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징크스
1. 개요
2. 현재까지 유지된 징크스
3. 깨진 징크스
3.2. 매년 적어도 한 명의 남캐가 본선에 진출한다.
3.3. 홀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남캐, 짝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여캐가 우승한다.
3.4. 4위 안에는 반드시 같은 작품의 캐릭터 2명이 들어간다.
3.5. 애캐토 우승은 3분기에서 나온다.
3.6.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
3.8. 우승 이외에 TOP 2위 ~ 10위권에는 남자 캐릭터가 없다.
3.9.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
3.11. 2014년 이후로 TOP10에 아이돌/밴드물 캐릭터가 최소 1명은 들었다.
4. 관련 문서
1. 개요
2013년부터 매년 진행되는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의 징크스를 정리한 문서. 최고모에토너먼트, 애니타운 모에토너먼트와 마찬가지로 애캐토에도 여러 징크스들이 존재한다.
2. 현재까지 유지된 징크스
2.1. THE iDOLM@STER,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를 제외한 게임 원작 애니는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거나 애캐토에 출전하지 못한다.
이는 콘솔 게임기로 게임을 즐기는 겜덕후들이 애캐토에는 많이 투표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다.[1] 실제로 콘솔 게임 매니아들이 즐기는 게임인 초차원게임 넵튠 THE ANIMATION은 아예 출전하지도 못했으며, 그나마 최고 성적이 애캐토 2017 3차 예선에서 테일즈 오브 제스티리아 더 크로스의 알리샤 디프다가 288표, 애캐토 2014 3차 예선에서 페르소나 4 the Golden ANIMATION의 나루카미 유우, 사토나카 치에가 각각 286표, 222표를 획득한 게 고작.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테오제는 공식 한글화되지 않은 게임인데도 불구하고[2] 2표라는 근소한 격차로 한글화된 P4G의 나루카미 유우를 이겼다는 것. 페르소나 5 the Animation 역시 애캐토 2018 3차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2.1.1. TYPE-MOON, Key 이외의 미소녀 게임/에로게 원작 애니는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거나 애캐토에 출전하지 못한다.
TYPE-MOON 진영에서는 Fate 시리즈/프리즈마 이리야의 토오사카 린이 준우승, 세이버가 4위,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이 5위를 한 적이 있고, 현재는 많이 쇠락했지만 Key 진영의 경우에도 Charlotte의 토모리 나오가 16강, 리틀 버스터즈!의 나츠메 린과 나츠메 쿄스케가 32강에 진출한 적이 있다. 그런데 이 두 회사 이외의 미소녀 게임/에로게 원작 애니가 애캐토 본선에 진출한 적은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없다.
실제로 달빠, 키빠, 잎빠로 대표될 정도로 한때 TYPE-MOON, Key와 함께 미소녀 게임 3대장이라 불리웠던 Leaf/아쿠아플러스 원작 작품인 칭송받는 자 거짓의 가면은 2015년 대회에서 쿠온이 3차 예선에서 탈락하고, 2016년 대회에서 쿠온, 네코네, 루루티에가 3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하였다. TRUMPLE 원작인 잃어버린 미래를 찾아서는 2014년 대회에서 사사키 카오리, 후루카와 유이, 하세쿠라 아이리가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하고, FrontWing 원작인 그리자이아 시리즈는 그리자이아의 과실로 출연한 2014년 대회에서는 사카키 유미코, 스오우 아마네, 마츠시마 미치루가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하였으며, 그리자이아의 미궁/낙원으로 출연한 2015년 대회에서는 스오우 아마네, 카자미 카즈키가 3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하였다.
심지어 이 징크스는 다른 징크스와는 달리 애캐토에 출전하느냐 마느냐의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력한데, 실제로 TYPE-MOON, Key 이외의 미소녀 게임/에로게 원작 애니로 애캐토에 출전한 작품도 위의 세 작품이 전부이며, 오히려 애니플러스나 국내에서 방영조차 되지 않아 애캐토에 출전도 하지 못한 케이스가 더 많다. sprite, fairys 원작 작품인 사랑과 선거와 초콜릿과 엔터브레인 원작의 아마가미 SS+는 2012년 분기별 최고 시청률 조회수 기록작에 들어가지 못해 2013년 1회 대회의 출전이 무산되었으며, 아마가미의 후속작인 포토카노와 세이렌, sprite 작품인 푸른 저편의 포리듬, August 원작의 대도서관의 양치기, 미나토 소프트 원작의 소녀들은 황야를 향한다는 타사로 방영권이 넘어가면서 참가 기회 자체를 얻지 못했다.
