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온 수호대/등장인물
1. 개요
2. 라이온 수호대
2.1. 카이온(Kion)
2.2. 벙가(Bunga)
2.3. 훌리(Fuli)
2.4. 베스티(Beshte)/하센
2.5. 오노(Ono)
2.6. 마키니(Makini)
2.7. 앙가(Anga)
3.1. 심바(Simba)
3.2. 날라(Nala)
3.3. 키아라(Kiara)
3.4. 라피키(Rafiki)
3.5. 자주(Zazu)
3.6. 무파사(Mufasa)
3.7. 스카(Scar)
4. 스카의 군단
5. 그 외 등장인물
5.1. 티푸(Tiifu)
5.2. 주리(Zuri)
5.3. 티몬(Timon)과 품바(Pumbaa)
5.5. 자시리 무리
5.7.1. 서스톤(Thurston)
5.7.2. 크와토(Kwato)
5.7.3. 무히무(Muhimu)
5.7.4. 하무(Hamu)
5.7.5. 다하부(Dhahabu)
5.7.6. 스타레헤(Starehe), 라하(Raha)
5.8.1. 마템보(Ma Tembo)
5.8.2. 마토토(Mtoto)
5.8.3. 마토토의 엄마(Mtoto's Mom)
5.8.4. 지토(Zito)
5.8.5. 조하리(Johari)
5.8.6. 지고(Zigo)
5.8.7. 차마(Chama)
5.8.8. 아미니푸(Aminifu)
5.10.1. 아자드(Azaad)
5.11. 갈라고
5.11.1. 레이니(Laini)
5.13.1. 바시(Basi)
5.16.1. 부루가 부루가(Vuruga Vuruga)
5.17.1. 스왈라(Swala)
5.18. 붉은콜로부스
5.19. 맨드릴
5.20.1. 타마(Tamaa)
5.21.1. 아자부(Ajabu)
5.23. 지라 무리
5.26. 소등쪼기새
5.26.1. 뭰지(Mwenzi)
5.28.1. 임피시(Mpishi)
5.29.1. 마시키오(Masikio)
5.30.1. 콩웨(Kongwe)
5.31.1. 빙가(Binga)
5.32.1. 호다리(Hodari)
5.33.1. 키뇽가(Kinyonga)
5.34.1. 보라색 뱀(Strange Cobra)
6. 기타 동물들
7. 시즌 3의 동물들
7.2.1. 타후(Tafu)
7.3.1. 출롱(Chuluun)
7.5.1. 오라(Ora)
7.6. 분홍돌고래
7.6.1. 룸바룸바(Lumba-Lumba)
7.7. 빈투롱
7.7.1. 마마 빈투롱(Mama Binturong)
7.8.1. 스문(Smun)
7.10. 구름표범
7.10.1. 윤미부(Yun Mibu)
7.11.1. 울루(Ullu)
7.12.1. 탕가아김(Tangaagim)
7.13.1. 펭귀노(Pinguino)
7.15.1. 아스투토(Astuto)
7.17.1. 키릴(Kiril)
7.18.1. 헝헝(Heng Heng)
7.19.1. 켈리(Kely)
7.20. 그 외
8. 사자
1. 개요
디즈니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라이온 수호대의 등장인물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악역과 기타 등장인물들은 등장한 순서대로 서술해 주세요. 같은 종의 동물들은 하나로 묶어서 서술해 주세요.'''
2. 라이온 수호대
프라이드 랜드의 전통적인 방위 집단[3] 으로, 서클 오브 라이프(더빙판에선 자연의 섭리)를 수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설정상 왕의 첫째 자손이 왕위 후계자가 되며, 둘째 자손은 이 라이온 수호대의 대장을 맡게 된다. 작품이 진행되는 시점에서 현 리더는 주인공인 카이온이며, 이전에는 스카가 라이온 수호대의 리더로 활동했으나, 무파사의 왕위를 찬탈하기로 결심하고 다른 라이온 수호대 동료들에게 쿠데타 제안을 했다가 그들에게 거절당하자 분노하여 그들을 모조리 선조의 포효로 살해한다. 이 과정에서 스카는 포효의 힘과 함께 리더로서 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잃었으며 당대의 라이온 수호대는 모조리 스카에게 죽었으므로 그대로 와해되고 만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 본편이 시작하는 시점까지 그 자리는 공백이었고 무파사가 왕의 자리를 지키며 왕국을 방위하는 역할까지 겹으로 해낸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으로 '다섯의 수사자'로 구성되어야 하나,[4] 주인공인 카이온은 그 전통을 어기고 다양한 종으로 이루어진 자신의 친구들을 라이온 수호대로 임명한다.
2.1. 카이온(Kion)
2.2. 벙가(Bunga)
[5] - 벌꿀오소리
[image]
성우는 / 김율, 영문판은 조슈아 러쉬, 일본판은 시부야 아즈키
가장 용감한 자(The bravest). 티몬과 품바를 Uncle(삼촌)이라고 부르는 요상한 가족관계를 갖고 나오기 때문에 조카인가 할 수 있지만, 말만 조카고 사실 원작에서의 심바처럼 티몬과 품바에게 어린 시절부터 키워진 자식과도 같은 존재다.[6] 작중 발암물질이자 귀요미. 사고란 사고는 다 치고, 몇몇 편에서는 이게 아군인지 적군인지 구분이 안될정도로 사고를 쳐댄다. 조심성이 좀 없는 듯 하지만 동료 중에서는 제일 용감하다. 때론 자신의 용기와 능력을 너무 과시 하다가 자신이 위험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품바에게서 지독한 방귀 기술을 배웠다고 하며[7] 아크로바틱한 몸놀림으로 동료들과 호흡도 잘 맞춘다. 다만 눈치가 많이 없어서 친구들이나 다른 동물들을 화나게 하거나 마음의 상처를 줄 때가 꽤 있다. 종족이 벌꿀오소리라서 독사나 도마뱀같이 독을 가진 동물의 독에 거의 완벽하게 면역력을 가지고 있다. 말버릇은 Zuka zama![8]
2.3. 훌리(Fuli)
- 치타(킹치타)
[image]성우는 / 소연, 영문판은 다이아몬드 화이트, 일본판은 야노 아사미
가장 빠른 자(The fastest).[9] 빠를 만큼 가젤이나 영양을 사냥하는것을 좋아하며 털이 매우 부드러우나 자기 털을 만지는 것과 사냥에 방해받는걸 싫어한다. 수호대 내의 서열은 카이온과 거의 투톱[10] . 참고로 수호대에서 카이온과 단 둘인 고양이과 맹수이다. 고양이처럼 물을 싫어하는데 마치 이를 저격하듯이 물벼락을 맞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말버릇은 Huwezi [11]
앙가가 합류하기 이전에는 라이온 수호대의 홍일점 이었다. 참고로 작중 마키니의 언급에 따르면 훌리가 라이온 수호대의 최초의 여자 멤버라고 한다.
2.4. 베스티(Beshte)/하센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하센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당했다. - 하마
[image]
성우는 / 홍수정, 영문판 성우는 두산 브라운, 일본판 성우는 사하쿠 미유키
가장 힘이 센 자(The strongest).[12] 다른 맴버들은 전원 육식동물이지만 구성원 중 유일하게 초식동물이며, 태평스러운 성격을 가졌다. 아버지와 사이가 매우 좋다. 앙가나 쿨린다 등을 아는 걸 보면 주변 인맥이 은근 넓은 편이다. 말버릇은 Twende kiboko[13] . 멋진 것을 보았을 때나 감탄할 때는 "poa!" 라고 한다. 참고로 벙가와 영어 이름으로 앞글자가 같다보니 항상 벙가를 Little B라는 애칭으로 부른다.[14]
2.5. 오노(Ono)
[image]
성우는 / 안용욱, 영문판은 애티커스 샤퍼, 일본판은 히로시 코사카
시즌 1,2 - 가장 예리한 시야를 가진 자(The keenest of sight). → 시즌 3 - 가장 똑똑한 자(The smartest). 예고편에서는 벙가와 카이온을 동료들과 함께 그들의 코코넛 공놀이를 피하는 모습만 보였는데 본편에서 타고난 시력과 두뇌로 라이온 수호대를 지원한다. 구성원 중 가장 똑똑해서 다른 동물이나 환경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고 있다. 의외로 많이 고생하는데 부상으로 한쪽 눈을 못 쓰게 되기도 하고 한번은 카이온의 포효로 머리깃이 몽땅 빠진 적도 있었다.[16]
시즌 3에서는 용암에 빠질 뻔한 벙가를 구하다가[17] 화산재에 의해 시력을 잃어[18] 가장 예리한 시야를 가진 자의 자리를 앙가에게 넘기고 라이온 수호대에서 빠지는 듯 하였으나 카이온이 가장 똑똑한 자로 임명해서 다시 라이온 수호대가 된다. 따라서 라이온 수호대는 6인으로 개편된다. 시즌 3, 13화에서 잔나 여왕의 치료를 통해 시력을 되찾는다.[19]
라이온 수호대 초기 멤버들 중 유일하게 솔로곡이 없는 멤버이다.[22] 물론 합창으로 부른 노래를 포함하면 상당히 많긴 하지만.
2.6. 마키니(Makini)
- 맨드릴
[image]성우는 / 이재현, 영문판은 랜드리 밴더
시즌 2 스카의 부활편부터 등장하는 라피키의 제자이자 메인 캐릭터. 라이온 수호대의 정규 멤버는 아니지만 조력자로서 시즌 2에서부터 많은 모험을 함께 했으며, 시즌 3부터는 주연이 되어 생명의 나무를 찾아가는 여정에 동행한다. 사실상 라이온 수호대라는 한 그룹으로 묶여서 취급되므로 라이온 수호대의 명예 멤버라고 할 수 있다. 캐치프레이즈는 Shwari[24] .
라피키가 말하길, 위대한 사자 선왕들의 영혼이 마키니를 라피키의 후계자로 선택했다고 한다. 밝고 낙천적이지만 약간 생각없이 행동하는 기질이 있어 문제를 많이 일으킨다. 예를 들자면 코끼리들과 사자들의 동맹을 기념하는 공연에서 라이온 수호대 구성원들을 사자로 분장시키느라 코끼리들의 이마에 문양을 그리는 데 써야 하는 노란색 물감을 다 써버리는 등. 전통을 중시하는 코끼리들 입장에서는 용납하기 어려운 일이었고 겨우 꽃으로 물감을 만들어 공연을 진행하는데, 이 꽃이 벌들을 불러왔다. 벌이 유일한 약점인 코끼리들은 날뛰기 시작했고[25] 라이온 수호대가 이를 막느라 고생한다.
시즌 3 마지막 화에는 생명의 나무의 새로운 왕이 되는 카이온의 대관식을 치루어준다. 이후 부모님과 포옹을 한다.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조용한, 침착한'. 그러나 정작 마키니는 이름의 뜻과 정반대로 엄청 시끄럽고 활발한 성격이다.
2.7. 앙가(Anga)
- 잔점배무늬수리(Polemaetus bellicosus).
[image]시즌 3 - 가장 예리한 시야를 가진 자(The keenest of sight). 성우는 브리야나 살라즈.
시즌 2 마지막 에피소드인 Fire from the Sky에서 첫 등장하였다. 첫 등장 할 당시 라이온 수호대에게 시크하면서도 무뚝뚝하게 대하긴 하였지만 사실 상대방과 처음 만날 때 이러지 친해지면 마음을 열고 상냥하게 대하는 성격이다. 참고로 앙가 또한 오노와 마찬가지로 하디티의 열혈 팬이며 오노가 하디티를 찾아가겠다고 언급할 때 좀 전까지는 무뚝뚝하였던 태도와 상반되게 잠시 들뜬 모습을 보였으며 하디티를 만나자 매우 흥분하였고 하디티가 그녀에게 칭찬의 말을 할 때마다 매우 들떠한다. 라이온 수호대의 부탁을 받아 하디티와 함께 새들을 불러모아서 독수리들의 방화 시도를 막아내는데 성공한다.
시즌 3에서는 오노의 요청으로 하디티와 함께 불타는 프라이드 락에 갇혀있던 왕족들을 구해준다. 다음날 아웃랜드에서 스카의 잔당들과 전투를 치룰 때 하디티, 다른 새들과 함께 독수리 의회를 저지한다. 시력을 잃은 오노를 대신해 라이온 수호대의 새로운 눈 역할을 맡는다. 오노의 평가에 따르면 거의 오노만큼 시야가 좋고 오노보다 훨씬 잘 나는 비행사라고 한다.
잔점배무늬수리가 세계에서 가장 큰 독수리 중 하나인 만큼 아직 완전히 성체가 아닌데도 덩치가 하디티와 비슷하다. 말버릇은 Anga Lenga![26]
베스티에게 가려져서 그렇지 잘 보면 은근 얘도 만만치 않게 힘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시즌 3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하디티와 같이 왕족들을 들어올려 구출한 것과[27] 원숭이 가족 에피소드에서 비록 원래 계획은 아니었지만 원숭이 가족 전원 + 벙가를 한번에 들어올려 꺼내기도 하였고 카이온이 떨어질 뻔 할 때 혼자서 들어올리는 모습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하늘'.
3. 프라이드 랜드 왕실
프라이드 랜드를 다스리는 라이온 킹 심바의 사자 왕가.
3.1. 심바(Simba)
라이온 킹 1편의 주인공이자 카이온의 아버지인 수사자. 현재 프라이드 랜드의 왕.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사자'.
더 자세한 내용은 심바 문서 참고.
3.2. 날라(Nala)
카이온의 어머니이자 심바의 아내인 암사자. 프라이드 랜드의 현 왕비.
더 자세한 내용은 날라 문서 참고.
3.3. 키아라(Kiara)
심바 왕의 첫째 아이이자 차기 여왕인 암사자.
더 자세한 내용은 키아라 문서 참고.
3.4. 라피키(Rafiki)
왕실의 제사장이자 조언자인 나이 많은 원숭이. 라이온 수호대의 성소를 관리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친구'. 나머지는 문서 참조.
3.5. 자주(Zazu)
심바 왕의 비서/집사 역할을 하는 왕실 청지기로, 종은 붉은부리코뿔새. 머리가 좋고 예의 바르지만 고집이 세고 잔소리가 많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3.6. 무파사(Mufasa)
카이온의 할아버지이자 심바의 아버지로 영혼으로 등장. 문서 참조.
3.7. 스카(Scar)
불꽃의 영혼으로 부활하여, 시즌 2의 메인 빌런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건 스카(라이온 킹 시리즈) 문서의 해당 항목을 참조.
4. 스카의 군단
스카가 이끄는 아웃랜더들. 하이에나, 대머리수리, 자칼, 악어, 뱀, 도마뱀, 전갈 등이 소속되어 있다.
시즌 3에서 스카가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패배하고 소멸한 이후 자시리가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가 될 때 대다수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갱생을 하게 된다.
4.1. 잔자 무리
[image]
아웃랜드에 사는 수컷 하이에나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잔자가 이들을 지휘하는 대장이다. 이들은 시즌 3에서 갱생하게 되면서 자시리 무리에 들어가게 된다.
위의 사진은 The Lion Guard: Return of the Roar에서 첫 등장 할 당시의 모습.
여담으로 시리즈 초기 당시 제작진이 잔자 무리는 대략 10대 중후반 정도의 청소년기 나이 대라고 하였다.[28]
4.1.1. 잔자(Janja)
[image]
성우는 Andrew Kishino(미)/위훈(한)[29]
교활함과 성깔이 있는 수컷 하이에나로 잔자 클랜의 대장. 프라이드 랜드 동물들을 잡아먹으려고 수시로 계획을 세우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방해로 매번 실패한다. 자기 부하들을 털뭉치(Furbrains)라고 부른다. 참고로 눈썹 모양이 묘하게 반자이#s-2와 비슷하다.
당연히 라이온 수호대와 대립하는 만큼 같은 종족이긴 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와 우호적인 관계인 자시리와도 자주 대립하는 사이인데[30] Rescue In The Outlands 에피소드에서 부른 노래 'The Worst Hyena We Know'에서 그녀를 자기가 아는 하이에나들 중에서 최악의 하이에나라고 한다(...). 근데 영상을 보면 말이 저렇지 사실 자시리에게 은근히 마음이 있는 거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31] 물론 이 때는 자시리에게 깨진 뒤의 시점에서 부른데다가 자시리에게 깨진 게 한 두 번은 아닌지라 진짜 열받아서 한 소리 일 수 있고 추측은 단순히 추측일 뿐이니 너무 맹신하지는 말자.[32][33]
The Scorpion's Sting 에피소드에 따르면 전갈을 무서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무를 보자마자 호들갑을 떨면서 레이레이와 키부리에게 들러붙는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와 마키니가 심바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화산재를 구하러 가는 것을 스카의 군단의 다른 일당들과 함께 수호대를 방해하면서 결국 궁지에 몰리게 만들지만 카이온의 포효에 역관광 당한다.
The Hyena Resistance에서 스카의 명령으로 레이레이, 키부리의 무리와 같이 프라이드 랜드를 치려고 하지만 자시리의 무리의 방해로 여러 번 물먹는다. 참고로 스카와의 대화에 따르면 이전에 스카의 명령으로 자시리와 웨마, 투누를 제거하려던 일에서 라이온 수호대가 자시리 일행을 구해준 것은 보고를 안 한 모양. 자시리 무리에게 정보에 대한 혼선을 주어 자신의 무리를 포함한 스카의 잔당들과 같이 자시리의 무리를 포위해 공격하다가 당장 그곳으로 달려온 라이온 수호대와도 싸우게 된다. 자시리를 노리려다가 훌리를 노리던 악어와 부딪쳐 용암 구덩이에 빠져버려 죽을 위기에 처한 찰나, 자시리가 구해주자 이에 혼란스러워하며 왜 도와주었냐고 묻자 자시리는 '시시 니 사와'[34] 를 언급하면서 우리는 같은 하이에나 라며 대답한다. 스카에게 나와서 같은 편이 되자는 자시리의 제안을 뿌리친다.[35]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그동안의 라이온 수호대와의 전투에 슬슬 지쳐가는지 치지, 청구와 같이 불평을 하다가 노래 'A New Way To Go'를 부른다. 그리고 그동안 자기들이 어쩌면 잘못된 편에 선 것일지도 모른다고 얘기한다.[36] 프라이드 랜드를 치려는 스카의 지시에 따라 부하들과 같이 라이온 수호대들을 성소로 유인하였지만[37] 성소에 불이 나자 탈출하려고 하였지만 잔자가 나간 직후 입구가 막혀버려 부하들은 나오지 못하였고 결국 어쩔 수 없이 혼자 탈출하게 된다. 이에 스카가 자신들을 속여 토사구팽 하려는 것을 눈치채고[38] 자시리를 찾아가 상황을 설명해 도움을 요청한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아군이 되어 스카를 무찌르는데 도움을 준다. 라이온 수호대와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과 함께 스카의 잔당들과 전투를 치룰 때 무심코 코뿔소들을 팀킬하려는 치지와 청구에게 몸빵을 날리면서 이젠 아군이라며 정신차리라고 태클을 건 뒤 코뿔소들에게 사과를 한다. 스카와의 전투 이후 스스로 자시리를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로 추천하는 모습과[39] 스카와의 전투로 인해 부상을 입은 카이온과 오노를 걱정해주는 모습을 보면 아군화 되면서 성격도 이전보다도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The Lake of Reflection에 나온 과거 회상에 의하면 어린 시절부터 라이온 수호대와 악연인 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알을 훔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려 치치, 청구와 같이 꽁지 빠지게 달아난다. 그리고 라이온 수호대와 비슷한 나이대 라는 것이 직접적으로 드러났다.
Journey to The Pride Lands에 자시리와 같이 아자드의 안내로 생명의 나무에 온 것으로 오랫만에 재등장.[40] 라이온 수호대가 생명의 나무로 떠난 사이 지라 무리가 돌아온데다가 비타니와 코부는 성장하여 하이에나 무리들도 그들에게는 상대가 되지 않아 라이온 수호대를 찾아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라이온 수호대와 아자드, 자시리와 같이 프라이드 랜드로 귀환하러 간다. 귀환 중 일행이 강을 이용해서 길을 가야되는 부분에서 천둥도 무서워하는데다가[41] 멀미도 한다는 것이 밝혀진다(…).
