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경제

 



'''대한민국의 경제 정보'''
'''인구'''
5,185만 명
2019년 11월, 세계 28위
'''명목 GDP'''
'''1조''' 5,868억 달러
2020년 10월, 세계 10위[1]
'''PPP GDP'''
'''2조''' 2,935억 달러
2020년 10월, 세계 14위[2]
''' 1인당 명목 GDP '''
30,644달러
2020년 10월, 세계 26위
''' 1인당 PPP GDP '''
44,292달러
2020년 10월, 세계 24위
''' GDP 성장률 '''
'''-1.0%'''
2020년
''' 무역규모 '''
'''1조''' 1,405억 달러
2018년
''' GDP 대비 국가채무 '''
38.1%
2019년
''' 가계부채 '''
₩1534.6조
2018년 12월
''' 고용률 '''
66.8%
2019년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
'''Aa2'''
2020년 기준, 3등위
''' 피치 국가 신용등급 '''
'''AA-'''
2020년 기준, 4등위
''' S&P 국가 신용등급 '''
'''AA'''
2020년 기준, 3등위
1. 소개
2. GDP
3. 경제성장률
4. 전망
4.1. 긍정적 전망
4.1.1. 거시 경제의 안정성
4.1.2. 기술 개발
4.1.3. 선진국 중 높은 경제성장률
5.1. 수출구조
5.2.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비율[3]
6. 대한민국의 경상수지[4]
7. 국민의 생활 수준
7.1. 1인당 주거면적(서울 기준)
7.2. 1인당 주거면적(전국 기준)
8. 기타
8.1. 남북 통일 시의 한국 경제
9. 관련 링크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1. 소개


대한민국 1인당 GDP 성장 현황(1960년 ~ 2017년)

'''①대한민국의 경제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

'''②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 119조, 1987년 10월 29일 전부 개정

대한민국 경제는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가파른 고도 성장을 경험하였다. 1954년부터 1997년까지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과정은 한강의 기적 문서에서 다루고 있으니 참고.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로 GDP 1만 달러에서 고꾸라졌던 경제는 1999년 곧바로 1인당 GDP 1만 달러를 회복하였고 이후 7년간 평균적으로 5%대의 안정적이고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다시금 성장 기조를 이어나간다.[5] 조선 산업에서 세계 최고[6]가 되었고 자동차와 반도체[7]이 성장하며 2006년 GDP '''1조''' 달러를 돌파하였고 1인당 GDP는 '''2만''' 달러를 넘어섰다. 또한 코스피 지수는 2007년 7월에 처음으로 2000 포인트를 돌파했다. 이는 1980년 1월 4일 100 포인트에 비해 스무 배 커진 것이며, 처음으로 1000포인트를 돌파한 1989년 3월 31일 이후 18년 만의 일이다.[8] 주력 수출산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꾸준히 성장하면서 신흥공업국 중에선 가장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였었다. 과거와 같이 급격한 성장이 아니라 속도가 완만하게 둔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는 중이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라는 복병을 만나 환율에 의해 잠시 내려 앉았고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후 건설업을 위시한 내수경제가 침체되어 대외적으로 급격한 신장세를 누리는 수출과 대비되어 빈부격차를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을 제기하는 측도 있다. 하지만 2010년 다시 GDP 1조 달러와 1인당 GDP 2만 달러를 재돌파함으로써 2만 달러는 공고화되었다. 2011년 12월 5일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9번째로 무역(수출, 수입 합계)량 1조 달러를 넘는 기록을 세운다.[9]
그러나 그 이후 2010년 세계금융위기 극복 이후 2~3%대의 성장세로 가라앉아 사실상 기적이라 할 수 있는 수준의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 선진국에 접어든 만큼 성장을 기술 혁신에 기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대개 2.3 ~2.5% 정도로 추산되는데, 한국의 저성장 기조가 정착되었으므로 머지않아 연 1% 중반 정도의 일반적인 선진국 성장률에 고착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어쨌건 00년대 이후 한두 해를 제외하고는 꾸준히 2퍼센트 대 이상 플러스 성장을 유지한결과 국내총생산에 있어서는 2014년 스페인, 2015년 러시아호주를 추월하여 2020년 10월 IMF 기준으로 10위를 기록중이다. 1인당 GDP에 있어서는 2009년 포르투갈, 2012년 그리스, 2015년 스페인, 2016년 쿠웨이트를 추월하여 2020년 10월 IMF 기준으로 26위를 기록중이다.[10] 2021년 1월 기준 IMF의 2020년 10월 발표되었던 GDP 성장률 전망치[11]를 크게 상회하는 -1.0%를 기록하여 이탈리아1인당 GDP를 추월한 것으로 예상된다.

