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출신 인물

 




1. 개요
2. 평양 숭실
3. 서울 숭실
3.1. 학부
3.1.1. 정치계
3.1.2. 교육
3.1.3. 경제
3.1.4. 법조계
3.1.5. 스포츠
3.1.6. 언론
3.1.7. 방송/연예
3.1.8. 예술
3.1.9. 기타
3.2. 대학원


1. 개요


숭실대학교 출신 인물들을 다루는 문서.

2. 평양 숭실


개교 초기 한반도에서 제일 가는 학교로, 유명한 동문이 제법 많았다. [1]
독립운동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학교인만큼, 대학부가 설치된 이후부터 1938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면서 폐교될 때까지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 김인식 - 음악가 [2]
  • 김현승 - 시인
  • 김형직 - 독립운동가[3]
  • 배민수 - 독립운동가
  • 손정도 - 독립운동가
  • 안익태 - 작곡가
  • 양주동 - 국문학자
  • 이효석 - 작가
  • 조만식 - 독립운동가 #
  • 차이석 - 독립운동가 #
  • 한경직 - 목사
  • 황순원 - 작가
그 외 윤동주도 평양 숭실을 다녔다. 정확히는 1935년 용정의 은진중학교에 입학했다가 그 해에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전학했다. 폐교 이후로 용정에 있는 광명중학교로 편입하였고, 1938년 2월에 광명중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그 해 4월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다. 숭실대학교에서 홍보를 대대적으로 할 법도 하나, 문제는 윤동주가 폐교 이후 연희전문학교에 가면서 연세대를 대표하는 인물이 돼서 학교 내에선 언급도 안 한다. 재밌는 것은, 평양 숭실학당의 중학부를 계승한 숭실중고등학교에서 윤동주는 당당히 동문으로 대우받으며 이는 윤동주 연구자들에게도 인정받는 사실.[4]
1938년 신사참배 거부로 자진폐교했던 숭실학교광복한국전쟁 이후 서울로 옮겨왔고 이후 유명 동문의 맥이 일시적으로 끊긴다. [5]

3. 서울 숭실



3.1. 학부



3.1.1. 정치계


  • 서양호 - 민선 7기 서울 중구청장 (철학과)
  • 서윤기 - 교육학과(석사). 제8,9,10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임재훈 - 제20대 국회의원(국민의당-민생당 비례대표) (행정학과[6])
  • 최동익 - 제19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사회사업학과[7])
  • 황희 - 제20대 국회의원(양천구 갑) (경제학과)
  • 양경숙 - 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시민당-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한국재정정책연구원 원장(국어국문학과)
  • 박주원 - 前 안산시장,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법학과)
  • 이병진 - 정의당 수원시 위원장(법학과)
  • 김정수 - 前 바른정당-바른미래당 대변인 (벤처중소기업학과)

3.1.2. 교육


  • 이효계 - 제 11대 총장 (법학과) [8]
  • 배명진 - 숭실대 전자정보공학부 교수(전자공학부) [9]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회장, 숭실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 성신형 - 숭실대학교 기독교윤리학 교수 (영어영문학)
  • 이덕일 - 역사학자 (사학과)
  • 이정현 -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교수 (전자계산학과)[10]
  • 임승안 - 나사렛대학교 7대 총장, 목사 (영어영문학과)
  • 윤정원 - 한양대학교 산업융합학부 교수 (정보사회학과)
  • 김용헌 - 신시내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경영학과)
  • 유재우 -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교수, 전 카이스트 인공지능센터 연구교수(전자계산학과)
  • 문송천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전자계산학과)
  • 이옥순 - 연세대학교 교수(사학과)
  • 이호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 임상조교수(정보통신공학과)
  • 김재원 -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과)
  • 한상돈 -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과)
  • 이한수 -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정치외교학과)
  • 이제찬 -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교수 (화학공학과)
  • 김대빈 - 서원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영어영문학과)
  • 나성 - 한신대학교 철학과 교수 (철학과)
  • 윤효석 - 한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컴퓨터학부)
  • 정철웅 -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사학과)
  • 이현훈 - 강원대학교 경제무역학부 교수 (경제학과)
  • 심재무 - 경성대학교 법학과 교수 (법학과)
  • 윤문철 - 부경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교수 (기계공학과)
  • 정세근 -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철학과)
  • 김제국 - 상명대학교 정보보안공학과 교수 (산업정보시스템공학)
  • 안길준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현 삼성전자 시큐리티 팀장 (전자계산학과)
  • 전광성 - 애리조나 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 (컴퓨터학부)
  • 민장우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전자계산학과)
  • 박노성 -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컴퓨터학부)
  • 김인옥 - 춘천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영어영문학과)
  • 김범준 - 조선대학교 법학과 교수 (법학과)
  • 김경자 - 조선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 장석준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불어불문학과)
  • 최유경 - 세종대학교 지능기전공학부 교수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진홍근 -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경제학과)
  • 김학주 -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학부)
  • 안찬묵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기초과학교실 교수 (화학과)
  • 하지원 - 울산대학교 화학과 교수 (화학과)
  • 문창성 - 경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물리학과)
  • 진성은 - 제주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영어영문학과)
  • 장응만 - 큰별유치원(강남구) 한국유치원(수지구) 설립자 (경제학과)