또한 국내에서 거의 방영되지 않는 초단편 애니메이션 사양으로 제작된 제멋대로 하이스펙과 노라와 황녀와 도둑고양이 하트는 두말할 것도 없고, 애캐토가 연말 개최로 정착되기 전 방영된 CIRCUS 원작의 다카포3이나 Ricotta 원작의 왈큐레 로만체 -소녀기사 이야기-는 원작자와의 계약 무산 혹은 아청법 이슈로 추정되는 문제로, 칭송받는 자 거짓의 가면과 같은 Leaf/아쿠아플러스 원작의 WHITE ALBUM2는 다른 곳에서 OST 판권을 취득해 국내에서 정식 음원으로 풀리는 등 음악 판권 이슈로 추정되는 문제가 원인으로, 2017년 10월/2018년 7월 신작인 light 원작의 Dies irae는 정치성 논란으로 인해 애니플러스 방영/애캐토 출전은 고사하고 아예 국내 방영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TYPE-MOON, Key 원작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거나 애캐토에 출전하지 못한 작품들은 제법 되는 편이다. TYPE-MOON 원작으로 Fate/Grand Order -First Order-의 마슈 키리에라이트는 2017년 대회 3차 예선에서 탈락했으며, 공의 경계는 국내 미방영작, Fate/Apocrypha와 Fate/EXTRA Last Encore는 넷플릭스 방영작이라 애캐토에 출전하지 못했고, Key 원작으로는 planetarian ~작은 별의 꿈~이 애니맥스 코리아로 넘어가면서 참가 기회 자체가 없었으며, Rewrite는 키빠들에게도 혹평을 받은 끝에 2016년 대회에서 칸베 코토리와 오오토리 치하야가 3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했고, 2017년 대회에서는 '''아예 2차 예선에서 대표 3명이 모두 전멸하였다.''' 신이 된 날은 2020년 대회에서 나루카미 소라, 사토 히나, 이자나미 쿄코 모두 3차 예선에서 탈락하며, 마에다 최악의 실패작이 되었다.
사실 이건 징크스라기보다는 상술한 대로 어지간한 인기 작품이 아니라면 19세 이상 시청가 애니메이션이 애캐토에서 약세를 보이는 것과, 심의 등 여러 이슈 문제로 국내 방영이 어려운 점, 계약 문제가 우연의 일치로 겹친 것이다. TYPE-MOON, Key 거기에 원작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이 애니메이션의 제작/방영 과정에서 인기나 평가가 못 따라오며 발생한 결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실제로 위에서 서술된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지 못한 작품들의 경우[3] 전체적인 평가나 BD/DVD 판매량을 봐도 수작 이상의 작품들을 찾기 어렵다는 점, 그로 인해 애니플러스에서 분기별 신작을 계약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아질 수밖에 없어 타사로의 판권 유출이나 국내 미방영이 잦아진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2018년에는 FrontWing 원작의 ISLAND와 엘프 원작의 이 세상 끝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소녀 ~YU-NO~가 방영을 앞두고 있지만 둘 모두 애니플러스에서 상대적으로 잘 가져오지 못하는 feel. 제작 작품이며[4] , 특히 ISLAND의 경우 원작사의 전작인 그리자이아 시리즈를 방영한 적이 있으나 애니메이션 제작사/스태프가 변동된 것은 물론 주연 성우인 무라카와 리에의 강판과 관련된 여러 문제로 기대치가 떨어지고 있으며, 애니맥스 코리아에서의 방영으로 애캐토 출전이 무산되고 애니맥스 플러스 어워드에 출전하게 됐으며 역시나 레전드 of 아니메 본선 Best 10이나 2018 레전드 씬 후보에 들지 못했다. 유노의 경우 이미 야애니로 한 번 제작된 바 있으며, 애니박스에서 해당 OVA를 2008년에 방영한 적이 있으며, TVA의 경우 국내 미방영작이 되었다.
2.1.2.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를 제외하고 Cygames가 게임을 제작한 애니는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거나 애캐토에 출전하지 못한다.
