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창

 

[image]
18세기 버마의 삼지창.
삼지창(三枝槍)은 냉병기, 또는 어구(漁具)의 일종으로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을 말한다.
1. 설명
2. 신화의 삼지창
3. 가상 매체에서 삼지창을 쓰는 캐릭터
4. 관련 문서


1. 설명


그리스어로는 트리아이나, 영어로는 트라이던트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상징으로서도 유명하다. 바다의 신이 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서양을 불문하고 물고기 잡는 작살로 자주 이용했다. 일반적인 창이라면 창에 찔린 물고기가 몸을 틀어 창날에서 빠져나갈 우려가 있지만, 삼지창은 가운데 날에 찔린 물고기가 빠져나가려는 움직임을 양 옆의 날이 봉쇄하기 때문이다.
로마 시대의 검투사 중에서 승률이 가장 높은 병과는 그물과 삼지창을 사용하는 레티아리우스(Retiarius)였다. 창의 압도적인 사거리와 그물이 조합되면 그물을 던져 상대를 묶고 찌른다는 필승 패턴이 되기 때문이다.
[image]
육군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슴베식 삼지창.
한편, 한국에서 유명한 삼지창이라면 역시 사극에 자주 나온 당파일 것이다. 사극에서는 조선시대 포졸의 제식 무기로 짧은 삼지창이 신물나게 나오는데 이게 바로 당파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삼지창이 쓰인 것은 초기 철기시대부터였다. 참조링크 이 때의 삼지창은 말 그대로 어업용 작살이나 농사용 쇠스랑, 거름대(쇠스랑과 비슷하나 날이 수평으로 붙은 농기구. 거름을 다루는 용도로 쓰며, 쇠스랑과 비슷하다보니 그냥 쇠스랑이라 부르기도 한다.) 등을 조금 개조해 전투에 쓰는 것인지라 날의 생김새도 이런 공구들과 비슷하고, 삼지창이라고는 해도 창날 수가 3개가 아닌 것도 여럿 존재한다. 이런 형태의 개조 삼지창은 조선 시대에도 어차(魚杈/魚杈), 화차, 삼아창(三丫槍) 등의 이름으로 불리며 임란 당시 의병들의 주력 단병기 중 하나로 쓰였는데 그 효과가 상당히 좋았다고 한다. 사실 이는 당연한 게, 훈련이 부족한 농민병들에게 평소 쓰던 농기구인 쇠스랑과 유사한 외형/쓰임새를 갖는 무기이니 추가훈련이 많이 필요없고, 여러 갈래인 창날은 왜군의 칼을 받아내기에도 좋았다. 실제로 중국의 당파도 그런 이유로 농민 출신 병사들에게 많이 쓰였고, 그 기원도 같다.(같은 원리로 도리깨와 비슷한 편곤도 쉽게 사용했다고 한다.)
[image]
관동대학교 소장 조선시대 수렵용 투겁식 삼지창.*
15~19세기 서양서도 밀러티리 포크(Military fork)라는 폴 암이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의 삼아창처럼 농사용 쇠스랑을 전투용으로 약간 고쳐서 사용하는 무기였다.
[image]
밀리터리 포크의 모습. 출처는 위키백과

2. 신화의 삼지창


세계 각국의 신화에 나오는 들 중에는 삼지창을 자신의 병기, 지물(持物)로 삼고 있는 신이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이겠지만, 인도 신화의 파괴신 시바 또한 트리슈라라는 삼지창을 무기로 삼고 있으며, 불교의 비사문천도 종종 삼지창을 들고 있다.
[image]
일본 사찰의 사천왕상.
우리나라 무교에서도 삼지창은 언월도와 마찬가지로 신의 신성함과 위엄을 나타내는 상징물이며, 사당 입구에 세우는 홍살문에도 꼭대기에 삼지창 창날 모양을 달고, 굿을 할 때 신이 내렸다는 증표로 거대한 통돼지를 찍어 쌀이 담긴 그릇 위에 세우곤 한다.

3. 가상 매체에서 삼지창을 쓰는 캐릭터


작살과 연관된 이미지 때문인지 바다와 관련된 캐릭터들이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 경우 십중팔구 모티브는 포세이돈이다. 그외에 악마나 병균과 관련된 캐릭터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4.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투창 형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