2. GDP



'''국가 명목 GDP'''
2020년
1조 5,868억 달러 (10위)
'''국가 PPP GDP'''
2020년
2조 2,935억 달러 (14위)
'''1인당 명목 GDP'''
2020년
30,644달러 (26위)
'''1인당 PPP GDP'''
2020년
44,292달러 (24위)
1인당 GDP 주요국#
국가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추정)
2020년 (추정)
2021년 (추정)
2022년 (추정)
2023년 (추정)
2024년 (추정)
스페인
26,681
28,381
30,733
29,961
30,734
31,937
33,092
34,267
35,572
이탈리아
30,823
32,195
34,320
32,946
33,431
34,439
35,442
36,465
37,611
대한민국
29,296
31,557
33,320
31,431
31,246
32,565
34,107
35,754
37,576
영국
40,657
39,976
42,579
41,030
40,391
41,504
42,842
44,311
45,934
프랑스
38,348
40,108
42,953
41,760
42,643
44,132
45,657
47,204
48,913
뉴질랜드
38,278
41,572
41,264
40,634
42,084
43,901
45,801
47,614
49,547
일본
38,804
38,342
39,303
40,846
43,043
44,637
46,453
48,640
50,637
캐나다
42,439
45,217
46,290
46,212
47,931
50,066
52,269
54,608
57,071
독일
42,115
44,333
47,662
46,563
47,992
50,149
52,164
54,248
56,527
호주
51,737
55,692
56,352
53,825
52,952
54,587
56,467
58,449
60,369
미국
57,901
59,999
62,868
65,111
67,426
69,643
71,760
73,953
76,252
2020년의 IMF 자료를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전체 GDP 순위는 10위이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오세아니아 대륙 전체의 GDP 합계보다 더 크다. 9위 캐나다와는 매우 근소한 차이가 나고 몇 년만에 다시 한국 경제에 밀린 11위 러시아와는 약 1000억 달러 정도 앞서 있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 32,046달러를 기록하여 한국의 1인당 GDP가 3만 달러를 처음으로 넘기게 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한국의 GDP가 세계 9위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있다. 기사 OECD의 2020년 국가 GDP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이 캐나다와 근소한 차이로 세계 9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만약 9위라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높은 순위를 달성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장기적으로 9위를 이어갈 가능성은 높지 않다. 애초에 예상치이기도 하고, 한국이 9위를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이유는 코로나 19로 인해 한국을 앞서는 국가들이 경제에 말 그대로 폭탄을 맞은 반면, 한국은 비교적 코로나 시국에 선방하여 적은 경제적 피해로 끝나서이기에, 말하자면 한국이 성장을 하여 앞선 것이 아니고 앞선 국가들이 경제적 피해가 커서 내려온 것이기에 판데믹이 끝나고 해당 국가들의 회복률에 따라 금방 다시 11위로 밀려날 가능성을 무시할 수가 없다. 그러나 10위권 안에 드는 것이 절대로 만만한 일은 아닐 뿐더러, 경제 회복이 말처럼 쉽지도 않고 말그대로 한국이 그냥 얻은 결과물이 아니라 결국 타 주요국들에 비해 코로나에서 선방해서 피해가 적었고, 그만큼 경제력을 온존한 상태에서 한국 역시 코로나가 풀리면 기회인건 마찬가지라, 우려하는 것보다는 그 순위를 꽤 오래 이어갈 수도 있다. 다만 한국의 경제 구조가 수출 중심 형태이므로 다른 국가들이 코로나-19로 입은 피해 때문에 경제력이 낮아지고 국제 교류에 배타적으로 변했으니, 장기적으로 볼 땐 수출이 줄어들며 오히려 더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도 있다. 코로나라는 변수가 워낙 크다 보니 일단은 향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위키백과에도 업데이트 되었으니 참조. #

3. 경제성장률



2017년 기준 세계 97위를 기록하였다.

