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어른

 


1. 소개
2. 장인어른 속성을 보유한 캐릭터


1. 소개


'''네 놈 같은 놈팽이에게'''(혹은 '''내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 '''내 딸은 못 준다! 난 이 결혼 반댈세!'''

- 장인어른,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을 훔쳐가려는 뻔뻔스러운 도둑놈 앞에서.

'''네 놈이 내 딸을 데려간단 말이지? 넌 오늘 죽었어!'''

- FM 음악도시 '그늘의 그늘' 코너에서 평소 자상하다고 들은 여자친구 아버지에게 첫 인사를 갔던 남자의 사연 중.

'''아! 장인어른! 진짜 왜 이러세요?'''

- 순풍 산부인과진 주인공 박영규

'''빙장님! 빙장님! 빙장님!'''

- 김유정의 소설 봄봄에서 주인공이 장인어른에게 그곳을 잡히고 절규하면서 하던 대사.

아내아버지, 즉 '장인(처부)'을 높여 부르는 말. 아버지의 진화체이며 진화조건은 결혼시키는 것이다. 조금 더 높이는 말로 '장인어르신'이 있다.
악부님, 장인님, 빙부님, 빙장님[1]이라는 호칭도 있지만 공적인 상황이나 존칭이 필요할 경우(ex:빙부상, 빙모상) 외엔 거의 안 쓰인다.[2]
반면 남편의 아버지는 시아버지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가시아버지라고 한다. 각시+아버지의 줄임말이다. # #
오래 사셨기 때문에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분들도 많지만, 서브컬처에서는 대부분 딸내미바보 속성을 가진 경우라든지, 대기업 회장이라든지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인어른이 사위와 싸우는 경우가 많다. 영화 '미트 페어런츠'만 봐도 이런 일은 동서를 막론하고 발생한다는 걸 알 수 있다.
1990년대에 일요일 오후에 방영했던 TV 프로그램 중에서 '허락해주세요'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이런 양상을 잘 보여주던 것이 있었다. 일반인 남성들이 자신의 여자친구의 아버지와 함께 출연해서 정해진 시간 동안 결혼 허락을 받기 위해서 여친의 아버지를 설득하는 코너였다. 둘은 승용차가 서울 시내를 한 바퀴 도는 동안 뒷좌석 옆에 앉아서 서로 대화를 나누게 되어있었는데, 그동안 아버님이 딸의 남친을 깐깐한 태도로 이리저리 따져묻는 모습과 이에 전전긍긍하는 남친들의 대비는 비슷한 경험을 가진 성인 남성들의 폭풍공감을 일으키곤 했다. 딸의 남친을 영 못마땅해하는 듯한 표정으로 꼿꼿하게 앉아서 사위 지망생(?)들을 심문하던 아버지들은 남자들에겐 그야말로 정신적 압박을 불러일으키던 공포의 대상이었다.[3]
그 외에 가족 시트콤이나 드라마에서는 허구헌날 '손에 빗자루 든 장인어른에게서 도망다니는 사위'라는 클리셰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딸을 자식으로썬 아끼지 않아도 가문의 위신을 살리거나 한다는 명목으로 사위를 까탈스레 고르고 사위에게도 까다롭게 대하는 장인어른도 없는 건 아니다.[4]
하지만, 때로는 장모님이 최강이다.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에서는 오히려 장인어른은 받아줄 분위기인데 장모님의 등쌀에 못 이기고, 장모님은 계속 사위를 구박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 사실 '''장인어른이 데릴사위'''라는 반전이 나올 수도 있다.
한국 여자와 결혼하려면 스타크래프트로 장인어른을 꺾어야 된다고도 한다.
반대가 격렬하신 장인어른의 예문이다.
사위: 장인어른!
장인어른 : 너 같은 녀석에게 장인어른이라 불릴 이유는 없다!
장모님 : '''이 양반이 나잇살 먹고 무슨 짓이야!'''

