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쿠모 유마/덱
1. 개요
유희왕 ZEXAL의 등장인물 츠쿠모 유마가 애니메이션, 코믹스에서 사용한 덱들의 구성을 설명하는 문서.
어둠의 유우기처럼 코믹스와 애니메이션 덱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 에이스 역시 동일한 No.39 유토피아. 전체적으로 가가가를 위시한 하급들을 메인덱에 구겨넣고 이를 바탕으로 4축 엑시즈 소환의 발판을 삼아서 유토피아 시리즈로 때리는 안정적인 순수비트 덱이다.
극중에선 가가가를 엑시즈 소재용으로 자주 쓰이고.[3] 그렇게 유토피아를 불러냈으면 엑시즈 체인지로 유토피아 카드군을 불러내는 식. 딱히 약하지도 않고 어느 정도 컨셉에 맞게 돌아가는 편이지만 유토피아 계열이 막히면[4] 그 다음은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특히 유마 덱에 쓸만한 소생 카드가 없는 것도 한 몫 한다.
유마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유토피아 등의 카드군을 소유하고 있으나, 유토피아를 제외하면 지원 전무. 고고고, 도도도 등은 덱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고, 가가가 역시 파워 인플레 앞에서는 힘을 못쓰며, 유토피아는 아예 메인덱 몬스터가 없다. 하지만 유마 덱의 핵심은 이 카드군들을 다같이 굴리는 것이다. 희망향 -오노마토피아-, 오노마토페어를 보듯이 메인 몬스터들로 유토피아를 뽑아 시너지를 일으키는 식으로 코나미는 설계한 듯 했으나... 역시 로망성이 강한게 현실.
최대한 컨셉을 살려 OCG에서 굴린다면 유토피아 중심의 엑시즈 비트덱이 된다. 엑스트라 덱은 최중요 카드인 유토피아와 유토피아 강화체, 기타 4 엑시즈 몬스터들을 투입하면 거의 꽉 찬다. 메인은 최대한 유마처럼 짠다면 가장 성능이 좋은 가가가만 투입하거나, 오노마토페어를 바탕으로 가가가와 함께 도도도 위치 중심의 도도도, 혹은 고고고 자이언트 중심의 고고고를 함께 투입하는 것이 좋다. [5] 오노마토피아까지 투입한다면 이렇게 짜보는 것도 좋으나, 기본적으로 오노마토페어를 잡지 못하면 말릴 위험성이 크고 오노마토피아 역시 마룰 4에서 사용하기에는 영 좋지 못하다. 남는 자리는 호프를 강화할 각종 카드들과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카드들, 그리고 택틱스 정도를 추가하면 좋다. 이렇게 한다면 꽤나 성능도 챙길 수 있으며, 제알 팬이라면 좋아할 더블 업 찬스, 마스터 피스 등의 카드들이나 유마 본인이 등장하는 캇토빙 챌린지 같은 카드들이 있어서 굴리는 재미도 좋다.
20th ANNIVERSARY DUELIST BOX에서 드디어 훌륭한 지원카드, No.39 유토피아 더블이 발매되었다.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역시 단순하게 4 엑시즈만 노린다면 꽤나 쓸만한 카드고,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주바바의 모든 지원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출시 직후보다는 평가가 좋아졌다. 제알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샤이닝 드로우는 실용성을 찾아보기 힘든 카드로 나왔지만, 제알의 샤이닝 드로우를 재현하여 덱 맨 위를 조작한다던지 하는 추가 지원을 기대해 볼만은 하다. 일단은 유토피아 더블의 공격력 2배, 더블 업 찬스 서치를 통해 공격 하나만큼은 그 누구 부럽지 않은, 어떻게 보면 정말 유마다운 덱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원작에서부터 유마가 유토피아를 이용한 한방에 거는 스타일 인지라 서치, 어드밴티지 확보, 소생, 견제, 제거등의 비중은 매우 낮아서 안정성은 꽤나 떨어진다. 코나미가 마음만 먹으면 블랙 매지션 처럼 실용성만 중시해서 OCG 오리지널 서포트를 잔뜩 내줘 강화시킬수도 있겠지만 유마는 카드군이 중구난방하게 되어있고 지원도 실용성보단 로망과 재미를 중시하라는 듯 공격과 관련된 것 위주로 내주고 있어서 현실에서도 주인공의 성향 그대로인 덱.
