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으로 공개된 포켓몬 IP의 최초 게임 타이틀.
'''포켓몬'''
| '''타입'''
| '''HP'''
| '''비고'''
|
'''루카리오'''
| 밸런스
| 60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라스 알렉산더슨 / 펭 웨이 / 레오 클리젠. 확인된 기술은 곽타정주, 사일런트 엔트리~라이트닝 트러스트, 천궁퇴, 도부익습 or 스톰힐, 강소퇴.
|
'''번치코'''
| 밸런스
| 60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브루스 어빈 / 마샬 로우. 확인된 기술은 드래곤 테일~썸머솔트, 하이킥(카운터)~썸머솔트, 티소카, 리니어 엘보(알리사).
|
'''괴력몬'''
| 파워
| 66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폴 피닉스 / 킹 / 크레이그 머독. 확인된 기술은 기와붕권, 힙 프레스(간류), 다이빙 보디 프레스, 훅 스매시 콤보, 드롭킥, 아틀라스 해머, 스프린트 훅~크로스 어퍼, 숄더 태클.
|
'''가디안'''
| 테크닉
| 54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카자마 준 / 언노운 / 카자마 아스카 / 리리 로슈포르. 확인된 기술은 귀살, 호라이즌 슬라이드, 귀수락, 창포, 압경, 백화왕, 디스트로이 폼~데스 마리오네트(알리사)
|
'''스이쿤'''
| 밸런스
| 63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쿠마 / 팬더 2세대 성도지방 포켓몬 중 유일하게 플레이어블 캐릭터이다.
|
'''피카츄'''
| 밸런스
| 57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미시마 헤이하치. 확인된 기술은 초풍, 나락쓸기~뇌신권, 단독 뇌신권, 이선공인각.
|
'''팬텀'''
| 테크닉
| 51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밥. 확인된 기술은 아피키우스 스페셜, 랑그워셔.
|
'''포푸니라'''
| 스피드
| 54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쌍장파와 유사한 기술을 구사하는 것으로 보아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니나 윌리엄스로 추정된다.
|
'''리자몽'''
| 파워
| 60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데빌 진. 확인된 기술은 절무, 윤회비공.
|
'''옷갈아입기 피카츄''' (마스크드 피카츄)
| 스피드
| 57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제이시 / 킹 / 아머킹. 확인된 기술은 대전봉추, 힙 어택, 백핸드 촙 콤보, 롤링 소배트, 수플랙스, 플래싱 엘보, 문설트, 스터너, 후소천궁퇴, 다이빙 보디 프레스.
|
'''나무킹'''
| 스피드
| 57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요시미츠. 확인된 기술은 8지오, 독무, 봉마외법선, 인법 풍진.
|
'''한카리아스'''
| 파워
| 660
| 콘솔판 한정으로 처음부터 사용 가능.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브라이언 퓨리/세르게이 드라그노프. 확인된 기술은 보아 크래시, 제트 어퍼, 초핑 엘보, 라이트닝 블로~더블 보디 블로, 러시안 훅 어썰트
|
'''테르나'''
| 밸런스
| 540
| 콘솔판 한정으로 처음부터 사용 가능 마스코트인 피카츄와 진화가 거의 없다시피한 전설의 포켓몬을 제외하면, 플레이어블 포켓몬 중 유일하게 중간진화형 포켓몬이다. 이후 진화 전 상태로 등장하는 삐딱구리가 참전하면서 유일 타이틀은 벗었다.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링 샤오유 및 라파엘 소렐, 챠이 샹화. 확인된 기술은 쌍벽장, 소울칼리버의 기술들 일부.
|
'''샹델라'''
| 파워
| 510
| 처음부터 사용 가능. 초기 정보 중 이름에 '라(ラ)'와 '응(ン)'이 들어가는 포켓몬이 참전한다는 정보가 선공개되어 추측이 분분했는데 샹델라(シャ'''ン'''デ'''ラ''')로 확정되었다. 대부분이 예상 못했다는 반응이었는데, 그도 그럴 것이 현재까지 공개된 참전 포켓몬 중 유일하게 '''팔다리가 없다.'''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알리사 보스코노비치. 확인된 기술은 부트 러시~디스트로이 폼.
|
'''뮤츠'''
| 밸런스
| 630
| 콘솔판 한정으로 레드 리그 돌파 후 해금.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미시마 카즈야. 확인된 기술은 나락선풍, 거미베기.
|
'''다크 뮤츠''' (북미 명칭 "섀도우 뮤츠")
| 테크닉
| HP '''480'''
| 콘솔판 한정으로 크로마 리그 돌파 후 해금. 게임 내에서는 히든 보스로 등장하며, 등작 직후 메가뮤츠X가 된다. 명칭이나 특징들이 게임큐브판 포켓몬스터 콜로세움이나 포켓몬스터 XD의 다크 포켓몬과 같아 관심을 받고 있다.
|
'''다크라이'''
| 테크닉
| 540
|
|
'''핫삼'''
| 파워
| 600
|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잭.
|
'''삐딱구리'''
| 스피드
| 540
| 서포터 포켓몬에서 배틀 포켓몬으로 승격된 첫 사례다.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미겔 까바예로 로호. 확인된 기술은 데드 포인트.
|
'''엠페르트'''
| 밸런스
| 630
|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클라우디오 세라피노. 확인된 기술은 크로스 암 임팩트.
|
'''모크나이퍼'''
| 밸런스
| 570
| DX 버전에서 첫 참전. 7세대 알로라지방 포켓몬 중 유일한 플레이어블 캐릭터이다.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화랑. 확인된 기술은 파이어크래커, 헌팅호크, 더블 스크류.
|
'''킬가르도'''
| 테크닉
| 510
| DX 버전에서 첫 참전. 첫번째 DLC 캐릭터로 수록.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 철권의 콜라보 캐릭터인 녹티스 루시스 카일룸으로 추정됨.
|
'''거북왕'''
| 파워
| 660
| DX 버전에서 첫 참전. 두번째 DLC 캐릭터로 수록. 모델이 된 철권 캐릭터는 아머킹. 확인된 기술은 론다트 킥~스페이스 롤링 엘보.
|
나 아케이드 버전을 해 보지 못했거나 휴대용 게임기로 즐기는 것을 바라는 유저들에겐 긍정적인 반응이다.
Wii U판으로 나온 전작처럼 모크나이퍼가 아케이드보다 먼저 추가되어 나온 것도 장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