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쿠모 유마/덱

 

1. 개요
2. 애니메이션
2.1. OCG화 된 몬스터 카드
2.1.6. 그 외
2.1.7.2. No.[1]
2.2. 마법 카드
2.2.1. RUM 계통
2.2.2. 가가가
2.2.3. 고고고
2.2.4. 엑시즈
2.2.5. 그 외 카드
2.3. 함정 카드
2.3.1. 가가가
2.3.2. 엑시즈
2.3.3. 기타 카드
2.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2.4.1. 몬스터 카드
2.4.2. 마법 카드
2.4.2.1. 가가가
2.4.2.2. 고고고
2.4.2.3. 엑시즈
2.4.2.4. 그 외 카드
2.4.3. 함정 카드
3.1. OCG화 된 카드
3.1.1. 몬스터 카드
3.1.1.4. 그 외
3.1.1.5. 엑시즈 몬스터
3.1.1.6. No.[2]
3.1.2. 마법 카드
3.1.3. 함정 카드
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1. 몬스터 카드
3.2.2. 마법 카드
3.2.3. 함정 카드


1. 개요



유희왕 ZEXAL의 등장인물 츠쿠모 유마가 애니메이션, 코믹스에서 사용한 덱들의 구성을 설명하는 문서.
어둠의 유우기처럼 코믹스와 애니메이션 덱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다. 에이스 역시 동일한 No.39 유토피아. 전체적으로 가가가를 위시한 하급들을 메인덱에 구겨넣고 이를 바탕으로 4축 엑시즈 소환의 발판을 삼아서 유토피아 시리즈로 때리는 안정적인 순수비트 덱이다.
극중에선 가가가를 엑시즈 소재용으로 자주 쓰이고.[3] 그렇게 유토피아를 불러냈으면 엑시즈 체인지로 유토피아 카드군을 불러내는 식. 딱히 약하지도 않고 어느 정도 컨셉에 맞게 돌아가는 편이지만 유토피아 계열이 막히면[4] 그 다음은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특히 유마 덱에 쓸만한 소생 카드가 없는 것도 한 몫 한다.
유마는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유토피아 등의 카드군을 소유하고 있으나, 유토피아를 제외하면 지원 전무. 고고고, 도도도 등은 덱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고, 가가가 역시 파워 인플레 앞에서는 힘을 못쓰며, 유토피아는 아예 메인덱 몬스터가 없다. 하지만 유마 덱의 핵심은 이 카드군들을 다같이 굴리는 것이다. 희망향 -오노마토피아-, 오노마토페어를 보듯이 메인 몬스터들로 유토피아를 뽑아 시너지를 일으키는 식으로 코나미는 설계한 듯 했으나... 역시 로망성이 강한게 현실.
최대한 컨셉을 살려 OCG에서 굴린다면 유토피아 중심의 엑시즈 비트덱이 된다. 엑스트라 덱은 최중요 카드인 유토피아와 유토피아 강화체, 기타 4 엑시즈 몬스터들을 투입하면 거의 꽉 찬다. 메인은 최대한 유마처럼 짠다면 가장 성능이 좋은 가가가만 투입하거나, 오노마토페어를 바탕으로 가가가와 함께 도도도 위치 중심의 도도도, 혹은 고고고 자이언트 중심의 고고고를 함께 투입하는 것이 좋다. [5] 오노마토피아까지 투입한다면 이렇게 짜보는 것도 좋으나, 기본적으로 오노마토페어를 잡지 못하면 말릴 위험성이 크고 오노마토피아 역시 마룰 4에서 사용하기에는 영 좋지 못하다. 남는 자리는 호프를 강화할 각종 카드들과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카드들, 그리고 택틱스 정도를 추가하면 좋다. 이렇게 한다면 꽤나 성능도 챙길 수 있으며, 제알 팬이라면 좋아할 더블 업 찬스, 마스터 피스 등의 카드들이나 유마 본인이 등장하는 캇토빙 챌린지 같은 카드들이 있어서 굴리는 재미도 좋다.
20th ANNIVERSARY DUELIST BOX에서 드디어 훌륭한 지원카드, No.39 유토피아 더블이 발매되었다.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역시 단순하게 4 엑시즈만 노린다면 꽤나 쓸만한 카드고, 가가가, 고고고, 도도도, 주바바의 모든 지원카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출시 직후보다는 평가가 좋아졌다. 제알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샤이닝 드로우는 실용성을 찾아보기 힘든 카드로 나왔지만, 제알의 샤이닝 드로우를 재현하여 덱 맨 위를 조작한다던지 하는 추가 지원을 기대해 볼만은 하다. 일단은 유토피아 더블의 공격력 2배, 더블 업 찬스 서치를 통해 공격 하나만큼은 그 누구 부럽지 않은, 어떻게 보면 정말 유마다운 덱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원작에서부터 유마가 유토피아를 이용한 한방에 거는 스타일 인지라 서치, 어드밴티지 확보, 소생, 견제, 제거등의 비중은 매우 낮아서 안정성은 꽤나 떨어진다. 코나미가 마음만 먹으면 블랙 매지션 처럼 실용성만 중시해서 OCG 오리지널 서포트를 잔뜩 내줘 강화시킬수도 있겠지만 유마는 카드군이 중구난방하게 되어있고 지원도 실용성보단 로망과 재미를 중시하라는 듯 공격과 관련된 것 위주로 내주고 있어서 현실에서도 주인공의 성향 그대로인 덱.
각기 다른 성능의 카드군들이 한 덱에 모여있는 점에서는 만죠메 쥰을 연상케 한다. 각각 통일성 없는 생김새와 따로 노는 효과들이 공통점이지만, 기초적인 시너지저차 전무한 만죠메와 달리, 유마는 서로가 전개하여 엑시즈 소환으로 바로 연계할 수 있기에 시너지가 발생한다는 게 차이점.[6]
한 가지 특이한 점으로는, 대부분의 카드명이 일본식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범할 것 같은 명칭들도 말장난이며, 심지어 에이스인 유토피아조차 말장난이다.