4. 전망



4.1. 긍정적 전망



4.1.1. 거시 경제의 안정성


한국은 2014년부터 대외채권이 대외채무보다 많은 순대외자산국이 됐고 그 이후로 계속 순자산이 늘어 2019년 3월 말에는 4742억달러의 순 대외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 2019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예상치는 39.5%다. # 이 정도면 대기업 기준으로도 거의 무차입경영에 가까운 우량기업에 들어간다. 2018년 OECD 평균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비율이 110%였고 정부 부채비율 40%를 넘어가느냐 마느냐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는 나라는 전세계에서 정말 희귀한 예에 속한다. 그만큼 한국경제의 기초는 일반적인 통념 이상으로 매우 탄탄하다는 소리다.

4.1.2. 기술 개발


그리고 한국은 강력한 고부가가치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나라이다. 유엔 산업개발기구(UNIDO)에서 여러 정량적 지표를 기준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산출하는데 여기서 한국의 중/고기술 산업 비중은 전세계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참고 OECD에서 정의하는 하이테크 산업 기준으로도 한국은 가장 많은 수출액/무역흑자를 보고 있다. 제조업은 '''세계 5위'''라고 할 수 있다.#
[image]
[image]
또한, OECD2014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한국의 GDP대비 연구개발(R&D) 지출비율은 4.36%(명목액수 64조원)로 조사가 된 72개국 중 '''세계 1위'''에 올랐다. (명목 액수는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은 5위인데 독일과 거의 차이가 없어 사실상 공동 4위이다.) 정부와 민간 에서 과감한 R&D투자가 진행되면서 지속적인 R&D 투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런 급속한 R&D 성장은 기존 산업에 대한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2016년에도 한국의 R&D 투자는 세계 1위였다.
단편적인 순위로 확인해보면, 국가경쟁력 조사에서 한국의 혁신 역량은 세계 6위를 기록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혁신 지수 조사에서는 한국이 1위를 기록했다.# 해당 조사에서는 유럽 연합 회원국 평균과 비교해 한국의 공공분야 연구개발(R&D) 지출(129.8%), 민간분야 R&D 지출(241.1%), 공공-민간 공동 논문(156.4%), 공공 연구개발 투자의 민간 공동투자(131.8%), 특허협력조약 기반 특허 출원(161.7%), 상표 출원(233.3%), 디자인 출원(229.9%) 등이 높게 나타났다. 코넬대학과 인시아드(INSEAD),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등이 협력하여 만들어낸 ‘2018 글로벌 혁신지수’에서도 한국은 12위를 차지하여 스위스, 네덜란드, 스웨덴, 미국 등보다는 낮지만 일본, 프랑스, 중국, 캐나다 등보다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혁신 관련 산출 지표 중 질적인 부분은 지속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는 많고 양적으로도 큰 규모지만 효율성은 기대만큼 나오지는 않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세간의 인식과 달리 한국은 '''제4차 산업 혁명 선도 국가 중 하나이다.''' 4차 산업 혁명 기술 혁신 클러스터 세계 1위 도시가 다름아닌 서울이며 이는 전세계 모든 특허의 10% 수준이다. 국가별 혁신성 순위에 있어서도 핀란드 다음이 한국일 정도이며 삼성도 4차 산업 혁명 관련 특허를 세계 1위 수준으로 출원했으며 LG도 세계 3위 수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도 연구 기관 순위 면에서 세계 1위 KAIST는 세계 7위를 달성했으니 한국의 4차 산업 혁명 관련 기술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4.1.3. 선진국 중 높은 경제성장률