3.1.3. 경제


  • 김종호 (삼성전자 사장, 전자공학)
  • 이영구 (롯데칠성음료 사장, 산업공학)
  • 최우정 (SSG닷컴 사장, 수학)
  • 김운아 (신세계푸드 사장, 섬유공학)
  • 김화응 (현대리바트 사장, 경제학)
  • 김영태 (현대백화점 사장, 영어영문학)
  • 권오상 (한진관광 사장, 경제학)
  • 이희철 (경남제약 회장, 기계공학)
  • 윤동준 (포스코에너지 상임고문, 산업공학)
  • 최규복 (유한킴벌리 사장, 경영학)
  • 한상익 (현대중공업 부사장, 경영학)
  • 곽의영 (한일시멘트 사장, 영어영문학)
  • 이승구 (SDI케미칼 사장, 경영학)
  • 김운렴 (아식스스포츠 회장, 경제학)
  • 임채영 (현대모비스 부사장, 기계공학)
  • 변문성 (성동조선해양 사장, 경제학)
  • 안재현 (보령제약 사장, 경영학)
  • 김헌배 (삼성전자 부사장, 전자공학)
  • 이상만 (휴온스메디케어 사장, 정보처리학)
  • 최정호 (로젠택배 사장, 무역학)
  • 김형중 (수협은행 부행장, 전산학)
  • 유용겸 (국민체육진흥공단 사장, 철학)
  • 전병복 (삼성SDI 사장, 전기공학)
  • 이희철 (경남제약 회장, 기계공학)
  • 이만기 (기상청 청장, 전기공학)
  • 김정석 (현대오일뱅크 부사장, 화학공학)
  • 김주하 (농협 은행장, 경영학)
  • 김준호 (농협 부행장, 무역학)
  • 이영수 (농협 부행장, 전산학)
  • 김석태 (농협 부행장보, 무역학)
  • 이재근 (국민은행 부행장, 수학)
  • 안영근 (KEB하나은행 부행장, 무역학)
  • 이영찬 (GC녹십자 사장, 화학공학)
  • 김정록 (현대로템 부사장, 기계공학)
  • 김철수 (안철수연구소 대표, 산업공학)
  • 양재열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 현 가엘에스앤에스 사장, 경영학)
  • 안재만 (국제약품 대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사,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이사, 경영학)
  • 김명현 (식약청 청장, 국제통상학)
  • 손학식 (에너지관리공단 부이사장, 전기공학)
  • 이인영 (에너지관리공단 부이사장장, 환경공학)
  • 유홍준 (삼성SDS 부사장, 전산학)
  • 박상균 (농심 부사장, 무역학)
  • 안재웅 (한국YMCA 이사장, 기독교학)
  • 김인호 (대한방직 사장, 섬유학)
  • 박영립 (화우법무법인 대표, 법학)
  • 김진환 (데이타게이트코리아 대표, 전자공학)
  • 유진규 (세스코 사장, 경영학)
  • 유재원 (PN풍년 회장, 경영학)
  • 이용재 (현대자산운용 사장, 법학)
  • 이범희 (디케이유테크 대표이사, 경영학)
  • 이재홍 (한국게임학회 회장, 전자공학)
  • 변명식 (중소기업혁신전략연구소 원장, 경영학)
  • 김상림 (한국여성복지연합회 회장, 산업공학)
  • 김재홍 (삼성SDI 부사장, 전자공학)
  • 배재일 (케피코 대표이사, 기계공학)
  • 김은석 (한솔제지 부사장, 기계공학)
  • 이기무 (동부화재 부사장, 전산학)
  • 최상곤 (한국오라클 부사장, 전산학)
  • 임진호 (강남도시가스 사장, 경영학)
  • 임용배 (아주아이티 사장, 경영학)
  • 여대훈 (DHP코리아 대표이사, 화학)
  • 한상구 (OK저축은행 대표이사, 경제학)
  • 유병천 (이월드 사장, 사회복지학)
  • 장주식 (코레일유통 사장, 경영학)
  • 박우진 (아이크래프트 대표이사, 전산학)