2015년 애캐토에서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프로듀서가 '''우승''', 시마무라 우즈키가 5위, 시부야 린이 16강에 들었고, 신데렐라 걸즈 극장은 우즈키, 린, 아나스타샤가 2차 예선에 진출하는데 1/2기가 방영된 2017년 애캐토에서는 모두 32강에 들었고, 3기가 방영된 2018년 애캐토에서는 우즈키, 린이 32강에 들었다. 비록 4기인 클라이막스 시즌이 방영된 2019년 애캐토에서는 모두 3차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반면, 그랑블루 판타지 The Animation, 우마무스메 PRETTY DERBY는 3차 예선에서, 신격의 바하무트 GENESIS, 그랑블루 판타지 The Animation Season 2는 2차 예선에서 소속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했고, 신격의 바하무트 VIRGIN SOUL는 프라임 비디오 독점작, 마나리아 프렌즈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가져가 애캐토에 참전하지 않았다. 2020년에는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는 물론 우마무스메 PRETTY DERBY도 우마욘, 그랑블루 판타지도 그라부룻! 자격으로 참가하며,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가 징크스를 깨 캬루가 3위를 기록해 VOD를 2주 무료 개방하게 되었으며, 콧코로와 페코린느가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우마욘과 그라부룻!은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했다.
2.2. 아이돌 마스터, 러브라이브!, 뱅 드림! 시리즈를 제외한 아이돌/밴드물 애니는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다.
미소녀 게임/에로게 원작 애니와 마찬가지로 가상 아이돌 애니메이션도 우승/준우승을 이룬 아이돌 마스터, 러브라이브! 시리즈를 제외한 작품들은 단 한 작품도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애니플러스 미방영작인 평범한 여고생이 지역 아이돌을 해 보았다와 아이돌 사변, Re:스테이지!는 차치하더라도 애캐토에서 전통적으로 부진하는 여성향 작품인 노래의☆왕자님♪, 드림페스!, MARGINAL#4 KISS에서 창조되는 빅뱅, 아이돌 마스터 SideM, 아이돌리쉬 세븐, B-PROJECT ~절정*이모션~, 킹 오브 프리즘 -샤이니 세븐 스타즈-는 물론 남성향 작품인 Wake Up, Girls!, 22/7 나나분노 니쥬니도 사이마스의 텐도 테루와 아이돌리쉬 세븐의 타카나시 츠무기만이 3차 예선에 진출했을 뿐[5] , 나머지는 본선은 커녕 2차 예선에서 등장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하였다. 심지어 드림페스!와 아이돌리쉬 세븐, B-PROJECT ~절정*이모션~은 1차 예선에서 분기별 최소 득표 작품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며, 앙상블 스타즈는 아예 판권 문제로 애캐토에 참전하지 못하는 최초의 작품이 되었다.
밴드물 역시 토야마 카스미, 미나토 유키나, 이치가야 아리사 이렇게 3명이나 본선에 진출한 뱅 드림! 시리즈를 제외한 작품들은 단 한 작품도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9년에는 카스미와 유키나 2명이 진출해 32강에서 탈락했지만 커플 부문에서 히카와 사요 & 히카와 히나 자매가, 주제가 부문에서 시즌 2의 오프닝 곡인 인연의 뮤직이 우승하여 아이돌 마스터와 러브라이브!가 몰락하는 와중에 선전했다. 다른 애니플러스 방영 밴드물인 SHOW BY ROCK!!, 후우카, 복면계 노이즈, 천사의 3P!는 SHOW BY ROCK!! 2기의 시안, 츄츄와 천사의 3P!의 고토우 준, 모미지다니 노조미, 카네시로 소라 만이 3차 예선에 진출했을 뿐 나머지는 본선은 커녕 2차 예선에서 등장 캐릭터들이 모두 탈락하였다. 뱅드림 3기가 방영되는 2020년에는 2019년 본선 진출자 2명에 아리사가 추가되어 3명이 모두 본선에 진출했으며, 아리사가 32강에서 탈락했지만 카스미가 16강에 진출했고, 유키나가 5위를 기록했다. 뱅드림 3기와 같은 2020년 1분기 작품인 SHOW BY ROCK!! 마슈마이렛슈!!, 여성향 작품의 ARGONAVIS from BanG Dream!도 2020년 애캐토에서 2차 예선에서 모두 탈락했다.
결론은 뱅드림이 아이돌/밴드물 중에서 가장 강력한 화력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정리된다. 한편 로젤리아 극장판이 21년에 개봉해서 이를 애니플러스에서 수입한다면 21년 애캐토에도 출전할 수 있다.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지 않는 작품을 포함하면 상기 3작품 외에는 아이카츠! 시리즈, 프리티 시리즈보다 인지도가 떨어지는게 현실이다.
2.3. 4분기 방영작 여성 캐릭터들의 활약
'''4분기에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 중에서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본선 32강까지 진출하며 활약하는 사례가 있다.''' 일명 아름다운 패배.
- 2014년 대회에서는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자 신생 제작사 Studio 3Hz 작품이기도 한 천체의 메소드의 마스코트 노엘이 32강에 진출
- 2016년 대회에서는 역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 종말의 이제타의 주인공 이제타가 32강에 진출하였다.