시즌 3 마지막 화 Return to the Pride Lands에서는 본인을 마중 나온 치지와 청구의 격한 반가움에 그렇게 오래 떠나있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마침 같이 마중을 온 마징고의 의회와도 같이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프라이드 랜드로 향하다 비타니 일행과 마주쳐 충돌을 하다가 키아라와 코부의 난입과 설명으로 오해를 풀고 돌아간다. 이후 엔딩에서 카이온이 생명의 나무의 새로운 왕이 되는 대관식에 자시리, 치지, 청구와 같이 참석한다. 그리고 옆에 있는 자시리에게 꼬리까지 흔들면서 연애적 감정이 담긴 듯 한 시선을 날린다! 이에 자시리는 잔자를 짓궂다는 듯이 쳐다본다. 정황상 자시리랑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작중 부하들을 '털뭉치'라고 자주 부르고 은근 무시하는 태도를 자주 보여주긴 하지만[42] 항상 데리고 다니는 치지와 청구가 바보짓을 자주해서 잔자의 발목을 잡은 전적이 한두번은 아닌데도 진작 내쫓지도 않는데다가[43] 네네와 타노도 둘이서 짜고 잔자에게 하극상을 한 적이 있는데도 이후 자주 데리고 다니는 것도 있고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부하들이 불타는 성소에서 나오지 못하자 당황하면서 결국 자시리에게까지 도움을 요청하러 간 것을 보면 의외로 부하들에 대한 동료애(?)는 내심 있는 듯?
정말 여담으로 작중에선 딱히 언급은 없지만 공식 디즈니 위키 항목 내 외모 수식어에서 'handsome'이 있는 걸 보면 아마 설정상 하이에나들 기준으로는 잘생긴 편인듯? 'We're the smartest'에서 레이레이와 서로 자기네 무리가 더 똑똑하다고 자랑할 때 'It's more than just good looks We got brains for brains(잘생겼을 뿐만 아니라 두뇌 또한 끝내주지)'라는 가사를 부르는 걸 보면 본인도 본인 외모에 은근히 자부심은 있는 듯.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교활한'.
4.1.2. 치지(Cheezi)
[image]
성우는 Vargus Mason(미)/사성웅(한)
잔자의 부하 중 하나. 커다란 빨간 코와 말할 때를 빼면 항상 혀를 내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44]
Janja's new crew(잔자의 새 부하들)에서는 진흙을 이용하여 누를 잡아먹으려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들켜 실패하자 빡친 잔자에 의해 청구와 같이 쫓겨났다.[45] 청구와 같이 쫓겨난 뒤 영양을 사냥하려하다가 서로 부딪쳐 실패한다. 근처에 있던 고기 찌꺼기를 주워 먹다가 진흙 더미에 휩쓸려가던 도중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구출되는데[46] 둘이 진흙을 털어낸 뒤 둘을 알아본 라이온 수호대가 잔자가 프라이드 랜드에 있는 걸로 판단을 하자 잔자가 진짜 프라이드 랜드에 있다고 생각해 청구와 같이 들뜨다가 없다고 한 오노의 보고에 금세 실망하고[47] 잔자가 자기들을 내쫓고 네네와 타노를 새 부하로 뽑았다고 실토한다.[48] 이 둘이 근처의 고기 찌꺼기를 먹는 모습에 카이온은 일단 말썽만 안 부린다면 프라이드 랜드에 있어도 된다고 하였다.[49] 찌꺼기를 실컷 먹고 청구와 같이 낮잠을 자는 중 우연히 잔자와 부딧쳐 다시 만나기는 했는데 아까 들은 오노의 보고 때문에 꿈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잔다(…).[50] 이후 네네와 타노의 배신으로 절벽에 떨어져 있던 잔자를 보고 반가워하면서 같이 절벽에 처박힌다(…)[51] . 이후 청구와 같이 다시 잔자에 의해 복귀하고 아웃랜드로 돌아간다. 참고로 잔자가 이 둘을 내쫓은 이유가 자신이 세운 괜찮은 계획들을 자주 망쳐놓는다는 것인데 솔직히 얘네들이 하는 짓을 보면 잔자가 진작 내쫓지 않고 항상 데리고 다니는 것이 참 신기하다(...). 그래도 다시 복귀시킨 걸 보면 항상 바보짓을 하긴 해도 미운 정은 있는 듯.[52]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스키의 지시로 무리들과 함께 라이온 수호대를 성소로 유인하였지만 사실 이는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잔자 무리들도 없애려는 스카의 계획이었다. 성소에 불이 나자 탈출하려고 했지만 잔자가 나가자마자 입구가 막혀버려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도움으로 성소에 있는 물웅덩이를 통해 밖으로 나가면서 살게 된다. 탈출 후 자시리를 불러온 잔자를 보고 반가워하며 부둥켜 안는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아군이 된 이후 스카 잔당과의 전투 도중에 스카 잔당 당시에서의 경험에 익숙해져 버렸는지(...) 청구와 같이 무심코 코뿔소 무리를 팀킬(?)하려다가 이에 잔자가 우린 이젠 선역이라며 정신차리라고 몸빵 맞으면서 태클받는다. 스카가 소멸된 이후 잔자가 자시리를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로 추천할 때 긴 말로 태클거는 마징고를 청구와 같이 노려봐서 마징고를 쫄게 만든다.
시즌 3 마지막화에 청구, 마도아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를 데려온 잔자와 자시리를 마중하는 모습으로 등장. 청구와 같이 잔자를 격하게 반갑게 맞이한다. 마침 같이 마중을 온 마징고의 의회와도 같이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프라이드 랜드로 향하다 비타니 일행과 마주쳐 충돌을 하다가 키아라와 코부의 난입과 설명으로 오해를 풀고 돌아간다. 엔딩에서 카이온이 생명의 나무의 새로운 왕이 되는 대관식에 잔자, 자시리, 청구와 같이 참석한 모습으로 등장.
이름의 뜻은 '미친'.
4.1.3. 청구(Chungu)
[image]
성우는 Kevin Schon(미)/서문석(한)
잔자의 부하. 체격이 크고 어리버리한 하이에나. 치지와 마찬가지로 덜떨어지고 멍청하고 무식하다. 치지보다 지능은 나쁜 듯 보인다.[53]
Janja's new crew(잔자의 새 부하들)에서는 진흙을 이용하여 누를 잡아먹으려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들켜 실패하자 빡친 잔자에 의해 치지와 같이 쫓겨났다.[54] 치지와 같이 쫓겨난 뒤 자기들의 신세를 한탄하면서 'Chungu's Lament'[55] 를 부르다가 영양을 보자마자 방금 전까지 신세 한탄하던 모습을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정줄 놓고 들떠서 사냥을 하려다가 치지랑 부딧쳐서 실패한다(…). 근처에 있던 고기 찌꺼기를 주워 먹다가 진흙 더미에 휩쓸려가던 도중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구출되는데[56] 둘이 진흙을 털어낸 뒤 둘을 알아본 라이온 수호대가 잔자가 프라이드 랜드에 있는 걸로 판단을 하자 잔자가 진짜 프라이드 랜드에 있다고 생각해 치지와 같이 들뜨다가 없다고 한 오노의 보고에 금세 실망하고[57] 잔자가 자기들을 내쫓고 네네와 타노를 새 부하로 뽑았다고 실토한다. [58] 이 둘이 근처의 고기 찌꺼기를 먹는 모습에 카이온은 말썽만 안 부린다면 일단 프라이드 랜드에 있어도 된다고 하였다.[59] 찌꺼기를 실컷 먹고 치지와 같이 낮잠을 자는 중 우연히 잔자와 부딧쳐 다시 만나기는 했는데 아까 들은 오노의 보고 때문에 꿈이라고 생각하고 다시 잔다(…). 이후 네네와 타노의 배신으로 절벽에 떨어져 있던 잔자를 보고 반가워하면서 같이 절벽에 처박힌다(…)[60] . 이후 치지와 같이 다시 잔자에 의해 복귀하고 아웃랜드로 돌아간다.
The Lion Guard : The Rise of Scar(돌아온 스카)에서는 카이온의 함성을 이용해 스카를 부활시키려는 우샤리의 계획에 동참해 키아라와 마키니를 급습하여 키아라를 납치하는 역할을 맡는다. 카이온이 키아라를 구출하기 위해 잔자 무리의 아지트로 쳐들어오자 잔자가 카이온을 상대하는 동안 우리의 귀빈(키아라)을 즐겁게 해주라고 명령을 하자 친구들과 같이 키아라에게 노래를 불러주는데[61] 정말이지 못 들어줄 수준이다(...).[62] 물론 카이온이 본인 혼자만 아지트로 온 것을 아니라서 뒤로 통해서 들어온 나머지 라이온 수호대 멤버들에게 깨진데다가 키아라 감시까지 실패하고 만다. 그러나 키아라를 납치한 것도 이를 이용해서 카이온이 함성을 사용하기 위해 유도하려는 미끼였고 결국 스카를 부활시키는 것은 성공한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스키의 지시로 무리들과 함께 라이온 수호대를 성소로 유인하였지만 사실 이는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잔자 무리들도 없애려는 스카의 계획이었다. 성소에 불이 나자 탈출하려고 했지만 잔자가 나가자마자 입구가 막혀버려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도움으로 성소에 있는 물웅덩이를 통해 밖으로 나가면서 살게 된다. 탈출 후 자시리를 불러온 잔자를 보고 반가워하며 부둥켜 안는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아군이 된 이후 스카 잔당과의 전투 도중에 스카 잔당 당시에서의 경험에 익숙해져 버렸는지(...) 치지와 같이 무심코 코뿔소 무리를 팀킬(?)하려다가 이에 잔자가 우린 이젠 선역이라며 정신차리라고 몸빵 맞으면서 태클받는다. 스카가 소멸된 이후 잔자가 자시리를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로 추천할 때 긴 말로 태클거는 마징고를 치지와 같이 노려봐서 마징고를 쫄게 만든다.
시즌 3 마지막화에 치지, 마도아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를 데려온 잔자와 자시리를 마중하는 모습으로 등장. 치지와 같이 잔자를 격하게 반갑게 맞이한다. 마침 같이 마중을 온 마징고의 의회와도 같이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프라이드 랜드로 향하다 비타니 일행과 마주쳐 충돌을 하다가 키아라와 코부의 난입과 설명으로 오해를 풀고 돌아간다. 엔딩에서 카이온이 생명의 나무의 새로운 왕이 대관식에 잔자, 자시리, 치지와 같이 참석한 모습으로 등장.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골치 아픈', '성가신' 또는 '검은 개미'.
4.1.4. 네네(Nne)
[image]
성우는 Beau Black(미)/안용욱(한)
잔자의 부하. 치지와 청구 보다는 아니지만 잔자 무리 중에서 등장 빈도가 높다. Janja's new crew에서 잔자가 치지와 청구를 내쫓고 네네와 타노를 승진시켜 주겠다는 말로 보아 무리 내에서는 치지와 청구 보다는 서열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Janja's new crew(잔자의 새 부하들)에서는 누를 잡아먹으려다 실패하자 화가 난 잔자가 치지와 청구를 쫓아내고 네네와 타노를 대신 데리고 다니게 된다. 대장인 잔자보다 훨씬 똑똑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마지막에 잔자를 배신하고 타노와 둘이서 사냥감을 독식하려다 카이온의 왕의 함성을 맞고 날아가버린다.[63] 이후로도 잔자 무리에 끼어 등장하는 걸 보면 잔자에게서 용서받은 듯하다.
The Lion Guard : The Rise of Scar(돌아온 스카) 초반에는 무리들과 같이 코끼리를 사냥하려는 모습으로 나왔고 잔자와 같이 마토토를 잡아먹으려다가 카이온이 나타나자 잔자가 카이온에게 빠져나가려는 미끼로 네네를 쓰는 개그씬이 잠시 나온다. 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린 이후 카이온의 함성을 이용해 스카를 부활시키려는 우샤리의 계획에 동참해 키아라와 마키니를 급습하여 마키니의 지팡이를 가져오는 역할을 맡는다. 카이온이 키아라를 구출하기 위해 잔자 무리의 아지트로 쳐들어오자 잔자가 카이온을 상대하는 동안 우리의 귀빈(키아라)을 즐겁게 해주라고 명령을 하자 친구들과 같이 키아라에게 노래를 불러준다. 근데 노래는 정말 못 들어줄 수준인데다가 키아라는 귀까지 막으면서 고문이라고 한다(...).[64][65] 물론 카이온이 본인 혼자만 아지트로 온 것을 아니라서 뒤로 통해서 들어온 나머지 라이온 수호대 멤버들에게 깨진데다가 키아라 감시까지 실패하고 만다. 그러나 키아라를 납치한 것도 이를 이용해서 카이온이 함성을 사용하기 위해 유도하려는 미끼였고 결국 스카를 부활시키는 것은 성공한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스키의 지시로 무리들과 함께 라이온 수호대를 성소로 유인하였지만 사실 이는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잔자 무리들도 없애려는 스카의 계획이었다. 성소에 불이 나자 탈출하려고 했지만 잔자가 나가자마자 입구가 막혀버려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도움으로 성소에 있는 물웅덩이를 통해 밖으로 나가면서 살게 된다.
초기 설정에는 잔자 트리오에 치지의 자리에 있었던 캐릭터 였다.
캐릭터 디자인상 원작의 하이에나 트리오와 가장 비슷한 체형이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숫자 4.
4.1.5. 타노(Tano)
[image]
성우는 디 브래들리 베이커(미)/오인성(한)
잔자의 부하. 치지와 청구 보다는 아니지만 잔자 무리 중에서 등장 빈도가 높다.
네네와 함께 잔자 무리 하이에나들 중 상당히 똑똑한 편이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스키의 지시로 무리들과 함께 라이온 수호대를 성소로 유인하였지만 사실 이는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잔자 무리들도 없애려는 스카의 계획이었다. 성소에 불이 나자 탈출하려고 했지만 잔자가 나가자마자 입구가 막혀버려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도움으로 성소에 있는 물웅덩이를 통해 밖으로 나가면서 살게 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숫자 5.
4.2. 대머리수리 의회
잔자와 동맹. 주로 날아다니며 프라이드랜드와 아웃랜드의 상항을 살핀다. 자칼과 하이에나들이 서로 자기가 똑똑하다고 떠들지만 실제로는 독수리들이 가장 똑똑하다.[66] 종은 아프리카흰등독수리(Gyps africanus)로, 멸종위기종이다(...). 독수리 의회와 별개로 프라이드 랜드에도 같은 종의 독수리가 살고 있다.[67] 사냥을 하지 않는 새지만 잔자의 과도한 사냥을 도와주었기 때문에 쫓겨난 듯 하다.
스카가 소멸된 이후엔 이들도 악당 짓을 그만두고 자시리를 따르게 된다.
4.2.1. 마징고(Mzingo)
[image]
성우는 Johnny Rees(미)/안용욱(한)
대머리수리들의 우두머리로 아웃랜드와 프라이드 랜드를 날아다니며 아웃랜드의 잔자와 하이에나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는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 여러 독수리들을 거느리는 군대식 무리를 가졌다. 성향이 민주적인지 의사결정을 할 때 자기 마음대로 명령하는 일이 하나도 없고 부하들의 동의 여부를 꼭 물어본다. 그렇다고 착한 인물은 아니고 잔자의 과도한 사냥을 도와주는 등 자연의 섭리를 어기는 것은 마찬가지.
스카의 부하가 된후로 비중이 줄었으며 대머리수리가 원래 싸우는 새가 아닌지라 싸울때는 드물게 나오고 오히려 스파이로 보내는 듯 하다. 그러나 불 붙은 나뭇가지로 폭격하는 방식으로 상당히 큰 피해를 주었다. 어쩌면 아웃랜드 일당 중 가장 업무 실적이 좋다고도 할 수 있다.
Fire from the Sky에서는 부하들과 같이 불 붙은 나뭇가지들을 떨어트려 방화를 시도하지만 이들을 추적하는 앙가를 발견하고 부하들과 같이 잠시 후퇴한다[68] . 이후 다시 프라이드 랜드로 날아와서 방화를 시도하지만 라이온 수호대가 오노와 앙가, 하디티를 통해 새들을 불러모아 독수리들을 유인해서 한 곳으로 모아놓은 다음 카이온이 왕의 함성으로 날려보낸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이전 에피소드에서처럼 불 붙은 나뭇가지들을 떨어트려 프라이드 락에 불을 낸다.[69] 라이온 수호대들과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과의 결전에는 앙가, 하티디와 다른 새들의 공격에 리타이어 된다. 스카가 소멸한 이후, 잔자가 자시리를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로 추천할 때 우리들은 투표 방식을 따른다고 긴 말을 하다가 치지와 청구의 위협(?)에 쫄아 즉시 해당 추천에 찬성한다.
이후 Return to the Pride lands에서 생명의 나무로 떠난 라이온 수호대를 데리고 온 잔자와 자시리를 마중하는 모습으로 부하들과 같이 오랫만에 재등장. 자시리에게 격식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라이온 수호대와 아자드, 아웃랜더들이 오해로 인해 비타니와 지라 일파의 암사자들과 충돌을 할 때 라이온 수호대와 협동을 한다. 도중에 난입한 키아라와 코부에 의해 잠시 오해가 풀리며 카이온과 자시리가 작별인사를 한 뒤 하이에나들과 부하들과 같이 돌아간다.
여담이지만 라이온 수호대 멤버 중 홀리와 유독 악연이 많다. 우타무 에피소드에서 홀리를 잡아먹으려했고 아기 비비원숭이 에피소드에서도 싸웠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원'.
4.2.2. 므오가(Mwoga)
[image]
성우는 캠 클라크[70] (미)/사성웅(한)
마징고의 부하 독수리들 중 하나. 마징고와는 다르게 겁이 많고 어벙하다[71]
Ono and the egg 에피소드에서는 프라이드 랜드를 돌아다니던 중 우연히 만난 암컷 매 임피시와 사냥감에 대해 협상을 하고 쿨린다의 새끼를 잡아먹으려다가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실패한다.
4.3. 자칼 가족
하이에나 못지않게 교활하다.
시즌 2에서 스카의 영혼을 따르게되며 주로 속임수와 도둑질을 한다. 착한 척 하면서 훔친 물건이 작은 동물들의 과일, 벌쳐가 먹으려고 둔 뼈, 플라밍고가 먹으려던 물고기, 심지어 타조알까지 다양하다(...). 다만 싸움실력은 하이에나보다 훨씬 떨어진다. 실제로도 하이에나가 자칼보다 덩치도 크고 훨씬 강하다. 그러나 버프를 받긴 받았는지 코끼리 무리를 궁지로 몰아넣은 적도 있다.[72]
The Kupatana Celebration 에피소드에서는 어린 새끼들만 나왔지만 이후 Babysitter Bunga 에피소드 부터 조금 성장한 모습의 자칼들도 나오는 것을 보면[73] 얘들도 레이레이와 고이고이의 자녀들로 보인다. 해당 에피소드들이 작중 시간상으로는 그렇게 까진 많이 차이 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The Kupatana Celebration 에피소드 당시에는 레이레이가 매우 어린 자녀들만 데리고 왔던 것으로 보인다.
스카가 소멸한 이후엔 다시 아웃랜드의 평범한 거주민 생활로 돌아간다.
정말 여담으로 현실 동물들과는 달리 자녀 수가 그나마 많아도 셋 정도인 해당 세계관에서 정말 보기 힘든 자녀 수가 가장 많은 가족이다(...).
4.3.1. 레이레이(Reirei)
[image]
성우는 Ana Gesteyer(미)/소연(한)
자칼 가족의 엄마이며 가장이다. 남편으로 고이고이가 있으며 자녀로는 아들 도고와 딸 키자나 이외에 많은 아이들이 있다. 탐욕스럽고 속임수를 잘쓰며 라이온 수호대에게 아들 도고의 귀여운 외모로 속여서 프라이드 랜드의 어리거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으려는 계략을 세우고 바오밥나무에서 열리는 쿠파타나 축제에서 소동을 일으키다 카이온과 심바에게 다시 가족들과 함께 아웃랜드로 쫓겨난다. 또 카이온이 실수로 하이에나로 오해받아 아웃랜드로 쫓겨온 땅늑대들을 유혹해서 잡아먹으려다 카이온 일행에게 또 한번 리타이어 당한다. 그후 잔자 일당의 제의로 스카의 영혼에 복종하게 된다.
이름은 스와힐리어로 '아첨하다'를 뜻하는 단어 rairai(=rai)에서 유래.
4.3.2. 고이고이(Goigoi)
[image]
성우는 필 라마(미)/사성웅(한)
자칼 가족의 아빠이자 레이레이의 남편. 게으르고 잠이 많으며[74] 치치, 청구처럼 무식하고 덜떨어진 성격이다. 레이레이의 부하 1 정도의 포지션이다. 은근 공처가 기질이 있다.
Babysitter Bunga 에피소드에서는 레이레이가 아이들과 같이 하쿠나 마타타 폭포로 몰래 잡입해서 어린 아기 동물들을 사냥하러 가는 사이에 라이온 수호대의 시선을 끄는 역할을 맡지만 실수로 구덩이에 거꾸로 처박히는 신세가 되고 꺼내주는 조건으로 나머지 가족들이 어디 있냐는 라이온 수호대의 심문에 결국 실토 해버린다. 그리고 하쿠나 마타타 폭포로 향하는 라이온 수호대에게 레이레이에겐 자기가 불었다고 말하진 말라고 한다.
