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로스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image] 641 토네로스
[image] '''642 볼트로스'''
[image] 643 레시라무
지역 도감 나열 순서
하나도감
접기·펼치기
BW
[image] 147 토네로스
[image] '''148 볼트로스'''
[image] 149 레시라무
BW2
[image] 198 토네로스
[image] '''199 볼트로스'''
[image] 200 랜드로스

'''정보 내 바로가기 '''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폼 체인지
방어 상성
종족치
도감 설명
skip
1. 정보
2. 소개
3. 테마곡
4. 포획
4.1. 폼 체인지
5. 대전
5.1. 화신폼
5.1.1. 6세대까지
5.1.2. 7세대부터
5.1.3. 오기
5.2. 영물폼
8. 애니메이션
9. 기타
10. 관련 문서


1. 정보



[image]
[image]
볼트로스
(화신 폼)
볼트로스
(영물 폼)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성비
타입
한국어
일본어
영어
[image] [image]
볼트로스
ボルトロス
Thundurus
전국: 642
하나: 148BW / 199BW2
수컷: 100%



특성(숨겨진 특성은 *)
짓궂은마음
변화 기술에 대해서 우선도가 1 증가한다.
(7세대부터) 악 타입에게는 무효가 된다.
축전
전기 타입의 공격을 맞으면 피해을 무효로 하고,
체력을 전체의 25%만큼 회복한다. (영물 폼)
*오기
상대한테 능력치가 떨어지면 공격이 2랭크 증가한다.

세부 정보
분류
신장
체중
알 그룹
포획률
뇌격 포켓몬
1.5m
61.0kg
미발견
3

폼 체인지
폼 체인지
[image]
화신 폼
[image]
비추는거울 사용

[image]
영물 폼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배





종족치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image] 화신 폼
79
115
70
125
80
111
'''580'''
[image] 영물 폼
79
105
70
'''145'''
80
101
'''580'''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image] [image]
642 볼트로스
블랙
볼트로스가 지나간 토지에는 벼락이 친 자국이 그을음으로 남아있다.
화이트
꼬리의 가시로부터 전격을 때린다. 하나지방의 하늘을 날아다니며 벼락을 떨어트린다.
X
OR
블랙 2
넓은 하늘을 날아다니며 이곳저곳에 번개를 떨구어 산불을 일으키므로 미움받는다.
화이트 2
Y
AS


2. 소개


포켓몬스터 5세대 서브 전설의 포켓몬 로스 삼형제 중 하나. 화신폼의 모티브는 뇌신, 영물폼의 모티브는 청룡이다.
블랙 버전에서만 등장하는 토네로스의 라이벌격인 포켓몬이며 이 둘을 가지고 풍요의 사당으로 가면 랜드로스와 조우할 수 있다. 토네로스와는 기술 폭과 타입, 몸무게를 제외한 모든 스펙이 동일하다. 참고로 볼트로스를 포함한 상기의 3마리는 '복붙로스'라 불린다. 몸 색깔 외에 이 3마리의 차이점을 찾는다면 꼬리 부분과 머리 장식, 머리의 뿔의 개수, 그리고 수염이다.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의 보라시티에 있는, 복붙로스를 폼 체인지시키는 데에 쓰이는 중요한 도구 비추는거울을 주는 가게 '미러숍 나르시스'의 점원에 따르면 볼트로스의 원래 모습이 화신 폼과 영물 폼 중 어느 쪽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3. 테마곡