한국 경제가 국민소득 수준에 비해 일찍 성장이 둔화되었다는 평가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여전히 한국은 주요 선진국 중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며 선전하고 있을 뿐더러 '''2018년 즈음에 이미 1인당 GDP 3만 달러를 돌파했다.'''
국가 경제 규모가 비슷하면서 한국보다 인구증가율이 높고 자원의 혜택을 입는 캐나다, 호주마저도 경제성장률이 한국보다도 계속 낮다. 선진국 경제성장률. 여기를 참고하면 2021년 예상성장률까지 나오는데 주요 국가 중에 한국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이 예상되는 나라는 없다. 선진국이 되면 3% 성장률도 높은 것이다. 어디까지나 한국 경제가 2013년 이전까지 4%대 수준의 준수한 성장을 기록했기에 상대적으로 최근의 성장세가 느려보이는 것이다. 대다수 국내 언론들이 2~3%대를 저성장이라고 부르는데 그럼 1%대 이하에 머무르는 진짜 저성장[12] 선진국들은 뭐라고 불러야할지 난감해진다. 2005~2014년 동안 한국은 이 기간에 연평균 3.7%의 GDP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OECD 전체 평균치의 약 2.5배이며 OECD 34개국 중 6위이며 2005년부터 한번도 마이너스 성장을 하지 않은 4개국중 하나이다.참고기사 참고로, 분기별로 봤을 때는 2008년 4사분기를 제외하고 2003년 하반기부터 2015년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하지 않았다. 대한민국/경제성장률참고.
한국 경제가 브렉시트 이후의 영국의 롤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영국 가디언 지에 게재되었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롤모델로 주로 언급된 국가가 캐나다, 노르웨이, 스위스 등 구미권 국가들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특이한 주장이다. NAFTA나 EU 같은 무역 블록에서 속해있지도 않고 천연자원도 많지 않다는 점에서 EU 탈퇴 후 영국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내용이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후유증에서도 회복했다. 2017년 3분기 GDP가 전분기 대비 1.5% 성장했고 # 설비투자 증가율은 6년만에 최대였다. # 세계 경제 호황에 힘입어 어느 정도 동반성장한 것일 뿐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는 비판도 있으나 3분기 한국의 성장률이 단순히 선진국 최고 수준이 아니라 OECD 2위, G20 3위라는 것을 감안하면 세계 경제 성장세에 편승했다는 표현은 다소 지나친 비판이 맞다. 순수하게 동반 성장이라면 순위상으로는 별 차이가 없어야 하는데 없기는커녕 웬만한 중진국조차 능가하는 성장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견이 조금 있을 수는 있어도 확실히 한국 경제가 상당한 기세로 회복하고 있는 것은 맞다. 그리고 다음 -0.2%로 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수치로 기록되었는데, 숫자만 보면 경제가 퇴보했다고 불안해 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전 분기의 깜짝 성장으로 인한 기저 효과와 매우 긴 추석연휴이여서 그렇고[13] 종합적으로 보면 연간 3.1% 성장으로 목표치를 달성하고 설비투자는 2010년 다음으로 가장 높은 14.6%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0년은 2008.9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일어난 세계적인 경제불황의 영향과 그기저효과로 22%에 달하는 설비투자 성장률을 보였던 것이다. 2018년 1월 전산업지수가 전월 대비 1.2% 성장한 것으로 집계되어 경기개선에 청신호를 주었다.##
2017년부터 반도체 호황이 시작되면서 대한민국 경제에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2018년에도 이어졌다. 반도체 수출세 때문에 환율이 내려갈 지경이다.[14] 반도체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15]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중요 부품이기에 장기적으로 시장 규모가 커졌으면 커졌지 작아질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을 만한 획기적인 부품이 탄생하지 않는 이상에 말이다. 여하튼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의 최소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독보적인 강국인데,[16] 더욱 많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신산업들이 발전되기 시작하면서 전체 반도체 시장 규모에서 메모리의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게다가 메모리 반도체는 과거에는 시스템 반도체에 비하면 이문이 안남는 분야 취급을 받았는데, 현 시점에서는 의외로 부가가치가 매우 높다. 2017년 기준 반도체 업계 최강지위를 획득한 삼성전자의 파운더리를 제외한 반도체 부문 매출액은 시스템 반도체가 주력인 2위의 인텔과 채 10%가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영업이익은 2배 이상 차이났을 정도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는 경쟁력이 약하며 점유율 또한 매우 낮다. 기술력 부족으로 시장 진입이 쉽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2019년 기준 시스템 반도체의 비중이 전체 64%에 달해 반도체 영역에서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4차 산업 혁명에선 저장용 메모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연산용 메모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고작 2018년 기준 4.1%에 불과한 한국의 메모리 중심 반도체 주도 경제는 큰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다. 다만 대만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던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단시간에 삼성전자가 2위까지 올라온 모습을 보였다. 파운드리 산업의 주가가 크게 올라 삼성 역시 이쪽 분야를 신성장 사업으로 천명한 상황.[17]
2018년 들어서 이전까지 전망이 좋지 않았던 조선업의 부활이 예고되어 한국 경제에 긍정적 전망을 가져다주고 있다. 그동안 6년간 적자를 보고 7조 원의 공적자금을 먹어가며 망해가던 대우조선해양도 고부가가치의 LNG 운반선을 대규모로 수주하였다.
2020년에는 OECD 회원국 중 경제 성장률로 1위를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코로나 19 사태에 대해 그나마 선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백신 투여가 빨리 되면 더 경제성장률이 올라갈 것이다.