The Zebra Mastermind 에피소드에서는 레이레이가 스카의 회의에 참석하러 가기 전에 고이고이를 깨우며 저녁거리를 잡아오라고 바가지 긁고 가자 난감해하던 중 우연히 서스톤을 발견하고 유인해서 잡아먹으려다가 서스톤이 라이온 수호대의 약점이랍시고 줄무늬를 보면 본인이 누구인지 헷갈려한다는 정보를 듣고[75] 서스톤을 잡아먹는 대신 붉은 열매를 이용해 줄무늬를 만들고[76] 라이온 수호대를 기습하지만 당연히 통하지는 않는데다가 역관광당하고 돌아간다. 이후 자기처럼 서스톤이 알려준 방법을 사용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역으로 관광당하고 돌아오던 길이었던 치지, 청구, 탐카, 둘리를 만나게 되고 다섯이서 같이 합심해 서스톤을 잡아먹으려다가 서스톤을 구하기 위해 온 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린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스카의 명령으로 프라이드 락을 불태울 장작을 몰래 옮기던 중 슈파부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의 성소로 몰래 이동 중이었던 잔자 무리와 잠시 마주친다. 그리고 바로 코 앞에 있는 프라이드 락이 어디냐고 물어본다. 이에 한심해하면서 알려주는 슈파부의 반응과 표정이 압권이란 평이 있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느림보', '활동하지 않는'이란다.
4.3.3. 도고(Dogo)
성우는 Jacob Guenther.
레이레이와 고이고이의 아들. 다른 어린 형제들과 외모는 똑같이 생겼지만 구분 방법으로는 다른 형제들의 눈은 갈색이고 도고는 파랗다.
The Kupatana Celebration에서 첫 등장. 잔자 무리에게 습격당하는 척 연기로 라이온 수호대를 속여 프라이드 랜드에 들어오고 자신의 귀여움을 이용해 라이온 수호대의 환심을 사게 한다.[77] 그러다 바오밥나무 축제에서 악행이 들통나자 다시 가족들과 함께 아웃랜드로 쫓겨난다.
Babysitter Bunga 에피소드에서 키자나와 같이 레이레이에게 사냥 훈련을 받으면서 얼룩말들을 사냥하려는 모습으로 재등장. 키자나와 협동으로 하무를 무리에서 이탈시킨 뒤 술래잡기 하는 거라면서 속인 다음 사냥하려다가 오노와 벙가에 의해 실패한다. 이후 엄마와 형들, 키자나와 같이 어린 아기 동물들을 사냥하려다가 벙가와 아기 동물들에 의해 역관광 당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작은'.
4.3.4. 키자나(Kijana)
성우는 앰버 후드.
레이레이와 고이고이의 딸. 도고와 덩치도 비슷하고 같이 사냥 훈련을 받는 것을 보면 나이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Babysitter Bunga 에피소드에서 도고와 같이 레이레이에게 사냥 훈련을 받으면서 얼룩말들을 사냥하려는 모습으로 첫 등장. 도고와 협동으로 하무를 무리에서 이탈시킨 뒤 도고가 하무를 속이는 사이에 사냥하려다가 오노와 벙가에 의해 실패한다. 이후 엄마와 오빠들과 같이 어린 아기 동물들을 사냥하려다가 벙가와 아기 동물들에 의해 역관광 당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어린'.
4.4. 도마뱀
우샤리의 스파이로 중요한 정보를 알린다.
시즌 3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최후의 결전 때 스카가 카이온을 타락시키려는 계획을 위해 시간을 벌려는 목적으로 마침 화산을 찾아온 라이온 수호대를 상대 하라고 명령을 내렸는데 당연히 대상이 대상인 만큼 금방 리타이어된다. 스카의 소멸 이후 갱생한 것이 확실한 잔자 무리와 마징고의 의회, 나름 갱생의 여지가 암시된 자칼 가족이나 키부리 무리와는 달리 이후의 행방은 불명이다.
4.4.1. 슈파부(Shupavu)
성우는 Meghan Strange.
도마뱀 무리의 리더인 붉은색의 암컷 도마뱀. 꽤나 침착하고 교활하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냉정한'.
4.4.2. 나이유시(Nyeusi)
성우는 디 브래들리 베이커.
도마뱀 무리의 일원 중 하나인 검은색의 수컷 도마뱀. 도마뱀 중 가장 은밀하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검은색'.
4.4.3. 느자노(Njano)
성우는 Ford Riley.[78]
도마뱀 무리의 일원 중 하나. 항상 혀를 내밀고 있는 노란색의 수컷 도마뱀으로 항상 프라이드 랜드를 살핀다. 슈파부와 같이 등장하는 일이 많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노란색'.
4.4.4. 와자(Waza)
4.4.5. 나야타(Nyata)
4.5. 우샤리(Ushari)
성우는 크리스찬 슬레이터(미)/안용욱(한)
차가운 성격의 화를 잘 내고 머리가 좋은 코브라. 프라이드 랜드에선 벙가에게 여러 번 봉변을 당한다. 프라이드 랜드에선 거의 동네북신세. 시즌 1에선 지나가는 엑스트라 정도였지만[79] 매번 라이온 수호대와 여러 동물들에게 계속 짓밟히면서 불만을 품게 되어 잔자 무리를 설득해 스카를 부활시킨다.
마지막에선 카이온이 왕의 함성으로 비를 내려 스카를 소멸시키자 카이온을 막으려다 용암에 빠져 죽는다.[80] 스카의 계략으로 카이온에게 큰 흉터를 남기고 독에 중독시키는데, 이 행동이 시즌 3의 전체적인 스토리의 시발점이 된다.
이름은 스와힐리어로 '뛰어남', '특출남'을 뜻하는 단어 usharifu에서 유래.
여담으로 실제 동물인 뱀은 고막이 없어서 소리를 들을 수가 없다. 우샤리가 다른 동물들과 대화하는 것은 만화적 허용이라는 것. 이는 대화하는 뱀 캐릭터가 등장하는 다른 모든 작품들도 마찬가지다.
4.6. 키부리 무리
원래는 마쿠의 무리에 속하였으나 키부리가 마쿠와의 결투를 틈타 심바를 암살하려던 것에 대한 죄로 추방당한 이후 스카의 군단에 들어가게 된다.
4.6.1. 키부리(Kiburi)
[image]
성우는 Common(미)/홍진욱 → 서문석 (한)
시즌 2에서 등장한 새로운 악역 악어. 성미 급하고 탐욕 많은 성격이며 마쿠와 사사건건 충돌하다 끝내 결투를 신청한다. 그러던 중 우샤리의 꾀임에 넘어가 결투를 틈타 심바를 죽이고 자신이 왕이 되려는 계획까지 세웠으나 라이온 수호대의 활약으로 실패하고 결국 부하들과 같이 프라이드 랜드에서 추방된다. 이후 아웃랜드의 화산에서 스카를 만나고 그에게 복종하게 된다.
호다리를 포섭하기 전에 호다리가 노래를 부르려고 하자 하지말라고 막은 것도 있고 코끼리들이 살던 킬리오 계곡의 점령한 뒤 잔자, 마징고, 레이레이가 자신이 이 곳을 점령하겠다면서 I'm gonna run this dump을 부를 때 자긴 노래 안 부른다고 한 것을 보면 노래 부르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듯.[81]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교만'.
4.6.2. 탐카(Tamka)
성우는 놀런 노스.
키부리의 부하. 약간 덩치가 있고 몸색이 조금 짙은 편. 치지, 청구, 고이고이처럼 덜떨어진 성격. 하는 짓도 그렇고 체형의 유사점을 보면 잔자 무리의 청구와 비슷한 포지션.
The Zebra Mastermind 에피소드에서 아지트에서 둘리와 같이 키부리가 말한 우리들이 스카의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는 이유가 뭔지 떠들다가[82] 우연히 근처에 있던 서스톤을 발견하고 몰래 다가가 잡아먹으려다가 둘리의 실수로 서스톤을 깨워버리지만 서스톤이 라이온 수호대의 약점이랍시고[83] 배를 문지르면 잠에 빠져버린다는 말을 해주자[84] 서스톤을 잡아먹는 대신 라이온 수호대를 기습해 그 방법을 사용하지만 당연히 라이온 수호대에겐 먹히지 않았고 카이온의 포효에 날아간다. 이후 자기들처럼 서스톤이 알려준 방법을 사용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역으로 관광당하고 돌아오던 길이었던 치지, 청구, 고이고이를 만나게 되고 다섯이서 같이 합심해 서스톤을 잡아먹으려다가 서스톤을 구하기 위해 온 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린다.
이름의 뜻은 '알려주다'.
4.6.3. 둘리(Nduli)
성우는 Jorge Diaz.
키부리의 부하. 약간 길쭉한 체형과 얼굴형에 얼빠진 표정이 특징. 탐카와 마찬가지로 치지, 청구, 고이고이처럼 덜떨어진 성격. 하는 짓도 그렇고 얼빠진 표정, 체형의 유사점을 보면 잔자 무리의 치지와 비슷한 포지션.
The Zebra Mastermind 에피소드에서 아지트에서 탐카와 같이 키부리가 말한 우리들이 스카의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는 이유가 뭔지 떠들다가 우연히 근처에 있던 서스톤을 발견하고 몰래 다가가 잡아먹으려다가 실수로 나뭇가지를 밟아 서스톤을 깨워버리지만 서스톤이 라이온 수호대의 약점이랍시고[85] 배를 문지르면 잠에 빠져버린다는 말을 해주자 서스톤을 잡아먹는 대신 라이온 수호대를 기습해 그 방법을 사용하지만 당연히 라이온 수호대에겐 먹히지 않았고 카이온의 포효에 날아간다. 이후 자기들처럼 서스톤이 알려준 방법을 사용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역으로 관광당하고 돌아오던 길이었던 치지, 청구, 고이고이를 만나게 되고 다섯이서 같이 합심해 서스톤을 잡아먹으려다가 서스톤을 구하기 위해 온 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린다.
이름의 뜻은 '깡패', '폭력배'.
4.7. 켕게(Kenge)
성우는 Kristofer Hivju(미)/홍진욱(한)
우샤리가 소개시켜준 왕도마뱀으로 이빨에 마비시키는 독이 있다.[86] 매우 신경질적인 성격에 작은 도마뱀이라 불리는 것을 싫어하며 아니 아예 작다는 말을 혐오할 정도로 매우 싫어한다. 라이온 수호대를 독으로 꼼짝 못하게 만들어 그 사이에 잔자 트리오가 수박을 훔치는 것을 돕지만 파충류의 독에 면역이 강한 벙가에게 턱없이 당하며 마침 마키니의 치료를 받고 온 카이온의 포효에 맞고 날아간다.
The Scorpion's Sting 에피소드에선 아웃랜더들이 라이온 수호대를 궁지에 몰리게 만드는 장면에서 잠시 카메오 출연. 물론 다른 아웃랜더들과 마찬가지로 카이온의 포효에 관광당한다. 군단 내에서 충분히 전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원인데도 이후 등장은 없는 것과 제작진의 언급을 보면 저 에피소드 이후 탈영(...) 하여 새로운 삶을 살게 됐을 것으로 보인다.
4.8. 수무(Sumu)
성우는 Ford Riley(미) / 사성웅(한)
전갈. 스카의 지시를 받아 심바를 독침으로 기습하고 도주한다.
여담으로 전갈 인만큼 상당히 작긴 한데 잔자는 전갈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수무를 보자마자 바로 옆에 있는 레이레이와 키부리에게 들러붙을 정도로 호들갑을 떨었다(...).
5. 그 외 등장인물
5.1. 티푸(Tiifu)
[image]
성우는 Sarah Hyland(시즌 1) → Bailey Gambertoglio(시즌 2 부터)(미)/김율(한)
키아라의 친구인 어린 암사자. 키아라가 등장하면 꼭 붙어있고, 보통 주리도 함께 나온다.
시즌 3 마지막 화에 크게 자란 모습으로 카이온이 모험을 마치고 돌아온 뒤 다른 땅의 새로운 왕이 되는 대관식에 참석한다.
5.2. 주리(Zuri)
[image]
성우는 Madison Pattis(미)/홍수정(한)
키아라의 친구인 어린 암사자. 키아라가 등장하면 꼭 붙어있고, 보통 티푸도 함께 나온다.
시즌 3 마지막 화에 더 크게 자라서 카이온이 모험을 마치고 돌아온 뒤 다른 땅의 새로운 왕이 되는 대관식에 참석한다.
5.3. 티몬(Timon)과 품바(Pumbaa)
[image]
티몬과 품바 참조
5.4. 코뿔소
아프리카 동물 중 2인자의 전투력을 가진 코뿔소답게 작중에서도 전투력은 굉장히 높지만, 시력이 매우 안좋다. 그래서 곤경에 처한 상황이 자주 나온다
5.4.1. 음베야(Mbeya)
[image]
성우는 Howy Parkin.[87]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검은코뿔소. Never judge a Hyena by its spots(하이에나라고 다 나쁜 건 아니야)에서 라이온 수호대가 카이온과 만나기로 한 장소로 가는 길을 물을 때 첫 등장 하였다.
5.4.2. 새끼 코뿔소(Young Rhino)
[image]
성우는 카리 월그런.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어린 코뿔소.
5.4.3. 키파루(Kifaru)
[image]
성우는 Maurice LaMarche.
늙은 흰코뿔소. 눈이 매우 안 좋아서[88] 등장할 때마다 길을 잃거나 어딘가에 뿔이 박혀있다..;; 그래서 소등쪼기새가 있어야 길을 잃지 않는데 대부분 등장할 때마다 혼자 있다...
여담으로 키파루는 스와힐리어로 '코뿔소'라는 뜻이다.
5.5. 자시리 무리
아웃랜드에 사는 하이에나 무리. 잔자 무리와는 다르게 온건한 성향이며 이들도 자연의 섭리를 중요시하며. 카이온 일행의 조력자가 되어주기도 한다. 잔자 무리의 귀가 세모꼴로 뾰족한 반면 자시리 무리는 귀가 둥글다.[89]
시즌 3에서는 잔자의 무리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5.5.1. 자시리(Jasiri)
[image]
성우는 Maia Mitchell(미)[90] /사문영(한)
카이온과 비슷한 나이대의 암컷 하이에나. 개구쟁이에 친절한 성격으로 아웃랜드에서 길을 잃은 카이온에게 프라이드 랜드로 가는 길을 알려주고, 카이온이 가시덤불에 묶이자 구해주기도 한다. 이후 잔자 무리의 영토에 들어갔다가 잔자 무리에게 포위당하나 카이온과 라이온 수호대가 구해준다.
이후 Lions in the Outland(어둠의 땅의 사자들) 편에서 재등장. 지라 무리에게 물웅덩이를 빼앗기자 카이온에게 도움를 요청한다. 여기서 마도아, 웨마, 투누와 같은 무리의 일원이라는 것이 드러난다.[91]
Rescue in the Outlands(자시리를 구해야 돼) 편에서 마도아, 웨마, 투누와 같이 숨바꼭질을 하며 놀다가 잔자 무리와 마주쳐 공격받을 위기에 처한다. 잔자의 부하들이 웨마, 투누를 공격하려고 하자 막아서서 그 둘을 구하지만 잔자의 기습으로 용암 구덩이에 빠져 위기에 처한다.[92] 다행히 마도아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불러낸 덕분에 목숨을 구하게 된다.
The Hyena Resistance에서는 잔자 무리를 포함한 스카의 군단이 자기들의 영토에 쳐들어오자 망설이고 있던 자신의 무리 하이에나들을 설득해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스카의 군단을 물리친다. 그러다가 잔자가 스카의 군단에 속한 한 악어의 의도치 않은 팀킬로 인해[93] 용암 구덩이에 빠져 죽을 위기에 처한 찰나, 잔자를 구해준다. 잔자가 당황스러워하며 자길 왜 구해줬냐고 묻자 '시시 니 사와'를 언급하며 우린 같은 하이에나 라고 대답한다. 이전에 잔자가 자신을 포함해 어린 하이에나들도 용암 구덩이에 빠트려 죽일려고 했었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한 대인배. 잔자에게 자기와 함께 손을 잡아서 스카와 맞서 싸우자고 제안하지만 거절 당한다.[94]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는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과 같이 스카의 잔당들과 싸우는데 같이 협동을 한다. 심바의 신뢰도 상당히 쌓인 것으로 보인다. 아웃랜드 침공을 대비해 자고 있던 도중 무리를 찾아온 잔자에게 여긴 왜 왔냐고 묻자 자신의 부하들과 라이온 수호대가 불타고 있는 프라이드 락에 갇혀있다는 말을 듣고 같이 달려간다. 마침 스카의 도발로 크게 위축된 프라이드 랜더들 앞에서 자신은 잔자를 믿는다며 설득을 함으로써 잔자 무리의 갱생과 동시에 프라이드 랜더들이 그들을 믿을 수 있게 해준다. 다음날, 라이온 수호대와 자신의 무리, 갱생한 잔자 무리를 포함한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과 함께 스카의 잔당들을 저지해 라이온 수호대가 스카에게 갈 수 있게 해준다. 스카와의 전투 이후, 잔자의 추천으로 아웃랜드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다. 스카와의 전투로 인해 부상을 입은 카이온과 오노를 걱정해준다.
Journey to The Pride Lands에 잔자와 같이 아자드의 안내로 생명의 나무에 온 것으로 오랫만에 재등장.[95] 라이온 수호대가 생명의 나무로 떠난 사이 지라 무리가 돌아온데다가 비타니와 코부는 성장하여 하이에나 무리들도 그들에게는 상대가 되지 않아 라이온 수호대를 찾아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한다.
시즌 3 마지막 화 Return to the Pride Lands에선 일행을 마중하러 나온 마도아, 치지, 청구에게서 지라 무리에 대한 상황을 전해 듣고 본인을 마중하러온 마징고의 의회에게 라이온 수호대에게 힘을 보태달라고 부탁한다. 프라이드 랜드로 향하는 도중 비타니 일행과 마주쳐 잠시 충돌을 하다가 중간에 난입한 키아라와 코부를 통해 오해를 푼다.[96] 카이온과 작별인사를 하고 돌아간다. 이후 카이온의 대관식에 잔자, 치지, 청구와 같이 참석한다. 이때 잔자와의 연애 플래그가 진행되는 듯한 장면이 포착된다.[97] 정황상 잔자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라이온 킹 시리즈의 주요 레귤러 하이에나 캐릭터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하이에나이다.[98] 한때 더빙 명칭이 "죽음의 땅"이었던 만큼 귀양지나 불명예스러운 입지에 있던 아웃랜드에 애착을 가지고 있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용감하다', '대담하다'.
5.5.2. 마도아(Madoa)
성우는 Maisie Klompus
자시리의 언니. 이마 쪽에 점박이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 자시리 보다는 조금 성숙하면서 차분한 분위기.
Lions in the Outland(어둠의 땅의 사자들)에서 웨마, 투누와 같이 놀아주는 모습으로 첫등장. 자시리와 같이 온 카이온을 보고 하는 말을 보면 사자 친구가 생겼다고 한 자시리의 말을 농담 정도로 생각했던 모양. 지라 무리가 물웅덩이를 빼았아 애들도 목말라 하고 있다며 물웅덩이를 되찾을 수 있게 카이온에게 부탁한다. 이후 카이온이 지라 무리를 쫓아내고 물웅덩이를 되찾아주자 고맙다고 해주고 아직도 카이온이 무서운지 바위 뒤에 숨는 웨마와 투누의 모습을 보고 자시리랑 같이 웃는다.
Rescue in the Outlands(자시리를 구해야 돼) 편에서 자시리, 웨마, 투누와 같이 숨바꼭질을 하며 놀다가 잔자 무리의 기습으로 인해 용암 구덩이에 빠져버린 자시리, 웨마, 투누를 보고[99] 즉시 라이온 수호대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한다. 라이온 수호대가 마도아에게 자시리를 구하는 것은 자기들이 할테니 가서 무리를 지키라고 해 집으로 달려가게 되면서 중간에 헤어진다. 다행히도 라이온 수호대들이 자시리와 웨마, 투누를 구해주고 잔자 무리도 혼쭐내 주긴 하지만.
Return to the Pride Lands에서 라이온 수호대를 데리고 온 잔자와 자시리를 치지, 청구와 같이 마중하는 모습으로 오랫만에 등장. 언급을 보면 그동안 지라 무리를 피해 숨어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자시리와 잔자가 라이온 수호대를 데리러 간 뒤 지라 무리가 프라이드 랜드로 향했고 그 뒤로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모른다고 전해준다. 하이에나 무리를 포함해 라이온 수호대와 아자드, 마징고의 의회와 같이 프라이드 랜드로 향하는 도중 비타니 일행과 마주쳐 잠시 충돌을 하다가 중간에 난입한 키아라와 코부를 통해 오해를 푼다.[100]
이름은 스와힐리어로 '점'.
