 논개(1973)
- 단장록
- 대립군
- 대장 김창수
- 두 포졸
- 마지막 황후 윤비
- 망부석(1963)
- 명당(영화)
- 명량
- 물괴: 작서의 변
- 미인도(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한국 영화)
- 방자전(2010)
-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
- 사도
- 사도세자(1956)
- 사방지(1988)
- 살어리랏다
- 삼일천하
- 상의원
-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세종대왕(1978)
- 순수의 시대
-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8]
- 신기전(영화)
- 십년세도
- 어우동(영화)
- 어우동 주인없는 꽃
- 업(1988)
- 역린(영화)
- 역모 - 반란의 시대
- 연산군(1987)
- 연산일기
- 오복문
- 요화 장희빈
- 음란서생
- 인목대비(1962)
- 임꺽정(1961)
- 작서의 변 : 물괴의 습격 (제작중)
- 장희빈(1961)
- 전우치(영화)
- 전하 어디로 가시나이까
- 조선미녀삼총사
- 주유천하
- 창궐
- 천문
- 철종과 복녀
-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 최종병기 활
- 취화선
- 춘향뎐(2000)
- 태조 이성계
- 폭군 연산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 혈의 누(영화)
- 형사 Duelist
- 화성에서 꿈꾸다
- 황진이(1957)
- 황진이(1986)
- 황진이(2007)
- 황진이의 일생(1961)
- 황진이의 첫사랑(1969)
- 후궁: 제왕의 첩
- 1724 기방난동사건
11. 기타
- 배한성의 고전열전 난중일기
[1] HQ team에서 제작했다가 미완성이 된 채로 제작 중단이 되었다.[2] '효종의 북벌이 진짜 시행되었다면'이란 IF 상황을 주제로 하는 지금봐도 이색적인 주제를 삼은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병사가 절벽이나 성을 오르내릴 수 있었는 등 참신한 시스템도 있었지만 결론적으로 묻혔다.(...).[3] 원작은 일본 만화인 타임슬립 닥터 JIN이지만 국적이 다른 작품이라 원작은 배경이 일본, 드라마는 배경이 조선이다.[4] 정확히는 대한제국(구한말)을 다룬다.[5] 원작은 박종화의 세종대왕, 박종화의 양녕대군이지만 두 작품을 합쳐 베이스로 삼은 것이기에 소설인 원작 쪽에 분류하지 않는다.[6] 원작은 버닝헬, 신의 나라이지만 두 작품을 합쳐 베이스로 삼은 것이기에 만화인 원작 쪽에 분류하지 않는다.[7] 개정판의 이름으로 처음 출간할 때의 이름은 소설 인수대비.[8] 원작은 프랑스 소설인 위험한 관계이지만 국적이 다른 작품이라 원작과는 배경이 다르게 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