* 전투! 전설의 포켓몬


4. 포획


5세대 화이트 버전에서 첫 등장했다. 블랙 버전에서는 토네로스가 나온다. 쌍용시티의 배지를 차지하고 북쪽으로 올라가면 게이트 안내원이 7번 도로에 비와 뇌우가 치고있다는 관한 이야기를 해주는데, 이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궐수시티 근처 민가의 할머니에게 야채 수프를 얻어먹고 나오면 볼트로스와 만나는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후 볼트로스가 도감에 추가된다. 문제는 볼트로스가 2세대 작품에 등장하는 앤테이, 스이쿤, 라이코처럼 만나면 도망만 치는 배회 포켓몬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위의 3성수들과는 달리 도감에 위치가 표시되지 않는다.
볼트로스를 잡으려면 게이트에 있는 전광판에서 알려주는 뇌우가 치는 지역을 찾아가서 근처의 숲을 돌아다니면 된다. 근데 해당 지역으로 가도 뇌우가 안 내릴 때가 많고 이걸 확인한 뒤 전광판을 보면 또 다른 쪽에서 뇌우가 내리고 있다.
아무튼 이렇게 겨우 찾아내도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뭘 하려고 하면 도망간다. 최면술로 잠재워도 잠든 상태로 도망친다. 따라서 이 녀석을 잡으려면 검은눈빛으로 도망치는 걸 막거나 마스터볼로 잡거나 만날 때마다 한 대씩 때려서 체력을 깎아 빈사 상태로 만들어 잡는 노가다를 하는 방법뿐이다.
포획하기 쉽고 제일 출현률이 좋은 곳은 2~3번 도로도 좋은 편으로, 일단 2~3번도로는 자전거만 있다면 빠르게 왔다갔다 거릴 수도 있고, 오고 갈 때 꼭 지나야 하는 풀숲도 없고, 게이트도 가까이 있기 때문에 위치 확인이 그때그때 가능하다. 게이트 전광판의 정보가 확실하지 않을 때가 꽤 있으므로 속편히 2~3번 도로를 왔다갔다 하면서 뇌우가 치나 체크하고 게이트 한 번 들어갔다 다시 왔다갔다 하면 빠른 시간 안에 자주 만날 수 있다. 야채스프를 대접하는 할머니 말대로 볼트로스는 아침에 남쪽 지역, 밤에 북쪽 지역에 자주 출몰하니 2~3번도로는 주로 아침에, 6번도로는 주로 저녁에 가서 돌아다니는 것이 좋다.
위치가 쉽게 바뀌는 것을 이용해서 잡는 방법도 있다. 우선 도로의 풀숲과 건물이 한 화면에 들어오는 곳을 찾는다. 마땅한 장소를 찾았으면 건물을 들락날락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아주 빠르게 바뀌는 날씨를 전광판 없이도 바로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시간대에 출현하는 장소는 2~3군데이므로 4번 정도만 들락거리면 금방 뇌우가 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뇌우가 치면 풀숲에 들어가서 돌아다니면 볼트로스가 나올텐데 그 이후로는 노가다를 하면된다. 실제로 다른 방법 안쓰고 칼등치기를 써가며 볼을 마구 던진다고해도 금방 잡을 수 있다.[1]
명색이 전설의 포켓몬이기에, 리그 깨러 가기 전에 잡아서 레벨 업시키고 기술 배치만 적당히 해주면 충분히 1인분 한다.
6세대에서는 알파사파이어에서 캐스퐁을 데리고 창공날기로 검은 구름에 돌진하면 잡을 수 있다. 도망가지 않고, 3V를 보장하므로 개체 뽑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이때의 기술 배치는 방전/고속이동/깨물어부수기/회복봉인이다.
울트라문에서도 등장 확정되었다. 볼트로스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 워프홀 중에서 빨간 워프홀에서 출현한다.
소드.실드에서는 처음에는 잘렸지만 왕관의 설원에서 부활하여 실드한정으로 다이맥스 어드벤처에서 출현한다.

4.1. 폼 체인지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부터는 폼 체인지가 가능하다. '비추는거울'을 사용해 변신하며 기본적으로는 닌텐도 3DS 앱인 "포켓몬 AR 서쳐"에서 포획해 얻어와야 한다. 영물폼 전용 특성 '축전'은 출신지에 상관없이 모든 볼트로스가 영물폼이 될 경우 이 특성으로 바뀐다.