2. 애니메이션



2.1. OCG화 된 몬스터 카드



2.1.1. 가가가



2.1.2. 고고고



2.1.3. 도도도



2.1.4. 주바바



2.1.5. ZW



2.1.6. 그 외



2.1.7. 엑시즈 몬스터



2.1.7.1. 유토피아 카드군


2.1.7.2. No.[7]



2.1.7.3. 비 No.


2.2. 마법 카드



2.2.1. RUM 계통



2.2.2. 가가가



2.2.3. 고고고



2.2.4. 엑시즈



2.2.5. 그 외 카드



2.3. 함정 카드



2.3.1. 가가가



2.3.2. 엑시즈



2.3.3. 기타 카드



2.4. OCG화 되지 않은 카드



2.4.1.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요정 조'''
일어판 명칭
'''妖精ジョー'''
영어판 명칭
'''Joe the Pixi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천사족
100
300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를 0이 된다.
한글판 명칭
'''트래플린'''
일어판 명칭
'''トラップリン'''
영어판 명칭
'''Traplin'''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천사족
300
400
자신 필드 위의 지속 함정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 할 수있다.
한글판 명칭
'''ZS-우로보로스 세이지'''
일어판 명칭
'''ZS-双頭龍賢者'''
영어판 명칭
'''ZS - Ouroboros Sage'''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3
어둠
전사족
600
0
이 카드가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묘지의 빛 속성 이외의 "No."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 장을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 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그 후, 그 몬스터에게 이 카드와 자신 필드 위의 「호프」몬스터 1 장을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장착 할 수있다. 이 효과로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또한, 장착 몬스터가 공격 선언시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엔드 페이즈시까지 배가 된다.