4.2. 부정적 전망




5. 산업 구조




5.1. 수출구조


※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수출구조.'''[18]

[image]

한국수출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 2018년 기준 수출규모는 '''7,110억 달러'''로 '''세계 8위'''에 해당된다.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반도체가 가장 높은데 2018년 기준으로 16.51%로 주요 품목 2위인 석유 정제가 6.03%, 다음을 잇는 자동차가 5.21%인 것을 생각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2009년 ~ 2013년: 한국의 및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들의 석유 생산량
석유 생산순위
국가
석유 생산량[19]
65위
'''대한민국'''
48,180
70위
스페인
27,230
85위
핀란드
8,718
93위
스웨덴
4,833
99위
스위스
3,488
107위
아일랜드
431
110위
북한
118
기본적으로 에너지 자원의 경우 타국의 자원을 채굴하여 일정 부분을 넘겨받거나 정제하여 수출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수출품 중 석유화학 제품이나 석유를 정제한 정제유 제품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산유국인 건 아니다.[20] 대한민국도 그러한 종류의 에너지 생산, 수출국가고 수출구조에서 나오듯이 매우 큰 규모인데 울산에는 세계에서 손가락에 꼽히는 정제능력을 가진 정유공장들이 밀집해있다. 특히 한국은 중국에 상당량의 석유관련 제품들을 수출하고 있다. [21][22] 조선, 제철에 가려져서 그렇지 포항제철처럼 구 대한석유공사를 통해서 정부 차원에서 집중 육성한 주요 산업이다.
대한민국/무역 문서 참조.

5.2.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비율[23]


연도
1차산업(농림어업)
2차산업(광업, 공업, 건설업, 전기, 가스, 수도업 등)
2차산업 중 (제조업)의 비율
3차산업(서비스업)
1987년
12%
37.6%
29.2%
50.4%
1988년
12%
37.9%
30.1%
50%
1989년
11%
38.5%
28.8%
51.4%
1990년
10%
38%
27.3%
51.9%
1991년
7.7%
40.6%
26.7%
51.6%
1992년
7.5%
39.1%
25.9%
53.3%
1993년
6.7%
39.4%
26.0%
53.9%
1994년
6.5%
39.1%
26.3%
54.4%
1995년
6.2%
39.3%
26.7%
54.6%
1996년
5.8%
38.5%
25.8%
55.8%
1997년
5.3%
38.2%
25.4%
56.5%
1998년
4.9%
37.9%
26.4%
57.3%
1999년
5.0%
37.7%
27.2%
57.3%
2000년
4.6%
38.0%
'''28.3%'''
57.3%
2001년
4.4%
36.6%
26.6%
59.0%
2002년
4.0%
36.3%
26.2%
'''59.8%'''
2003년
3.7%
36.6%
25.8%
59.6%
2004년
3.7%
'''38.2%'''
27.7%
58.1%
2005년
3.3%
37.7%
27.5%
59.0%
2006년
3.2%
37.2%
27.1%
59.7%
2007년
2.9%
37.1%
27.3%
60.0%
2008년
2.7%
36.4%
27.9%
'''60.8%'''
2009년
2.8%
36.7%
27.8%
60.4%
2010년
2.6%
38.8%
30.3%
58.5%
2011년
2.7%
'''39.3%'''
'''31.3%'''
58.0%
2012년
2.6%
39.2%
31.1%
58.2%
2013년
2.3%
38.4%
31%
59.5%
2014년
2.6%
38.06%
31%
59.3%
2015년
2.5%
38.33%
30%
59.6%
2016년
2.5%
38.56%
29%
59.7%

6. 대한민국의 경상수지[24]