5. 대전


썬더와 종족치 총합이 동일하지만 이쪽은 내구가 낮은 대신 스피드가 더 빠르며 쌍두형에 가까운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썬더가 날개쉬기열풍으로 승부한다면 이 쪽은 엄청난힘/기합구슬/풀묶기 등으로 승부한다는 것이 차별점. 또한 도발이나 전기자석파 등의 좋은 보조기, 유턴/볼트체인지 같은 유용한 기술도 많이 배워서 안정된 턴 벌기와 기점 확보가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썬더가 안정적인 내구를 살려 눌러앉아 꾸준히 패는 딜탱 브루저이고, 볼트로스는 고스핏으로 화력을 투사하거나 각종 보조기로 상대 파티를 휘젓는 어태커 겸 트릭스터라 할 수 있다.

5.1. 화신폼


특성은 5세대 신 특성 '짓궂은마음'이다. 내구가 결코 높은 축에 들지 못하지만 도발, 전기자석파, 대타출동, 뽐내기를 선공으로 사용해서 '''랭업형 스위퍼와 막이를 간단히 기능 정지시킬 수 있다'''. 플랫 룰 기준 전기 타입 5위에 이르는 특공 종족값을 갖고 있으며 공격 종족값도 4위에 이른다.
특수형으로 가면 기합구슬, 풀묶기, 악의파동, 러스터캐논, 사이코키네시스, 오물폭탄/오물웨이브, 불태우기나쁜음모를 익히기 때문에 견제폭 및 화력 보강은 손쉬운 편이다. 이에 더해 자속 10만볼트/번개와 전기 타입의 영원한 친구 잠재파워-얼음를 주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공격 종족값도 낮지 않아서 엄청난힘을 채용해 기합구슬보다 안정적으로 휘석 럭키, 마기라스를 돌파하는 역할 파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특방 하락 성격에 남는 노력치 4를 공격에 주기도 한다. 암해머 또한 배울 수 있으나 이쪽은 스피드에 목숨을 거는 볼트로스에게 너무 큰 페널티가 있어서 채용 가치는 낮다. 엄청난힘은 어차피 특수형이라 공격 하락이 큰 문제가 되지 않고 내구도 원래 영 좋지 않아서 방어 하락의 부담이 적다.
유턴과 볼트체인지를 배우므로 상대하기 힘든 적이 나왔을 때나 상대가 교체할 것 같을 때 빠른 스피드를 이용해서 한 대 툭 쳐주고 기점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체인지는 자속을 받는 대신 무효 타입이 존재하고 유턴은 라티오스 등에게 적지 않은 데미지를 준다. 겁쟁이 성격에 공격 노력치를 하나도 안 줘도 내구에 투자하지 않은 라티오스를 유턴 2방으로 잡아낼 수 있다. 적당한 대미지를 원한다면 볼체를, 보다 안정적인 기점 확보를 원한다면 유턴을 선택하면 된다.
이렇듯 기술폭은 그럭저럭 괜찮지만 갸라도스와 마찬가지로 비행 타입을 전혀 살리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녀석이 배우는 비행 타입 기술은 단 두 가지. 공중날기프리폴뿐이다. 둘 다 물리형인 데다 한 턴을 그대로 버리는 기술들이라 채용 여지가 매우 낮다. 그나마 프리폴은 더블에서 채용 가치가 있으니 좀 낫다. 볼트로스가 에어슬래시를 배웠다면 토네로스의 입지가 굉장히 좁아지기 때문에 이건 밸런스 차원에서 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볼트로스가 짓맘포켓몬들 중에서도 가장 고평가받는 이유는 높은 종족값에 있다. 공격/특공 종족값이 두 자릿수에 머무는 다른 짓맘몬과 달리 변화기 그런 거 없어도 충분히 강력하기 때문에 어태커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2] 또한 스피드도 빨라서 같은 짓궂은마음 소유자들을 선도발로 손쉽게 정지시킬수있다는것도 큰 장점.

