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해체된 부대
1. [image] 대한민국 국방부
2000년에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의무대, 해양의학적성훈련원과 통합되어 해군해양의료원으로 재창설,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
2000년에 해군본부 직할부대로 변경되어 해군포항병원으로 재창설.
2009년에 육군본부 직할로 소속이 바뀌었다가, 2011년 1월 1일부로 예속이 육군훈련소로 변경되어 해체되고 육군훈련소지구병원으로 재창설되었다. 이에 맞춰 위치도 연무읍 내에서(연무대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었다) 육군훈련소 안쪽으로 이동했다.
2009년 병원 해체.
2017년 병원 해체.
2020년 병원 해체.
2018년 9월 1일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재편되었다.
2018년 12월 4일 국군정보사령부 예하부대에 통폐합되었다.
2. [image] 대한민국 육군
2.1. 사령부 및 군단
2019년 1월 1일부로 지상작전사령부가 출범함에 따라 해편한다.
2019년 1월 1일부로 지상작전사령부가 출범함에 따라 해편한다.
충렬부대. 구 제2야전군사령부의 군단으로 31사단, 32사단, 35사단, 37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충무부대. 구 제2야전군사령부의 군단으로 39사단, 50사단, 53사단, 제1116야전공병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었다.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로 창설. 1982년 8월 제7군단으로 개편. 1983년 제7기동군단으로 개편.
정확히는 해체가 아니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확대개편되었다.
1991년에 공군으로 전군하여 공군방공포병사령부로 바뀌었으며,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2. 사단 및 여단
필승부대. 제1군단 예하 기계화보병사단이었으나 2020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
치악산부대. 구 제1야전군사령부 예하 동원사단으로 1955년에 창설되었으나 1982년에 해체되었다.
상승부대. 수도군단 예하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7년 11월 30일부로 해체되었다.
밀물부대. 제6군단 예하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7년 11월 30일부로 해체되었다.
선승부대.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6년 11월 30일에 해체되었다.
진격부대. 제2군단 예하 동원사단이었으나 2011년 11월에 해체되었다.
- 제2유격여단(제5특수임무단, 제5공수특전여단)
1969년 2월 17일 제2유격여단으로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9월 10일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2000년 6월 1일 제5특수임무단으로 개편, 2010년 7월 1일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
무적부대.항목 참조.
일출부대. 항목 참조.
백호부대. 2작사 예하의 특공여단이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로 해체되었다.
2.3. 단 및 연대
- 제1공수특전단(舊 제1전투단)
1958년 4월 1일 창설된 육군본부 직할 제1전투단을 모체로 1959년 10월 1일 창설.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자 특전사 예하로 배속. 1972년 10월 1일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
- 제18항공단
- 제31항공단
- 제60항공단
- 제61항공단
- 제11정보통신단
- 제13정보통신단
- 제109정보통신단
- 제111정보통신단
- 제1107공병단
- 제1116공병단
- 제1118공병단
- 제1119공병단
- 제1120공병단
- 제1173공병단
- 독립기갑연대
- 제4연대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해체. 주둔지는 광주. 제14연대가 제4연대 예하의 대대를 모체로 창설되었기 때문에 반란군에 심적으로 동조하는 자가 많았고 반란이 터지고 나서 우선 급히 파견된 1개 중대가 반란군에 합류하는 등 문제가 있는 부대였다. 이후 육군 부대명에서는 4가 들어가지 않는다. 4사단 14사단 24사단 등. 한자 死(죽을 사)가 연상되기도 하여 한국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5]
- 제6연대
- 제14연대
2.4. 기타
- 제800(809)·801·802·803·805·806정찰대대
각각 수도·제1·2·3·5·6군단 직할 정찰대대였으나 수색대, 특공대와 임무가 중복된다는 이유로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에 기계화보병사단 직할 정찰대를 제외하고는 전부 해체되었다.
- 특전사 여군 중대
사령부 예하 부대로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여군들은 공수특전여단이나 707 특임대가 아닌 이 곳으로 배치되었었다. 2014년 당시 사령관 전인범 장군의 지시로 해체되고 여군들은 다른 남군들처럼 공수특전여단 같은 곳으로 배치되도록 바뀌었다.
1972년 폐교.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 개편되었다. (국군재정관리단의 모체가 됨)
국직부대인 국군교도소로 개편되었다.
한국전 당시에 심리전 등을 이유로 HID에 소속됐던 화교들의 부대이다.
3. [image] 대한민국 해군 / [image] 대한민국 해병대
- 한국함대
- 제1·2전단
한국함대의 예하 전단으로, 1전단은 호송·경비작전을, 2전단은 상륙작전을 전담했다.