연도
대한민국의 경상수지
주요 4개국과 비교
일본 경상수지
독일 경상수지
중국 경상수지
미국 경상수지
1980년
-5.312
-10.750
-14.254
0.286
2.316
1981년
-3.927
4.761
-4.638
2.275
5.031
1982년
-2.134
6.847
4.550
5.599
'''-5.533'''
1983년
-1.428
20.804
4.080
4.144
'''-38.695'''
1984년
-0.386
35.009
9.284
1.944
'''-94.342'''
1985년
-1.513
51.150
16.960
'''-11.508'''
-118.159
1986년
4.492
86.118
38.499
-7.233
'''-147.176'''
1987년
10.779
84.547
43.819
0.300
-160.661
1988년
14.838
79.269
50.847
-3.802
-121.159
1989년
'''5.267'''
63.236
55.441
-4.317
-99.485
1990년
'''-1.390'''
'''43.943'''
45.307
11.997
-78.965
1991년
'''-7.511'''
68.376
'''-24.253'''
13.272
2.895
1992년
-2.240
112.333
-22.742
'''6.402'''
'''-51.614'''
1993년
2.973
131.982
-19.033
'''-11.903'''
'''-84.816'''
1994년
-3.508
130.552
'''-30.520'''
7.657
'''-121.612'''
1995년
'''-8.012'''
111.428
-29.587
'''1.619'''
-113.571
1996년
'''-22.953'''
'''65.732'''
-14.017
7.242
-124.773
1997년
-8.183
96.521
-10.010
36.962
-140.720
1998년
42.644
119.171
-16.330
31.472
'''-215.066'''
1999년
'''24.479'''
114.682
'''-27.561'''
'''15.669'''
'''-300.774'''
2000년
'''14.803'''
119.626
-32.765
20.519
'''-416.320'''
2001년
'''8.428'''
87.772
-0.011
17.405
-396.691
2002년
7.542
112.715
40.298
35.422
'''-457.797'''
2003년
15.584
136.239
45.827
43.052
'''-518.663'''
2004년
32.312
172.111
127.275
68.941
'''-629.329'''
2005년
'''18.607'''
166.147
140.261
132.378
'''-739.795'''
2006년
14.083
170.941
181.741
231.843
-798.478
2007년
21.770
212.103
247.967
353.183
-713.390
2008년
'''3.198'''
'''159.856'''
226.105
420.569
-681.343
2009년
32.790
146.569
196.000
'''243.257'''
-381.639
2010년
29.394
204.031
211.413
237.810
'''-449.472'''
2011년
26.068
'''119.304'''
248.264
'''136.097'''
-457.726
2012년
48.082
'''60.446'''
255.277
193.139
-440.417
2013년
70.706
'''34.344'''
273.540
188.700
-379.278
2014년 예상치
57.276
57.156
284.646
224.336
-391.093
2015년 예상치
48.433
65.025
289.901
265.453
-472.010
2016년 예상치
50.053
65.500
285.967
308.113
-532.746
2017년 예상치
55.480
73.453
280.267
346.157
-566.523
2018년 예상치
56.735
75.459
276.471
390.060
-609.665
2019년 예상치
56.714
84.774
280.026
444.301
-627.065
  • 단위: 10억 달러(약 1조 원), 2014년 4월 8일IMF 자료 기준, 소수점 3자리까지 계산, 급격한 추락은 붉은 글씨로 표시함, 중국은 2013년의 자료도 추정치임.
'''2012년 기준 경상수지 흑자/적자 10대 국가 비교 그래프'''
[image]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이 각각 경상수지 흑자국 1, 3위에 들었고, 무역중개지인 홍콩과 싱가포르가 각각 2, 4위에 들었다.[25] 인도, 베트남, 브라질, 터키 등 인구가 많은 신흥국에 대한 흑자폭도 큰 편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최대 소비시장 미국에 대하여는 주로 완제품을 수출하고 있고(자동차, 전자제품), 점점 떠오르는 거대 소비시장이자 세계최대 생산기지인 중국에 대해서는 일부 완제품을 제외하면 주로 중간재를 수출하는데 한국국적의 회사가 수입하는 게 많지만 중국 회사도 늘었다. 중국이 우리나라에서 주로 수입하는 중간재는 철강, 정유, 전자/기계부품 등이다.[26] 우리나라가 일본에서 핵심부품을 사와 완제품을 만들어 수출했듯이 중국도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부품을 사와 완제품을 만들어 수출하고 있는 구조. 물론 중국도 이 문제점을 모르지 않으므로 기술력 발전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이 시기는 유가가 높을 때라 중동국가를 상대로는 적자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고, 철광석 등 원자재를 주로 수출하는 호주와의 적자 폭도 큰 편이라 가공무역이라는 우리나라의 산업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만년 경상수지 적자국인 부품대국 일본과의 적자 또한 높은 수준이다. 유럽에 대한 수출은 줄고 화공품과 석유제품, 명품 화장품과 의류 등 사치품, 고급자동차에 대한 수입은 늘어 적자국에 고루 포진되어 있다.
[image]
(연도별(2010-2013년) 지역별 경상수지)

7. 국민의 생활 수준



7.1. 1인당 주거면적(서울 기준)


[image]
서울특별시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Average Housing Space per Person)과 세계 주요 선진국의 수도들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의 비교. 도쿄, 런던, 파리와 비교해도 큰 차이는 없다.
자료 출처는 서울연구데이터베이스이며 한국의 해당 자료는 2014년(국토교통부,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 2014년 기준)이다. 나머지 자료들의 출처는 아래와 같다.