2. 장인어른 속성을 보유한 캐릭터


  • 가데니아 후작[5] - 베이비 폭군
  • 강수일 - 하나뿐인 내편
  • 구도영 - 이름 없는 여자
  • 고센 국왕 -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 고시울률 - 치우천왕기[6]
  • 노기자카 겐토우 - 노기자카 하루카의 비밀
  • [7]
  • 댄 러셀 - 영웅전설6[8]
  • 로버트 드니로 - 미트 페어런츠
  • 로제놈 - 천원돌파 그렌라간
  • 리처드 마듀커스[9] - 풀 메탈 패닉
  • 마나이 미사토의 아버지 - 쇼콜라 -메이드 카페 큐리오-
  • 모리스 - 미녀와 야수[10]
  • 미사카 타비가케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미야자와 히로유키 - 그 남자! 그 여자!
  • 미스터 사탄 - 드래곤볼
  • 민충식 - 하얀거탑[11]
  • 근초고왕(드라마) - 부여준(계왕)
  • 포레스트 검프 - 제니의 아버지
  • 빈스 맥맨(WWE)[12]
  • 사이키 쿠마고로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세토 고우자부로 - 세토의 신부
  • 세르게이 스밀노프 - 기동전사 건담 00[13]
  • 센조가하라 히타기의 아버지 - 이야기 시리즈
  • [14]
  • 소노자키 류우베(가면라이더 W)
  • 솔 배드가이(길티기어 시리즈) - 평생의 악연이던 카이 키스크가 솔의 친딸이던 디지와 결혼한 사이. 훗날 디지가 자신의 딸이란 걸 알게된 솔은 필사적으로 이 주제를 회피했고 카이도 뒤늦게 진실을 알게되면서 장인과 사위가 쌍으로 절규하게 된다.
  • 시리우스 버밀리온 - 낙제기사의 영웅담 [15]
  • 심바 - 라이온 킹 2[16]
  • 아서 위즐리 - 해리 포터 시리즈
  • 아키하 유키타카, (슈타인즈 게이트)
  • (데스노트)
  • 에두아르도 - 리오 2
  • 오다인 - 오딘 스피어[17]
  • 오지명 - 순풍 산부인과
  • 우마왕 - 드래곤볼
  • 유브스탁하이트 폰 아인츠베른 - Fate/Zero
  • SS인 새댁☆코나쨩 한정으로 이즈미 소지로(이 경우 복합적인 속성이 믹스되었다.)
  • [18]
  • 장인님 - 봄봄[19][20]
  • 오란고교 호스트부 - 후지오카 란카
  • 진구지 우군지 - 마법동자 타루루토[21]
  • 최규찬(최고의 연인)
  • 코노에 나가레 - 마요치키!
  • 코야마 요시지 - 크레용 신짱
  • [22]
  • 크롬 - 파이어 엠블렘 각성 [23]
  • 키류 카즈마(용과 같이 시리즈) - 6편에서 수양딸이나 다름없던 사와무라 하루카가 하루토라는 아이를 낳으면서 장인어른과 할아버지 속성을 얻게 되었다.
  • [24]
  • 파운드-원피스[25]
  • 프란츠 폰 마린도르프, 프리드리히 4세 외 다수.- 은하영웅전설
  • 바라키엘, 지오틱스 그레모리, 시도우 토우지[26] - 하이스쿨 DxD
  • 티르(오! 나의 여신님) - 오! 나의 여신님
  • 트라이튼 왕 - 인어공주(애니메이션)[27]
  • 황약사-사조영웅전
  • 후루카와 아키오 - 클라나드
  • 휴우가 히아시, 하루노 키자시[28] - 나루토
  • 조석 - 마음의 소리(시트콤)
  • 이순재 - 지붕뚫고 하이킥[29]
