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차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교육부의 차관.
정부조직법상 2번째 서열의 부처 2인자로서 사회부총리와 함께 영향력이 강하다. 교육부장관, 교육과정평가원장과 함께 수험생 주적 3인방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부수립 이후 문교부, 교육부, 교육인적자원부 시절까지 쭉 단일차관[2] 을 유지하다가 이명박 정부의 작은 정부 정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합되며 교육 담당 1차관, 과학기술 담당 2차관으로 나뉘어졌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가 다시 교육부를 분리시키며 현재까지 단일차관을 유지하고 있다.
2. 역대 차관
2.1. 문교부
2.2. 교육부
2.3. 교육인적자원부
2.4. 교육과학기술부
2.4.1. 1차관(교육)
2.4.2. 2차관(과학기술)
2.4.3. 단일차관
2.5. 교육부
3. 관련 문서
[1] 1948년 <정부조직법>의 제정에 따라 당초 문교부는 문화·예술 및 체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였으나, 1961년 6월 <정부조직법>개정으로 문화 및 예술에 관한 사무는 문화공보부(지금의 문화체육관광부)로 이관되고, 1983년 3월 법개정으로 체육부가 신설됨에 따라서 체육에 관한 사무가 체육부로 이관되었다. 1990년 12월 27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명칭을 교육부로 개칭하여 그 기능도 조정하였다.[2] 2공 때만 사무/정무로 나뉘었다.[3] 문학사 학위 취득(동아일보, 1925.9.29. 2면)[4] 제2공화국은 내각제이기 때문에, 정무차관과 사무차관으로 나뉘어짐.[5] [6] 경성제국대학으로 입학하였으나 재학 도중 해방을 맞아 1946년 경성대학 명의로 졸업. 이후 학번은 서울대학교로 졸업[7] 5공 마지막 문교부장관을 지내기도 했다.[8] [9] 5.16 군사정변으로 해산 및 차관직 퇴직[10] 이후 강원대 총장 역임.[11] 학사입학[12] 이후 경남대 총장 역임.[13] 5.16 이후 사형된 최인규 전 내무부 장관의 동생[14] 경성제대 법과로 입학, 해방 후 경성대학 경제학과를 거쳐,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15] 육군 준장 예편.[16] 후에 문교부장관 역임.[17] 법문학부 내에는 학과 구분이 없었다. 법학사 졸업.[18] 문교부 고등교육국장 역임. 당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소속이었던 행정대학원 원장.[19] 해방 후 편입[20] 서울대 총장 비서관으로 문교부 입직[21] 사법과 중복 합격[22] [23] 문교부차관에 이어 역임[24] 광주사범학교 졸업 후 국민학교 교사로 일하며 야간대학 졸업.[25] 1966년[26] 3.1절 골프 논란으로 이해찬 국무총리와 사퇴.[27] 고졸[28] 1969년[29] 1999년 기획조정실장 역임[30] 박근혜 정부. 세월호 참사 당시 황제라면 논란으로 잘린 그 사람이다.[31] 대학지원국장, 교원정책심의관 역임[32] 박근혜정부로의 정부 직제 개편 이전.[33] 서울시 부교육감, 기획조정실장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