- 2017년: 오리지널은 아닌 만화 원작이지만 마법사의 신부의 주인공 하토리 치세가 32강에 진출
- 2018년: 지난해에 나온 치세가 출전 기회를 얻어 실키, 엘리어스 에인즈워스와 함께 32강에 진출하였다.
- 2019년: 게임 원작인 Fate/Grand Order -절대마수전선 바빌로니아-의 마슈 키리에라이트, 이슈타르, 길가메시가 이름을 올렸다. 2020년에도 참가하지만 전년과 달리 거대진영이 많은데다 작품 자체도 용두사미로 끝나서 결국 마슈만 32강에 올라간채 쓸쓸히 퇴장했다.
- 2020년: 라이트 노벨 원작인 마녀의 여행의 일레이나가 우승에 성공하였다!
2.4. 짝수 시즌 TOP 10 단골 캐릭터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애캐토가 시작된 이례로 Fate 시리즈의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은 항상 짝수 시즌 애캐토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2회, 4회, 6회 대회는 프리즈마 이리야 계정으로, 8회 대회는 헤븐즈필 극장판 계정으로.
3. 깨진 징크스
3.1. 애캐토 우승은 로열로더에게만 허락된다.
'''각 연도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캐릭터는 모두 그 연차 대회에 첫 출전한 로열로더이다.''' 초대 우승자인 오레키 호타로를 제외하더라도 2회부터 4회까지의 대회 우승자인 사쿠라 치요, 타케우치P, 렘은 물론 애캐토 출전 이전부터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며 인기가 있었던 5회 우승자인 카후우 치노도 첫 출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캐릭터이다. 아래는 2회 이상 애캐토 출전 기록이 있는 캐릭터 중 그 해의 대회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캐릭터들이 탈락한 경기이다.
- 2014년 2회 대회 결승전: 사쿠라 치요 vs 토오사카 린 (2회 출전)[6]
- 2015년 3회 대회 결승전: 타케우치P vs 미나미 코토리 (3회 출전)
- 2016년 4회 대회 결승전: 렘 vs 키스샷 아세로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 (4회 출전)[7]
- 2017년 5회 대회 8강: 슈비 도라 vs 쿠로사와 루비 (2회 출전)[8]
그러나 2019년 대회에 8강에 올라온 유일한 로열로더 후보였던 나카노 미쿠가 탈락하고 4강에 애캐토 2회 이상 경력자들로 채워지면서 이 징크스는 드디어 깨지게되었다.[10] 결국 작년 사에카노에 밀렸던 사쿠라지마 마이가 우승하였다. 그러나 2020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부터 쭉 최다 득표자인 마녀의 여행의 일레이나가 다시 로얄로더 자격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3.2. 매년 적어도 한 명의 남캐가 본선에 진출한다.
2020년 제8회 대회에서 남캐가 '''3차 예선에서 전멸하면서 깨졌다.'''
3.3. 홀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남캐, 짝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여캐가 우승한다.
'''홀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남캐, 짝수 해에 치러진 대회에서는 여캐가 우승한다.''' 홀수 해에 치러진 1회, 3회 대회에서는 오레키 호타로, 타케우치P라는 마성의 남자가 존재했고, 탈락한 캐릭터들의 표심을 흡수해 가면서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2회 대회에서는 아처, 미코시바 미코토 등 그나마 존재했던 남캐들이 아직 표심을 흡수할 수 없는 단계인 16강에서 전부 탈락하고 말았으며, 4회 대회에서도 그나마 마성의 남자 후보로 보였던 사카모토와 아라라기 코요미도 각각 이즈미 레이나, 이리야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그러나 5회 대회에서 32강까지 생존한 사카타 긴토키와 리쿠 도라가 같은 A조에 편성되는 불운을 맞았으며, 결국 둘 모두 아스나와 헤스티아를 극복하지 못하고 탈락하면서 이 징크스는 완전히 깨졌다. 무엇보다 32강과 16강이 조별리그로 재편되어 탈락한 캐릭터들의 표심 흡수가 더 어려워진 만큼 남성부와 여성부를 분리해서 치르지 않는 한 남캐의 우승은 두 번 다시 보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8회 대회에서는 남캐가 한 명도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고 전원 예선에서 광탈 해버리면서 남캐의 우승은 더더욱 힘들어지게 되었다. 6회 대회에서 키리토가 8강에 진출한 것과 7회 대회에서 리무루 템페스트가 16강 진출한 게 전부.
3.4. 4위 안에는 반드시 같은 작품의 캐릭터 2명이 들어간다.
