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와이번스/관련기록

 




1. 역대 성적
2.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3. 역대 구단주
4. 역대 사장
5. 역대 단장
6. 역대 감독
7. 역대 주장
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10. 유니폼 변천사
11. 선수단 일람
12. 등번호 일람
13. 캐치프레이즈


1. 역대 성적


­
우승
­
준우승
­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역대 성적'''
'''구단명'''
'''연도'''
'''정규시즌 순위'''
'''최종 순위'''
'''경기수'''
''''''
''''''
''''''
'''승률'''
'''SK'''
<colbgcolor=#ff6600>'''2000'''
매직 4위/4팀
8위
133
44
86
3
0.338
'''2001'''
7위/8팀
7위
133
60
71
2
0.458
'''2002'''
6위/8팀
6위
133
61
69
3
0.469
'''2003'''
4위/8팀
준우승
133
66
64
3
0.508
'''2004'''
5위/8팀
5위
133
61
64
8
0.488
'''2005'''
3위/8팀
3위
126
70
50
6
0.583
'''2006'''
6위/8팀
6위
126
60
65
1
0.480
'''2007'''
'''1위'''/8팀
'''우승'''
126
73
48
5
0.603
'''2008'''
'''1위'''/8팀
'''우승'''
126
83
43
0
0.659
'''2009'''
2위/8팀
준우승
133
80
47
6
0.602
'''2010'''
'''1위'''/8팀
'''우승'''
133
84
47
2
0.632
'''2011'''
3위/8팀
준우승
133
71
59
3
0.546
'''2012'''
2위 /8팀
준우승
133
71
59
3
0.546
'''2013'''
6위/9팀
6위
128
62
63
3
0.496
'''2014'''
5위/9팀
5위
128
61
65
2
0.484
'''2015'''
5위/10팀
5위
144
69
73
2
0.486
'''2016'''
6위/10팀
6위
144
69
75
0
0.479
'''2017'''
5위/10팀
5위
144
75
68
1
0.524
'''2018'''
2위/10팀
'''우승'''
144
78
65
1
0.545
'''2019'''
2위/10팀
3위
144
88
55
1
0.615
'''2020'''
9위/10팀
9위
144
51
92
1
0.357
''' KBO 통산 21시즌'''
'''V4 '''
'''2755'''
'''1437'''
'''1331'''
'''56'''
'''0.532'''
그 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조.

2.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rowcolor=#fff> '''구단'''
'''시리즈별 전적'''
'''통산 전적'''
'''삼성 라이온즈'''
<colbgcolor=#fff>2003 준PO : 2승
2010 KS : 4승
2011 KS : 1승 4패
2012 KS : 2승 4패

<colbgcolor=#fff> '''준PO 1승, KS 1승 2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9승 8패
'''KIA 타이거즈'''
2003 PO : 3승
2009 KS : 3승 4패
2011 준PO : 3승 1패

'''준PO 1승, PO 1승, KS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9승 5패
'''현대 유니콘스'''
2003 KS : 3승 4패

'''KS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3승 4패
'''한화 이글스'''
2005 준PO : 2승 3패

'''준PO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2승 3패
'''두산 베어스'''
2007 KS : 4승 2패
2008 KS : 4승 1패
2009 PO : 3승 2패
2018 KS : 4승 2패

'''PO 1승, KS 3승'''
개별 경기 총 전적 : 15승 7패
'''롯데 자이언츠'''
2011 PO : 3승 2패
2012 PO : 3승 2패

'''PO 2승'''
개별 경기 총 전적 : 6승 4패
'''키움 히어로즈'''
2015 WC : 1패
2018 PO : 3승 2패
2019 PO : 3패

'''WC 1패, PO 1승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3승 6패
'''NC 다이노스'''
2017 WC : 1패

'''WC 1패'''
개별 경기 총 전적 : 1패
  • KBO 리그 팀 중에서 유일하게 LG 트윈스와는 아직까지 포스트시즌에서 대결한 바가 없다. SK 와이번스LG 트윈스가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을 세운 것은 2019년이 유일하다.

