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성씨)

 


1. 개요
2.1. 유래
2.2. 분파
2.3. 집성촌
3. 청주 곽씨(淸州 郭氏)
3.1. 유래
3.2. 세거지
3.3. 묘역
4. 한국의 실존인물
5. 외국의 실존인물


1. 개요


'''郭'''
중국에서 발원해 한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성(姓)씨이다. 한국은 郭 하나만, 중국은 郭(Guō)과 霍(Huò, 빠를 곽) 두 가지다. 한국의 곽씨는 현풍, 청주, 선산 등의 20여 본관이 있다. 인구는 2015년 기준 203,188명인데, 그중 현풍 곽씨가 16만여 명으로 대다수다. 한국 곽씨의 양대 종주를 이루는 현풍, 청주 두 가문은 모두 중국에서 온 가문으로, 본래 중국 춘추시대의 열국 중 하나인 괵(虢)의 공족이었다. 주나라 왕실인 희성(姬姓)을 쓰는 가문이었으나, 괵이 진나라(晉)에 의하여 멸망한 후에 괵과 발음이 비슷했던 곽(郭)을 성으로 삼은 것을 연원으로 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고.
로마자 표기는 보통 Kwak으로 한다. 다만 실제로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는 무려 69가지나 된다고 한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Kwak이 약 69%, Gwak이 약 15%, Kwag이 약 7%, Kwack이 약 3%, Gwag이 약 1%, Koak 등 기타 표기는 1% 미만이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Kwak,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Gwak, Kwak 두 가지를 쓸 수 있다. 광동어로는 Kwok, Gwok, 베트남 곽씨는 Quách으로 표기한다.
주요 본관으로는 현풍 곽씨, 청주 곽씨 등이 있다.

2. 현풍 곽씨(玄風 郭氏)



玄風 郭氏 (苞山 郭氏)
현풍 곽씨 (포산 곽씨)
}}}
'''관향'''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시조'''
곽경(郭鏡)
'''중시조'''
곽기정(郭基正), 곽한정(郭漢正)
'''집성촌'''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충청남도 금산군 남일면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면
전라남도 진도군

'''인구'''
166,608명(2015년)
'''웹사이트'''
현풍(포산)곽씨 대종회

2.1. 유래


시조 곽경(郭鏡)은 중국 관서(關西)의 홍농인(弘農人)으로서 북송 휘종 정화 7년 대합관 영성군 곽여겸(大閤官 嬴城君 郭汝謙)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고려 인종 11년에 한림학사(翰林學士) 7명과 함께 고려에 입국하여, 1138년(고려 인종 16년)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냈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으며, 포산군(苞山君)에 봉해졌다. 이후 곽경의 후손들이 본관을 포산(苞山)으로 하여 세거(世居)하였다.
조선조에 이르러 포산현(苞山縣)이 현풍(玄風)으로 개칭(改稱)됨에 따라 현풍을 본관(本貫)으로 하게 되었다. 현풍은 현 대구 달성군 현풍읍을 말하며 조선시대만 해도 현풍 땅은 지금의 대구 달성군 현풍·옥포·구지·유가·논공 일대를 아우르는 큰 고을이었다.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박곡리에는 사당인 대덕사(大德祠)[1]가 건립되어 있으며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시조의 시향제((時享祭))를 지내고 있다. 또한 현풍에 소재한 암곡서원(巖谷書院)[2]에서도 시조공을 주벽으로 모시고 매년 음력 2월 9일에 유림향사(儒林享祀)를 하고 있다.

2.2. 분파


5세 곽기정(郭基正), 곽한정(郭漢正) 형제 아래 후손은 기호계(경기,호남지역)와 영남계(영남지역) 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곽기정의 후손들은 경기도, 전라도, 평안도 지역으로 세거지를 확대해 나갔으며 곽한정의 후손들은 관향지인 현풍을 중심으로 영남일대에 세거지를 넓혀감으로써, 현풍 곽씨는 기호계(畿湖系)와 영남계(嶺南系)로 나뉘게 되었다.
현풍곽씨는 선산(善山), 해미(海美), 강릉(江陵), 봉산(鳳山) 등의 별관을 사용하였으나 그들 족보의 첫 머리에 모두 시조를 곽경으로 하는 현풍곽씨의 후손이라고 했으므로 1976년 병진대동보(丙辰大同譜) 편찬 때 대종회 의결로 현풍으로 명칭을 통일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선산 곽씨는 분관조 곽우현(郭佑賢)을 곽경의 6대손으로 연계하면 연대가 맞지 않는다 하여 1979년에 별도로 족보를 편간하였다.