  • 윤승기 (한국애질턴트 사장, 전자공학)
  • 손민수 (이지스효성 은행장, 전자공학)
  • 이민용 (한국영화감독협회 부이사장, 무역학)
  • 김진유 (화이트정보통신 사장, 전산학)
  • 박형신 (디지털자산유통진흥협회 부회장, 경제학)
  • 김왕옥 (IBK시스템즈 대표이사, 전산학)
  • 김득린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법학)
  • 이상인 (코스맥스그룹 부회장, 국어국문학)
  • 안영수 (하나은행 부행장, 무역학)
  • 오덕환 (한국IDG 사장, 전자공학)
  • 문희수 (한화금융에셋 대표)
  • 송세경 (퓨처로봇 사장, 전자공학)
  • 이상권 (비츠로테크 사장, 전자공학)
  • 노종윤 (웰메이드필름 대표, 영어영문학)
  • 박문광 (HMC 투자증권 이사, 경영학)
  • 반재철 (흥사단 사장, 화학공학)
  • 이정석 (제주항공 상무 경제학과)
  • 이승규 (KTB투자증권 상무 무역학과)
  • 김세호 (쌍방울대표이사 섬유공학)
  • 김동건 (동원증권 CM2 팀 팀장)
  • 김명국 삼성전자 상무보(AMLCD사업부 구매팀장)
  • 김병류 (한국조폐공사 총무부 부장)
  • 김세신 (캐피탈코리아엔젤투자 부회장)
  • 김영종 삼성물산 전무(원자력사업총괄)
  • 김정석 인천정유 이사(생산기술부문)
  • 김종호 삼성전자 상무보(무선제조팀담당)
  • 박광현 SK건설 상무대우(플랜트PD)
  • 유재원 세광알미늄 대표이사사장
  • 윤구홍 서울데이타시스템 대표이사
  • 이승구 삼성전자 상무보(디지털경영지원그룹장)
  • 전병복 삼성전자 상무(정보통신총괄 무선사업부 제조팀장
  • 조기원 현대건설 이사대우(해외파견)

3.1.4. 법조계


  • 이묘향 - 공인노무사, 現 김앤장 법률사무소 (前 삼정회계법인)
  • 최용문 - 변호사, 現 예율법무법인, 대법원 국선변호인
  • 김승한 - 변호사, 現 율성법무법인, 서울특별시 공익변호사 및 한국법조인협회 정책이사, 컴퓨터학부 학사
  • 최성국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 신용호 -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3.1.5. 스포츠


2010년대부터는 숭실대 출신 유명 축구선수들이 눈에 띄고 있다.
  • 고기구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김동완 - SBS 축구 해설위원 (법학과)
  • 김영후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김원일 - 축구선수
  • 박문성 - SBS 축구 해설위원 (회계학과)
  • 박종진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박주호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양상민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윤지혁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이동준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이정협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최진철 - 감독 (행정학부)[11]
  • 하강진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 한국영 - 축구선수 (스포츠학부)