각기 다른 성능의 카드군들이 한 덱에 모여있는 점에서는 만죠메 쥰을 연상케 한다. 각각 통일성 없는 생김새와 따로 노는 효과들이 공통점이지만, 기초적인 시너지저차 전무한 만죠메와 달리, 유마는 서로가 전개하여 엑시즈 소환으로 바로 연계할 수 있기에 시너지가 발생한다는 게 차이점.[6]
한 가지 특이한 점으로는, 대부분의 카드명이 일본식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범할 것 같은 명칭들도 말장난이며, 심지어 에이스인 유토피아조차 말장난이다.
2. 애니메이션
2.1. OCG화 된 몬스터 카드
2.1.1. 가가가
2.1.2. 고고고
2.1.3. 도도도
2.1.4. 주바바
2.1.5. ZW
2.1.6. 그 외
- 간바라 나이트 × 2
- 간바란서
- 고블린드버그
- 그랜드란
- 그림자 도마뱀
- 기라기랜서
- 다크론
- 데미지 메이지
- 도토리도령
- 라이 라이더
- 모그몰
- 무지개 크리보
- 매직 리사이클러
- 매지컬 언더테이커
- 미미믹
- 바늘 검사
- 바치바치바치
- 맥 폭탄
- 봉인검의 검사
- 불 블레이더
- 솔방울도령
- 아마릴리스
- 아차차 아처
- 아차차 찬바라
- 엑시즈 에이전트
- 오버레이 부엉이
- 오버레이 이터
- 젠틀루파
- 차차카 아처
- 차우차우짱
- 타스케 나이트
- 타스켈톤
- 타타카와 나이트
- 토이나이토×2
- 트러블 다이버
- 카드카·D
- 크리볼트
- 크레인크레인
- 쿠로클로크로우
- 뻐끔버그
- 풀 엘프
- 프리벤토마토
- ZS-배니시 세이지
2.1.7. 엑시즈 몬스터
2.1.7.1. 유토피아 카드군
2.1.7.2. No.[7]
- FNo.0 미래황 호프
-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 : 유마가 사용한 넘버즈 중 하나. 89화에 볼카사우르스와 함께 소환되어 그림자 거인의 라이프를 반으로 만들었다. 이후 112화에서 No.33 오파츠 마추 마크와 함께 III에게 양도.
- No.7 럭키 스트레이트
- No.8 문장왕 게놈 헤리터
- No.10 일루미 나이트
- No.11 빅 아이 : 141화에서 소환되어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의 컨트롤을 가져와, 컨트롤을 가져온 다크 나이트의 효과로 필드를 비우는데 사용했다. 그러나 빅 아이는 CNo.103 신장령양 라그나 인피니티에게, 다크 나이트는 CNo.102 다크 라이트닝 노블 데몬의 공격으로 파괴되어 컨트롤이 원래 주인에게 돌아갔다.
- No.12 기갑첩자 크림즌 섀도우 : 트론과의 듀얼에서 스피어 필드의 효과로 소환. 골드래트를 파괴하나 다음턴 트론의 맹공을 버티다 엑시즈 소재가 0이 되면서 스피어 필드의 효과로 파괴된다.
- No.16 쇼크 마스터
- No.17 레비아단 드래곤 : 유토피아 카드군을 제외한 엑시즈 몬스터 중에서 H-C 엑스칼리버와 함께 그나마 가장 많이(4회) 소환된 카드. 실제로 레벨 조정 효과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유마 입장에서 제일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넘버즈였다. 다만 1기 이후로는 트론 전을 제외하고는 비중이 증발한다.
- No.19 프리자돈
- No.20 기가 브릴리언트
- No.25 포스 포커스 : 유마와 아스트랄의 최종전 당시 아스트랄이 소환. 그러나 비욘드 더 호프의 효과의 코스트로 사용된다.(...)
-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 No.32 샤크 드레이크 : 아스트랄이 가지고는 있지만 카미시로 료가가 더 많이 소환해 사용했다.
- No.33 오파츠 마추 마크 : 112화에서 No.6 오파츠 아틀란타르와 함께 III에게 양도된다.
- No.34 전산기야수 테라바이트 : 참고로, 레비아단 드래곤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 넘버즈이다. 하지만 도움이 된 적은 한 번도 없다. 놀리는 게 아니라 정말로.
- No.44 백천마 스카이 페가수스
- No.53 위해신 Heart-eartH
- No.54 반골의 투사 라이언하트 : 아리트와의 4차전에서 소환. 우여곡절 끝에 CNo.105 BK 혜성의 카에스토스를 파괴하면서 유마에게 승리를 가져다줌과 동시에 아리트의 기억을 돌려줬다.
- No.56 골드래트
- No.61 볼카사우루스 : 89화에서 간바랜서를 소재로 엑시즈 소환. 그러나 효과가 막혀 아무것도 못하고 퇴장했다.(...)