- 제1·2·3전투전단
각각 제1·2·3함대 예하, 구축함/초계함/고속정전대의 상위급 부대인 전단이었으나 지휘구조 간략화 개혁에 의해 해체되고 함대사령부가 바로 각 전대를 지휘하도록 개편되었으며, 옛 전단장들의 권한은 함대 부사령관에게 주어졌다. 그런데, 2015년 2월에 각 함대별로 해상전투단이 창설되며 사실상 부활했다.
- 제51기동전대(舊 제11전대, 제51대잠전대)
1960년 한국함대 제1전단 예하 제11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1대잠전대로 개편, 2007년 제51기동전대로 개칭. 구축함전대로, 2010년 1월 31일부로 해체되고 소속 함정은 2010년 2월 1일부로 창설된 제7기동전단에 배치되었다.
- 제56특수전전대(舊 제25특수전전대)
한국함대 제2전단 예하 제25전대로 창설. 1986년 해군 작전사령부 예하 제5성분전단 예하 제56전대로 개편, 2007년 전단급으로 확대. 2012년부터는 해군 특수전전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목포해역방어사령부
- 제9잠수함전단(舊 제57잠수함전대)
- 해군기초군사학교
2009년부터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승격되었다.
- 해군기술병과학교
해군행정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 해군행정학교
해군기술병과학교와 해군기술행정학교로 통합되었다.
1983년 폐교되었다.
2015년 폐교되어 해군전투병과학교 예하 분과로 들어갔다.
- 해병대학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진해교육기지사령부
1973년 해병대사령부 해체시 함께 해체됐다.
- 해군중앙경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2015년 12월 1일 해체되고 해군병력은 제주기지전대로, 해병병력은 제9해병여단으로 배속되었다.
- 해군제1군사교육단
2018년 7월 1일부로 다시 해군기초군사교육단으로 개칭되었다.
2018년 7월 1일부로 해체되었으며 예하의 각 학교는 교육사령부 직속이 되었다.
4. [image] 대한민국 공군
1984년 폐교되었다.
- 공군교재창
2009년 3군 인쇄창을 합병으로 개편, 국군인쇄창으로 이동하였다.
- 방공포병사령부
2013년에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개선되었다.
- 공군중앙관리단
국직부대인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해당 문서 참조.
- 공군남부전투사령부
공군공중전투사령부로 개편.
- 공군북부전투사령부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 제30방공관제단
2013년에 공군방공관제사령부로 승격되었다.
-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공군전술항공통제단으로 개편.
- 제37전술정보전대
2017년에 항공정보단으로 개편.
- 제55항공수송단 - 은마부대, 베트남 전쟁, 1967년 7월 1일 ~ 1973년 3월 15일
- 제56항공수송단 - 비마부대, 걸프 전쟁, 1991년 2월 24일 ~ 1991년 4월 10일
- 제57항공수송단 - 청마부대,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12월 18일 ~ 2003년 12월 31일
- 제58항공수송단 - 다이만부대, 이라크 전쟁, 2004년 8월 31일 ~ 2008년 12월 19일
-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
1976년 1월 15일 해체되어 예하 인력·장비 등이 해군 항공대에 이관되었다.
- 제73기상전대
2012년 전국에 흩어져있던 예하 부대의 대부분이 파견되어 있던 곳(사령부, 비행단 등)으로 이관되고, 남은 중앙부서 및 일부 파견대가 공군기상단으로 승격되었다.
- 제88방공포전대
1988년 11월 1일에 창설된 공군의 방공 부대로, 육군의 방공포병사령부가 공군으로 이전되면서 해체되었다.
- 제131전술정찰비행대대
제39전술정찰비행전대 예하 비행대대. 2014년 해편.
- 제132전술정찰비행대대 - 2012년 해편. RF-5A/B 운용.
- 제156전투비행대대 - 2012년 해편. F-4E 운용.
- 제205전투비행대대 - 2015년 해편. KF-5 운용.
- 제207전투비행대대 - 2014년 해편. F-5 운용.
- 제238전투비행대대 - 2007년 해편. A-37 운용.
5. 관련 틀
6. 관련 문서
[1] 2021년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재창설될 예정이다.[2] 태권도의 창시자이며 ITF의 창설자인 그 사람 맞는다.[3] 그래서 경례 구호도 '태권'이었다. 1953년 제주도에서 제1훈련소를 근간으로 창설되어 59년에 20사단과 통·폐합되어 해체된 부대. 사단 마크는 번개 모양이 2, 주먹 모양이 9를 의미하였으며 이 휘장의 주먹은 초대 사단장인 최홍희[2] 소장의 오른손을 그의 부인이 그린 것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주먹 부대로 불리기도 했으며 그 외에 초대 사단장이 신익희를 기린다는 의미로 익크 부대라는 별명을 지어주기도 하였다.[4] 무적태풍부대와는 헷갈리지 말자.[5] 비슷한 경우로 10,18은 발음상 비속어라 사용하지 않는다[6] 현재의 제1함대와는 다른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