5.1.1. 6세대까지


111이라는 특색 있는 스핏과 선공 도발, 전기자석파를 사용하는 이 녀석의 아이덴티티는 매우 유명하여, 5세대 초기부터 각종 세계대회를 휩쓸고 다녔다. WCS 2011에서는 뽐내기로 파트너의 공격을 올려주고 시몬열매(キーのみ) 등으로 바로 혼란을 풀어주는 이바키(いばキー) 파티로 유명했다. 노보청 같은 포켓몬이 파트너로 주로 선택되었으며 뽐내기의 경우 파트너를 위한 기술뿐만 아니라 뽀록나-란쿨루스의 스탠다드 트릭룸 파티 등에 대한 대책으로도 사용되었다. 주로 노보청 등의 격투, 뽀록나, 엘풍 등을 위해 잠재파워-비행을 사용하는 경우 또한 많았다.
더블에서 쓰일 경우 내구조정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스핏을 최속보정하고 특공 쪽의 노력치를 배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핏 최속보정을 하지 않을 경우 바로 팬텀, 고집 파이어로에게 추월당한다. 아이템은 자뭉열매, 기합의띠로 안정성을 도모하거나 생명의구슬, 달인의띠 같은 화력강화도구로 낮은 주력기의 위력을 보완하는 경우가 많다.
초전설전에서는 메가레쿠쟈와의 콤비로 쓸 수 있을 가능성도 보인다. 볼트로스의 짓맘 특성을 이용해 레쿠쟈보다 빠른 상대에게 전기자석파를 걸어 레쿠쟈보다 느리게 만들어 놓음과 동시에 메쿠쟈 등장과 동시에 깔리는 델타스트림 특성에 의해 볼트로스의 약점인 바위와 얼음 2배 피해가 상쇄되어 실질 무약점 포켓몬이 된다. 이로써 메가캥카, 마기라스 등의 스톤샤워, 뮤츠 등의 냉동빔을 우습게 받아넘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녀석의 사용률이 높은 이유는 110족을 커트하는 빠른 스피드, 상당한 화력으로 날리는 자속 전기 기술의 일관성, 도발로 접수 루프를 봉쇄, 선공 전기자석파로 스위퍼를 무력화시키는 등 게임메이커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 매우 폭넓은 활용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5세대 후반으로 가면서 그토록 강력했던 번치코의 위세가 점차 줄어든 이유가 바로 버섯모, 노보청의 다른 격투 타입의 발굴과 초메이저였던 비팟, 샤액불 등을 처단하기 위해 증가한 볼트로스의 사용률에 따른 것이다. 이 때문에 5세대에서는 싱글 6->3 전체 포켓몬 사용률 10위 안팎을 넘나들었으며, 6세대에서도 변함없이 빈번하게 선출되는 범용성 좋은 포켓몬이다.

5.1.2. 7세대부터


7세대에서는 상태이상기들이 하향되면서 간접적인 하향을 당했다. 전기자석파의 명중률이 100%에서 90%로 감소, 뽐내기 명중률 90%에서 85%로 감소, 혼란 자해율 1/2에서 1/3로 감소, 마비 스피드 감소 1/4에서 1/2로 약화되었다.
기술과 더불어 특성 자체의 성능도 하향되었는데, 짓궂은마음이 적용된 모든 기술은 '''악타입 포켓몬에게는 통하지 않게 되었다'''. 6세대까지 선공으로 날렸던 도발, 전기자석파, 뽐내기 등으로 더 이상 악 타입을 견제할 수 없게 되었다.
이 변경으로 인한 수혜자는 자속기로 볼트로스의 약점을 찔러대는 개굴닌자, 마기라스, 포푸니라등이 있다. 6세대까지는 선공 전기자석파로 견제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유효한 기술이 공격기 외에 없어졌다. 포푸니라와 개굴닌자는 볼트로스보다 높은 스피드로 일방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저항조차 못 하고 맞아야 한다. 마기라스에게는 선공을 차지할 수 있는데, 이쪽은 내구가 높아서 10만볼트 정도로는 아무런 견제도 되지 않는다. 유효한 기술은 격투 타입인 엄청난힘이나 기합구슬이 있는데, 마기라스는 엄청난힘으로는 보내 버릴 수 있지만 기합구슬은 돌격조끼 형태라면 버틴다.
그래서 아예 이들과 대면할 것을 전제로 격투Z을 채용하는 형태도 있다. 격투Z을 채용하면 난적인 악 타입뿐 아니라 메가캥카, 너트령, 히드런 등 격투에 약한 메이저 포켓몬들을 안정적으로 상대할 수 있게 된다. 대신 7세대 환경에는 격투에 강한 메이저 포켓몬도 많기 때문에 일장일단이다.
7세대 현재 밥줄이었던 우선도 +1의 상태이상 기술이 직접적으로 너프당하고 악 타입에게는 짓궂은마음이 무효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사용률이 크게 줄었다.