'''4위 안에는 반드시 같은 작품의 캐릭터 2명이 들어간다.''' 1회 대회부터 빙과(오레키 호타로/치탄다 에루)의 캐릭터 두 명이 4강에 진출해 1, 3위를 차지했으며, 2회 대회의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토오사카 린/세이버)의 캐릭터 두 명과 3회 대회의 러브 라이브!(미나미 코토리/니시키노 마키)의 캐릭터 두 명이 2, 3위를 차지했고, 4회 대회에서도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렘/에밀리아)의 두 명이 4강에 동반 진출하였다.
하지만 2017년 대회에서는 16강이 조별리그로 바뀌고 행사할 수 있는 표 수가 줄어든 영향과 일부 캐릭터들은 팀킬 대진을 극복하지 못하고 탈락하는 등 각 작품별로 한 명의 캐릭터만이 8강에 진출하면서 이 법칙은 깨졌다. 그러나 2018년에 사에카노에서 2명(카토, 우타하), 2019년에도 청춘 돼지에서 2명(마이, 카에데)이 4강에 진출해 다시 징크스가 고개를 들었다. 2020년에는 일레이나(마녀의 여행), 캬루(프리코네), 렘(리제로), 카토(사에카노)로 3년만에 한명의 캐릭터가 4강에 진출했다.
3.5. 애캐토 우승은 3분기에서 나온다.
1회 대회의 빙과, 2회 대회의 월간순정 노자키 군, 3회 대회의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4회 대회의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등 역대 애캐토에서 우승한 캐릭터를 배출한 작품은 '''모두 3분기(7~9월)에 방영된 작품'''이라는 특징이 있었다. 결승전에 올라간 극장판인 러브 라이브! The School Idol Movie도 일본에서 2016년 6월에 개봉되어 여름 동안에 상영되었고, 국내에서도 9월에 정식 개봉되었으며, 키즈모노가타리도 철혈편의 일본 개봉은 2016년 1월이었으나, 국내에서는 6월 30일에 개봉해 3분기 극장 상영이 이루어졌으며, 10월부터 정식 상영된 열혈편의 경우에도 3분기인 9월에 특별 상영회가 이뤄진 만큼 3분기와 접점이 있다고 볼 수 있어, 사실상 애캐토 우승 캐릭터는 3분기 작품에서 나온다는 징크스가 있었다.
그러나 2017년에는 애니플러스의 3분기 방영작 수가 부족했고 인기 면에서도 고전했으며, 그나마 오와리모노가타리 후편으로 3분기와 접점이 있었던 키스샷이 8강에서 탈락하면서 이 징크스는 깨졌다. 하지만 사쿠라지마 마이가 속한 3분기 개봉작 청춘 돼지는 꿈꾸는 소녀의 꿈을 꾸지 않는다가 19년 다시 우승에 성공했다.
3.6.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
역대 애캐토 우승자들은 4회까지는 모두 TVA판 출신 우승자들이며 극장판은 러브 라이브! 극장판의 미나미 코토리와 키즈모노가타리의 키스샷 아세로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 둘의 준우승 뿐이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3회부터 출전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1회와 2회까지는 출전자가 없다. 극장판의 경우 TV나 VOD가 아닌 '''시중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상영물들이라 TV 방영은 영화관에서 선 상영 이후에 TV나 VOD 등으로 후 서비스를 해주기 때문이다. 게다가 영화관을 가지 못한 시청자들도 있기에 인지도는 TVA보다 좀 낮은 편이다. 영화관에서는 입장료를 지불하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사정이 좋지 못한 이들은 영화관 관람도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TVA에 비해서 극장판 애니의 인지도는 좀 떨어지는 편으로 아직까지는 우승자가 없었다.
그러나 2017년 주문은 토끼입니까?? ~디어 마이 시스터~의 카후우 치노가 우승하면서 이 징크스는 깨지게 되었으며 그녀가 극장판 캐릭터로서 최초 우승자가 되었으며, 2019년에도 극장판 청춘 돼지는 꿈꾸는 소녀의 꿈을 꾸지 않는다가 캐릭터 부문과 작품 부문에서 2관왕을 차지했으며, 작품 투표의 결승 상대는 같은 극장판인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헤븐즈 필 제2장 로스트 버터플라이다.
3.7. 영원한 8강 소드 아트 온라인
2012년 3분기 당시에 첫 방영을 하게 된 이래로 2013년 애캐토에 참가하여 아스나가 10위를 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애캐토에 여러번 출전을 하였지만 정작 주역인 키리토와 아스나는 8강전에서 번번히 좌절되었고 처음으로 참가한 시논마저도 8강에서 좌절되면서 1기 방영 이래 6년동안 애캐토 첫 참가 5년이라는 시간동안 '''최고성적 8강 정도에 그친 성과'''에 단 한 번도 '''애캐토 4강까지는 가보지 못한 작품'''이었다. 2018년 애캐토에서 '''한 신캐가 처음으로 참전하기 전까지는.'''