3. 역대 구단주


<rowcolor=#fff> 역대
이름
재임기간(시즌)
그룹 내 직책
비고
<colbgcolor=#ff6600><colcolor=#fff> 초대
<colbgcolor=#fff> 손길승
<colbgcolor=#fff> 2000~2013
<colbgcolor=#fff>- SK그룹 회장
- SK텔레콤 명예회장
<colbgcolor=#fff>
구단주 대행
조정남
2000~2007
- SK텔레콤 부회장

김신배
2008
- SK텔레콤 사장

정만원
2009~2013
- SK텔레콤 부회장

2대
최창원
2014~2021
- SK디스커버리 부회장
- SK가스 부회장
최태원 회장의 사촌동생
  • 대다수의 다른 구단들과 달리[1] 그룹의 총수인 최태원 회장이 직접 구단주를 맡은 적이 없다. 다만 한국시리즈처럼 큰 경기에는 구단 점퍼와 모자를 쓰고 관중석에서 직접 응원하는 모습을 보여줬고[2] 김광현이 메이저리그에 진출을 선언하자 직접 격려해주는 등 야구단에 대한 관심은 많은 편이다.[3]

4. 역대 사장


<rowcolor=#fff> 역대
이름
재임기간(시즌)
<colbgcolor=#ff6600><colcolor=#fff> 초대
<colbgcolor=#fff> 안용태
<colbgcolor=#fff> 2000 ~ 2002
2대
정태수
2003~2004
3대
신영철
2005~2012
4대
임원일
2013~2015
5대
류준열
2016~2020
6대
민경삼
2021~
  • 초대 안용태 사장은 구단의 초기 기반을 닦은 인물로 평가된다. 다만 의사결정 과정이 다소 과격해[4] 야구계 내에서는 깡패 사장(...)이라는 별명을 듣기도 했다.
  • 3대 신영철 사장은 구단의 역대 사장 중 가장 오래 일했고 족적이 뚜렷한 사람이다. 재임 중 차례 우승의 조력자 역할을 했지만 김성근 감독의 중도 경질 문제와 이른바 '막걸리 야구' 드립을 두고서 당시 많은 논란이 있기도 했다.
  • 6대 민경삼 사장은 역대 KBO 리그 구단 사장 중 최초로 KBO 리그 현역 선수 출신이며 같은 팀에서 사장과 단장을 동시에 역임한 경력을 지닌 최초의 사장이다. 또한 SK그룹에 입사해서 계열사 임원까지 올랐다가 야구단으로 온 역대 사장들과 달리 SK그룹 임원 출신도 아니다. 물론 과거 SK에서 단장을 역임했던 만큼 SK그룹에서 임원급 대우를 받은 적은 있다.

5. 역대 단장


<rowcolor=#fff>역대
이름
재임기간(시즌)
<colbgcolor=#ff6600><colcolor=#fff> 초대
명영철
2000~2002
2대
최종준
2003~2005
3대
명영철
2006~2007
4대
민경삼
2010~2016
5대
염경엽
2017~2018
6대
손차훈
2019~2020
7대
류선규
2021~
  • 2008년부터 2년간 단장직이 없어졌던 적이 있다. 실무적 의사결정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본부장들의 힘을 더 실어주는 차원의 조직 운영이었지만 이득보다 손해가 많아서 결국 2010년부터 다시 단장직이 부활했다.
  • 초대와 3대 단장을 지낸 명영철 단장은 SK그룹에서 상사맨으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인물이고 최종준 단장은 선수 출신이 아니지만 프로 스포츠팀에서 일한 경력이 길었던 체육행정가로 유명했다.
  • 4대 민경삼 단장부터는 6대 손차훈 단장까지 KBO 리그 선수 출신 인사가 팀을 운영했었으며 손차훈 단장은 구단 역사상 최초의 SK 선수 출신 단장이기도 하다.