2.3. 집성촌


현풍 곽씨 집성촌 중 대표적인 곳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大里)의 솔례(率禮)마을이다. 솔례마을의 입향조는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원종공신, 청백리(淸白吏) 곽안방(郭安邦)이다. 곽안방의 자손들이 세거하면서 대표적인 집성촌을 이루었고, 마을에는 현풍 추보당(玄風 追報堂)[3], 이양서원(尼陽書院)[4] 등이 있다.



3. 청주 곽씨(淸州 郭氏)



淸州 郭氏
청주 곽씨
}}}
'''관향'''
충청북도 청주시
'''시조'''
곽상(郭祥)
'''중시조'''
곽원(郭元)
'''인구'''
20,713명(2015년)
'''웹사이트'''
청주 곽씨 대종회

3.1. 유래


신라 헌강왕 때에 시중을 지난 곽상(郭祥)을 시조로 하는 가문으로 곽상은 당현종의 명을 받들어 신라에 사신으로 온 곽자의의 손자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곽상의 후계 2대가 실전되어 증손인 곽원(郭元)을 1세조로 한다. 중시조 곽원(郭元)은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형부상서를 거쳐 참지정사를 지냈으며, 6세 곽상(郭尙)은 추밀원 좌승선을 거쳐 호부상서·참지정사에 오르고 두 아들로 문충공 탄(坦)과 진정공 여(輿)를 두었다.
누전하여 11세인 곽예(郭預)(1232~1286)는 문한학사와 지밀직사사를 지내고, 두 아들로 운용(雲龍)과 운진(雲鎭)을 두었다. 13세인 곽연준(郭延俊)은 문과에 급제하여 판개성부사·전법판사에 이르고 충정왕 2년(1350)에 청원군(淸原君)에 봉해졌으며 만년에 청주로 낙향하여 세거하면서 본관을 청주로 삼았다.

3.2. 세거지


분파는 18세(世) 이후 지파별로 세거지를 형성하였으며 청주 근교의 세거지는 다음과 같다.
지사공파(進士公派)는 청주, 백동파(栢洞派)는 청원군 강외면, 회암파(回岩派)는 청원군 옥산면 회암리, 성촌파(城村派)는 청원군 옥산면 금계리, 행당공파(杏塘公派)는 청원군 옥산면, 보은파(報恩派)는 보은군, 부강파(芙江派)는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청주파(淸州派)는 청주시 흥덕구 휴암동 등이다.

3.3. 묘역


청원사(淸原祠)는 청주 곽씨의 시조 곽원·곽여·곽예 3위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산 3-1번지에 있다. 1974년에 세워졌으며 명칭은 청원사(淸原祠)였는데, 1996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곽예의 묘소(연담공 묘소)는 상당구 명암동 산 20-1번지에 있다. 청원군 북이면 대율리에 있었으나 후에 현 위치로 이장하였다. 충청북도 문화재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4. 한국의 실존인물



5. 외국의 실존인물


  • 삼국시대
  • 당 - 곽자의
  • 원 - 곽간, 곽자흥
  • 베트남 리 왕조(13세기) - 곽복(꽉복Quách Bốc) - 대월국 황제 리 고종을 몰아냈지만 결국 난에 실패한다.
  • 청 - 곽원갑
  • 현대
    • 곽부성(쿽푸싱) - 대만 출신의 홍콩 배우
    • 곽설부 - 대만 출신의 배우
    • 곽건화(훠젠화) - 대만 출신의 배우
    • 곽송령(궈쑹링) - 중화민국의 군벌.
    • 곽태기(궈타이치) - 중화민국의 외교관.
    • 곽정정(궈징징) - 중국의 前 다이빙 선수
    • 곽태원(궈타이위안) - 대만 출신의 야구선수
    • 곽품초 - 대만 출신의 배우
    • 꽉호아이남(Quách Hoài Nam) - 1988년 서울올림픽 베트남 수영 대표. 1969년 11월 생
    • 꽉티란(Quách Thị Lan) - 2014, 2018년 육상 400m 여자 베트남국가대표. 1995년 10월 18일 생.
    • Quách Nhứt Danh - 1939년 생의 베트남 사업가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건너가 약국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종잣돈을 모은 그는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미국의 대 베트남 금수조치를 피해 베트남과 미국 사이에서 보따리 무역을 일궈 큰 성공을 거둔다. 그 돈으로 그는 캘리포니아 오렌지 카운티에 베트남 타운을 열어 공산화된 조국을 떠난 동포들을 거뒀다.

[1] 시조 곽경 등 19位를 봉안(奉安)한 사당(祠堂).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청계로 126번길 33[2]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지동3길 47-10[3] 곽안방(郭安邦)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지어진 제청(祭廳)이다.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6호[4]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