5.1.3. 오기


숨겨진 특성 '오기'를 이용한 물리형. 자속 받는 와일드볼트를 필두로 엄청난힘, 탁쳐서떨구기, 아이언테일을 배울 수 있지만 거기서 끝이라는 것이 문제다. 기가임팩트를 제외하고 가장 강력한 물리 기술이 노멀 타입 난동부리기은혜갚기뿐이기 때문이다. 그에 더해 나쁜음모로 화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특수형에 비해 칼춤의 부재로 인해 적을 한 방에 보내지 못하면 이쪽이 역관광을 당하기 쉬운 내구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약점 또한 존재한다.[3]
6세대 XY 더블배틀 시즌 4쯤부터는 변화기를 다 버리고 노력치를 공격에 몰아줘 프리폴 등으로 자잘한 견제를 하는 오기 화신볼트를 쓰는 사람이 늘어났다. 위협이 난무하는 더블배틀에서 오기로 공격을 올리는 상황은 비교적 잘 나오고, 이 경우 킬가르도크레세리아에게 안정적으로 탁쳐서떨구기를 먹일 수 있다.
8세대 더블 배틀 환경에서는 다이맥스 요원으로 물리형 볼트로스가 은근 쓰이는 편이다. 랜드로스, 어흥염 등 위협 요원에 강해지는 특징이 있고, 와일드볼트공중날기를 다이썬더/다이제트로 강화시켜 쓸 수 있으며 물리형으로 약점을 찌를 수 있는 카푸느지느 상대로도 강력하다. 비슷한 이유로 깎기 기술이 주력인 드래펄트와의 대면도 꽤 재미있게 풀어나갈 수 있다. 게다가 정반대로 발끈 특성으로 한 대 맞고 몰아치는 타입의 가라르 파이어 상대로도 큰 힘을 발휘한다. 핀포인트 활용도이지만 그 활용도를 써먹을 상대의 출현 확률이 워낙 높기 때문인지, 포켓몬 홈에서의 성격 비중을 보면 물리형인 명랑/고집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5.2. 영물폼


내구
기준: 무보정
물리 내구
33,722
-
특수 내구
37,469
-
결정력
기준: 겁쟁이 C252
10만볼트
스파킹기가볼트
26,595
51,614
제1타입
볼트체인지
20,685
제1타입
기합구슬
전력무쌍격렬권
23,640
37,430
비자속
오물웨이브
18,715
비자속
잠재파워
11,820
비자속
스피드
실능