6. 역대 감독


<color=#fff> SK 와이번스 역대 감독
<rowcolor=#fff> 역대
이름
재임기간(시즌)
성적
비고
초대
강병철
2000 ~ 2002
399전 165승 226패 8무

2대
조범현
2003 ~ 2006
518전 257승 243패 18무
2003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05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3대
김성근
2007 ~ 2011
611전 372승 232패 13무
2007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9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10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감독대행
이만수
2011
40전 19승 18패 3무
2011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5]
4대
이만수
2012 ~ 2014
389전 194승 187패 8무
2012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5대
김용희
2015 ~ 2016
288전 138승 148패 2무
2015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6대
트레이 힐만
2017 ~ 2018
288전 153승 133패 2무
2017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201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7대
염경엽
2019 ~ 2020
203전 110승 91패 2무
2019년 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감독대행
박경완
2020
95전 39승 56패

8대
김원형
2021 ~


  • 약 3년에 한 번 꼴로 감독이 바뀌었지만 중도 경질된 김성근 감독과 중도 사퇴한 염경엽 감독을 제외하면 나머지 감독이 모두 계약 기간을 채우고 물러났다. 최초 계약 기간 만료 후 재계약에 성공한 감독은 2004년 시즌 후 2년 재계약을 맺은 조범현 2대 감독이 유일하다. 당초 트레이 힐만 6대 감독도 2018년 시즌 이후 재계약 가능성이 높았지만 미국에 있는 가족의 사정 때문에 본인이 재계약을 포기했다.
  • 강병철 초대 감독을 제외하면 모두 SK 감독 재임 중 1회 이상 KBO 포스트시즌 진출 경험이 있다.

7. 역대 주장


SK 와이번스 역대 주장
<colbgcolor=#fff> 기간
<colbgcolor=#fff> 이름
<colbgcolor=#fff> 포지션
2000년
최태원
내야수
2001년
양용모
포수
2002년
박계원
내야수
2003년
김기태
내야수, 지명타자
2004년
조원우
외야수
2005년
강성우
포수
2006년
김재현
지명타자
2007년~2008년
김원형[6]
투수
2009년
박경완
포수
2010년
김재현
지명타자
2011년
이호준
내야수, 지명타자
2012년
박정권
내야수, 외야수
2013년
정근우
내야수
2014년
박진만
내야수
2015년
조동화
외야수
2016년
김강민
외야수
2017년
박정권
내야수, 외야수
2018년~2019년
이재원[7]
포수
2020년
최정
내야수
2021년
이재원
포수

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연도
선수
상대팀
비고
2000년
김태석
삼성 라이온즈 (대구)
홈 개막전 선발 :
2001년
에르난데스
LG 트윈스 (숭의)

2002년
에르난데스
현대 유니콘스 (수원)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2003년
스미스
LG 트윈스 (잠실)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2004년
카브레라
LG 트윈스 (문학)

2005년
김원형
현대 유니콘스 (수원)
홈 개막전 선발 : 채병용
2006년
신승현
현대 유니콘스 (문학)

2007년
레이번
한화 이글스 (대전)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2008년
레이번
LG 트윈스 (문학)

2009년
채병용
한화 이글스 (문학)

2010년
카도쿠라
한화 이글스 (문학)

2011년
글로버
넥센 히어로즈 (문학)

2012년
마리오
KIA 타이거즈 (문학)

2013년
레이예스
LG 트윈스 (문학)

2014년
김광현
넥센 히어로즈 (문학)

2015년
밴와트
삼성 라이온즈 (대구)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2016년
김광현
kt wiz (문학)

2017년
켈리
kt wiz (문학)

2018년
켈리
롯데 자이언츠 (문학)

2019년
김광현
kt wiz (문학)

2020년
닉 킹엄
한화 이글스 (문학)


9. 역대 한국시리즈 헹가래 투수


<rowcolor=#fff> '''연도'''
'''헹가래 투수'''
'''헹가래 포수'''
'''마지막 타자'''
'''상대팀'''
'''2007년'''
'''정대현'''
'''박경완'''
이종욱 (루킹 삼진)
두산 베어스 (문학, KS 6차전)
'''2008년'''
'''채병용'''
김현수 (1-2-3 병살타)
두산 베어스 (잠실, KS 5차전)
'''2010년'''
'''김광현'''
현재윤 (루킹 삼진)
삼성 라이온즈 (대구, KS 4차전)
'''2018년'''
'''허도환'''
박건우 (헛스윙 삼진)
두산 베어스 (잠실, KS 6차전)