【서울】 국토교통부, 2014,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 2014년 기준

【도쿄】 http://www.e-stat.go.jp/SG1/estat/List.do?bid=000001056226&cycode=0, 市区町村 第13表(e-stat 홈페이지) ; 2013년 기준

【베이징】 北京市统计局, 2013, 8-1인민생활기본정황(1978~2010年), 北京统计年鉴 2013 ; 2010년 기준

【싱가포르】 http://www.teoalida.com/singapore/hdbstatistics(Teoalida 홈페이지, HDB 자료 재인용)

【런던】 London Data Store 내부자료 ; 2014년 기준

【파리】 http://www.directmatin.fr/france/2015-04-28/paris-un-habitant-vit-en-moyenne-dans-31-m2-703598(Direct Matin 홈페이지, INSEE 자료 재인용) ; 2015년 기준


7.2. 1인당 주거면적(전국 기준)


반면 전국 기준으로는 아직도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협소한 축에 속한다. 미국과는 2배 차이가 넘고, 영국, 일본보다도 작다.
2017년
대한민국
31.2
영국
40.9
일본
39.4
미국
65.0
2016년
2017년
전국 평균
33.2
전국 평균
31.2
수도권
30.7
수도권
28.3
광역시
33.2
광역시
32.0

37.1

35.4

1인당 주거면적은 적정한 크기의 주택에서 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주거의 질 지표이다. 이 지표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산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주거면적은 가구당으로도 계산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최근 가구원수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주거의 질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1인당 주거면적이 더 많이 사용된다.

한국의 1인당 주거면적은 2006년 26.2㎡에서 꾸준히 증가해오다가 2012년 이후로 30㎡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31.2㎡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 광역시, 수도권의 순으로 크다. 그러나 수도권과 광역시의 1인당 주거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하면서 지역 간 격차>는 줄어들었다. 1인당 주거면적은 소득계층별로도 차이가 난다. 저소득층이 중소득층이나 고소득층에 비해 가구당 주거면적은 더 작지만 1인당 주거면적은 더 크다. 이는 저소득층의 평균 가구원수가 중소득층과 고소득층보다 적기 때문이다.

주거면적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선진국들에 비해 한국은 1인당 주거면적이 낮은 편이다. 한국(31.2㎡, 2017년 기준)의 1인당 주거면적은 미국(65.0㎡, 2017년 기준)의 절반에 불과하며 일본(39.4㎡, 2013년 기준)이나 영국(40.9㎡, 2016년 기준)보다도 작다.


8. 기타


  • TICKs: 2016년 1월에 브릭스를 대신할 새로운 이머징마켓을 일컫는 용어로 등장한 틱스(타이완, 인도, 중국, 대한민국)에 포함되었다.# 이들은 모두 첨단 과학기술이 중시되는 산업에서 강세를 보이는 국가들로서 앞으로는 브릭스나 산유국들처럼 원자재가 아닌 첨단 과학기술을 보유한 국가들[27]이 국제경제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는 주장이다.
  • MIKTA: 틱스 말고도 MIKTA라는 용어도 있다.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오스트레일리아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8.1. 남북 통일 시의 한국 경제


남북한의 관계 변화에 따라 한국 경제의 거시적 흐름이 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통일까지 갈 것도 없이 본격적으로 경협만 이루어져도 본 문서의 내용이 상당히 바뀔 가능성이 높다. '''물론 긍정적이라고만 생각할 수는 없고, 부정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 자세한 것은 남북통일/경제 문제 문서나 남북통일/이점 문서를 참고.