5.5.3. 웨마(Wema)
성우는 Fiona Hart.[101]
자시리 무리에 속한 새끼 암컷 하이에나. 상당히 귀엽다.
Lions in the Outland(어둠의 땅의 사자들) 편에서 마도아, 투누와 같이 노는 모습으로 첫등장 했는데 그동안 나쁜 사자들만 보아왔었는지 자시리와 같이 온 카이온을 보고 겁먹고 투누와 같이 근처 바위 뒤로 숨었다. 카이온이 지라 무리를 쫓아내고 물웅덩이를 되찾아준 뒤에도 아직도 카이온이 무서운지 투누랑 같이 근처 바위 뒤로 숨는다.
Rescue in the Outlands(자시리를 구해야 돼) 편에서 마도아, 자시리, 투누와 같이 숨바꼭질을 하며 놀다가 잔자 무리와 마주쳐 공격받을 위기에 처한다. 치지, 청구에게 쫓기다가 자시리가 그 둘을 물리치지만 잔자의 기습으로 용암 구덩이에 빠져 위기에 처한다. 다행히 숨어있던 덕분에 잔자 무리에게 들키지 않았던 마도아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불러낸 덕분에 목숨을 구하게 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선(善)'.
5.5.4. 투누(Tunu)
성우는 Crimson Hart.[102]
자시리 무리에 속한 새끼 수컷 하이에나. 상당히 귀엽다.
Lions in the Outland(어둠의 땅의 사자들) 편에서 마도아, 웨마와 같이 노는 모습으로 첫등장 했는데 그동안 나쁜 사자들만 보아왔었는지 자시리와 같이 온 카이온을 보고 겁먹고 웨마와 같이 근처 바위 뒤로 숨었다. 카이온이 지라 무리를 쫓아내고 물웅덩이를 되찾아준 뒤에도 아직도 카이온이 무서운지 웨마랑 같이 근처 바위 뒤로 숨는다.
Rescue in the Outlands(자시리를 구해야 돼) 편에서 마도아, 자시리, 웨마와 같이 숨바꼭질을 하며 놀다가 잔자 무리와 마주쳐 공격받을 위기에 처한다. 치지, 청구에게 쫓기다가 자시리가 그 둘을 물리치지만 잔자의 기습으로 용암 구덩이에 빠져 위기에 처한다. 다행히 숨어있던 덕분에 잔자 무리에게 들키지 않았던 마도아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해서 불러낸 덕분에 목숨을 구하게 된다.
여담으로 자시리 무리의 하이에나들 대부분 털색이 보랏빛인데 투누 혼자 털색이 잔자 무리 처럼 회색이다. 그래도 잔자 무리랑 비교해보면 털색이 좀 밝은 편.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진귀한 것', '드문', '값진'.
5.6. 악어
5.6.1. 푸아(Pua)
성우는 Gerald C. Rivers(미)/한상덕(한)
나이든 악어로 악어 무리의 전 대장. 대장이었을 때 정직하고 현명하며 자연의 질서를 중요시 여겼다. 어느날 마쿠가 대장자리를 걸고 싸움을 걸자 마쿠가 자신보다 젊고 강하다는걸 알고 항복을 하여 스스로 떠난것이다. 떠나기 전에 카이온에게 마쿠는 틀림없이 대장이 될 자격이 있다고 했다.
5.6.2. 마쿠(Makuu)
[image]
성우는 Blair Underwood(미)/이광수(한)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악어 무리의 대장. 처음엔 베스티의 하마가족이 사는 물웅덩이에 물고기를 더 많이 잡아먹으려고 전 대장이었던 푸아를 대장자리에서 몰아내고 악어들의 우두머리가 된다. 이후 하마가족이 살던 물웅덩이를 독차지하면서 다른 동물들의 서식지가 뒤바뀌게 되고 프라이드 랜드가 엉망이 되어버려 카이온이 일부러 마쿠를 협박(?)하여 프라이드 랜드를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기 위해 빈 숲을 향해 왕의 함성을 사용하면서 숲을 날려버리자 이를 보고 쫄아 물웅덩이에서 물러난다. 이후 바시에게 물고기가 많아지면 얼마든지 와도 된다는 말을 듣는다.
시즌 2부터는 사바나 정상 회담에 참여한 후[103] 다른 프라이드랜더와 협력하며 악역에서 벗어난다. 불같은 포악함은 여전. 악어무리에 키부리가 대장자리를 걸고 결투를 신청하자 그 대결에서 승리하고 심바와 함께 키부리와 그 일당들을 추방시킨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오만(함)'.
5.7. 얼룩말
육식동물이 습격하는 등 위기가 닥치면 '''"Panic and run!"'''을 외치며 달아나는 특징이 있다. 다만 다하부 무리는 '''Frolic and romp'''을 외치면 뛰어논다.
5.7.1. 서스톤(Thurston)
성우는 Kevin Schon[104] (미)/안용욱(한)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수컷 얼룩말. 의외로 지능이 낮고 얼마나 지능이 낮으면 자신의 천적 중 하나인 표범이 뭔지도 몰랐다는 것. 또 겁도 매우 많다. 특히 "얼룩말 살려!!"라고 외치는게 일품. 또한 '''자기가 맛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105]
Rescue in the Outlands(자시리를 구해야 돼)에서 라이온 수호대와 같이 있었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하러 온 마도아를 보고 하이에나 라며 겁을 먹는다.[106] 그렇긴 해도 카이온 일행의 가는 길을 방해하던 체체파리들을 쫓아내주는데 한 몫은 해준다.[107] 근데 카이온 일행이 아웃랜드에 도착한 뒤 더 이상 도와줄 일은 없다면서 프라이드 랜드로 가는 길을 알려주기 까지 했는데 금세 가는 길을 까먹어서(…) 다시 되돌아와 결국 어쩔 수 없이 동행하게 된다. 라이온 수호대가 잔자 무리와 싸우는 동안 치지, 청구에게 아웃랜드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되냐고 물어본다(…). 일이 끝난 뒤에 라이온 수호대가 프라이드 랜드로 돌아갈 때 혼자만 엉뚱한 방향으로 가다가 훌리가 서스톤이 길을 제대로 갈 수 있게 고생을 좀 한다.
The zebra mastermind 에피소드에서는 자기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이 된다며 떠들다가 근처에서 이를 엿들은 치지와 청구가 라이온 수호대를 더 이상 똑똑하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스톤을 큰 파티에 초대한다며 속여 아웃랜드로 데려오다가 자신은 라이온 수호대의 약점을 알고 있다고 말해 그 정보를 치지, 청구 뿐 아니라 고이고이, 탐카, 둘리에게도 말해 얘네들이 라이온 수호대에게 그 방법을 사용하지만[108] 그 정보들은 서스톤 본인에게 해당되는 정보(…)라서 당연히 라이온 수호대에겐 통하지 않았다. 이후 서스톤에게 속았다며 분한 치지, 청구, 고이고이, 탐카, 둘리의 합심[109] 으로 잡아먹힐 뻔하지만 아까 치지, 청구, 고이고이, 탐카, 둘리의 바보짓에 무언가 이상함을 느끼고 아웃랜드를 살펴보던 오노가 마침 서스톤을 발견하였고 이후 라이온 수호대가 서스톤을 구하러 와 무사한다.
여담으로 시리즈 초반부터 자주 등장한 캐릭터인데 정작 이름은 잘 언급되지 않는다.[110] 참고로 작중 프라이드 랜드 동물들 대부분 스와힐리어 단어가 이름인데 서스톤은 스와힐리어 단어로 된 이름을 가지지 않은 얼마 되지 않는 캐릭터다.
5.7.2. 크와토(Kwato)
성우는 Lyons Luke Mathias.
서스톤 무리의 어린 얼룩말.
친구들이랑 같이 라이온 수호대 놀이를 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하이에나 흉내는 내진 말라는 말을듣는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훈련을 구경하고 온 마토토의 제안으로 바위너구리들을 하이에나 대응으로 쫓으며 놀다가 진짜로 나타난 잔자 무리에게 쫓기게된다. 친구들과 같이 빠져 나와서 라이온 수호대에게 마토토가 하이에나들에게 쫓기고 있다고 알려준다. 이후 카이온이 진흙으로 마토토에게 가드 마크를 그려주자 친구들과 같이 자기들도 마크를 그려달라고 조른다.
5.7.3. 무히무(Muhimu)
성우는 카리 월그런.
무히무의 얼룩말 무리 우두머리 암컷. 첫 등장 때는 스왈라의 가젤 무리와 영역 문제로 다투는 모습으로 등장했다.[111] 이유는 자신의 얼룩말 무리들과 가젤들이 뜯어먹을 풀이 부족해졌고 영역 문제로 다투게 된 것. 스왈라와 다투다가 실수로 벙가를 깔고앉아 버렸으며 이후 벙가와 계속 약간의 충돌을 하게 된다. 자신의 무리 얼룩말들과 스왈라의 가젤 무리들과 같이 라이온 수호대의 안내로 음발리 평원으로 가는 중 음발리 평원에 거의 다 왔을 때 정면에 보이는 평원의 모습을 보고 빨리 풀을 뜯어먹고 싶다면서 달려가 버려 얼룩말들과 가젤들이 같이 달려가 버린 영향으로 근처의 바위들이 떨어져 길이 막혀버리게 된데다가 설상가상으로 돌발 홍수에 휘말리지만 벙가에게 구조받았으며 미안함을 표하면서 고맙다고 한다. 길이 막힌 영향으로 음발리 평원으로 가려면 아웃랜드를 통해서 가야 된다는 라이온 수호대의 말에 불평을 표하는 얼룩말들과 가젤들에게 일부는 자신의 잘못이라고 하면서 누가 돌발 홍수를 예상했겠냐며 라이온 수호대를 옹호해준다. 평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아웃랜드를 지나가는 중, 산통이 오게 되며[112] 스왈라와 다른 얼룩말들, 벙가의 도움으로 아들 하무를 낳는다. 하무의 울음소리를 들은 잔자 트리오가 얼룩말들을 잡아먹기 위해 습격을 하자 침착한 반응으로 흥분한 다른 얼룩말들을 진정시킨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중요', '필수'.
5.7.4. 하무(Hamu)
성우는 Lyons Luke Mathias.
무히무의 아들. 태어나고 나서 크게 울음소리를 내서 그걸 들은 잔자 트리오가 얼룩말들을 잡아먹으려고 그 장소로 습격하게 되지만 뒷발로 잔자의 얼굴을 차서 역관광시킨다.[113]
Babysitter Bunga 에피소드에서 자칼 가족이 무히무의 얼룩말 무리를 습격할 때 조금 자란 모습으로 재등장. 도고와 키자나 남매의 협동에 의해 무리에 이탈된다. 같이 술래잡기 하자는 도고의 속임수에 순진하게 넘어가 키자나에게 뒷치기 당하기 직전 오노와 벙가에 의해 구출되고 직접 공격하려는 도고를 뒷발로 차서 날린다. 이후 무히무가 벙가에게 하무를 잠시 맡기게 되며 벙가와 다른 아기 동물 친구들과 같이 하쿠나 마타타 폭포에서 시간을 보내며 논다.[114] 그러다가 또다시 자칼 가족들의 습격을 받지만 친구들과 같이 오히려 이들을 역관광 보낸다.
여담으로 작중 현 시점에서 태어나는 모습으로 등장하는 첫번째 아기 동물이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경계하다', '조심하다', '지키다'.
5.7.5. 다하부(Dhahabu)
성우는 Renée Elise Goldsberry.
프라이드 랜드 바깥의 백랜드라는 땅에 사는 얼룩말 무리의 대장으로 암컷이다. 이 백랜드 출신 얼룩말의 주대사는 "frolic and romp". 일반 얼룩말과 달리 금빛 줄무늬를 가지고있으며 자신들의 땅에 물을 나눠달라고 부탁한 라이온 수호대 앞에서 대장다운 모습을 보이기 위해 해낼 수 없는 어려운 부탁을 하는데 사실 자신들의 물웅덩이가 산사태 때문에 바위들로 막혀있어 웅덩이가 말라있었고 심지어 그 근처에 마쿠차와 표범 일당들이 그 곳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포식자가 아니면서 왕위에 있는 이례적인 케이스. 프라이드 랜드를 방문할 때 왕으로서 예우받지만 같은 땅에 서식하는 마쿠차에게는 사냥감 취급을 받는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금(金)'.
5.7.6. 스타레헤(Starehe), 라하(Raha)
성우는 각각 Raini Rodriguez[115] (스타레헤), Rico Rodriguez(라하).
다하부의 무리에 속한 얼룩말 남매.[116] 백랜드의 여왕인 다하부에 대한 충성심이 엄청나다. 둘 다 평상시에는 온화하고 낙천적이며 즐거운 성격이지만, 다하부가 포식자들에 의해 위험에 빠졌을 때에는 말 그대로 전투 모드가 되어서 적들을 걷어차고 짓밟고 다니는 의외의 난폭함(?)도 보여준다. 얼룩말은 물론이고 작중 다른 캐릭터들을 놓고 봐도 전투력이 최상위권에 속하지 않을까 싶다.
이 둘의 이름의 뜻은 '평화'. 실제 아프리카에서 간단한 인사말로 쓰이는 단어다.[117]
5.8. 아프리카코끼리
현실 코끼리만큼은 아니지만 나름 대우를 받는 종족.[118] 작품 내에서도 사자의 먹잇감으로 묘사하기는 어려웠는지 사자들과 친한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자들이 도움을 요청하면 가장 먼저 달려가는 동물이다.[119] 종족 전체가 머리가 좋으며 고유의 언어도 가지고 있다. 건기에 수원을 찾는 등 다른 동물들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유일한 약점은 꿀벌들. 킬리오 계곡(The Kilio Valley)에 살았지만 아웃랜더들이 불을 질러서 갈라고 서식지로 자리를 옮겼다. 전투력 자체는 확실히 높지만 싸우기 싫어하는 것인지 하이에나나 자칼들을 만나면 먼저 도망친다(...).
5.8.1. 마템보(Ma Tembo)
[image]
성우는 Lynette Dupree.
아미니푸의 딸이자 코끼리 무리의 대장으로 암컷이다.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오른쪽 상아가 부러져 있다. 뭔가 있어보이는 이름이지만 사실 이름 뜻은 그냥 코끼리. 해당 세계관에서는 코끼리들은 거의 동맹 세력에 가깝게 묘사된다.[120] 그래서인지 무리의 코끼리들을 모아 심바 가족과 함께 축제를 벌이기도 하고 음악회에 초대하기도 한다. 마음이 넓은 대인배로, 건기에 바분들이 귀찮게 굴어도 이해하는 등, 다른 동물들을 편견 없이 대한다. 심바가 코끼리 음악회에 오지 못했을 때도 "에이, 상황이 안 되면 못 오실 수도 있죠 뭐..." 하는 식으로 넘어가고 코끼리 무리가 하이에나들의 공격을 받을 때 잔자 트리오를 날려버리며 어린 코끼리들을 보호하려고 하는 등 자비로우면서 결단력 있고 부드러운 리더지만[121] 유일한 약점인 벌 무리의 습격을 받으면 다른 코끼리들처럼 폭주한다.[122] 마템보가 차분하지 못했던 유일한 순간.
시즌 3 마지막화에선 카이온의 대관식에 참여한다.
5.8.2. 마토토(Mtoto)
[image]
성우는 Natalie Coughlin(Bunga the Wise 에피소드 한정) → Justin Felbinger.
라이온 수호대를 동경하는 아기코끼리. 특히 같은 덩치계인 베스티를 큰형처럼 따르고 좋아한다. 코끼리답게 초저주파를 통해 대화하며 먼 곳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
시즌 3에선 상아도 제법 많이 자라고 덩치가 베스티만큼 커졌다.
어릴 때의 모습은 다른 코끼리들과 달리 윗 사진에서처럼 상아의 위치가 아랫쪽에 있는 특유의 디자인이었지만 시즌 3에서 나온 성장한 모습은 상아의 위치가 다른 코끼리들과 같은 위치에 있는 모습이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어린이'.
5.8.3. 마토토의 엄마(Mtoto's Mom)
[image]
성우는 Russi Taylor → Virginia Watson.
마토토의 엄마.
5.8.4. 지토(Zito)
성우는 Nick Watt.
신경질적인 수컷 코끼리. 온화한 마템보와는 대비되게 다른 등장인물에게 화를 많이 낸다.
5.8.5. 조하리(Johari)
성우는 Ace Gibson.
5.8.6. 지고(Zigo)
성우는 마리브 헤링턴.[123]
5.8.7. 차마(Chama)
성우는 Jacob Brentrand.
아직 덜자란 어린 코끼리로 덩치를 보면 마토토보다는 나이가 많은 아성체 코끼리. 장난끼가 많은 성격이며 본래 코끼리 무리에 함께 살았으나 무리에 많은 피해를 끼치는 바람에 마템보의 결정에 의해 쫓겨났다. 그 온화한 마템보가 쫓아낼 정도면 말썽이 굉장히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똑같은 신세인 마자하와 푸라하도 마찬가지. 나중에 마템보가 다시 가족으로 받아주긴 하지만 스스로 무리를 나와 라피키의 이웃이 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파티', '모임', '집단', '단체'.
5.8.8. 아미니푸(Aminifu)
마템보의 아버지. 심바의 언급에 따르면 스카와의 결전 이후 황페해진 프라이드 랜드를 다시 재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첫 등장 당시는 그의 장례식이었기 때문에 다른 코끼리들이 그의 시신에 꽃을 올려놓으면서 추모하는 장면에서 시신의 모습으로 등장. 심바가 장례식에서 '그는 덕이 많은 코끼리 였습니다'를 코끼리어로 말할 때 실수로 '그는 변이 많은 코끼리 였습니다'로 말하게 되지만 마템보의 말에 따르면 그는 진짜 그랬었다고 하면서 한때 별명이 똥쟁이[124] 였다고 변호해주어 오히려 즐거운 기억들을 떠올리게 해주었다면서 감사하다고 한다. 까칠한 지토조차 웃었던 것을 보면 아마 진짜로 그랬던 모양이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충직한'.
5.9. 표범
5.9.1. 마쿠차(Makucha)
[image]
성우는 스티브 블룸(미)/이장원(한)
첫등장엔 아자부라는 오카피를 잡아먹기위해 프라이드랜드 까지 나타난 표범. 시즌 2에 황금색 얼룩말 편에 다시 나타나고 커다란 거북이편에서도 등장. 의외로 입맛이 고급인지라 희귀하고 보기 드문 동물만 잡아먹는다. 악역이지만 유일하게 표범답게 성격상 사자와 하이에나랑 적대 관계라서인지 아웃랜드에 살지도 아웃랜드의 동물들과 손잡지도 않고 스카의 영혼에 복종하지 않는다.
시즌 3의 메인 빌런으로 확정되었다. 스페셜 에피소드 바로 다음편인 The Harmattan 에피소드에서 재등장. 이때 같은 표범 동료로 파하리와 지오나를 두었다. 라이온 수호대를 자신의 영토에서 나가게 하기 위해 길안내를 하는 중[125] 생명의 나무는 희귀 동물들을 보호하는 곳이라는 마키니의 말을 엿듣고 라이온 수호대를 제거한 다음 마키니를 인질로 잡아 협박하여 생명의 나무로 가려는 계획을 세운다. 하마탄을 이용하여 라이온 수호대를 낭떠러지 절벽으로 안내하였지만 하마탄 때문에 일행과 떨어져 있던데다가 먼저 상황을 눈치챈 오노가 일행에게 마쿠차의 속셈을 알려주었고 결국 계획은 실패한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를 뒤쫓아 생명의 나무로 갈 겸 그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라이온 수호대를 몰래 뒤쫓아가며 자기처럼 라이온 수호대에게 관광당한 다른 악당들을 자신의 편으로 포섭한다.
시즌 3의 메인 빌런이라고 발표된 캐릭터지만 정작 후반부에서 그 역할을 마마 빈투롱이 했기 때문에 포지션이 이상해졌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발톱'.
5.9.2. 바딜리(Badili)
[image]
성우는 Jack McBrayer(미)/오인성(한)
겁이 많고 소심한 성격의 표범. 자신이 살던 나무를 힘센 표범 '마포가노'에게 빼앗겨서 갈라고들이 살던 나무로 옮겨 오는 바람에 소동을 일으킨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에게 훈련을 받고 용기를 얻어 마포가노를 쫓아내고 자신의 나무를 되찾는다.
마쿠차, 마포가노와 달리 유일하게 선역인 표범 캐릭터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변화하다'.
5.9.3. 마포가노(Mapigano)
[image]
성우는 Jorge Diaz.
바딜리를 쫓아내고 바딜리가 살던 나무를 차지한 사나운 표범. 라이온 수호대의 경고에도 쉽게 물러가지 않는 고집을 보여주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훈련을 받고 용감해진 바딜리에게 결국 쫓겨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싸움'.