3.1.6. 언론


  • 강서은 - 아나운서 (불어불문학과 03학번)
  • 김재원 - KBS 아나운서 (회계학과 86학번)[12]
  • 김초희 - 아나운서 (영어영문학과 06학번)
  • 류소영 - 아나운서 (법학과 11학번)[13]
  • 박소영 - KBS창원방송총국 아나운서 (중어중문학과)
  • 신소연 - SBS 기상캐스터 (언론홍보학과 07학번)
  • 엄지민 - 앵커 (글로벌통상학과 09학번)
  • 이성민 - KBS 아나운서 (영어영문학과 86학번)
  • 홍은철 - MBC 아나운서 (전자공학부) [14]
  • 정병진 - YTN 앵커 (언론홍보학과 05학번)
  • 최석태 - 전 KBS 부산방송총국장, 한국방송협회 이사 (법학과)
  • 김수섭 - 전 한경닷컴 대표사장, 조세일보 회장 (무역과)
  • 이 중 - 전 경남신문 대표이사 (영문학과)

3.1.7. 방송/연예


  • 구원찬 - PBR&B 가수 (교회음악과)
  • 구자형 - 성우 (철학과)
  • 김수호 - 전 프로게이머, 유튜버 겸 스트리머 (기계공학과)[15]
  • 김아란(Aran TV) - 유튜브 에듀테이너 (기독교학과)
  • 박다함 - ASMR유튜버 (Dana ASMR)
  • 박신아 - 배우 (영어영문학과)
  • 박원상 - 배우 (독어독문학과)[16]
  • 박위(위라클) - 유튜버 겸 스트리머 (경영학부 08학번)
  • 박지윤 - 아나운서, MC (영어영문학과 99학번)
  • 반재원 - 판타지소설 작가
  • 선바 - 유튜버 겸 스트리머 (철학과 10학번)[17]
  • 술제이 - 래퍼 (영어영문학과) [18]
  • 원썬 - 래퍼 (기계공학과 98학번) [19]
  • 윤준원 - 더맨블랙 (법학과 14학번)
  • 이정환 - 유튜버 겸 스트리머(피아노 치는 이정환), 작곡가(화학공학과)
  • 임종윤 - KBS 시사교양 PD(정보사회학과 01학번)[20]
  • 정석용 - 배우 (경영학부)[21]
  • 정소림 - 게임 캐스터 (국어국문학과)[22]
  • 정유안 - 배우 (영화예술학부)
  • 최병서 - 코미디언 (경영학부)
  • 홍정훈 - 작가 (전기공학과)
  • 황인성 - 배우 (컴퓨터학부)
  • MC 성천 - (철학과 97학번)

3.1.8. 예술


  • 김준현 - 극작가 (문예창작학과 14학번)
  • 이홍도 - 극작가 (문예창작학과 11학번)
  • 이유리 - 소설가 (문예창작학과 10학번)
  • 문혜연 - 시인 (문예창작학과 11학번)
  • 전극진 - 작가 [23]
  • 조영주 - 작가(세계문학상 대상 수상) (문예창작학과 98학번)
  • 좌백 - 작가 [24]
  • 쿠당탕 - 웹툰 언덕 위의 제임스의 작가 (사학과 11학번)

3.1.9. 기타


  • 황도현 - 제2연평해전 당시 근접 차단기동 작전 중 북한 고속정의 전차포 기습 선제포격 이후 이어진 전포 일제사격에 당당히 맞서다, 전투 중에 포탑 유리를 깨고 날아온 37mm 기관포탄에 머리를 맞아 전사했다. 현재 제2연평해전 전사자 묘지에 이장되어 있다. (기계공학과 98학번)
  • 김지호 - 한국에 처음 파쿠르를 창시한 인물. 그 덕분인지 유독 한국의 파쿠르 야외트레이닝 영상을 보면 숭실대가 매우 많다. (벤처중소기업학과 07학번) 그리고 가끔씩 형남공학관 앞에서 자전거로 묘기를 부리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 문다혜 - 문재인 대통령의 딸 (출신 학과 불명)#[25]
  • 박윤아 - 레이싱 모델 (철학과 04학번)
  • 이현주 - 이해찬국무총리의 딸 (중어중문학과)
  • [26] - 前 여행에 미치다 대표 (글로벌통상학과)