스피드 종족치: 101

최속
준속
무보정
기본:
168
153
121
1랭크↑일 때:
최속 177족 추월
준속 199족 추월
최속 156족 추월
준속 176족 추월
-
화신폼의 종족값 배분에서 스핏과 공격에서 각각 10씩 떼어 특공에 더해진 형태다. 영물폼의 특공 종족값은 145로 전수목, 메가전룡을 잇는 '''전기 타입 3위'''로, 특수형 어태커로서의 면모가 강해진다.
특성은 축전으로 고정된다. 화신폼 볼트로스의 짓궂은마음과 비교해 보면 좀 덜떨어져 보이지만, 이쪽은 고화력 어태커로서의 면모가 강해졌으므로 전기 기술을 받으며 나올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효 2개에 반감 5개의 매우 훌륭한 방어상성을 자랑한다. 특히 그 무효가 땅과 전기라는점이 더 훌륭하다. 대신 훌륭한 방어상성과는 별개로 내구는 낮은 편에 속한다.
스피드가 한카리아스보다 1낮은 수치로서 매우 미묘한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한카리아스에게 처지는 스핏을 보강하는 구애스카프가 가장 많고 구애안경이나 생구를 쓰거나 나쁜음모를 쌓아 화력을 올리는 형태, 자뭉열매나 돌격조끼로 내구를 보정하는 형태로 나뉜다.
로테이션 배틀에서는 축전이 최고급 특성이기 때문에 자주 보인다. 파이어로, 마릴리, 토게키스, 파르셀, 개굴닌자 등 전기 타입이 약점인 포켓몬들과 궁합이 매우 좋다.
7세대에서는 화신폼의 하향과 더불어 카푸꼬꼬꼭, 전수목으로 전기 타입의 위상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축전으로 전기를 흘릴 수 있는 영물폼의 사용률이 증가했다. 오히려 7세대 환경에서는 영물폼만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주로 전기 약점인 포켓몬과 파티를 짜서 카푸꼬꼬꼭[4]을 유도하고, 전기 공격을 흘려서 오물웨이브로 보내버리는 용도로 싱글에서 자주 사용된다. 뱅크 해금 전 텅구리와 비슷한 느낌이다.[5]사용률 30위권 내에 자주 들면서 생각보다 자주 나타난다.
고속이동으로 애매한 스피드를 보완할 수 있고 나쁜음모와 격투Z등을 조합하면 막이팟을 파쇄하는데 좋은 성능을 보인다. 랜드로스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아이템을 소화할수있고 기술폭도 넓어서 형태를 알기 어려운편.
8세대에서는 사용률이 줄었다. 전기타입 특수 어태커로 폭풍이 가능한 썬더와 공중날기로 다이제트가 가능한 화신폼 물리형에 밀린다. 물론 특성과 기합구슬, 나쁜음모 등으로 차별화가 되기는 한다.

6. 포켓몬스터 SPECIAL


뇌문시티의 뇌문체육관에 비를 뿌리며 나타난다. 카밀레와의 배틀에서 승리한 블랙이 뱃지를 받기 직전 경기장 내에 있는 제트코스터가 작동해 밖으로 나와버렸는데, 이때 조우한 포켓몬이 바로 볼트로스다. 블랙에게 난데없이 전기 공격을 날린다. 카밀레의 말에 따르면 자기 할머니께 들은 적이 있는 전설의 포켓몬이며 어릴 적에 자신과도 조우한 적이 있다고 한다. 또한, 카밀레 자신이 전기 타입 익스퍼트를 목표로 했을 때 볼트로스를 잡기 위해 볼트로스에 관련된 전승을 조사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7. 포켓몬 GO