5.9.4. 파하리(Fahari)
성우는 놀런 노스.
시즌 3에 등장하는 마쿠차의 부하. 약간 붉은빛이 돋는 털색이 특징.
The Harmattan 편에서는 하마탄을 이용해서 라이온 수호대를 따돌린 다음 마키니를 인질로 삼아 협박해 생명의 나무로 가려는 마쿠차의 계획에 동참해 라이온 수호대를 일부러 절벽으로 안내하는 것 까지는 성공하지만 하마탄 때문에 일행과 떨어져 있었던 오노가 먼저 상황을 눈치채었고 결국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역관광당한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를 추격해 생명의 나무로 가서 복수를 하려는 마쿠차의 계획을 듣고 지오나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의 역량에 겁먹은데다가 이 편을 끝으로 다시 출연하진 않을 듯 싶었지만 이내 마음을 바꾸어 마쿠차의 뒤를 어찌저찌 뒤따라 간 것인지 Triumph of the Roar에서 지오나를 포함해서 오라의 부하들과 마마 빈투롱의 부하들과 같이 마쿠차 일당의 추가 병력으로 재등장. 이후 울루를 붙잡아 두고 그 틈에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 나이트 프라이드를 생명의 나무 안에 가두어 놓은 다음 그 곳의 동물들을 공격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공격과 카이온의 포효에 역관광 당하고 카이온이 포효로 만든 회오리바람에 휘말려 아주 먼 곳으로 날아간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화려함'.
5.9.5. 지오나(Jiona)
성우는 Ace Gibson.
시즌 3에 등장하는 마쿠차의 부하. 약간 큰 코가 특징.
The Harmattan 편에서는 하마탄을 이용해서 라이온 수호대를 따돌린 다음 마키니를 인질로 삼아 협박해 생명의 나무로 가려는 마쿠차의 계획에 동참해 라이온 수호대를 일부러 절벽으로 안내하는 것 까지는 성공하지만 하마탄 때문에 일행과 떨어져 있었던 오노가 먼저 상황을 눈치채었고 결국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역관광당한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를 추격해 생명의 나무로 가서 복수를 하려는 마쿠차의 계획을 듣고 파하리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의 역량에 겁먹은데다가 이 편을 끝으로 다시 출연하진 않을 듯 싶었지만 이내 마음을 바꾸어 마쿠차의 뒤를 어찌저찌 뒤따라 간 것인지 Triumph of the Roar에서 파하리를 포함해서 오라의 부하들과 마마 빈투롱의 부하들과 같이 마쿠차 일당의 추가 병력으로 재등장. 이후 울루를 붙잡아 두고 그 틈에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 나이트 프라이드를 생명의 나무 안에 가두어 놓은 다음 그 곳의 동물들을 공격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공격과 카이온의 포효에 역관광 당하고 카이온이 포효로 만든 회오리바람에 휘말려 아주 먼 곳으로 날아간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뽐내다'.
5.10. 치타
5.10.1. 아자드(Azaad)
성우는 Behzad Dabu.
시즌 3에 등장한 수컷 치타. 킹치타인 훌리와 달리 우리가 흔히 아는 점박이 치타다.[126] 귀족적인 말투가 특징.[127] 말버릇은 '!Mibinamet'.[128]
시즌 3 The Race to Tuliza 에피소드에서 훌리가 카이온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툴리자를 찾으러 가기 위해 협곡을 지나가다가 길을 잃었을 때 등장한다. 훌리가 지금 자신의 영토에 있다며 떠날 것을 권유한다. 훌리는 자신의 친구를 위해 툴리자를 찾으러 가고 있던 중이라고 하자 치타에게는 친구라는 것은 불필요하다면서 훌리에게 심장 속에 불꽃을 지닌 것이 분명하다며 만약 본인과의 달리기 내기에서 이기면 툴리자를 찾는 것을 도와주겠다며 훌리와 달리기 경기를 한다. 첫 경기에는 꺼져있는 길에 걸려 넘어진 훌리를 추월하고 이기지만 훌리가 자기 땅인만큼 길을 잘 아는데도 길이 꺼져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지 않았다면서 불공평하다며 분명 잘난 심장 속 불꽃이라면 재경기를 두려워하지 않겠다면서 재경기를 요청하자 결국 승낙하게 된다. 재경기에는 지름길인 절벽을 통해 다시 이기려고 하다가 발을 헛딛어 절벽에 떨어질 위기에 처하였지만 훌리가 그걸 보고 구해준다. 이에 고맙다고 하면서 그대로 경기에 이길 수도 있었는데 왜 구해줬냐고 묻자 친구는 친구를 돕는 법이라는 훌리의 말에 이에 긍정해주며 약속대로 툴리자를 찾는 걸 도와주고 같이 툴리자를 가지고 가면서 라이온 수호대 친구들이 있는 호수로 달려가준다. 이후 훌리가 라이온 수호대와 같이 생명의 나무를 향해 길을 떠나자 라이온 수호대들이 훌리를 친구로 둔 것과 자신 또한 훌리를 친구로 둔 것을 행운이라고 칭하면서 다시 재회할 수 있기를 기약하며 자신의 영토로 돌아간다.
Journey to the Pride Lands에서 생명의 나무에 찾아온 것으로 오랫만에 재등장.[129] 라니의 말에 따르면 예전에 생명의 나무에 온 적이 있다고 한다.[130] 라니에게 인사를 하면서 여왕이라고 부르는 것과 그 분(잔나)이 보고 싶다고 하는 말을 보면 잔나의 사망 소식을 전해들은 것으로 보인다.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생명의 나무로 가던 잔자와 자시리를 중간에 만나서 그 둘을 안내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길잡이 역할을 맡아 함께 프라이드 랜드로 가게 된다. Return to the Pride Lands 후반에는 훌리랑 같이 프라이드 랜드를 돌아다니는 모습이 나오는데[131] 정황상 훌리랑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132] 카이온의 대관식에도 훌리와 함께 참석한다. 훌리도 생명의 나무의 수호자가 되었으므로 아자드도 그곳에서 살 것으로 보인다.
이름의 뜻은 아랍어로 '자유로운', '고귀한', '독립적인'. 참고로 해당 이름은 실제 아랍계 남자 이름으로도 쓰이기도 한다.
5.11. 갈라고
작중 최강 귀요미
5.11.1. 레이니(Laini)
성우는 카리 월그런(The Search for Utamu 에피소드 한정) → Meghan Strange.
5.12. 비비원숭이(바분)
조연으로 자주 등장하는 편이며 특히 대장 비비 원숭이는 은근 꼰대 같고(...) 고집 센 면모를 보여준다. 재해가 일어날 때 마다 라이온 수호대에게 구조되는 모습으로 은근 자주 나오는 편인데 특히 훌리의 등 위에 올라타는 것으로 그녀를 귀찮게 군다.[133]
5.12.1. 아기 비비
아기 원숭이편에 등장하는 길을 잃은 새끼 비비원숭이. 첫 등장 당시 독수리 의회에 의해 공격받다가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구출된다. 훌리에게 떨어지지 않아 훌리가 어쩔 수 없이 집에 데려다 주려고 하는데 프라이드 랜드의 다른 비비들과 달리 나무 위가 아닌 바위 절벽에 사는 비비원숭이로 밝혀진다. 훌리가 이 비비원숭이의 집을 찾아주고 돌아가려는 찰나 갑자기 돌아온 마징고의 습격으로부터 훌리를 도와준다.
5.12.2. 우로호(Uroho)
성우는 Sinbad.
비비원숭이 유랑공연단의 단장. 조수들로는 므웨비와 므위지가 있다.
공연으로 다른 동물들의 시선을 끌어 그 틈에 식량을 훔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들켜 조수들과 같이 쫓기다가 아웃랜드로 도망간다. 이후 잔자 트리오에게 잡아먹힐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구조로 무사하게 되며 이후 도둑질을 접고 다른 동물들에게 식량을 나누어주면서 공연을 보여준다.
이름의 뜻은 '욕심'.
5.12.3. 므웨비(Mwevi), 므위지(Mwizi)
성우는 둘 다 디 브래들리 베이커.
우로호의 조수들. 생김새는 거의 똑같이 생겼지만 구분방법으로는 므웨비는 머리에 밝은 털이 한 줄, 므위지는 밝은 털이 두 줄이다.
우로호가 단독 공연으로 시선을 끄는 사이 식량을 훔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들켜 아웃랜드로 도망간다. 이후 잔자 무리의 아지트에 몰래 도둑질을 하려다가 잔자에게 들켜 추격당하고 잡아먹힐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구조로 무사한다. 이후 우로호와 같이 갱생한다.
이름의 뜻은 각각 날렵한 / 도둑.
5.13. 하마
5.13.1. 바시(Basi)
[image]
성우는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베스티의 아빠. 하마 종족의 수장으로 범람원에서 하마의 길을 만드는 일을 한다. 노래를 잘하는 듯하다.
5.14. 영양
정확한 종은 검은세이블영양이다.
5.14.1. 부푸(Bupu)
성우는 Michael Dorn.
영양들의 리더로, 코끼리들의 대장인 마템보와는 대비되게 고집이 세다. 무언가 지시를 하면 그게 무리에 해가 되던 말던 듣지 않고 꼭 부탁하는 어조로 말해야 듣는다.
5.14.2. 보보카(Boboka)
성우는 Erica Luttrell.
부푸 무리의 일원 중 하나인 암컷 영양. 간혹 고집을 피우는 부푸를 설득할 때 부푸가 마지못해 듣는 모습을 보면 무리 중에서는 서열이 나름 높은 축에 속하는듯. 물론 당시 상황이 상황인만큼 마지못해 들었던 것도 있겠지만.
5.14.3. 보보카의 아들
성우는 Kari Wahlgren.
보보카의 아들인 새끼 영양.
5.14.4. 마자하(Mzaha)
성우는 Cade Sutton.
활발하고 어린 검은영양. 너무 활발한 탓에 무리에 엄청난 민폐가 되는 바람에 무리에서 쫓겨나 같은 처지인 차마와 푸라하를 만나게 되어 함께 다니게 되었고 무리가 다시 받아주지만 재미가 없어서 무리를 나와 라피키의 이웃이 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농담', '수수께끼'.
5.15. 기린
5.15.1. 트위가(Twiga)
성우는 Alex Cartañá.
트위가의 기린 무리 암컷 우두머리.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기린.
5.15.2. 싱고(Shingo)
성우는 Phil LaMarr.
트위가의 무리에 속한 수컷 기린.
5.15.3. 주후디(Juhudi)
성우는 Ivy Bishop.
트위가의 딸.
5.16. 물소
5.16.1. 부루가 부루가(Vuruga Vuruga)
성우는 Virginia Watson.
5.17. 가젤
5.17.1. 스왈라(Swala)
성우는 Tunisia Hardison.
가젤 무리의 대장인 암컷 가젤.
첫 등장 때는 무히무의 얼룩말 무리와 영역 문제로 다투는 모습으로 등장했다.[134] 이유는 얼룩말들과 가젤들이 뜯어먹을 풀이 부족해졌고 영역 문제로 다투게 된 것. 라이온 수호대의 안내로 음발리 평원으로 가는 중 음발리 평원에 거의 다 왔을 때 무히무가 정면에 보이는 평원의 모습을 보고 빨리 풀을 뜯어먹고 싶다면서 달려가 버린 뒤 얼룩말들에게 풀을 뺏기지 않으려고 같이 달려가 버린 영향으로 근처의 바위들이 떨어져 길이 막혀버리게 된데다가 설상가상으로 돌발 홍수에 휘말리다가 카이온의 도움으로 구조된다. 길이 막힌 영향으로 음발리 평원으로 가려면 아웃랜드를 통해서 가야 된다는 라이온 수호대의 말에 얼룩말들과 같이 불평을 표하지만 무히무의 변호에 수긍하고 라이온 수호대의 안내로 아웃랜드를 통해 음발리 평원으로 가던 중, 무히무가 산통이 오자 다른 암컷 얼룩말들과 같이 무히무의 출산을 도와 아들 하무를 낳을 수 있게 해준다. 직후 하무가 울음소리를 크게 내어 잔자 트리오가 그 장소로 쳐들어와 패닉에 빠지지만 무히무의 침착한 반응으로 평점심을 되찾고 다른 얼룩말들과 같이 무히무와 하무 모자를 보호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가젤'.
5.18. 붉은콜로부스
5.18.1. 푸라하(Furaha)
성우는 Mekai Curtis.
활발한 성격의 어린 붉은콜로부스. 장난이 매우 심해 무리 내에서 민폐가 되는 바람에 쫓겨났으며 같은 처지인 차마와 마자하를 만나 함께 다니게 되고 무리가 다시 받아주지만 결국 무리를 나와 라피키의 이웃이 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행복', '기쁨'.
5.18.2. 텀빌리(Tumbili)
성우는 Ace Gibson.
붉은콜로부스의 리더. 상당히 늙어보이는 외모로 보아 고령인듯.
5.19. 맨드릴
5.19.1. 피키리(Fikiri)
성우는 Heather Headley.[135]
마키니의 모친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생각하다, 고려하다'.
5.19.2. 키텐도(Kitendo)
성우는 Christopher Jackson[136] .
마키니의 부친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행동하다, 움직이다'.
5.20. 바람까마귀
5.20.1. 타마(Tamaa)
[image]
성우는 C.J.Brynes(미)/김승준(한)
다른 동물의 목소리를 흉내내는 재주를 가진 바람까마귀. 이름의 뜻은 '욕심'이지만 딱히 욕심 많은 성격은 아니다. 사실 먹이를 구할 힘이 없어 자신의 이런 재주로 잔자, 고이고이, 마쿠 목소리를 내며 작은 동물들에게 겁을 주어 도망쳤을때 그 동물들이 모은 먹이로 식사를 해결하며 살아간다.[137] 카이온의 제의로 절대 그러지 말라는 부탁을 받았으나, 도저히 먹이를 구할 수 없어서 먹이를 구하려고 잔자의 목소리를 내다가 잔자에게 들켜 사로잡히고 카이온 목소리를 내라고 협박당한다. 하지만 나중에는 그것을 또 역으로 이용해 임팔라들을 구해주고 라이온 수호대를 도와준다. 이후 도둑질 생활을 청산하고 코미디언으로 크게 성공해서 굉장히 풍족하게 살고 있다. 라이온 수호대가 양동작전을 펼치는 아웃랜더들의 침공으로 인해 허탕을 치자[138] 이전에 타마가 목소리 흉내를 이용해 잔자 트리오를 겁주어 시간을 번 것을 떠올라 타마를 찾아가 도와달라고 부탁한다. 타마가 자칼 가족들이 있는 장소에 몰래 숨어들어 라이온 수호대의 목소리를 흉내내 자칼 가족들을 겁주어 시간을 벌다가 결국엔 레이레이에게 들켜 붙잡힌다. 붙잡혔을 때 카이온이 시켰다고 털었는데 이를 들은 레이레이가 지금쯤 라이온 수호대가 잔자 무리에게 가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139] 가족들과 같이 마팡고 절벽으로 달려가자 얼른 빨리 카이온에게 알려야겠다며 당장 날아가 카이온에게 자칼 가족들이 여기 오고 있다고 알려준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 라피키와 같이 잔자 무리와 자칼 가족들을 제압하는데 성공한다.
5.21. 오카피
5.21.1. 아자부(Ajabu)
[image]
성우는 Ron Funches(미)/사성웅(한)
표범 마쿠차를 피해 프라이드 랜드에 온 오카피.[140][141] 베스티와 친구가 되지만 수줍은 성격 때문에 매번 숨어다닌다.
5.22. 땅늑대
실제 아프리카에서 최약체로 분류되는 동물인 만큼 겁이 많다.
5.22.1. 마좀바(Mjomba)
성우는 Charlie Alder.
라이온 수호대의 삽질로 아웃랜드로 도망친 땅늑대 중 하나로 라이온 수호대에게서 도망치다가 절벽으로 떨어질뻔한걸 벙가가 겨우 잡는다. 뒤늦게 라이온 수호대가 자신들을 하이에나로 착각했음을 알고 흰 개미가 많다는 말을 듣더니 동료들을 데리러 합류한다. 이후 자칼들에게 잡히지만 라이온 수호대에게 구조되어 프라이드 랜드로 돌아온다.
5.22.2. 하야(Haya)
성우는 Ogie Banks.
5.22.3. 오고파(Ogopa)
성우는 마리브 헤링턴.
5.23. 지라 무리
아웃랜드에 사는 사자들의 무리. 자시리 무리의 물웅덩이를 빼앗은 일로 카이온과 협상을 벌이다가 뜻대로 안 되자 카이온을 죽이려 하나 라이온 수호대와 자시리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쫓겨난다.
시즌 3 결말부에선 원작처럼 지라가 죽고 심바의 프라이드에 합류한 것으로 나온다.
5.23.1. 지라(Zira)
[image]
자세한 내용은 지라 문서를 참조.
5.23.2. 누카(Nuka)
[image]
5.23.3. 비타니(Vitani)
[image]
5.23.4. 코부(Kovu)
[image]
5.24. 고릴라
5.24.1. 마지뉴니(Majinuni)
성우는 Dan Howell(미)/사성웅(한)
소크웨 왕의 아들이자 고릴라들의 왕자. 장난끼 많은 성격.
시즌 3 마지막화에서 카이온의 대관식에 참석한 모습으로 잠시 등장.
5.24.2. 하피푸(Hafifu)
성우는 Phil Lester(미)/위훈(한)
소크웨 왕의 아들이자 고릴라들의 왕자. 형제인 마지뉴니와 마찬가지로 장난끼 많은 성격.
시즌 3 마지막화에서 카이온의 대관식에 참석한 모습으로 잠시 등장.
5.24.3. 소크웨(Sokwe)
[image]
성우는 John Rhys-Davies(미)/이광수(한)
고릴라들의 왕이자 마지뉴니와 하피푸 형제의 아버지.
거칠고 무섭게 생긴 모습만큼 엄격하지만 사실은 아들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장난끼가 많다[142] 시즌 2 후반부와 시즌 3 오프너 에피소드에서는 동맹으로서 고릴라 전사 슈자를 프라이드 랜드에 파견해준다.
시즌 3 마지막화에선 카이온이 모험을 마치고 왕위에 오르는 모습을 심바 가족을 포함한 다른 프라이드 랜더들과 함께 지켜보는 모습으로 등장.
5.24.4. 슈자(Shujaa)
[image]
성우는 Christopher Jackson.
덩치가 '''굉장히''' 큰 고릴라로, 거의 킹콩 수준의 비현실적인 거대함을 자랑하는 캐릭터.
같은 고릴라인 하피푸 & 마지뉴니 형제나 소크웨 왕보다 두 배 이상 크며, 심지어는 베스티보다 훨씬 크고 거의 마템보와 맞먹는 덩치를 보여준다.
덩치에 걸맞게 근력과 맷집이 '''굉장히''' 강하며[143]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 싶은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있으나 너무 힘이 세서 통제를 잘 못하는지 뭔가를 할 때마다 주변을 다 때려부순다.[144] 그래도 베스티의 도움으로 완력을 통제하는 방법을 깨닫고 라이온 수호대를 도와준다.[145]
말버릇은 '''"Shujaa Ponda!"'''[146]
3기 1화에서도 프라이드 랜드의 지원군으로 다시 등장한다. 자칼 가족들이 바위를 떨어트리는 방식으로 공격하던 것에 대응해 커다란 바위를 들어올려 자칼 가족들을 도망치게 만든다.
시즌 3 마지막화에 카이온의 대관식에 참석한 모습으로 등장.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영웅', '챔피언'.
5.25. 아프리카뿔매[147]
5.25.1. 하디티(Hadithi)[148]
[image]
성우는 John O'Hurley(미)/송준석(한)
새들에게 전설로 불리는 수컷 아프리카뿔매. 아예 이름 뜻 자체가 스와힐리어로 전설이다.[149] 굉장히 자기 자랑이 심하지만 얄밉다고 느껴질 정도는 아니다. 명대사는 '''더 높이 날수록, 더 많이 존경받을 것이다.'''[150]
새들을 하이에나로부터 구해주고 다른 동물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말을 많이 하지만 정작 본인은 자신이 '하디티 대회전' 이라는 비행기술로만 유명한 줄 알고 있다. 심바의 제안으로 발 도장찍기 의식에 참여하려 하지만 의식에 참여하기 위해 위기에 처한 오노와 클립스프링어들을 두고 온 것이 마음에 걸려 의식에 참여하지 않고 오노를 구하러 간다. 이후 오노에게 자신의 '하디티 대회전'은 그냥 폭포에서 떨어진 것이라고 털어놓는다. 그러나 이미 오노는 '하디티 대회전'이 항공역학적으로 불가능한 줄 알고 있었고, 이후 하디티는 자기 대신 오노를 영웅으로 대하며 오노의 비행기술에 '오노 대회전' 이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다만 그의 명성은 하디티 대회전과는 큰 상관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에도 명성을 잃지 않고 새들을 비롯한 동물들의 영웅으로 대접받고 있다. Fire from the Sky에서는 대머리수리들과 싸울 때 새들을 소집하여 지휘하는 역할을 했고 자기도 나서서 싸웠으나 오노와 앙가를 구하느라 가시덤불에 갇히게 된다. 대신 오노에게 조언을 해준 덕분에 오노가 앙가와 함께 하디티 대신 새들을 지휘하여 대머리수리들을 날려버리는데 성공한다. Battle for the Pride Lands에서 앙가와 함께 심바와 날라를 불타는 프라이드 락에서 구해낸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와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과 함께 아웃랜드에서 스카의 잔당들과 싸울 때 앙가, 다른 새들과 함께 독수리 의회와 맞서 싸운다.