2.4.2. 마법 카드



2.4.2.1. 가가가


2.4.2.2. 고고고


2.4.2.3. 엑시즈


2.4.2.4. 그 외 카드

한글판 명칭
'''파이팅 펀드'''
일어판 명칭
'''ファイティング・バンド'''
영어판 명칭
'''Fighting Fund'''
속공 마법
이 턴,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한글판 명칭
'''마봉인의 패'''
일어판 명칭
'''魔封印の宝札'''
영어판 명칭
'''Card of Spell Containment'''
일반 마법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이 카드 이외의 마법 카드를 발동 할 수없고 카드를 세트 할 수 없다.
한글판 명칭
'''플립 플랩'''
일어판 명칭
'''フリップ・フラップ'''
영어판 명칭
'''Flip Flap'''
일반 마법
필드 위에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 장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한글판 명칭
'''리벤지 어택'''
일어판 명칭
'''リベンジ・アタック'''
영어판 명칭
'''Revenge Attack'''
속공 마법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몬스터 1체의 공격력을 1000 올리고, 그 상대 몬스터와 1번 더 전투를 실행한다.
한글판 명칭
'''바이텐션'''
일어판 명칭
'''バイテンション'''
영어판 명칭
'''Double Tension'''
속공 마법
자신의 필드 위의 몬스터가 배틀 페이즈중의 2회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데미지 스텝의 중 공격력이 배가 된다.
한글판 명칭
'''감량'''
일어판 명칭
'''減量'''
영어판 명칭
'''Decrease'''
속공 마법
필드 위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1체를 대상으로 마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2개 내린다.
한글판 명칭
'''투하교환'''
일어판 명칭
'''投下交換'''
영어판 명칭
'''Drop Exchange'''
일반 마법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를 2장 이상 묘지에 보낸다. 그 후, 묘지로 보낵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한글판 명칭
'''볼티지 서먼'''
일어판 명칭
'''ボルテージサモン'''
영어판 명칭
'''Voltage Summon'''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크리볼트토큰」을 전부 릴리스 한다. 릴리스 한 토큰의 수만큼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를 자신의 덱으로부터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가 되고, 원래의 공격력 / 수비력이 0이 된다.
한글판 명칭
'''추화점'''
일어판 명칭
'''追火点'''
영어판 명칭
'''Extra Blast'''
속공 마법
상대 몬스터가 카드의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가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한글판 명칭
'''자이언트 킬링'''
일어판 명칭
'''ジャイアント・キリング'''
영어판 명칭
'''Giant Hunter'''
장착 마법
장착 몬스터가 공격하는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상대는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가 없다.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상대보다 이하일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장착 몬스터와 전투를 실시한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반이 된다.
한글판 명칭
'''줄행랑 러쉬'''
일어판 명칭
'''ガムシャラッシュ'''
영어판 명칭
'''Gamusharush'''
속공 마법
자신 필드위의 몬스터 1장이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시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있다. 자신의 몬스터 1당의 공격력을 0으로 하고, 상대에게 6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
한글판 명칭
'''바이 바인드'''
일어판 명칭
'''バイ・バインド'''
영어판 명칭
'''Double Bind'''
속공 마법
이 턴 공격력이 변화한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배틀 페이즈 동안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배가 되고, 그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 효과 '의 무효화 된다.
한글판 명칭
'''세븐 스토어'''
일어판 명칭
'''セブンストア'''
영어판 명칭
'''Seven Store'''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또한, 이 효과로 릴리스 한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의 수만큼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드로우한다.
한글판 명칭
'''플래시 이펙트'''
일어판 명칭
'''フラッシュ・エフェクト'''
영어판 명칭
'''Flash Effect'''
속공 마법
배틀 페이즈 중에 몬스터 효과가 발동했을 때,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 할 수있다.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리고, 필드 위의 모든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2.4.3. 함정 카드