2020년 3월 3일에 5성 레이드에 CP 46044로 등장한다. 화신폼이 먼저 등장했으며 화신폼의 종족값은 266/164/188 으로 공격이 높은 편이며 40레벨 CP는 3345 이다. 퀵무브는 전기쇼크와 놀래키기. 차지무브는 번개펀치, 번개, 깨트리다, 깨물어부수기다. 스킬 타입을 전기로 통일시킬 순 있으나, 번개나 번개펀치는 10만볼트나 와일드볼트보다 성능이 훨씬 떨어지기 때문에 평가가 박하다. 레이드 말고도 배틀리그로도 얻을 수 있는데, 각각 일반리그 4승과 프리미엄리그 2승의 보상인 포켓몬 발견에서 주리비얀, 뚜꾸리, 잠만보, 곤율랭 등과 기라티나 어나더폼과 같은 포켓몬과 섞여서 등장한다.
볼트로스의 약점을 찌르는 얼음/바위 타입은 양쪽 다 괜찮은 딜러들이 나와있어 난이도가 많이 높지 않다. 마침 볼트로스 등장 바로 전에 커뮤니티 데이로 암석포 거대코뿌리가 풀렸기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볼트로스 레이드를 수월하게 진행했다. 대신 격투 타입 깨트리다를 들고 나와서 이 기술 한정으로 기합구슬처럼 난이도가 급증한다.
여담으로 이리저리 차이는 일이 많은 포켓몬이다. 현재까지의 레이드 보스 중에서도 성능 면에서가 아닌, 레이드 보스 출현 면에서 이 정도로 안습한 취급을 받은 포켓몬은 없었을 정도. 레이드 공지에 끝나는 날을 적어 놓지 않은 것부터 시작해서, 3월 이벤트로 매주 주말마다 전설/환상의 포켓몬들을 풀어 주는 레이드 위켄드가 진행되는데, 이 때문에 시작부터 주말 레이드 일정이 다 잘리고 평일에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일본/이탈리아에서는 1,2주차 이벤트가 코로나 19 때문에 취소되어 복귀하긴 했는데, 복귀해도 취급은 안 좋은 게 얘도 코로나 때문에 다크라이/기라티나 어나더폼과 함께 예정에도 없던 배틀리그 보상행을 당했다. 게다가 1,2주차 레이드가 잘린 보상으로 3주차 코바르온 레이드는 6일간 진행하게 되어 3주차에 볼트로스를 확정적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는 딱 월요일뿐이고, 배틀리그 보상으로도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그나마 4주차에는 확정 복귀할 수 있을 줄 알았더니 코바르온 레이드가 전 세계적으로 3월 31일까지 연장되어 볼트로스 레이드가 끝나는 기간까지 코바르온한테 밀려 보기가 힘들어졌고, 배틀리그에서도 여전히 코바르온이 나온다... 성능도 레이드 보스로도 여러모로 안습한 포켓몬.
그나마 위안점이라면 아직 볼트로스에게는 영물폼이 아직 추가 안 되었다는 것이다. 영물폼의 스탯은 공격 '''295'''[6], 방어 161, 체력 188으로 준전설 중 최고의 공격력을 자랑한다. 볼트로스가 본가에서 10만볼트와 와일드볼트 모두 배울 수 있기 때문에, 화신폼이 이들을 못 배운 만큼 영물폼은 이 두 스킬 중 하나는 배울 것이라고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물론 여태까지 구현된 폼체인지의 전례를 보면 화신폼은 앞으로 계속 화신폼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지만...

8. 애니메이션


성우는 이시즈카 운쇼/오인성[7] 전기 공격을 날렸다가 그걸 피카츄가 받았는데 그 덕분에 '''사상 최강의 일렉트릭볼을 발사한다.'''[8][9]

9. 기타



10. 관련 문서



[1] 타워오브헤븐이 가장 좋다. 처음 볼트로스를 만나는 7번도로에 있으면서도 스프를 받아먹었던 집보다 전투 후 풀숲을 빠져나오기 쉽기 때문이다. 스프먹은 집은 가장 가까운 풀숲을 드나드는 곳이 한군데여서 볼트로스를 안쪽에서 만나면 풀숲을 나오다가 다른 포켓몬을 만날 수도 있다.[2] 특히 잠재파워로 한카리아스를 한방에 보낼수있다는점이 큰장점.[3] 물론 벌크업은 배우기 때문에 화력 강화를 아예 못하는 건 아니다.[4] 하지만 오물웨이브를 채용하지 않았다면 타점이 없다.[5] 텅구리는 쓸만한 불꽃포켓몬이 없어서 사용되었다.[6] 이는 '''램펄드'''와 같은 수치이며, '''뮤츠 바로 밑 되는 엄청난 공격 능력치다.''' 이유는 볼트로스가 준전설이라 본가의 높은 특공 수치가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 영물폼 랜드로스와 비교해봐도 더 높은데 이는 볼트로스가 스피드 종족값이 더 높기 때문이다.[7] 망나뇽도 맡았다. 그러니까 같은 목소리의 포켓몬들끼리 싸움박질한 셈.[8] 크기가 피카츄 크기의 수십 배에 달했다. 이 한방으로 메로엣타가 해방되었다. 신전이 붕괴된 건 덤[9] 이것을 본 로켓단 삼인방은 다시 한번 목표를 피카츄로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