-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
-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
- No.69 갓 메달리온 코트 오브 암즈
- No.83 갤럭시 퀸
-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
- No.96 블랙 미스트 : 89화에서 그림자 거인을 이기기 위해 한번 사용했지만 이후 탈출, 낫슈와의 듀얼 이후에야 아스트랄이 회수하게 된다.
- CNo.96 블랙 스톰 : 위의 블랙 미스트와 동일.
- No.100 누메론 드래곤
2.1.7.3. 비 No.
- 가가가 간맨
- 가가가 자무라이
- 건틀릿 슈터
- 베이비 트래곤
- 관마인 멜로멜로멜로디
- 큰북마인 템템템포
- 애꾸눈의 스킬 게이너
- 현마인 딩가딩가 리듬
- H-C 엑스칼리버 : 고슈에게서 넘겨받은 카드. 레비아단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유토피아 이외의 카드 중에선 가장 많이(4회) 소환되었다. 초반에 비중이 몰린 레비아단과는 달리 유마가 입수한 뒤 6기까지 수시로 사용했다.
- ZW-라이오 암즈
2.2. 마법 카드
2.2.1. RUM 계통
- RUM-누메론 포스
- : 98화에서 RUM-누메론 포스로 바뀌었다.
- RDM-누메론 폴
- RUM-아스트랄 포스
2.2.2. 가가가
2.2.3. 고고고
2.2.4. 엑시즈
2.2.5. 그 외 카드
- 공통규제
- 더블 디펜더
- 더블 업 찬스
- 레벨 마이스터
- 리버스 브레이커
- 몬스터 슬롯
- 미니멈 거츠
- 바운드 원드
- 별에게 소원을
- 화염의 봉인검
- 썬더 쇼트
- 원더 원드 × 2
- 원샷 원드
- 죽은 자의 소생 × 2 : 실수인지는 알 수 없으나 7화에서 덱이 쏟아지는 장면을 보면 덱에 2장 들어가 있다.
- 제로제록
- 최강의 방패
- 크로스 어택
- 토네이도
- 파천황의 폭풍 × 2
- 허영거영
- 혼신의 일격
- 전대미문의 바람 × 2
2.3. 함정 카드
2.3.1. 가가가
2.3.2. 엑시즈
2.3.3. 기타 카드
- 가도고!
- 거꾸로 안경
- 건망증
- 검의 지휘
- 고블린의 임시변통
- 공격 무적화
- 기책
- 디멘션 게이트
- 데미지 다이어트
- 리본 퍼즐
- 릴리스 리버스 버스트: 원작에서는 마법카드였으나 OCG화 되면서 함정카드가 되었다.
- 마스터 피스
- 바이바이 데미지
- 반발력
- 방심은 금물
- 배틀 브레이크
- 버스트 리버스
- 비밀병기 머신건
- 성스러운 갑옷 -거울의 메일-
- 영혼의 일격
- 자업자득
- 전력승부 챌린지
- 줄행랑
- 카피 나이트
- 타오르는 투지
- 통한의 호소
- 퍼지 레이
- 핀포인트 가드
- 하프 언브레이크
2.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2.4.1. 몬스터 카드
2.4.2. 마법 카드
2.4.2.1. 가가가
2.4.2.2. 고고고
2.4.2.3. 엑시즈
2.4.2.4. 그 외 카드
- 가드플러스
- 감량
- 넘버즈 이보케이션
- 넘버즈 임팩트
- 릴리스 리스
- 릴리스 티켓
- 마인 오케스트라
- 부활의 마치
- 스텔스 스트라이크
- 스톱 해머
- 쓰리카드 서몬
- 얼티메이트 호프 검
- 오버레이 드롭 리본
- 오버레이 벌렛
- 오버레이 체인
- 오버테이크 서몬
- 왕자의 성외투
- 익스체인지 가드 로브
- 제알 캐터펄트
- 컴백!