9. 관련 링크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1] 한국보다 상위에 위치한 나라는 순서대로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2] 한국보다 상위에 위치한 나라는 순서대로 중국, 미국, 인도, 일본, 독일, 러시아, 인도네시아, 브라질, 영국, 프랑스, 멕시코, 이탈리아, 터키.#[3] 한국은행, The World Bank, 대만통계청, 통계청 자료. 여기로 가서 국내통계> 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계정.국가자산(국부) >국민계정>부속표 > '10.4.1.3 경제활동별 GDP 및 GNI(원계열, 명목, 분기 및 연가)의 순서를 밟으면 세부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을 볼 수 있다.[4] [5] 태국이 1997년에 IMF 관리체제에 들어간 뒤 2003년 되어서야 겨우 1997년의 수준을 회복한 것에 비하면 빠르다고 할 수 있다.[6] 단, 양적인 면에서 가장 커졌다. 기사를 참고하자. [7] 2017년을 기준으로 특히 반도체의 도움이 크다.[8] 이 시기에 대한 비판으로는 잃어버린 10년/한국 문서 참조.[9] 세계경제가 불황기였던 것으로는 세계최초.[10] 구매력 기준 GDP(PPP)에 있어서는 24위를 기록중이다.[11] -1.9%[12] 이것도 좀 애매하기는 하다. 애초에 선진국 대부분이 2% 미만의 성장세를 기록하기 때문. 당장 최근의 느려진 한국 성장세를 그나마 따라잡는 호주캐나다는 자원이나 관광 등의 혜택을 크게 보는 국가들이고, 주요국 중 가장 건재하다고 평가받는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1%후반~2%전반 수준이다. 그나마 저성장 국가라고 부를 수 있는게 이탈리아나 일본 정도.[13] 또한,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마이너스였어도,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3.0%로 낮지는 않았다.[14] 반도체를 수출한 대금을 원화로 환전해야 하기 때문이다.[15]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16] DRAM 점유율은 한국이 약 75%에 달하며, 플래시 메모리도 한국이 약 50%를 잡고 있다.[17] 파운드리는 쉽게 말하면 일종의 반도체 주문제작업인데, 과거에도 벌이가 나쁘진 않았지만 일종의 하청 취급이었으나... 애플 등을 비롯해 팹리스 주문이 대세가 되고 엄청난 양의 물량을 발주하고 모두 맡기다 보니 이 부분 1인자인 대만의 TSMC는 슈퍼을이 된 지경. 참고로 TSMC는 그것만 하는데 시가총액도 한화 기준 200조원에 달할 정도로 컸다. 다만 2위래도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격차는 꽤 크다. TSMC가 혼자 50%를 먹고 있고 최근 급성장한 삼성전자도 15~20% 남짓. 외부에서 보았을때는 좋아보일 수 있으나 현실은 시궁창. 삼성전자의 반도체는 메모리지 메모리=시스템반도체 가 아니다. 애초에 설계능력은 설계전문업체보다 딸리고 공정능력은 메모리가 쓰던 감가상각 지난 설비들을 가져와서 활용한것이 모태이기 때문. 설계 능력, 공정 능력 전부 경쟁사 대비 약세이나 이를 만회할 무기가 바로 무선 사업부에 엑시노스 공급하는 것. 그러나 스냅드래곤에 밀려서 점차 엑시노스도 망테크를 타고 있다. 10년전부터 시스템반도체를 밀어준다고는 하고 있으나 아직 구축된 환경자체가 TSMC같이 순수파운드리가 안되기 때문에 당분간 고생길은 확정. 투자에 소극적인 경영진 특성 고려시 TSMC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말장난인 현실은 계속 될 것[18] # [19] # [20] 사실 한국도 산유국이긴 하다. 단 그 양이 워낙 적어서 수출할 물량이 안 나오고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원유가 아니라는 게 문제지만. 산유국 참고.[21] # [22] # 참조. [23] 한국은행, The World Bank, 대만통계청, 통계청 자료. 여기로 가서 국내통계> 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계정.국가자산(국부) >국민계정>부속표 > '10.4.1.3 경제활동별 GDP 및 GNI(원계열, 명목, 분기 및 연가)의 순서를 밟으면 세부 산업별 부가가치 비중을 볼 수 있다.[24] [25] 단 미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국은 각각 생산기지 수입, 무역중개지라는 점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이익은 훨씬 적다. 당장 문재인 정부조차 중국보다 미국을 우선하고, 미국의 관세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쿼터제를 받아들이는 등 미국의 요구를 순순히 들어준 건 미국 시장이 닫힐 경우 진짜로 치명적이기 때문이다.[26] 중국에서도 많은 철강과 석유제품을 생산하고 있지만 그만큼 수요가 많다.[27] 실제로 석유와 원자재 가격의 폭락으로 브라질러시아가 경제에 치명타를 입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