[1] 소설 봄봄의 주인공이 이 호칭을 사용한다.[2] 사실 빙부, 빙장은 남의 장인을 높여부르는 말이다. 그러니 안 쓰이는 것도 당연하다. 그리고 악부는 문어라서 대화에서는 안 쓰인다. 오히려 사위 본인은 '아버님'이라 부르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실제로 장인은 존속살해죄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등 법적으로는 친부와 비슷한 지위를 갖기도 한다.[3] 그러나, 1990년대의 예능 프로그램은 원래부터 리얼 예능이 아니라 처음부터 짜고 치는 고스톱같이 미리 대본이 정해져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약간 퇴색된 감이 있다. 지금도 리얼 예능이라고 말하지만, 엄연히 대본과 대상이 있는 마당에...[4] 물론 보통 장인의 서열이 사위보다 더 우위일 경우에나 일어난다. 사위가 결혼해주는 것마저도 감사한 집안이라면 제아무리 장인이라 해도 사위에게 못되게 굴거나 압박을 넣긴 힘들어지기 때문.[5] 딸인 시아나가 남기고 간 외손녀 메이블에 대한 사랑으로 사위가 되는 에스테반과 대립(...)한다.[6] 정확히 말하면 주인공 치우 형제의 아버지인 치우우레의 장인이다.[7] 한 솔로레아 오르가나와 결혼함에 따라 베이더의 사위가 된다. 물론 그 시점에서 베이더는 이미 고인.(...)[8] 아직은 아니지만 팬들은 거의 반쯤 공식 취급. 단 이쪽은 장모님 후보가 너무 강렬하셔서...[9] 자신의 친딸은 아니지만 친딸 그 이상으로 살펴준다.[10] 실사판에서는 이 점이 더 부각된다.[11] 이쪽은 대인배. 아내 말고 다른 여자 한둘쯤 없으면 남자가 아니다라고(...)[12] 트리플 H의 실제 장인어른이다.[13] 소마 필리스가 정식으로 입양된 건 아니지만, 작중 비중은 장인어른.[14] 5대 닥터를 연기한 피터 데이비슨의 딸 조지아 모펫이 10대 닥터역의 데이비드 테넌트와 결혼해서 나온 배우개그. 덕분에 한국의 닥터후 팬들에겐 장인어른으로 통한다. [15] 잇키한테 온갖 꼬장을 부리는 걸 보면 진짜 웃음밖에 안나온다. 당연히 스텔라도 화냈다.[16] 결말부에 코부와 키아라가 짝으로 맺어져 코부의 장인어른이 된다.[17] 다섯 주인공 중 두 남캐 다 그의 맺어졌다. 맏사위는 실력만 시험하는 정도로 넘어갔는데 둘째 사위와는 서로 꽤나 부대꼈다.[18] 나기사 카오루가 후유츠키와 겐도가 탄 우주선을 보고 '아버님'이라고 했는데, '장인어른'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그렇다면(...) [19] 이분은 호칭이 좀 까다로우신데, (예비)사위가 평상 시는 장인님으로 불러야 하고, 다른 마을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는 빙장님으로 불러야 한다. 장모님도 마찬가지.[20] 그런데 실은 빙장이란 말은 남의 장인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이 양반의 음흉함이 드러나는 대목이다.[21] 착하고 예쁜 자기 딸을 꼬셔서 데려간 쌩양아치에 날건달, 에도죠 쇼군노스케를 보기만 하면 철퇴나 몽둥이 등으로 때려죽이려고 덤벼든다. 당연히 쇼군노스케는 그럴 때마다 데꿀멍.[22] 나르시소 안나수이의 장인어른이 되나 싶더니 결국엔 세계가 일순하면서...[23] 루플레(남)으로 플레이해서 루키나와 결혼할 경우, 내 친구는 내 장인어른이라는 골때리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24] 혐오하는 에미야 키리츠구의 아들내미에게 두 딸을 뺏긴 격이기 때문에 좀 안습하다. [25] 딸 시폰과 로라의 남편들인 뱃지와 고티에게 장인어른이 된다.[26] 시도우 이리나의 아버지[27] 에리얼이 마지막에 에릭과 결혼함으로서 에릭의 장인어른이 되었고, 2편에서는 장인어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28] 하루노 사쿠라의 부친[29] 정보석에게는 장인어른이지만 이순재를 아버님이라고 칭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