- 클리어 로브
- 퀵 리서베이션 리워드
- 포싱
- 플러스 스타 123
- 호프 하트비트
2.4.3. 함정 카드
- 가가가 미라지
- 가드로우
- 결벽의 방어막 -클리어 포스-
- 넘버즈 매직 마스터
- 넘버즈 리턴
- 디멘션 U턴
- 디스파레트 가드
- 데미지 리액터
- 라스트 찬스
- 라이징 호프
- 라이트 백
- 머스트 다이 드로우
- 매장혼란-바리 패닉
- 문 범퍼[8]
- 배틀 러시
- 배틀 리스타트
- 본즈 오브 라이벌
- 브레이빙 메모리
- 세션 드로우
- 슈페리얼 오버레이
- 아리배리어
- 엑시즈 웨이트
- 엑시즈 크로스
- 엑시즈 피스
- 오버레이 마커
- 오버레이 블레싱
- 오버레이 브레이크
- 오버레이 위커
- 테이크 오버 데미지
- 파워 체인지 배리어
- 하이퍼 퀵
- 희망의 유대
3. 코믹스
3.1. OCG화 된 카드
3.1.1. 몬스터 카드
3.1.1.1. 가가가
3.1.1.2. 고고고
3.1.1.3. 주바바
3.1.1.4. 그 외
3.1.1.5. 엑시즈 몬스터
3.1.1.6. No.[9]
- SNo.0 호프 제알
- No.13 케인즈 데블
- No.17 레비아단 드래곤
- No.22 프랑켄
- No.31 아밸즈 데블
- No.39 유토피아
-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
- No.48 섀도우 리치
- No.50 블랙십 오브 콘
- No.91 썬더 스파크 드래곤
-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3.1.1.7. 비 No.
3.1.2. 마법 카드
3.1.3. 함정 카드
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1. 몬스터 카드
- 갈까마귀
- 카멜레레레온
- 폿포포 나이트
3.2.2. 마법 카드
- RUM-샤이닝 포스
- 가가가 일루전
- 골렘의 합장
- 대량 그림자 분신
- 더블 바스타드 스워드
- 리멤버 어택
- 불굴의 챌린지
- 샤이닝 호라이즌
- 엑시즈 얼티메이트
- 엑시즈의 패
- 영원한 유대감
- 오버레이 리버스
- 파이널 카운트 업
- 퓨처 에너지
3.2.3. 함정 카드
- 가가가 베리어
- 가가가의 탈출극
- 갈까마귀의 깃털
- 라이벌 크래시
- 리버스 월
- 매직 리바운더
- 블리키 벌룬
- 부랴부랴! 검
- 세컨드 리플렉터
- 실드 오브 본즈
- 엑시즈 리본+
- 한 줄기 희망
- 호프 1
- 희망의 기억
- 희망의 최종방위 라인
[1] 144화 시점에서 FNo.0 미래황 호프를 제외하고 전부 아스트랄에게 넘어갔다.[2] 랭크 52에서 유마가 돌려주지 않은 No.39 유토피아와 그 진화체인 SNo.39 유토피아 ONE,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가 아스트랄에게 넘어가고, 랭크 55에서 유토피아도 아스트랄에게 넘어간다.[3] 사실 유토피아가 범용 4축이라 가가가 아니어도 잘만 튀어나온다.[4] 예를들어 4축전개의 시작인 유토피아가 나락/격류장등의 소환반응형 카드들을 맞으면 답이 없다. 물론 환경의 변화로 소환반응영 견제카드가 예전만큼 많이 쓰이지 않아서 체인을 안타는 엑시즈 체인지는 어렵지 않으나 문제는 그렇게 뽑은 에이스급이 다른 방법으로 제거당할게 뻔해서 더 라이트닝만이 일회용 4축으로 쓸만한 수준이다.[5] 도도도와 고고고 중에 고민할 수 있는데, 덱 스페이스에 따라 정하는 것이 좋다. 자리가 많이 남는다면 걸출한 서포트 카드 도도도 드로우를 사용할 수 있는 도도도를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덱 스페이스가 많지 않다면 고고고 자이언트 3장만 넣어도 된다.[6] 근데 2화에서 아스트랄에게 유토피아를 받기 전까지는 엑스트라 덱이 '''단 한 장도 없어서''' 진짜 잡덱이었다.(...) 유토피아가 난생 처음으로 소환한 엑시즈 몬스터라고 하는데, 그렇다는 것은 아스트랄을 만나기 전에는 '''엑시즈 없는 엑시즈 특화 덱으로 계속 듀얼해왔다는 소리다.''' 극이 진행된 이후에는 No. 외에 평범한 엑시즈도 덱에 넣게 되었다.[7] 144화 시점에서 FNo.0 미래황 호프를 제외하고 전부 아스트랄에게 넘어갔다.[8] 유토피아를 깨부수기 위한 카드여서 그런지 유토피아의 효과명(문 배리어)에 정반대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9] 랭크 52에서 유마가 돌려주지 않은 No.39 유토피아와 그 진화체인 SNo.39 유토피아 ONE,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가 아스트랄에게 넘어가고, 랭크 55에서 유토피아도 아스트랄에게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