3.2. 대학원



[1] 흑역사이기는 하나, 윗동네추존시조김형직(김일성의 아버지)도 동문이다. 그러나 흑역사로 불리기는 뭣한게, 김형직은 자신의 아들과 달리 평생 독립운동에 앞장선 인물이었다.[2] 1905년 숭실전문학교(숭실대학교 전신) 재학 당시 대한민국 최초의 창작 창가인 학도가를 작곡했다고 한다.[3] 김일성의 아버지인 그분 맞다.[4] 이는 위의 숭실중고등학교와의 관계를 본다면 이해가 될 만한 사실이다. 서울에서의 재건과정이 달라서 아예 다른 재단인 숭실중고등학교와 숭실대학교이다 보니 두 학교 당국의 생각으로는 윤동주는 숭실중고 동문이지 숭실대 동문은 아니기 때문.[5] 나쁘다고 비꼬는 게 아니다. 오히려 자랑스러워 할 만한 행위다. 이화여대와 고려대 초대 총장이 친일 논란에 휩싸이는거 보면 일단 악수는 아니다.[6] 현 행정학부[7] 현 사회복지학과[8] 광주직할시장전라남도지사, 농림부 장관, 한국토지공사 사장 등을 재직한 행정공무원 출신이며,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총장을 맡았다. 캠퍼스 마스터 플랜 등을 추진하고 대외 학교 이미지를 개선했던, 국내 최초 '무보수 총장'이다. 2006년 대동제 와중에 "기 죽지 말아요, 기 죽지 말아요!"라는 학생들 기 살리는 명언을 남겼다.# 당시 숭실대학교를 다녔던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따봉 날리는 추억의 총장님. 퇴임 후인 2014년에 작고했다.[9] 자칭 소리를 연구하고 있다는 그 분 맞다. 숭실대에서 그나마 매우 유명한 인물이라 상당한 우대를 해주고 있다. 최근 사기 논란에 휩싸여 있는 상태다. [10] 공인인증서를 최초로 개발하여 한국에 상용화시키신 분이다.삼성종합기술원 수석연구원,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 객원연구원까지 거치며 다양한 연구를 했다.[11] 한일월드컵레전드이자 2015년 현재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2] KBS 아침마당 2012년 현재 남성 진행자 그 사람 맞다.실제로 2012학년도 입학식에 초청되어 나온적 있다. 대학원까지 숭실대학교 대학원을 다녔다고 한다.[13] 한양대학교 경영학부로 편입[14] 짝퉁시계 밀반입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그 아나운서 맞다. 한때 '출발! 비디오 여행!'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유명했다.[15] 학번은 15학번 이후로 추정되며 아직 졸업하지 않고 휴학한 상태.[16] 숭대극회 출신이다.[17] 졸업한 건 아니고 자주 휴학하며 10년째 다니고 있다(...) 11년만에 모든 학점이수에 성공했다. [18] 2015년까지 졸업을 위해 가끔 학교를 방문했다. 흑인음악 동아리인 다피스에 직접 들러 후배들 조언도 해주는 모양.[19] [20] 유명한 프로그램으론 추적 60분의 제작진이다[21] 숭대극회 출신으로, 박원상의 1년 후배라고 한다[22] 스타나 롤 방송에서 심심찮게 들리는 그 여성 캐스터가 맞다. 취업 강의를 위해 학교를 방문하기도 했었다.[23] 1994년 대학 4학년생 신분으로 열혈강호 스토리 작가로 참여한 경력이 있었다.[24] 철학과 출신으로 대학원 등록금을 벌기위해 무협지를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25] 일부 언론사에 의하면 문다혜는 숭실대가 아닌 일본 고쿠시칸(國士館) 대학 출신이라고 한다.[26] 현재는 재적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