  • 가가가 미라지
  • 가드로우
  • 결벽의 방어막 -클리어 포스-
  • 넘버즈 매직 마스터
  • 넘버즈 리턴
  • 디멘션 U턴
  • 디스파레트 가드
  • 데미지 리액터
  • 라스트 찬스
  • 라이징 호프
  • 라이트 백
  • 머스트 다이 드로우
  • 매장혼란-바리 패닉
  • 문 범퍼[8]
  • 배틀 러시
  • 배틀 리스타트
  • 본즈 오브 라이벌
  • 브레이빙 메모리
  • 세션 드로우
  • 슈페리얼 오버레이
  • 아리배리어
  • 엑시즈 웨이트
  • 엑시즈 크로스
  • 엑시즈 피스
  • 오버레이 마커
  • 오버레이 블레싱
  • 오버레이 브레이크
  • 오버레이 위커
  • 테이크 오버 데미지
  • 파워 체인지 배리어
  • 하이퍼 퀵
  • 희망의 유대
한글판 명칭
'''요정의 징'''
일어판 명칭
'''妖精のゴング'''
영어판 명칭
'''Pixie Gong'''
일반 함정
직접 공격에 의해 데미지를 받았을 때 발동할 수가 있다. 자신의 덱에서 레벨 3 이하의「요정」또는 「페어리」1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한글판 명칭
'''거츠 가드'''
일어판 명칭
'''ガッツ・ガード'''
영어판 명칭
'''Guts Guard'''
일반 함정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자신 필드의 공격 대상 몬스터 이외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체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대상을 그 몬스터로 변경한다. 이 턴, 그 몬스터는 전투에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한글판 명칭
'''비밀 싸이크론'''
일어판 명칭
'''仕込みサイクロン'''
영어판 명칭
'''Reserve Cyclone'''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이 상대로 옮겨져, 그 카드가 릴리스 되었을 때, 발동할 수가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함정 카드 1장를 파괴한다.
한글판 명칭
'''이차원살법 벡터 체인지'''
일어판 명칭
'''異次元殺法ベクトル・チェンジ'''
영어판 명칭
'''Vector Change'''
일반 함정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 1체를 선택해 발동할 수가 있다. 공격 몬스터표시 형식을 수비 표시로 하고, 대상 몬스터의 공격 표시로 한다.
한글판 명칭
'''오버레이 배니시'''
일어판 명칭
'''オーバーレイ・バニッシュ'''
영어판 명칭
'''Overlay Banish'''
카운터 함정
자신의 턴의 배틀페이즈 중에만 발동할 수가 있다.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엑시즈 몬스터 1체의 엑시즈 소재를 사용하는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한다.
한글판 명칭
'''오버레이 버스터'''
일어판 명칭
'''オーバーレイ・バスター'''
영어판 명칭
'''Overlay Buster'''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배틀 페이즈 종료시까지 500 포인트 올린다. 그 몬스터가 상대 엑시즈 몬스터의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때, 그 엑시즈 소재의 수 × 5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한글판 명칭
'''자그마한 저항'''
일어판 명칭
'''ブレイブ・ハート'''
영어판 명칭
'''Small Resistance'''
일반 함정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공격력 1000 이하의 레벨 4 잇아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 선언을 한 상대 몬스터 1 장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한글판 명칭
'''브레이브 하트'''
일어판 명칭
'''小さな抵抗'''
영어판 명칭
'''Courageous Heart'''
일반 함정
이 턴, LP를 절반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 1장의 몬스터 효과의 발동과 효과를 무효로한다.
한글판 명칭
'''거래 소환'''
일어판 명칭
'''とりひき召喚'''
영어판 명칭
'''Transaction Summon'''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이 공격했을 때, 자신의 패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있다. 그 전투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신에게의 전투 데미지를 500 포인트 내린다. 그 후, 자신의 패에서 공격력 1000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는 발동 후 2번째 상대의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한글판 명칭
'''트랩 리본'''
일어판 명칭
'''罠蘇生'''
영어판 명칭
'''Trap Reborn'''
일반 함정
자신의 LP를 절반 지불하고, 상대의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 할 수있다. 그 함정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한다. 이 카드의 효과는 게임에서 제외하는 일반 함정 카드의 효과와 같게된다.
한글판 명칭
'''하프 가드'''
일어판 명칭
'''ハーフ・ガード'''
영어판 명칭
'''Half Guard'''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공격했을 때 발동할 수있다. 그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데미지 계산 후 표시 형식은 수비 표시가 된다.
한글판 명칭
'''호적수의 인연'''
일어판 명칭
''' 好敵手の絆'''
영어판 명칭
'''Rivals Unite'''
지속 함정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을 무효가 되었을 때, 그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한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하고 컨트롤을 얻는다. 장착 몬스터는 공격 할 수 없다. 장착 몬스터가 필드 위에서 벗어 났을 때,이 카드를 파괴한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은 원래 주인에게 돌아 간다.