2018년 앨리스가 소아온 최초 4강을 기록하였고 2019년에는 결승까지 진출하면서 2년차에 커리어를 경신했다. 반대로 2020년에는 소아온 최초로 32강에서 탈락했다.
3.8. 우승 이외에 TOP 2위 ~ 10위권에는 남자 캐릭터가 없다.
1회 애캐토에서 오레키 호타로, 3회 애캐토에서 타케우치P가 최종우승을 하였지만 그 아래 TOP 10 2위 ~ 10위권에 오른 캐릭터들은 모두 '''여자 캐릭터들 뿐'''이며 '''남자 캐릭터는 단 한 명도 역대 애캐토에서 우승 이외의 TOP 10 순위권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였다.''' 2013년 애캐토가 처음 시작된 이래로 1회부터 5회까지 우승자를 제외한 나머지 TOP 10 2위 ~ 10위권안에 든 캐릭터들은 모두 여자 캐릭터들만이 올랐을 뿐 남자 캐릭터는 우승자인 호타로와 타케우치P를 제외하고는 단 한 명도 우승 이외에 TOP 10 캐릭터 순위에는 오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6회 대회에서는 의외로 소드 아트 온라인의 키리토가 방영 버프와 함께 사상 처음으로 우승 이외에 TOP 10 캐릭터 순위에 들어가게 되면서 2013년 애캐토가 시작하게 된 이래로 5년만에 우승자 이외에 TOP 10 순위권에서 남자 캐릭터가 탄생하게 되었다.[11]
3.9.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 및 관련 작품에 출연한 캐릭터가 우승한 적이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없었다.''' 그나마 사쿠라장의 애완 그녀의 시이나 마시로가 결승전에 올랐지만 오레키 호타로에게 패배했으며, 이야기 시리즈의 오시노 시노부도 2015년 대회에서는 4강~3, 4위전에서 미나미 코토리, 니시키노 마키에게 연패해 4위에 머물렀으며, 그 외에도 나는 친구가 적다, Fate/Zero, 노 게임 노 라이프, 프리즈마 이리야가 19세 이상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으로 TOP 10에 진입하기도 했지만 이들 역시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또한 2014년 대회에서 15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된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 대표로 출전했던 Fate/Zero의 등장인물이기도 한 토오사카 린도 결승전에서 사쿠라 치요에게 패배했으며, 극장판이 15세 관람가로 개봉되어 2016년 대회에 키스샷 아세롤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로 재출전해 첫 결승 진출에 성공했던 시노부 역시 렘에게 패해 준우승에 그쳤고, 역시 본편이 19세 이상 시청가에 극장판이 12세 관람가로 개봉된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의 슈비 도라도 준결승에서 동 대회 우승자인 카후우 치노에게 패해 결승 진출에 실패하면서 아무리 15세 이상 시청가 작품으로 출전하더라도 그 작품이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된 작품과 관련되거나 19세 작품으로 출전한 적이 있는 캐릭터도 예외 없이 잔혹사를 피해가지 못했다.
이는 애니플러스 홈페이지에서 연령 제한에 걸려 19세 이상가 애니메이션을 시청할 수 없는 사람들이 다른 루트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받아 보다 보니 애캐토 투표에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아예 감상을 포기하는 등으로 인해 미성년 유저들을 끌어들일 수 없기 때문에 탈락한 캐릭터 팬들의 표심 흡수에도 한계가 있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특히 과거 절반 가까이 편성되었던 분기별 19세 이상가 애니 수도 2016년 들어서 크게 줄어든 것의 영향으로 2015년부터 19세 이상 작품으로 TOP 10에 들어간 작품이 매년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을 정도인지라[12] 19세 이상 시청가 작품의 애캐토 우승은 더욱 쉽지 않았다.
그러나 2018년 애캐토에서는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의 카토 메구미가 우승, 카스미가오카 우타하가 준우승을 차지하게 되면서 19세 이상 시청가 등급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우승을 하지 못하는 징크스가 깨졌다.