시즌 3 마지막 화에서는 라이온 수호대가 모험을 끝내고 프라이드 랜드로 돌아온 뒤 주변 지인들에게 인사를 하러 돌아다닐 때 앙가와 재회를 하는 모습으로 잠시 등장. 놀라면서 엄청 좋아하는 앙가의 표정이 압권이다.
생김새고 행동이고 앵그리버드 시리즈 의 마이티 이글을 닮았다는 평이 많다. 물론 하디티 쪽이 훨씬 영웅답다.
5.26. 소등쪼기새
5.26.1. 뭰지(Mwenzi)
성우는 Rhys Darby.
코뿔소 키파루와 함께 다니던 소등쪼기새. 키파루와 서로 다투어 잠시 떨어져 지내다가 라이온 수호대의 제의로 화해하고 다시 같이 다니게 된다.
5.27. 망치머리황새
5.27.1. 쿨린다(Kulinda)
성우는 Elise Allen.[151]
오노의 둥지에서 알을 놓은 어미 망치머리황새. 탁란은 아니고 임피시가 나타나자 이사를 하려고 했고 집을 짓는 것을 마무리할 때까지 잠시 맡긴 것.
시즌 3 마지막 화에 라이온 수호대가 모험을 끝내고 프라이드 랜드로 돌아온 뒤 주변 지인들에게 인사를 하러 돌아다닐 때 그녀의 집을 찾아온 오노를 맞이하며 가족 춤을 추는 것으로 딸과 같이 잠시 등장.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지키다', '보호하다'.
5.27.2. 오나(Ona)
오노의 둥지에서 부화한 쿨린다의 딸로, 매우매우 귀엽다. 오노가 잠시 돌봐야 했는데 나비를 쫓아서 사방팔방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해서 오노가 고생을 많이 했다. 그러다가 므오가와 임피시에게 잡아먹힐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와 오노의 활약으로 무사했고 쿨린다가 아이를 구해줘서 고맙다며 오노의 이름을 따서 오나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152]
시즌 3 마지막 화에 라이온 수호대가 모험을 끝내고 프라이드 랜드로 돌아온 뒤 주변 지인들에게 인사를 하러 돌아다닐 때 그녀의 집을 찾아온 오노를 맞이하여 셋이서 가족 춤을 추는 것으로 엄마와 같이 잠시 등장. 이 때 모습은 태어났을 당시보다 조금 커지고[153] 털갈이를 해서 몸색이 회색빛에서 갈색빛을 띄게 되었다.
여담으로 하무에 이어 작중 현시점에서 태어나는 모습으로 등장하는 두번째 아기 동물이다.
작중 태어나자마자 바로 일어서는 모습을 보이고 매우 잘 돌아다니는데 망치머리황새를 포함한 막 알에서 깨어난 아기새들은 바로 일어설 수도 없는 건 물론이고 걸어다닐 수도 없다. 물론 만화이고 스토리 진행을 위해 일부러 고증을 무시한 듯.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보다', '믿다', '느끼다'.
5.28. 아프리카매
5.28.1. 임피시(Mpishi)
성우는 Carla Hall.
다른 곳에 살던 암컷 매. 비가 오고 폭풍이 치던 때 프라이드 랜드까지 날아와 사냥을 하려는데 처음엔 바위너구리들과 토끼들을 잡아먹으려다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실패한다. 우연히 만난 므오가와 함께 사냥감에 대해 협상을 하고 이후 망치머리황새인 쿨린다의 새끼(오나)를 잡아먹으려다 오노에 의해 실패하고 물러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요리사'.
5.29. 붉은바위토끼
5.29.1. 마시키오(Masikio)
성우는 디 브래들리 베이커.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붉은바위토끼 중 하나. 비가 오고 폭풍이 칠 때 산사태를 피하려다가 본인들을 잡아먹으려고 습격하려는 임피시를 보고 겁을 먹어 근처 땅돼지 굴에 숨어버린다. 무리 중 한 토끼가 근처를 지나가던 라이온 수호대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라이온 수호대의 도움으로 빠져나온다. 그러다가 동생이 아직 구출되지 않았다며 놀라지만 카이온의 도움으로 동생도 무사히 구출된다.
이름의 뜻은 스와힐리어로 '귀'.
5.30. 거북
5.30.1. 콩웨(Kongwe)
성우는 CCH Pounder.
심바가 스카와 싸우는 데 조언을 얻기 위해 프라이드락으로 초청한 거북.
5.31. 벌꿀오소리
5.31.1. 빙가(Binga)
성우는 Fiona Riley.[154]
시즌 3 후반부에 등장하는 포도색 털의 암컷 벌꿀오소리. 성격도 능력도 벙가와 똑같으며 호흡이 잘 맞는다. 그야말로 암컷 벙가.
시즌 3 마지막화에선 카이온의 대관식에 벙가와 함께 참석한 모습으로 등장.
5.32. 도마뱀붙이
5.32.1. 호다리(Hodari)
성우는 Justin Hires.
라이온 수호대와 친한 도마뱀붙이.
마쿠의 악어 무리에 들어가는 것이 소원인데 마쿠 무리의 싸움 기술까지 익힐 정도. 그러나 악어가 아니라는 이유로 마쿠에게 비웃음 당한다. 그러나 근처에서 이를 엿들은 슈파부와 느자노가 호다리가 라이온 수호대와도 친한데다가 마쿠 무리의 기술을 잘 알고 있고 또한 그가 악어 무리에 들어가고 싶다는 것을 이용해 호다리를 꼬신 다음 키부리의 무리에 들어가게 한다.[155] 그러다가 실수로 키부리에게 마쿠의 부상[156] 에 대해 말해버려 본의아니게 키부리의 무리가 마쿠의 무리를 공격하는 계기를 만들고 말았다. 결국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자신의 도마뱀붙이의 능력을 이용해 마쿠를 공격하는 키부리에게 들러붙어 마쿠를 구해준다. 이에 마쿠가 고마움으로 호다리를 명예 악어로써 자신의 무리에 들어가게 해준다.
시즌 3 1화에서 아웃랜드 침공 때 탐카에게 들러붙어 간지럼을 태우는 모습과 프라이드 랜더들이 스카의 군단을 모두 제압한 뒤 라이온 수호대가 스카가 있는 화산으로 향해 갈 때 손을 흔들어주는 모습으로 깨알같이 등장.
정보통이 어두운지 키부리가 프라이드 랜드에 추방당한 이유를 여태껏 몰랐다(...)
여담으로 겨울왕국2에 나오는 도마뱀 캐릭터 브루니가 얘와 많이 닮았다.
5.33. 카멜레온
5.33.1. 키뇽가(Kinyonga)
성우는 Meghan Strange.
프라이드 랜드에 사는 암컷 카멜레온.
첫 등장 당시 서스톤의 얼룩말 무리와 트위가를 놀래키는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알고보니 본인이 보호색 상태라는 것을 깜빡한 것이고 놀래킬 생각은 전혀 없었으며 라이온 수호대에게서 도망친 것도 그냥 단순히 라이온 수호대가 그녀를 쫓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웃랜더들에 대해 얘기를 하는 라이온 수호대의 말을 듣고 자신이 대신 아웃랜드에 가서[157] 스카의 음모를 알아오겠다고 한다. 보호색을 이용해 스카의 아지트에 잡입하여 작전을 몰래 듣다가 도마뱀들에 의해 들켜 추격당하지만 미리 변장을 하고 대기 중이었던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무사한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에게 스카가 하이에나들에게 하쿠나 마타타 폭포의 물을 막아 버릴 것이라고 알려주고 그날 밤, 폭포에 잡입한 잔자의 무리를 쫓아내게 한다. 그러다가 자신의 보호색으로 잔자를 놀래키자 다른 동물들을 놀래키지 않겠다는 라이온 수호대와의 약속을 어겼다는 생각에 도망친다. 다음 날, 라이온 수호대와 만나 카이온에게 어제 일은 고마웠다는 말을 듣고 잔자네는 그 약속에 예외라는 말을 듣는다.
시즌 3 Friends to the end 에피소드 과거 회상에서 카메오로 등장한다.
참고로 스카가 시즌 2 28화에서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 앞에서 직접 모습을 드러내기 이전까진 스카의 부활을 알고 있던 몇 안 되는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 중 하나였다.
5.34. 뱀
5.34.1. 보라색 뱀(Strange Cobra)
스카의 과거에 나온 보라색 코브라로 스카의 흉터가 그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그의 독은 치명적인 맹독이 아닌 내면의 어둠을 키우는 독이다.
5.35. 타조
알을 지키는 모습이나 배경급으로 자주 나온다.
5.35.1. 믐부니(Mbuni)
성우는 Russi Taylor.
타조 무리의 대장인 암컷 타조.
5.35.2. 캄부니(Kambuni)
성우는 Mckenna Grace.
마토토의 친구들 중 하나인 어린 암컷 타조.
친구들이랑 같이 라이온 수호대 놀이를 하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하이에나 흉내는 내진 말라는 말을듣는다. 이후 라이온 수호대의 훈련을 구경하고 온 마토토의 제안으로 바위너구리들을 하이에나 대응으로 쫓으며 놀다가 진짜로 나타난 잔자 무리에게 쫓기게된다. 친구들과 같이 빠져 나와서 라이온 수호대에게 마토토가 하이에나들에게 쫓기고 있다고 알려준다. 이후 카이온이 진흙으로 마토토에게 가드 마크를 그려주자 친구들과 같이 자기들도 마크를 그려달라고 조른다.
이후 엑스트라로도 잠시 등장하는 다른 친구들과는 달리 저 에피소드에만 등장한다.
6. 기타 동물들
플라밍고- 배경으로 나오다 시즌 3에서 무리지어 나온다. 굉장히 시끄러우며 석호에서 축제를 연다.
벌잡이새
투라코(봉관조)- 배경급이지만 귀요미. 마키니가 가장 좋아하는 새이다.
황로- 오노의 동족들. 오노가 꽁지와 머리깃이 빠졌을 때 자기들도 따라서 깃털을 뽑아버린다.
클립스프링어
땅돼지
바위너구리- 투라코처럼 배경급 귀요미. 말을 안한다.
임팔라
7. 시즌 3의 동물들
프라이드 랜드를 벗어난 세계 여행이 테마이기 때문에 아프리카엔 살지 않는 세계 각지의 다양한 동물들이 많이 나온다.
7.1. 일본원숭이
설산에 사는 원숭이 가족. 거대 맹금류가 이들의 천적이기 때문에[158] 이들에게 길을 물어보려던 앙가를 보자 겁을 먹고 눈뭉치 등을 던지면서 호들갑을 떤다. 앙가가 원숭이들과 대화를 실패했다는 것에 화가 난 카이온이 지름길을 만들겠답시고 왕의 함성을 사용하는데, 이것 때문에 눈사태가 발생해서 졸지에 집을 잃게 된다. 카이온은 미안함을 느끼고 이들에게 새로운 집을 찾아주기로 했는데, 그들이 새로 찾은 집 근처에 사는 날다람쥐가 이웃 환영이랍시고 일으킨 소동으로 라이온 수호대가 사태를 수습하기도 전에 또 도망을 가버린다. 그러다 나무 근처의 깊은 눈 구덩이에 빠지게 되고, 앙가가 이들 원숭이 일가족과 벙가를 함께 구해준다.[159] 에피소드 결말부엔 완전히 새로운 온천으로 이사하게 되고, 처음엔 엄청 무서워하던 앙가와도 친해진다.
7.1.1. 유키(Yuki)
원숭이 가족의 엄마.
이름의 뜻은 일본어로 눈.
7.1.2. 히타시(Hitashi)
원숭이 가족의 아빠.
7.1.3. 나바스(Nabasu)
유키와 히타시의 아들.
7.1.4. 키묘(Kimyo)
유키와 히타시의 딸.
7.2. 날다람쥐
7.2.1. 타후(Tafu)
원숭이 가족들이 카이온의 실수로 집을 잃자 카이온 일행이 새로 찾은 집 근처 나무에서 사는 날다람쥐 중 하나. 무리의 다른 날다람쥐들과 같이 나무 위를 날아다니면서 소동을 일으켰지만 사실 원숭이 가족을 이웃 환영이랍시고 맞이해준 것인데 라이온 수호대가 사태를 수습하기도 전에 원숭이 가족들이 또 도망가 버리게 된다.
7.3. 눈표범
유일하게 출롱만 등장한다.
7.3.1. 출롱(Chuluun)
레서판다들이 사는 대나무숲 근처의 설산에 살던 암컷 눈표범. 서클 오브 라이프를 따르지 않는 악당이다. 자신의 보호색을 이용해 레서판다들을 괴롭히는 설산의 유령으로 등장하는데, 순전히 본인의 재미를 위해서 그런 것이었다. 결국 레서판다들의 부탁을 받은 "선택받은 자" 벙가가 나서서 출롱을 저지한다. 마지막엔 힘을 합친 레서판다들과 라이온가드에 의해 절벽 끝에 몰리는데, 벙가의 방귀 공격에 관광을 당하고 밑으로 추락한다.
꽤 높은 곳에서 떨어졌으나 쌓여있었던 눈 덕분에 죽진 않았고, 이때 나타난 마쿠차와 손을 잡고 생명의 나무에 가서 라이온 수호대에게 복수하려 한다.
여담으로 마쿠차 일당 중에선 유일하게 일당에 합류하기 이전에 부하를 두지 않은 악역 이다.
초기 설정 아트에서는 일반 표범들과 비슷한 디자인이었다.
이름의 뜻은 몽골어로 '장애물', 또는 '잔인한'.
7.4. 레서판다
모두 이름이 몽골어로 지어져 있다. 이것은 같은 지역에 살던 출롱도 마찬가지.
출롱의 괴롭힘에 의해 살던 곳에서 쫓겨나 두려움에 떨면서 살아가던 중 절벽에 떨어진 벙가를 '선택받은 자'로 받들며 라이온 수호대에게 '설산의 유령(출롱)'을 없애 달라고 부탁한다. 나중에 용기를 얻어 라이온 수호대와 같이 출롱과 맞서게 되고 출롱이 사라진 후, 라이온 수호대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작별한다.
7.4.1. 도목(Domog)
레서판다의 장로.
이름의 뜻은 몽골어로 '옛날이야기'.
7.4.2. 두기(Dughi)
이름의 뜻은 몽골어로 '둥근'.
7.4.3. 버긴느(Bogino)
이름의 뜻은 몽골어로 '짧은'.
7.5. 코모도왕도마뱀
7.5.1. 오라(Ora)
코모도왕도마뱀 일당의 대장. 라이온 수호대를 공격하지만 카이온의 포효에 의해 일어난 해일에 파묻히지만 어찌저찌 헤엄쳐 왔는지 해변에 있던 룸바룸바를 잡아먹으려다가[160] 라이온 수호대에 의해 관광당한다. 이후 카이온이 함성을 이용해 길을 만들어 바다를 가로질러 가는 것을 보고 부하들과 같이 그들을 뒤쫓아가지만 라이온 수호대가 다 건너가 카이온이 함성을 해체하였고 결국 파도에 휩쓸린다.
이후 어찌저찌 해변까지 헤엄쳐 왔고 그때 나타난 마쿠차와 출롱과 함께 손을 잡고[161] 라이온 수호대를 생명의 나무까지 쫓아가 복수하려고 한다.
이름의 뜻은 인도네시아어로 '코모도왕도마뱀'.
7.6. 분홍돌고래
이 분홍돌고래는 인도양혹등돌고래라는 종이다.
7.6.1. 룸바룸바(Lumba-Lumba)
라이온 수호대가 툴리자와 비석을 찾기 위해 섬으로 가기 이전에 바닷가에서 만난 암컷 분홍돌고래. 유쾌하고 친절한 성격.
카이온이 오라 일당을 날려버리기 위해 포효를 사용한 여파로 생긴 해일에 의해 해변에 떨어지게 되었고 이에 라이온 수호대가 그녀를 다시 바다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 도와준다. 그러다가 다시 돌아온 오라 일당에 의해 잡아먹힐 위기에 처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활약으로 무사한데다가 다시 바다로 무사히 되돌아갔으며 라이온 수호대가 카이온의 포효를 사용해 섬을 빠져나간 이후 떠나는 라이온 수호대에게 작별인사를 한다.
이름의 뜻은 인도네시아어로 '돌고래'.
7.7. 빈투롱
7.7.1. 마마 빈투롱(Mama Binturong)
3기 9화부터 등장하는 악역. 호저들을 부하로 두고 있다. 숲에 있는 툴리자를 독점하면서 부하들과 같이 숲속의 동물들을 괴롭혀왔다.[162] 카이온 일행이 툴리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마키니가 카이온에게 툴리자를 먹이는 틈을 타서 그녀의 지팡이를 훔친다. 카이온 일행이 숲속의 동물들에게 겨우겨우 수소문 한 끝에[163] 그녀의 아지트를 찾았는데 해당 장소가 일행이 전부 들어가기 힘든 장소[164] 여서 유일하게 마마 빈투롱의 아지트에 제대로 들어갈 수 있는 벙가가 가게 된다. 부하들과 같이 벙가를 다굴하려고 하였지만 벙가의 방귀 공격에 역관광 당하면서 가지고 있던 툴리자가 벙가의 방귀에 의해 전부 썩어버린다. 이에 벙가에 대한 복수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라이온 수호대의 뒤를 몰래 뒤쫓아갔는지 생명의 나무의 입구에서 나이트 프라이드에 의해 고전하고 있던 중인 마쿠차, 출롱, 오라의 앞에 나타나 같이 손을 잡는다.
마쿠차 일당과 함께 손을 잡고 그들에게 습격당하는 척 나이트 프라이드의 보호를 받아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게 되는데[165] 이 때 자신을 '긴터봉'이라고 속인다. 정보를 얻은 다음 자신이 습격당한 척 나이트 프라이드와 라이온 수호대의 시선을 돌린 틈에 마쿠차 일당이 잔나 여왕을 습격해 혼란의 틈을 타서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게 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그러나 출롱의 이름을 언급을 해버리는 바람에 오노가 여러 정황[166] 과 함께 그녀가 마쿠차 일당과 한패라는 것을 눈치챈다. 한편 벙가를 보자 복수심으로 벙가와 빙가를 습격하다가 나이트 프라이드와 마주쳐 벌꿀 오소리들에게 공격받았다고 거짓말을 하지만 벙가와 빙가의 증언, 슈락이 그녀는 분명히 다리를 다쳤다고 하는데 멀쩡히 돌아다닌다는 것을 간파한데다가 울루가 나이트 프라이드에게 오노의 말을 전달해 결국 정체가 들통나자 도망을 치다가 벙가와 빙가의 방귀 공격에 역관광 당한다.
은근 벙가와 악연이 깊다. 첫등장 에피소드에선 벙가와 싸운데다가 라이온 수호대에게 복수하려 하는 주요 이유가 바로 벙가에게 복수하려는 것이고 게다가 마쿠차 일당 중에선 벙가의 방귀 공격에 가장 많이 당했다(…).
7.8. 말레이시아 호저
7.8.1. 스문(Smun)
마마 빈투롱의 호저 부하들 중 하나. 호저 무리의 리더격인 인물로 보인다. 마마 빈투롱을 도와 동료들과 같이 숲속의 동물들을 괴롭혀왔었다. 툴리자가 들어있는 마키니의 지팡이를 훔치게 되었으며 이후 마키니의 지팡이를 찾기 위해 아지트로 들어온 벙가를 마마 빈투롱의 명으로 다굴하려고 하였으나 벙가의 방귀 공격에 역관광당한다. Triumph of the Roar에서는 자신의 무리들을 포함해 마쿠차의 부하들인 파하리와 지오나, 오라의 부하들과 같이 마쿠차 일당의 추가 병력으로 재등장.[167] 이후 울루를 붙잡아 두고 그 틈에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 나이트 프라이드를 생명의 나무 안에 가두어 놓은 다음 그 곳의 동물들을 공격하지만 라이온 수호대의 공격과 카이온의 포효에 역관광 당하고 카이온이 포효로 만든 회오리바람에 휘말려 아주 먼 곳으로 날아간다.