3. 코믹스



3.1. OCG화 된 카드



3.1.1. 몬스터 카드



3.1.1.1. 가가가


3.1.1.2. 고고고


3.1.1.3. 주바바


3.1.1.4. 그 외


3.1.1.5. 엑시즈 몬스터


3.1.1.6. No.[9]



3.1.1.7. 비 No.


3.1.2. 마법 카드



3.1.3. 함정 카드



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1. 몬스터 카드


  • 갈까마귀
  • 카멜레레레온
  • 폿포포 나이트

3.2.2. 마법 카드



3.2.3. 함정 카드


  • 가가가 베리어
  • 가가가의 탈출극
  • 갈까마귀의 깃털
  • 라이벌 크래시
  • 리버스 월
  • 매직 리바운더
  • 블리키 벌룬
  • 부랴부랴! 검
  • 세컨드 리플렉터
  • 실드 오브 본즈
  • 엑시즈 리본+
  • 한 줄기 희망
  • 호프 1
  • 희망의 기억
  • 희망의 최종방위 라인

[1] 144화 시점에서 FNo.0 미래황 호프를 제외하고 전부 아스트랄에게 넘어갔다.[2] 랭크 52에서 유마가 돌려주지 않은 No.39 유토피아와 그 진화체인 SNo.39 유토피아 ONE,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가 아스트랄에게 넘어가고, 랭크 55에서 유토피아도 아스트랄에게 넘어간다.[3] 사실 유토피아가 범용 4축이라 가가가 아니어도 잘만 튀어나온다.[4] 예를들어 4축전개의 시작인 유토피아가 나락/격류장등의 소환반응형 카드들을 맞으면 답이 없다. 물론 환경의 변화로 소환반응영 견제카드가 예전만큼 많이 쓰이지 않아서 체인을 안타는 엑시즈 체인지는 어렵지 않으나 문제는 그렇게 뽑은 에이스급이 다른 방법으로 제거당할게 뻔해서 더 라이트닝만이 일회용 4축으로 쓸만한 수준이다.[5] 도도도와 고고고 중에 고민할 수 있는데, 덱 스페이스에 따라 정하는 것이 좋다. 자리가 많이 남는다면 걸출한 서포트 카드 도도도 드로우를 사용할 수 있는 도도도를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덱 스페이스가 많지 않다면 고고고 자이언트 3장만 넣어도 된다.[6] 근데 2화에서 아스트랄에게 유토피아를 받기 전까지는 엑스트라 덱이 '''단 한 장도 없어서''' 진짜 잡덱이었다.(...) 유토피아가 난생 처음으로 소환한 엑시즈 몬스터라고 하는데, 그렇다는 것은 아스트랄을 만나기 전에는 '''엑시즈 없는 엑시즈 특화 덱으로 계속 듀얼해왔다는 소리다.''' 극이 진행된 이후에는 No. 외에 평범한 엑시즈도 덱에 넣게 되었다.[7] 144화 시점에서 FNo.0 미래황 호프를 제외하고 전부 아스트랄에게 넘어갔다.[8] 유토피아를 깨부수기 위한 카드여서 그런지 유토피아의 효과명(문 배리어)에 정반대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9] 랭크 52에서 유마가 돌려주지 않은 No.39 유토피아와 그 진화체인 SNo.39 유토피아 ONE,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가 아스트랄에게 넘어가고, 랭크 55에서 유토피아도 아스트랄에게 넘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