3.10.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 히메라기 유키나의 연이은 본선진출 실패
2013년 4분기에 1기 방영을 하였던 이래로 애캐토에 출전한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의 히메라기 유키나. 그러나 1기와 2기가 방영되는 동안 애캐토에 출전은 하였지만 2번 연속으로 3차 예선에서 좌절되는 발목에 잡혀서 본선으로 가는 관문 앞에서 좌절의 눈물을 흘려야했다. 하지만 3기가 방영되면서 2019년에 열렸던 애캐토에서는 드디어 대망의 본선진출에 성공하여 2회 연속으로 좌절되었던 3차 예선에서의 징크스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3.11. 2014년 이후로 TOP10에 아이돌/밴드물 캐릭터가 최소 1명은 들었다.
2014년 대회에서 니시키노 마키가 9위, 애캐토 최전성기였던 2015년 대회에선 타케우치P을 시작으로 준우승 미나미 코토리, 3위 니시키노 마키, 5위 시마무라 우즈키, 10위 코사카 호노카 등 아이돌물은 그야말로 황금기였다. 2016년 대회에서도 와타나베 요우, 사쿠라우치 리코가 9, 10위에 올랐으며 2017년 대회에서는 쿠로사와 루비가 한국 센터 버프를 받아 5위에 올랐다. 2018년 대회는 신데극장 외에 아이돌물이 전무했고 그마저도 신데극장의 성적은 32강에 그쳤다.
2019년 대회는 극장판으로 마지막 출전 기회를 잡은 럽샤인과 밴드물 최고 성적을 꿈꾸던 뱅드림이 참가해 대회 개막 전부터 희망을 불러모았다. 그러나 럽샤인은 재작년까지 본선 32강에 들었던 요우와 리코가 3차 예선에서 불운한 조 편성으로 탈락하고 유일하게 32강에 올라온 쿠로사와 루비 또한 리무루 템페스트, 센코, 길가메시에 밀려 조 최하위로 탈락하고 유종의 미를 거두지 못했다. 뱅 드림 2기 또한 토야마 카스미는 아즈사가와 카에데에 이어 당초 조 2위가 유력했지만 토키사키 쿠루미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하고 미나토 유키나 또한 아스나와 에밀리아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하면서 2014년 대회부터 최소 1명 TOP10에 들었던 아이돌/밴드물은 2019년엔 32강에서 전멸하면서 TOP10에 한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한 채 2019년 대회 최대 피해자로 남았다.
그러나 2019년 애캐토에서 뱅드림이 애캐토 역사상 가장 큰 이변을 만들며 러브라이브, 신데마스는 꿈도 못 꾸었던 2관왕(음악, 커플 부문)을 달성하기에 이른다. 다른 모에 토너먼트에서는 답없는 아이돌물이 애캐토에서만은 롱런할 수 있단 희망이 주어진 셈.
2020년 애캐토에서는 유키나가 5위를 기록했다. 반면 러브라이브는 아쿠아의 뒤를 이어 니지동이 참전했지만 전년과 마찬가지로 유키 세츠나가 32강에서 그치면서, 커리어 하이가 5위인 미나토 유키나가 있는 뱅드림이 아이돌/밴드물 중 가장 강력한 진영이 되었다.
3.12. 한 번 우승을 한 캐릭터가 다음 대회에 출전한 적이 없다.
기존 우승자 중에서도 2회 이상 우승자가 없으며 준우승자도 2회 이상 준우승을 한 경험이 없다. 특히 한 번 우승을 한 캐릭터가 차기 대회에 다시 출전한 적이 현재까지 단 한 번도 없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2015년에 이어 2017년 신데렐라 걸즈 극장의 방영으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등장인물들이 애캐토 재출전의 기회를 잡았지만, 애캐토 2015 우승자인 타케우치P는 본편과는 달리 원작 만화 그대로 말이 없이 내레이션이나 아이돌의 말로서 추측 가능한 것으로 묘사되고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다 보니 2017년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며, 애캐토 2014 준우승자인 토오사카 린과 3위인 오노데라 코사키는 애캐토 2015에서 각각 7위와 9위에 그치면서 2회 이상 준우승 및 3위를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토오사카 린은 애캐토 2016에 다시 출전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예선 탈락을 하였다. 사실 애캐토 2013에 출전하였을 때도 예선 탈락을 하였던 적이 있다. 유일하게 세이버는 애캐토 2013, 2014에서 2회 연속 4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그러나 애캐토 2015에서는 6위로 내려앉았지만 3회 연속 TOP 10에 진입하였던 기록이 있다. 이후 오시노 시노부(키스샷 포함)가 2013년 8위, 2015년 4강, 2016년 대회에서 결승에 진출한 기록이 끝이었다.