7.9. 호랑이
7.9.1. 바리야(Varya)
3기 15화 Long Live the Queen 에피소드에서 조연으로 등장. 암컷 호랑이이며, 3마리 새끼 호랑이가 있는 엄마다. 설원에서 사는걸 보면 종은 시베리아호랑이로 추정
생명의 나무로 들어가려는 길에 마쿠차 무리와 마주쳐 위기에 처한 모습으로 첫 등장한다. 직후 나이트 프라이드와 라이온 가드의 난입으로 무사히 구출된다.
이름의 뜻은 러시아어로 '이방인'.
현실에선 다 큰 시베리아 호랑이 정도의 체구면 표범, 눈표범, 코모도 도마뱀 정도는 가뿐하게 이길 수 있는데 만화적 허용으로 꼼짝 못하는 모습으로 나온듯하다. 지켜야 할 새끼들도 있는 상태였다.
7.9.2. 펠릭스(Feliks)
바리야의 아들.
이름의 뜻은 러시아어로 '행운'.
7.9.3. 폴리나(Polina)
바리야의 딸.
7.9.4. 파샤(Pasha)
바리야의 딸.
7.10. 구름표범
7.10.1. 윤미부(Yun Mibu)
Friends to the end 에피소드에 등장한 친절한 성격의 구름표범.
베스티와 친근하게 대화를 나누던 중 카이온의 위협에 겁 먹고 도망친다.
이후 카이온이 절벽에 떨어질 위기에 처하자 베스티가 도움을 요청해서 데리고 왔으며 카이온을 구해주는 걸 도와준다.
7.11. 올빼미
7.11.1. 울루(Ullu)
나이트 프라이드의 조력자인 암컷 흰 올빼미. 생명의 나무 입구에 대기를 하면서 침입자가 생길 시 즉시 나이트 프라이드에게 보고를 하는 모습으로 자주 나온다.
Triumph of the Roar 에피소드에서 깜빡하고 졸아버려 그 틈에 마마 빈투롱에게 붙잡히고 호저 무리에게 감시당하지만 목을 180도로 돌려 호저 무리가 당황한 틈을 타 빠져나간다. 이후 나이트 프라이드와 라이온 수호대에게 마쿠차 일당이 생명의 나무에 쳐들어온 것을 알린다.
이름의 뜻은 힌디어로 '올빼미'.
7.12. 북극곰
7.12.1. 탕가아김(Tangaagim)
7.13. 펭귄
7.13.1. 펭귀노(Pinguino)
7.14. 아라비아산양
7.14.1. 체크(Cek)
7.14.2. 라마(Rama)
7.15. 여우
7.15.1. 아스투토(Astuto)
7.16. 땃쥐
7.16.1. 츠아(Tsah)
7.16.2. 세이셈(Sasem)
7.17. 사향노루
7.17.1. 키릴(Kiril)
7.18. 대왕판다
7.18.1. 헝헝(Heng Heng)
7.19. 여우원숭이
7.19.1. 켈리(Kely)
7.20. 그 외
공작, 낙타, 새앙토끼 등.
8. 사자
시즌 3에 새롭게 등장하는 사자들은 아스카리를 제외하면 모두 나이트 프라이드라는 무리의 사자들로서, 흑갈색 모피를 지니고 있다. 프라이드 랜드에 있는 심바 무리의 사자들이 아프리카 사자라면, 생명의 나무에 거주하는 나이트 프라이드 사자들은 아시아 사자이다[168]
8.1. 아스카리(Askari)
최초의 라이온 수호대의 수장이자 프라이드 랜드 일가의 먼 조상이다.[169] 사자와 코끼리들의 동맹도 아스카리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내용이 본편 2시즌 때 언급된다. 이전에는 벽화 등에서만 등장하다가 시즌 3 후반부에 무파사처럼 영혼 상태로 하늘에서 등장한다. 카이온이 포효를 수련하는 것을 도와 카이온이 포효의 마스터가 될 수 있게 해준다. 마지막 화에서 카이온이 비타니에게 라이온 수호대의 직위와 포효의 힘을 넘겨주었을 때 프라이드 랜드의 동물들 앞에 등장하여 카이온에게 새로운 포효의 힘을 주게 된다. 이후 에필로그인 카이온의 대관식에서 무파사, 잔나와 같이 하늘 위에서 등장한다.
이름은 스와힐리어로 '군인, 병사, 지키는 자' 등의 뜻. 'Askari wa Simba'라고 하면 라이온가드를 스와힐리어로 말한 것이다.
8.2. 잔나(Janna)
생명의 나무의 여왕. 라니의 할머니. 3기 15화에서 라니에게 생명의 나무의 여왕 직위를 물려주고 숨을 거둔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선 무파사, 아스카리와 함께 구름 위에서 영혼 상태로 등장.
이름은 힌디어로 '낙원'을 뜻하는 जन्नत(잔나타)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8.3. 라니(Rani)
시즌 3 후반부에 등장하는 카이온 또래의 암사자. 나이트 프라이드의 리더이자 생명의 나무의 공주로, 여왕 잔나의 손녀.
3시즌 15화에서는 생명의 나무의 새로운 여왕으로 즉위한다.
3시즌 19화에서는 생명의 나무로 돌아온 카이온과 짝으로 맺어진다.
이름의 뜻은 힌디어로 '여왕'.
8.4. 발리오(Baliyo)
시즌 3 후반부에 등장하는 수사자. 나이트 프라이드의 일원이자 라니의 남동생. 라니보다는 체구가 조금 큰 편.
수사자인데도 고양이 수염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름의 뜻은 네팔어로 '강인함' 내지는 '확고함'.
8.5. 슈락(Surak)
시즌 3 후반부에 등장하는 수사자. 나이트 프라이드의 일원이자 잔나의 아들이며 라니와 발리오의 삼촌(작은아버지).
이름은 힌디어로 '수많은 악귀를 징벌하는 자'라는 뜻을 가진 고어(古語).
발리오와 마찬가지로 3시즌 자체의 축소된 분량 때문에 슈락은 비중이 정말 극도로 적은 캐릭터다. 그래서 사실상 나이트 프라이드의 스카라고 할 수 있는 엄청 의미심장한 포지션에 있는 캐릭터지만 자세한 이야기나 성격을 전혀 알 수 없다. 그래도 표면적으로는 조카딸인 라니에게 헌신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자신의 의무를 중요시 여기는 베테랑의 포스를 보여준다. 어머니인 잔나 여왕에 가려져서 티는 잘 안 나지만 언행이 약간 현자 스타일이기도 하다.
8.6. 니르말라(Nirmala)
시즌 3 후반부에 등장하는 암사자. 나이트 프라이드의 일원이다. 생명의 나무 출신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찾아온 사자다.
이름의 뜻은 산스크리트어로 '순수하다', '깨끗하다'.
8.7. 사하시(Sahasi)
잔나 여왕의 아들이자, 슈락의 형, 라니와 발리오 남매의 아버지. 작중 시점에서는 이미 고인이다. 무파사처럼 하늘에서 영혼으로 등장한다.
갈기와 모피의 색상을 제외하면 심바랑 비슷하게 생겼다.
이름의 뜻은 힌디어로 '용기', '용맹'.
8.8. 아난다(Ananda)
사하시의 아내이자 라니와 발리오 남매의 어머니. 사하시와 마찬가지로 이미 고인이다. 11화에서 사하시와 함께 딱 한 번 등장한다.
이름의 뜻은 힌디어로 '즐거움'.
[1] Aquila spilogaster라는 학명처럼 이름만 매고 사실 독수리의 일종.[2] 더빙판에서는 '하디시'로 번역되었다.[3] 현실로 따지자면 국가의 경찰 업무와 군사 활동, 그 외 왕가의 안전을 담당하는 기관이다.[4] 작중 라이온 수호대의 역사가 담겨진 벽화에서 볼 수 있는 전대 라이온 수호대의 모습도 전부 수사자들 뿐이다. 2기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마키니가 훌리를 라이온 수호대 최초의 여성 멤버라고 하는 장면도 있다.[5] 이름의 유래는 멍청하다는 뜻의 스와힐리어 Bunga 에서 따왔다. [6] 우타무 에피소드에 의하면 벙가도 추방당한 직후의 심바처럼 고아나 다름없는 상태였는데 티몬과 품바가 주워서 키웠다고 한다. 이것으로 싱크홀 에피소드에서 벙가는 심바와 의형제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7] 심지어 외국 유튜브엔 벙가가 방귀를 뀌는 장면들을 모은 영상집이 있다.[8] 스와힐리어로 '펄쩍 뛰는 움직임'을 표현한 의태어인데 벙가는 그냥 감탄사처럼 많이 쓴다.[9] 라이온 수호대가 되기 전부터 가공할 실력의 달리기 실력을 보여주었다. 카이온 역시 이를 잘 알아보았다.[10] 이는 시즌 3에서 카이온이 흉터의 독으로 인해 종종 통제를 잃을 때 훌리가 대신 대원들에게 명령을 내리는 모습에서 잘 드러난다.[11] 스와힐리어로 '넌 날 잡지못해'[12] 근력은 작중에서 마템보가 올라가있는 바위를 혼자 밀어내며 전진할 정도로, 작중에서 얘보다 힘이 강한 동물은 고릴라 왕국에서 온 슈자 정도밖에 없다.[13] 스와힐리어로 '하마가 간다!'[14] 벙가또한 항상 Big B라고 부른다.[15] 해오라기 종류 중에서 유일하게 대형 초식동물과 가까이 지내는 종이다. 대형 초식동물들이 풀밭을 헤집을 때 도망쳐나오는 풀벌레 등을 사냥하기 때문이다. 동물 다큐멘터리에서 사바나 초원의 코끼리나 물소 같은 초식동물 주변에서 돌아다니는 하얀 새들의 정체가 바로 황로. 우리나라의 육우 방목지에서도 소들 주변을 노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논에서 트랙터나 경운기를 따라다니기도 한다.[16] 이때 다른 황로들이 놀릴까봐 걱정을 많이 했는데 황로 친구들은 자기들도 오노를 따라 머리깃을 모두 뽑아버렸다.[17] 카이온을 공격하려던 우샤리를 저지하려다가 같이 용암으로 떨어지게 된 것이다.[18] 이때부턴 작화상으로도 흐릿한 보라색 눈으로 나온다. 참고로 오노의 언급과 묘사를 보아 완전히 안 보이는 것 까진 아니고 흐릿하게 보이는 수준으로 보인다.[19] 다만 잔나의 말에 따르면 '가장 예리한 시야를 가진 자' 당시 처럼 잘 보일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그래도 본인은 이것으로도 만족은 하는 모양.[20] 스와힐리어로 '오, 안돼!' 참고로 알에서 부화하자마자 처음으로 한 말이기도 하다;;[21] 오노가 생각을 떠오를 때 자주 나온다.[22] 앙가 또한 솔로곡은 없긴 하지만 앙가는 상당히 최근에서부터 등장한 캐릭터라는 걸 일단 감안해야 된다.[23] 재미있게도 오노의 영문판 성우인 애티커스 샤퍼는 라이온 수호대 초기 멤버 성우들 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24] 스와힐리어로 '침착해라, 진정해라' 등의 의미.[25] 여유롭고 온화하기로는 무파사에 맞먹는 그 마템보마저 이성을 잃었다.[26] 스와힐리어로 '하늘을 노려라'[27] 이렇게 써서 그렇지 성체 숫사자의 몸무게는 보통 100~250 kg 정도 되는 편이다. 만화상 허용이라던가 독수리 두 마리가 동시에 협동으로 들어올렸다고 쳐도 결코 가볍지는 않았을 것이다.[28] The Lake of Reflection 편에서 잔자 트리오가 라이온 수호대 멤버 또래의 모습으로 나온 것을 통해 대략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 시리즈 초반 당시 라이온 수호대 멤버들이 10대 초반이라고 하는 제작진의 언급과 어린 시절 서로 처음 만났을 당시와 현시점 나이대를 인간식으로 대략 환산하면 유치원생 정도의 애들(카이온, 벙가, 훌리, 베스티)에게 털린 초등학교 저학년(잔자, 치지, 청구) 정도의 느낌(...)이고 시즌 1~2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애들(라이온 수호대)에게 털렸던 고등학생들(잔자 무리) 정도의 느낌(...).[29] 실사영화에서 티몬을 연기했다.[30] Never Judge a Hyena by It's Spots(하이에나라고 다 나쁜 건 아니야)에서 자시리의 언급이나 그녀와의 대화를 보면 굳이 라이온 수호대 때문이 아니더라도 이전에도 자주 대립하던 사이였던 것으로 보인다.[31] 이런 추측이 나올만도 한게 그녀가 자신을 화나게 만든다거나 미치게 만든다는 가사가 자주 나오는 편이며 '그 간드러지는 웃음에 깜찍한 눈웃음까지' 등 그녀에 대해 감탄하거나 칭찬하는 듯한 가사도 은근 자주 나오는 편이다! 그리고 카이온 얘기도 잠시 꺼내면서 카이온을 질투하는 듯한 것 같은 묘사 또한 잠시 나온다(물론 잔자의 상상 속 연출이긴 하지만 자시리와 같이 있는 카이온을 들어올려 입바람으로 날려버리기도 하였다.). 참고로 자시리가 춤을 추는 장면 초반에는 스포트라이트와 그림자는 평범하게 나왔었는데 중반에 스포트라이트와 그림자가 하트 모양이 되었고(참고로 영상 배경에서도 하트 모양이 은근히 자주 나오는 편이다) 그 즉시 카이온이 끼어들어 자시리와 같이 춤을 춘다. 게다가 가사와는 별개로 영상 속 자시리는 상당히 예쁘게 나오기까지 하였다(...). 참고로 노래를 부르기 이전 우샤리에게 자시리에 대해 얘기하면서 살짝 웃은 모습(그것도 악랄하게 웃은 것이 아닌 무난하게 미소를 띄운 웃음)이 포착되기도 하였고 노래를 부른 이후 자시리를 없애라는 스카의 명령에 잠시 살짝 망설이는 모습도 포착되기도 하였다.[32] 더군다나 해당 에피소드에서 스카의 명령으로 자시리를 제거하려고 한데다가 같이 있던 웨마, 투누도 없애려고 했기 때문에 설득력이 좀 낮아졌다…[33] 그런데 해당 에피소드 스토리 초기 콘티에 따르면 잔자가 자시리를 싫어하긴 해도 은근 좋아하는 감정도 있지만 자시리를 제거하라는 스카의 명령에 온갖 핑계를 대다가 결국 명령을 수행하게 되지만 라이온 수호대가 자시리를 구하러 오게 하기 위해 일부러 자시리를 제거하려는 척 한다는 내용이었다고 한다.(해당 에피소드의 초반부와 'The worst hyena we know'에서 스토리 초기 콘티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시즌 3 초반의 잔자의 캐릭터성 변화 이벤트를 위해 일부러 지금의 스토리로 진행시키게 되었다고.[34] 스와힐리어로 '우리는 같다'는 뜻. 자시리가 카이온과 처음 만났었을 때 당시 하이에나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던 카이온에게 해준 말이다.[35] 근처에서 몰래 지켜보던 슈파부와 느자노는 잔자가 잠시나마 배신할 생각을 한 것 같다며 이를 스카에게 알리면 어떤 반응이 나올지 궁금하다며 얼른 꼰지르고 싶다고 떠들어댔다.[36] 노래 가사에서도 '시시 니 사와'가 언급된 것도 있고 이전에 자시리에게 구해졌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마음의 갈등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37] 사실 스카는 도마뱀들을 통해 잔자 무리가 슬슬 변심하려는 것을 알아차려 라이온 수호대와 함께 잔자 무리들도 없애려고 한 것이다.[38] 여담으로 라이온 킹에서 스카가 심바와의 최후의 전투를 치를 때 하이에나 뒷담을 까다가 이를 듣고 분노한 하이에나들에게 끔살당한 것이 묘하게 생각나는 부분.[39] 코끼리들이 살던 킬리오 계곡을 습격한 이후 'I'm gonna run this dump'를 부르며 다른 무리들을 무시하면서 자기 무리가 이 곳을 점령하겠다면서 서로 다투던 모습을 생각하면 장족의 발전.[40] 아자드의 언급을 보면 자시리와 같이 길을 가는 도중에 아자드를 만난 것으로 보인다.[41] 카이온이 포효로 불러낸 천둥소리를 듣고 겁을 먹자 아자드에게 천둥이 무섭냐고 디스 받았고 또 다시 천둥이 치자 자시리의 눈짓에 안 무서운 척 표정을 짓는다. 그리고 이후 일행이 통나무에 탈 때 아자드가 훌리와 같이 통나무에 타기 살짝 망설이는 모습에(훌리와 아자드 둘 다 물에 젖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물이 무섭냐며 디스 한다.[42] 프롤로그 당시 첫등장에서 마지막 남은 찌꺼기를 자기 혼자 먹고 부하들에겐 줄 거 없다고 하였었다.[43] Janja's new crew에서는 사냥에 실패하자 열받아서 이 둘을 내쫓긴 했지만 에피소드 마지막에는 다시 복귀시킨다.[44] 위 사진에서는 상당히 날카로운 인상으로 보이는데, 실제로는 얼빠진 표정을 하고 있을 때가 훨씬 많다.[45] 잔자가 해고라고 하자(You are fired) 불이 붙었다는(on fire) 걸로 잘못듣고 쌩쑈를 한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잔자가 해고라고 하자 해골이 되라는 말로 알아들은 걸로 번역.[46] 진흙 더미를 뒤집어 써서 라이온 수호대가 알아보지 못 하였다.[47] 근데 그 때 잔자는 진짜로 프라이드 랜드에 있었다. 네네와 타노의 작전에 따라 움직이느라 오노 조차 모습을 보질 못 했을 뿐.[48] 잔자가 자기들을 내쫓았다는 말에 훌리는 우리가 그걸 믿을 거 같냐고 하였고 이에 우리들이 작전을 망쳐놓는다고 얘기하자 훌리도 그건 믿는다(…). 그리고 훌리가 이 둘 앞에서 대놓고 멍청하다고 할 때 그걸 칭찬으로 받아들이는 반응으로 인정하기까지 하였다(…).[49] 물론 당연히 카이온도 완전히 믿는 건 아닌지라 오노에게 저 둘을 몰래 감시하라고 부탁하기도.[50] 라이온 수호대가 잔자와 네네, 타노가 작전에 따라 겁을 준 영양 떼들을 진정시키고 사태를 마무리 한 다음 이 둘을 찾아가서 심문을 하려고 했을 때 베스티가 살짝 한심해 하는 반응으로 쿨쿨 자고 있는 둘을 보고 진짜 얘네들이 영양을 몰았을 거 같냐고 한다.[51] 게다가 그 이유는 혼자 있으면 심심할까봐 라고(…).[52] 그 이전에 누를 잡아먹으려고 하다가 진흙에 미끄러져버린 잔자가 라이온 수호대와 마주치고 뒤이어 미끄러져 내려온 부하들에게 그만 가자고 하였는데 그냥 조용히 가면 될 것을 청구와 같이 '''라이온 수호대 바로 앞에서(...)''' 잔자의 계획을 은근슬쩍 불어버리는 바보짓을 하였고 이에 카이온이 왕의 함성을 사용하여 잔자 무리가 아웃랜드로 날아가게 되었으며 더군다나 쫓겨나기 직전에는 청구와 같이 계획 망쳐놓는 것이 우리 특기라고 낄낄댔다... [53] 종종 치지가 잔자의 계획을 어느정도 이해하는 반면 청구는 아예 못 알아듣는 편이며 더군다나 어린 시절 라이온 수호대와 처음 만났을 때 자기 이름을 착각하고 소개한 뒤 치지에게 태클 걸렸다(...)(청구: 나는 치지야! / 치지: 아니, 너는 청구고 내가 치지야! / 청구: 정말?) 물론 치지랑 같이 바보짓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래봤자 오십보백보 이지만.[54] 잔자가 해고라고 하자(You are fired) 불이 붙었다는(on fire) 걸로 잘못듣고 쌩쑈를 한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잔자가 해고라고 하자 해골이 되라는 말로 알아듣고 자긴 아직 살들이 많다며 절규하는 걸로 번역.[55] 'Kion's Lament'의 패러디이며 노래라고 해도 30초도 되진 않는다.[56] 진흙 더미를 뒤집어 써서 라이온 수호대가 알아보지 못 하였다.[57] 근데 그 때 잔자는 진짜로 프라이드 랜드에 있었다. 