10. 유니폼 변천사



11. 선수단 일람



12. 등번호 일람



13. 캐치프레이즈


연도
문구
2000년
패기의 SK! 승리의 와이번스![8]
2001년
불같은 패기! 뜨거운 감동! SK 와이번스!
2002년
패기의 SK! 팬과 함께 우승영광!
2003년
세계로 향한 인천! 우승을 향한 SK![9]
2004년
정상을 향한 무한비상! SK 와이번스!
2005년
구도[10] 100년! 챔피언 원년! 인천 SK!
2006년
우승을 향한 행복 날개![11] SK 와이번스!
2007년
Fan First! Happy Baseball![12]
2008년
2009년
2010년
Go Green! Enjoy Baseball![13]
2011년
불꽃투혼 SK! 팬과 함께 V4![14]
2012년
Touch Wyverns! Go V4!
2013년
2014년
2015년
One Team! One Spirit![15]
2016년
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전!
2017년
따뜻한 울림 뜨거운 질주
2018년
다함께! 더높이! - Rise up Together!
2019년
열광, 자부심 그리고 2019
2020년
강한 기본, 투혼의 SK

[1] 네이밍 스폰서 제도를 도입한 키움 히어로즈를 제외한 KBO 리그 각 구단의 구단주는 대부분 모그룹의 회장이나 사장(박정원(두산), 구광모(LG), 김택진(NC), 구현모(kt), 김승연(한화), 신동빈(롯데), 정의선(KIA))이 맡고 있다. SK와 비슷한 경우를 찾자면 삼성그룹 계열사 임원 1명이 구단주를 맡는 삼성 라이온즈가 유일하다. 물론 삼성도 2001년까지는 이건희 회장이 구단주였다.[2] 다른 구단주들은 스카이박스석이나 VIP 관중석에서 경기를 지켜봤는데 유독 최태원 회장은 본인이 직관을 할 때면 응원석에서 직관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개인적으로는 1990년대 시카고에서 유학 생활을 할 때 농구를 보며 지낸 덕에 상당한 농구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같은 그룹 농구단에 막대한 투자를 할 수 있던 것도 최태원 회장이 농구팬이어서 그렇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4] 구단 창단 과정에서 연고지 문제를 두고 박용오 당시 KBO 총재에게 득달같이 전화해서는 "나 SK 사장인데 우리 팀 연고지로 서울을 주시오!"라고 대뜸 말한 것이 유명한 일화다. 당시 박 총재와 안 사장은 일면식도 없었던 남남(...)이었다. 2001년 신인 지명2002년 신인 지명 때 신생팀 지원 혜택으로 1라운드 1~3번 신인 지명권을 요구한 것도 안 사장의 성과인데 이 당시 KBO 이사회에서 다른 구단 사장들을 향해 생떼를 부렸다(...)는 이야기가 있다.[5]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최초의 감독대행[6] 원래 2008년 주장은 이호준이었으나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시즌 소화가 어려워지자 김원형을 주장으로 재선임했다.[7] 구단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주장[8] 이후 구단의 공식 슬로건이 됐다. '패기'는 SK그룹의 인재상이기도 하다.[9] 캐치프레이즈에 지역명을 직접 표기한 흔치 않은 사례. 인천 팬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고 SK가 인천 연고 팀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결국 이 해 SK는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했고 마케팅 측면에서도 적잖은 성공을 거뒀다.[10] 球都. 야구도시라는 뜻으로 인천에서 처음 야구가 시작됐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11] SK그룹의 CI에 행복 날개가 추가된 점을 감안해 제정됐다.[12] "'스포테인먼트' 시대를 열겠다"는 취지로 "팬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면서 마련한 캐치프레이즈이다.[13] 연두색 유니폼을 입는 이마트 그린데이 시리즈가 이 해부터 시작됐다.[14] 원래는 팬 공모를 통해 선정된 'Do Dream! SK Wyverns! Let's go V4!'라는 캐치프레이즈였다. 발표 이후 당시 부천 FC 1995 축구단의 캐치프레이즈와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재선정됐다.[15] 김용희 감독이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