그러나 2019년에 이세계 콰르텟 방영으로 인해 디펜딩 챔피언이 참가 자격을 가져 징크스가 깨졌다. 다만 본작이 아니라 10분 가량의 짧은 콜라보 애니라는 단점과 3년의 공백 문제 때문인지 사쿠라지마 마이와 아즈사가와 카에데에게 밀려 16강 탈락함으로서 한 번 우승을 한 캐릭터가 다음 대회에 우승하지 못하는 징크스는 일단 유지되었다.
2020년 애캐토는 전술한 디펜딩 챔피언인 렘, 치노, 카토는 물론 애캐토에서 로얄로드를 노리는 미코토까지 참전해 역대 최강의 라인업을 자랑했다. 그러나 미코토는 3차 예선에서 일레이나, 치노와 같은 조에 편성되는 불운으로 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간신히 미코토를 이기고 진출한 치노는 8강에서 다시 만난 일레이나에게 더블스코어로 압살당했다.
위의 디펜딩 챔피언들은 수년의 공백을 딛고 나온 후속작인 반면[13] 마녀의 여행은 딱 애캐토가 개최되는 타이밍인 2020년 4분기에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작품인데다 일레이나도 캐릭터 밈까지 겹쳐 애캐토에서 렘이나 카토가 우승했을 당시 이상으로 폭주 중이었다. 대회 개최전 치노와 카토의 결승을 유력시했고 미코토와 에밀리아가 이를 저지할지 관건이었으나, 예상을 깨고 일레이나가 독보적인 1황으로 대회를 석권했고, 따라서 2021 국사모에서의 활약도 기대되고 있다.
리제로 2기가 분할 2쿨이라 2021년 1분기에 2쿨째가 방영되므로, 리제로는 2021년에도 참가하게 된다. 이번에야말로 렘이 애캐토 최초 V2를 달성할 수 있을 지 관건이지만 쉽지 않다.
4. 관련 문서
[1] 겜덕후들도 애니 덕후를 겸하는 사람들이 많기는 한데, 게임기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는데 많은 돈을 투자할 뿐이지, 해당 작품의 애니판은 토렌트 등으로 보는 경우가 많으며, 애니플러스를 통한 애니 감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2] PS3판은 일본어판을 인트라게임즈가, PS4판은 SIEK가 영문판을 다운로드판으로 정발하였으며, PC판은 비공식 한글화되었다.[3] 끽해야 다카포3, WHITE ALBUM2가 2000~3000장을 넘긴 정도지만 후속편 애니화가 무산되었으며, 그 외의 작품들의 경우에도 세 자리수 판매량에 잘 해봐야 1000장을 넘긴 정도로 평가나 판매량이 미묘하거나 영 좋지 않다.[4] 애니플러스는 가르쳐줘! 갸루코쨩 이후 원작 작가가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된 하나야마타와 같은 하마유미바 소우인 뒤떨어진 후르츠 타르트를 가져올 때 까지 4년 9개월 동안 feel. 제작 작품을 가져오지 못했으며, 그사이 ISLAND, 유노 외에도 이 미술부에는 문제가 있다!, 히나마츠리, 역시 내 청춘 러브코메디는 잘못됐다. 완이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방영되었고, 빅터/플라잉도그 등 음악 쪽 스폰서 문제가 더 크긴 했지만 2017년 2분기 신작이었던 달이 아름답다가 국내 미방영작이 되었다.[5] 그마저도 타카나시 츠무기는 작품의 여자 주인공, 즉 여캐였다.[6] 이하 프리즈마 이리야로 출전한 기록을 포함.[7] 오시노 시노부로 출전한 기록을 포함.[8] 8강 진출자 중 루비의 득표수가 가장 많아 결과를 기재. 나머지 대진 결과는 이즈미 사기리 vs 토오사카 린 (5회 출전), 칸나 카무이 vs 아스나 (3회 출전), 카후우 치노 vs 키스샷 아세로라오리온 하트언더블레이드 (5회 출전).[9] 언급된 세 작품은 모두 애캐토에서 준우승이 최고 성적이다.[10] 헤스티아 : 3회 출전 / 마이, 앨리스, 카에데 : 2회 출전[11] 다만 키리토도 그전에는 2차 예선(1회)이나 3차 예선(5회)에서 광탈하거나 32강에서 조기 탈락한 적(2회)이 있었다.[12] 2015년 오와리모노가타리, 2016년 프리즈마 이리야. 키즈모노가타리는 극장 상영 등급이 15세 관람가였다.[13] 주문토끼는 2기 이후 5년, 극장판 이후 3년, 리제로는 4년, 사에카노는 극장판이 2019년 가을에 일본 개봉했지만 한국에선 2020년 초에 개봉했으며 2기로부터 2~3년의 공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