네네와 타노의 작전에 따라 움직이느라 오노 조차 모습을 보질 못 했을 뿐.[58] 잔자가 자기들을 내쫓았다는 말에 훌리는 우리가 그걸 믿을 거 같냐고 하였고 이에 우리들이 작전을 망쳐놓는다고 얘기하자 훌리도 그건 믿는다(…). 그리고 훌리가 이 둘 앞에서 대놓고 멍청하다고 할 때 그걸 칭찬으로 받아들이는 반응으로 인정하기까지 하였다(…).[59] 물론 당연히 카이온도 완전히 믿는 건 아닌지라 오노에게 저 둘을 몰래 감시하라고 부탁하기도.[60] 게다가 그 이유는 혼자 있으면 심심할까봐 라고(…).[61] 노래를 잘 들어보면 라이온 수호대 애니 엔딩곡인 'Here comes the lion guard'이다. 물론 도입부 부분 가사다.[62] 키아라 왈, 자길 납치한 것도 모자라서 이젠 고문까지 한다고(...).[63] 둘에게 배신당한 잔자도 얼마나 서러웠었는지 그동안 왕의 함성에 맞고 날아간 것이 한두번이 아니었는데도 왕의 함성을 듣고 저 소리가 반가운 것 처음이라고 할 정도.[64] 노래를 잘 들어보면 라이온 수호대 애니 엔딩곡인 'Here comes the lion guard'이다. 물론 도입부 부분 가사다.[65] 근데 재미있게도 네네의 목소리를 맡은 Beau Black은 해당 노래를 부른데다가 이외에도 여러 삽입곡들도 불렀다.[66] 사실 잔자와 레이레이도 머리가 좋은 편이긴 하지만 라이온 수호대 때문에 계획 성공률이 낮은 것도 있고 바로 옆에 붙어다니는 치치와 청구, 고이고이의 바보짓 때문에 그렇게 크게 부각되진 않는다...[67] The Kupatana Celebration 에피소드에서 자칼 가족들이 프라이드 랜드로 왔을 당시 자칼 가족의 아이들이 다른 동물들의 먹이를 훔칠 때 해당 독수리가 먹으려고 둔 뼈를 몰래 훔치는 장면이 나온다.[68] 마징고와 므오가의 반응을 보면 그들 입장에선 앙가는 상당히 위협적인 존재로 보인다. 앙가는 후퇴하는 독수리들을 보고 열받아하며 방화범을 알게 되면 즉시 오노에게 보고해주러 간다고 했으니 다행으로 여기라고 한다. 실제로 앙가의 종족인 잔점배무늬수리는 '''벌처를 잡아먹을 수 있다.'''[69] 오노가 불타는 성소에서 나오자 앙가를 만났는데 앙가의 말에 따르면 독수리들을 쫓아내긴 했지만 불을 내는 것을 막진 못했다고 언급된다.[70] 참고로 티몬과 품바(TVA)와 킹덤 하츠 시리즈에서 심바의 목소리를 맡은 그 성우다![71] 참고로 이름의 뜻이 스와힐리어로 '소심한', '겁이 많은' 이다.[72] 일종의 연출상의 문제.[73] 모습만 보면 대략 청소년기 정도의 애들.[74] 화면상에서 나올 때마다 자는 모습으로 자주 등장한다. 첫 등장에서부터 자고 있었으며(레이레이와 같이 도고의 신호를 기다리던 중 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레이레이에게 바가지 긁힌다.[75] 그러나 해당 정보는 사실 서스톤이 다른 얼룩말들 사이에 끼어있는 상황에서 통하는 방법이었다...[76] 근데 색깔이 붉은색이라서 잘못보면 피 같다(...).[77] 라이온 수호대가 도고를 따라 프라이드 랜드로 온 자칼 가족들을 보고 도고에게 넌 가족이 없다고 하지 않았냐고 따지자 혼자라고 했다며 반박한다. 라이온 수호대의 질문에 혼자라고 답한건 사실이니 속이려는 목적과는 별개로 거짓말까진 하진 않은 건 맞지만.[78] 라이온 수호대의 제작 프로듀서(!)이며 작품 내 여러 단역의 목소리도 맡았다. 참고로 딸 피오나 라일리 또한 작품 내 여러 단역들의 목소리도 맡았다.[79] 그렇지만 의외로 라이온 수호대 프롤로그에서부터 마쿠를 제외하면 가장 먼저 등장한 악역이다. 물론 선술하다시피 이땐 그저 엑스트라 수준으로 나왔지만.[80] 화면에 직접적으로 표현되진 않으나 명백히 죽었음을 알 수 있다. 벙가는 오노가 구해주고 우샤리는 이를 마지막으로 퇴장한 것만 봐도 그렇다. 참고로 그의 죽음은 클로드 프롤로의 죽음과 많이 비슷하다.[81] 근데 키부리의 목소리를 맡은 Common은 래퍼다.[82] 얘네들이 대화 중에 물고기 대가리 운운 하는거 보면 잔자가 치지와 청구에게 털뭉치라고 부르는 것처럼 키부리도 얘네들을 그렇게 부르는 듯...[83] 그러나 해당 정보는 당연히 서스톤 본인의 얘기였다...[84] 둘리가 저 말 믿냐고 하자 자기에겐 통한다고 말하는 건 덤.[85] 그러나 해당 정보는 당연히 서스톤 본인의 얘기였다...[86] 언급을 보면 물린 부분의 힘이 빠지면서 제대로 움직이지도 못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풀리는 것으로 보인다.[87] 여담으로 라이온 수호대의 감독 중 하나이다.[88] 실제로도 코뿔소는 시력이 토끼보다도 약한데 키파루는 그중에서도 훨씬 눈이 안 좋다고 언급된다.[89] 실제 하이에나의 귀는 자시리 무리 처럼 둥근 모양에 좀 더 가깝다.[90] 디즈니채널 TV영화 <틴 비치 무비> 시리즈의 여주인공 맥켄지 역으로 출연한 디즈니 스타[91] 자시리가 이 무리의 대장인지는 불명이다. 일단 디즈니 위키에서는 자시리를 무리의 대장으로 보고는 있다.[92] 다행히 구덩이의 발을 디딜 수 있는 공간에 떨어져 용암에 바로 빠지진 않았다.[93] 그 악어는 훌리를 노리려고 했는데 훌리가 공격을 피한 대신 잔자가 공격을 받은 것.[94] 그러나 잔자가 자시리의 설득에 의해 슬슬 개심할 낌새를 보이기도 하였고 나중엔 아군이 되었으니 결과적으로는 의미 없던 행동은 아니다.[95] 아자드의 언급을 보면 잔자와 같이 길을 가는 도중에 아자드를 만난 것으로 보인다.[96] 이때 지라가 죽었다는 코부의 말을 듣고 아웃랜더들도 몰랐다는 듯이 당황하는 것을 보면 라이온 킹 2 종료 시점에서 얼마 지나진 않은 듯.[97] 잔자가 꼬리까지 흔들면서 자시리를 연애적 감정이 담긴 듯 한 시선으로 쳐다보고 이에 자시리는 짓궂다는 듯이 잔자를 쳐다본다.[98] 물론 자시리 무리의 다른 하이에나들도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편이긴하다.[99] 이 때 자시리, 웨마, 투누가 마도아를 찾기 이전이라 마도아는 잔자 무리에게 들키진 않았다.[100] 이때 지라가 죽었다는 코부의 말을 듣고 아웃랜더들도 몰랐다는 듯이 당황하는 것을 보면 라이온 킹 2 종료 시점에서 얼마 지나진 않은 듯.[101] 참고로 해당 성우는 투누의 성우인 크림슨 하트와 자매 사이이다.[102] 아역 성우로 해당 애니메이션이 첫 성우 출연이라고 한다. 참고로 웨마의 성우 피오나 하트와 자매 사이이다.[103] 이때 심바와 마템보를 제외한 다른 동물들의 반응이 안 좋긴 했다.[104] 작중에서 티몬, 청구도 담당했다.[105] 실제 얼룩말은 맛이 별로 없다고 한다...[106] 이후 자시리와 새끼 하이에나들을 보고 하이에나 라며 또 겁먹는다(...). 이에 한심하게 보는 훌리의 표정과 반응이 압권.[107] 정확히는 등장할 때마다 파리들이 도망가는 것이다.[108] 치지와 청구에게는 어떤 붉은 꽃을 코 앞에 갖다 대면 정신 못 차릴 정도로 재채기를 한다는 것, 고이고이에게는 라이온 수호대가 줄무늬를 보면 자기가 있는지 모른다는 것, 탐카와 둘리에게는 배를 문지르면 잠이 든다는 것.[109] 근데 말이 좋아서 합심이지 서스톤을 놓고 각자 서로 어디 부위를 먹을지 말다툼을 한다(…).[110] Battle for the Pride Lands 후반부에 이름이 작중에서 겨우 언급된다. 라이온 수호대가 카이온과 오노의 부상을 치료하기 위해 생명의 나무로 가기 전에 마중나온 프라이드 랜드 동물들 중에 잠시 나왔는데 카이온이 이름을 말해주며 고맙다고 해주자 무리의 얼룩말들에게 그가 자기 이름을 알고 있다고(...) 얘기하는 모습이 나온다.[111] 이 둘이 다투는 것을 본 라이온 수호대가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는데 평소 무히무와 스왈라는 친구라고 한다.[112] 절벽의 바위에 깔릴 뻔 할 때 벙가가 밀치면서 구해주자 자기가 홀몸이 아닌거 모르냐며 신경질을 냈었고 홍수에 휘말릴 때 벙가에게 구조 받고 헤엄을 칠 때 두 마리 몫은 헤엄쳐야 된다는 둥 은연 중에 임신 중이었다는 것이 나오긴 했다. 다만 벙가는 이를 알아듣지 못 하고 무히무가 산통이 올 때에서야 알아듣는다;;[113] 실제로 얼룩말들이 뒷발차기로 포식자들에게 역관광을 보내는 경우도 적진 않다.[114] 벙가에게 하무를 맡겼다는 무히무의 말을 들은 다른 엄마 동물들이 벙가에게 자기 자식을 잠시 맡기게 된 것이다.[115] 2016년까지 방영한 디즈니채널 시트콤 <Austin & Ally>의 메인 캐스트로 출연한 디즈니 스타이다.[116] 재미있게도 이 둘의 성우들인 레이니 로드리게즈와 리코 로드리게즈 또한 친남매 사이 이다.[117] 대략 '굿모닝!' 같은 인삿말 정도.[118] 현실 코끼리라면 단독으로 아웃랜드에 쳐들어가서 하이에나, 자칼, 악어 등 모든 구성원들을 박살내고도 남겠지만 그러면 스토리 진행이 어려워서 의도적으로 너프를 가한 것으로 보인다.[119] 이 관계가 매우 중요한지 심바나 자주도 코끼리들의 행사 참여에 굉장히 신경을 많이 쓴다. 친구 코끼리의 장례식부터 음악회나 전통 공연 등.[120] 아마 현실의 코끼리가 사자의 먹이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반영한 듯 하다.[121] 서식지인 킬리오 계곡에 불이 났을 때 다른 동물들의 서식지를 빌려야 했던 적이 있었다. 다른 동물들은 건기에 수원을 찾아주고 사자들과 서클 오브 라이프를 수호하는 등 다른 동물들에게 이득이 되는 일을 많이 했음에도 여러가지 이유로 코끼리들을 쫓아낸다. 결국 이주를 결정하는데 그 순간 프라이드 랜드에 불이 나고, 마템보는 서운해하는 코끼리들을 설득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돌격해 불을 꺼 준다. 이후 감동받은 갈라고들이 같이 살자고 해서 사건은 좋게 마무리되었다. [122] 실제로 코끼리들은 벌 소리만 들어도 도망치는데 마템보의 말처럼 코나 귀 등 약한 부분을 쏘기 때문이다. 마토토같은 어린 코끼리는 '''죽을 수도 있다.'''[123] 단간론파의 셀레스티아 루덴부르크, 마기아 시리즈의 유이 츠루노를 맡은 성우다.[124] 즉, 말 그대로 해석하면 똥이 많은(...) 코끼리 였다고 말한 셈...[125] 물론 마쿠차도 좋은 뜻으로 알려주는 것은 아니었다. 단순히 라이온 수호대를 빨리 자신의 영토에서 나가게 하기 위해 길안내를 해 준 것.[126] 정확히는 페르시아 치타(=아시아 치타).[127] 종종 자신을 가르킬 때 3인칭화 하면서 말하기도 한다.[128] 페르시아어로 나중에 보자는 인삿말.[129] 울루가 어떤 치타가 생명의 나무로 오고 있다고 라니에게 전해준 즉시 멀리 들려오는 아자드의 말버릇에 훌리와 라니가 동시에 아자드를 알아보다가 서로 당황하는 표정을 짓는다.[130] 언급을 보면 절벽에 발을 헛딛어 큰 부상을 입고 생명의 나무로 찾아가 잔나 여왕에게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131] 훌리랑 같이 절벽 위에서 석양을 바라보던 중 시즌 1~2에서 훌리를 귀찮게 굴던 바분들이 훌리 뿐 아니라 아자드의 등 위에도 올라타 귀찮게 구는 장면이 나온다;; [132] 프라이드 랜드로 귀환하는 중, 베스티와 벙가가 이 둘의 모습을 보고 카이온과 라니 처럼 '좋은 친구' 같다는 말을 하는데 결말부에 카이온과 라니가 진짜로 이어진 걸 생각하면…[133] 시즌 3 마지막화에서 훌리가 아자드와 같이 프라이드 랜드를 돌아다니던 중 절벽 위에서 석양을 바라볼 때 훌리 뿐 아니라 아자드의 등 위에도 올라타 귀찮게 구는 장면이 나온다. [134] 이 둘이 다투는 것을 본 라이온 수호대가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는데 평소 무히무와 스왈라는 친구라고 한다.[135] 라이온 킹(뮤지컬)에서 날라 역할을 맡았던 그 뮤지컬 배우다.[136] 모아나에 나오는 투이 족장의 노래 성우로 유명한 그 뮤지컬 배우이며 같은 작품 내 에서도 고릴라 슈자를 맡은 적이 있다.[137] 실제 바람까마귀들도 먹이가 부족할 때 이런 방식으로 먹이를 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보초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작은 동물들에게 도움이 된다.[138] 물론 이 당시 라이온 수호대는 하이에나들과 자칼들이 스카의 부하 인 것을 몰랐었다.[139] 스카가 잔자에게 마팡고 절벽 근처에 수련 중인 라피키를 습격하라고 명령을 내렸다.[140] 실제 오카피는 열대우림에서 산다.[141] https://www.youtube.com/watch?v=shYouqOEE48 근데 라이온 킹2를 보면 초반에 오카피가 나온다.[142] 더놀라운건 원래 고릴라는 타잔의 고릴라처럼 본래는 깊은열대우림에서 사는데 여기에 나오는 고릴라들은 정글도 숲도 아닌 눈이 쌓인 산에서 산다. 물론 산지 등 고지대에서 사는 영장류 종류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산림지대에서 서식한다.[143] 그저 톡하고 치면 바위들이 부서지고 나무들이 뿌리채 뽑혀나가며 '''한 손으로 하마인 베스티와 오노를, 다른 한 손으로 나머지 라이온 수호대들을 가볍게 들어올린다!!'''[144] 첫 등장부터 스카의 부하들을 몰아내겠다고 바위를 냅다 집어던졌는데 그게 땅돼지와 토끼들의 집을 박살낸다거나, 늙은 흰코뿔소 키파루에게 물웅덩이로 가는 길을 알려주려고 벽을 부쉈는데 바위너구리가 살던 집이었다던가...;;[145] 이때 키부리와 탐카를 한번에 한손으로 집어들어 멀리 던져버린다. 그리고 달아나던 중인 하이에나들과 자칼들에게 명중된 건 덤.[146] 스와힐리어로 '''슈자, 부순다!'''라는 뜻.[147] Aquila spilogaster라는 학명처럼 이름만 매고 사실 독수리의 일종.[148] 더빙판에서는 '하디시'로 번역되었다.[149] 참고로 오노와 앙가 또한 하디티의 열혈 팬이다. 오노는 하디티가 자기에게 말을 걸자 이것이 믿겨지지가 않았는지 벙가에게 하디티가 자기에게 말을 건 것이 맞냐며 물어보았으며 앙가는 하디티의 이름을 듣기만 해도 상당히 들뜬 반응을 보인데다가 하디티를 직접 만나자 매우 흥분하면서 좋아하였다.[150] 자기 자신을 끊임없이 극복하면 더 나아질 수 있다는 뜻. 지토는 이걸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코끼리는 날지 않는다고 태클을 건다. 이에 하디티는 약간 빡친 표정을 짓는다.[151] 애니 제작에 참여한 스토리 작가 중 하나이며 쿨린다 모녀의 등장 에피소드인 Ono and the egg의 스토리도 담당하였다.[152] 벙가는 오노가 둘이면 헷갈리지 않겠냐며 미리 걱정(...) 했다.[153] 아기 였을 당시에는 엄마 쿨린다의 몸 길이의 겨우 절반 정도 였었는데 성장 이후에는 쿨린다의 몸 길이의 대략 3분의 2 정도로 자랐다.[154] 참고로 해당 애니메이션의 프로듀서 포드 라일리의 딸이다.[155] 슈파부가 호다리를 키부리의 무리에 데려가는 동안 느자노가 먼저 키부리에게 호다리에 대해 얘기해주며 그를 이용해 마쿠의 무리를 습격하여 프라이드 랜드를 치라고 제안 한 다음 마침 슈파부와 같이 오고있는 호다리를 소개시켜주는데 키부리가 호다리가 악어가 아니었냐고 느자노에게 따지자 느자노는 악어라고 한 것은 너였다고 반박한다.[156] 마쿠가 악어들과 훈련을 하는 도중 근처에 굴러 떨어진 바위에 의해 다리에 부상을 입었다.[157] 본인 왈, 이전에도 아웃랜드에 여러 번 간 적 있었다고 한다.[158] 정황상 참수리로 보이며 앙가의 종족인 마샬수리가 참수리와 비슷한 덩치를 가졌다. 오노도 이를 알고 앙가에게 얘기를 해주려 했으나 일본원숭이를 한 번도 본 적 없는 앙가가 이미 원숭이 가족에게 가버려서 늦었다.[159] 벙가는 눈 구덩이가 뭔지 모르고 원숭이 가족을 구해주려다 같이 빠졌다.[160] 그녀는 카이온의 포효에 일어난 해일에 의해 해변에 떨어졌고 이에 라이온 수호대가 그녀가 바다로 다시 갈수 있게 도와주던 참이었다.[161] 참고로 마쿠차 왈, 라이온 수호대와 오라 일당의 싸움을 지켜보았다고 한다.[162] 숲에서 툴리자를 얻으려고 물어보는 카이온 일행이 '툴리자'를 언급하기만 해도 죄다 겁 먹고 도망가 버릴 정도. 마키니의 지팡이를 찾으러 다닐 때 벙가가 동물들에게 '툴리자'라는 단어를 꺼내면서 계속 겁 먹게 하자 라이온 수호대 친구들도 전부 벙가에게 '툴리자'를 언급하지 말라고 타박을 주며 대신 마키니의 지팡이 얘기를 꺼내면서 물어본다.[163] 동물들이 전부 다른 동물들이 마마 빈투롱에 대해 더 알고 있다면서 떠넘기는 식인데 사실 마마 빈투롱과 그녀의 부하들의 감시를 피할 수 있는 장소에서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164] 뾰족뾰족한 바위가 잔뜩 있는데다가 들어가는 틈도 전부 좁은 곳이었다. 카이온이 먼저 입구에서 들어가려고 했는데 몸에 생채기가 나서 들어가기 힘들어 했을 정도.[165] 생명의 나무에 들어갔을 때 라이온 수호대와도 잠시 마주쳤는데 그녀는 벙가 이외의 수호대와는 직접 마주친 적이 없는데다가 이때 벙가는 빙가와의 내기 때문에 그 자리에 없었다.[166] 자신은 '긴터봉'이라는 동물에 대해 들은 적이 없다는 것, 분명 다리를 다쳤다고 했는데 멀쩡히 돌아다니는 것을 목격한 것, 숲속에서 다른 동물들에게 툴리자를 강탈한 것을 목격한 것, 앙가가 그녀가 있는 곳엔 악당들이 보이진 않는다는 것, 그리고 결정타로 방금 출롱의 이름을 언급한 것.[167] 근데 스문의 호저 무리가 마쿠차 일당의 입장에서는 그닥 별 볼일 없다고 인식되었는지 스문이 나타나자 마쿠차와 출롱이 증원군이 겨우 호저 한 마리냐며 우리도 구성원 다양해지겠다고 하였고, 이어서 나머지 호저들이 나타나자 마쿠차, 출롱, 오라는 어이없는 표정을 지었고 특히 오라는 놀랍지도 않다고 반응했다. 직후 마쿠차와 오라의 부하들이 나타나자 반응이 바뀐 걸 생각하면 지못미.[168] 참고로 실제 아시아 사자(= 인도 사자)는 개체수가 1천 마리도 되지 않는 멸종 위기종이다. 생명의 나무가 희귀 동물들을 보호하는 곳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적절한 설정.[169] 이 사자의 형제의 후손들이 무파사, 스카 ,심바, 키아라, 카이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