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후

 



나타나는건 비록 황제(帝)의 힘이지만,

키우는건 바로 곤원(坤元)[1]

이다.

문모(文母)[2]

의 덕처럼 따뜻하고

강함에 날씨의 따뜻함까지 더했네.

버들나무는 따뜻함을 만나 놀래 눈을 뜨고,

새는 따뜻한 바람을 빌려 노래를 부른다.

동조(東朝)[3]

의 수(壽)를 경하하기 위해

만년천자(萬年天子)[4]

가 잔을 올린다.

發生雖帝力,

亭育本坤元.

文母仁風煦

剛添氣候喧.

柳迎韶景驚擡眼,

鳥倚和風快弄吭.

欲識東朝眉壽慶

萬年天子手稱觴.

- 고려시대 태후전에 붙힌 춘첩자[5]

. 동국이상국전집 17권에서 발췌.

1. 개요
2. 동양
2.1. 한국
2.1.1. 고려 이전
2.1.2. 조선 ~ 대한제국
2.2. 중국
2.3. 오스만 제국
3. 서양
4. 나무위키에 항목이 개설된 태후들
4.1. 실존인물
4.1.1. 한국
4.1.2. 중국
4.1.3. 일본
4.1.4. 오스만 제국
4.1.5. 서양
4.2. 가상인물


1. 개요


皇太后
Empress Dowager
왕정 국가에서 전대 군주의 정처(正妻)가 갖는 지위. 정식 명칭이 황태후(皇太后)이고 태후(太后)는 약칭이다. 동아시아에서 태후급의 지위는 국가의 정체(政體)마다 명칭이 달랐는데, 천자국은 황태후(皇太后), 제후국은 왕대비(王大妃), 외왕내제 체제의 국가는 왕태후(王太后)라고 불렀다.
원래 현재 황제의 어머니가 되는 여성에게 주는 지위였기 때문에, 꼭 황후였던 여성만 황태후가 될 수 있는 건 아니었다.[6]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황후였던 사람만 황태후가 될 수 있는 걸로 체계화되어, 황제가 황후가 아니었던 자신의 어머니를 황태후로 만들려면 어머니를 추존 황후로 만들거나, 황후에 준하는 지위를 주게 되었다.
명대•청대로 넘어오면서 서자출신의 황태자가 등극하는 일들이 빈번하게 일어나자 호칭을 부여하며 서열을 매겼는데, 명대의 경우 선황제의 황후를 성후황태후(聖后皇太后)로 현황제의 친모를 국모황태후(國母皇太后)로 일컬었으며 청대에는 전자의 경우 모후황태후(母后皇太后)로 후자는 성모황태후(聖母皇太后)로 구분하였다.
만약 현 군주가 죽고 다음 군주가 즉위했을 때도 황태후(왕대비)가 살아 있다면 태황태후(대왕대비)로 격상 되었다.
황태후와 비슷한 단어로 태상황후가 있다. 중국, 베트남 등에서 쓰였는데 황태후는 태상황이 붕어했을 때, 태상황후는 태상황이 살아있을 때 쓰였다.[7]
가끔씩 전대 군주의 정처가 태후로 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전대 군주가 새 군주와 형제관계, 즉 동일 세대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 전대 군주의 정처는 여전히 황후로 남는다. 단, 새 군주의 황후가 아닌 전대 군주의 황후로.

2. 동양



2.1. 한국



중화사상 및 유교의 예법 상으론 황태후는 천자국, 즉 중국 왕조만 쓸 수 있다. 천자국이 아닌 제후국은 왕대비 등 한단계 격하된 지위만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외왕내제 성격을 가지고 있던 한국 왕조는 왕태후(王太后)를 사용하면서도 종종 황태후(皇太后)를 사용했다. 즉, 왕태후(王太后)와 황태후(皇太后)가 혼용되었다.
한국의 고조선, 부여, 발해는 태후 지위를 썻는지 기록이 없다. 고구려, 신라는 위에서 말한 왕태후나 태후 지위를 쓴 부분적인 사용례만 있다. 백제는 왕대비 지위 사용례만 단편적으로 존재한다.
현 대한민국 시점에서 이에 대해 자세한 기록이 있는 국가는 고려, 조선 두 왕조이며 각각의 명칭으로 항목을 나누어 설명한다.

2.1.1. 고려 이전


한국사 최초의 태후는 고구려 왕조 부여태후다. 이후엔 동천왕이 자신의 양어머니 왕후 우씨를 왕태후로 올린다.
신라 또한 태후 사용례가 꽤 등장하는데, 기록상 신라 최초로 등장하는 태후는 제24대 진흥왕이 7살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자 '왕태후'가 섭정했다는 기록이다. 단 섭정을 한 태후가 법흥왕의 왕비이자 외할머니인 '보도부인'인지, 모친인 '지소부인'인지 불확실하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법흥왕의 딸이자 입종 갈문왕의 비, 즉 지소부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지소부인을 가리키는 걸로 본다.
신라 후반기 신문왕왕후이자 효소왕, 성덕왕의 모후인 신목태후(神睦太后) 이래로, 8세의 나이로 즉위한 혜공왕의 모후 만월부인[8]의 섭정 기록 등 신라는 이후 현재 군주가 자신의 어머니를 왕태후, 혹 황태후로 추존하는 사례가 자주 등장한다.
제도가 그나마 온전히 전해지는 고려 왕조는 중국과 비슷하게 현 군주가 자신의 모후, 혹 전대 군주의 왕후에게 태후 지위를 올렸다.[9] 그러나 고려는 유교적인 장자계승보단 기존 한국 왕조들이 그랬던 형제계승을 선호했고 친족간의 결혼으로 계보가 꼬여 모든 전 군주의 왕후가 태후로 올려지지는 않았다.
고려는 왕비가 죽어 시호가 왕후가 되었어도 아들이 왕이 되면 왕태후로 다시 시호가 올라가는 경우가 많았다.[10][11] 적은 사례로 자신의 왕비에게 왕태후 시호를 주기도 했다.[12] 원간섭기 이전에 왕태후 시호를 받은 경우로 신명순성왕태후, 신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원성태후, 원혜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등이 있다.
사실 이건 예법 상 맞지 않는 일이다. 원래 태후는 생전 존호로, 중국 왕조나 예법을 철저히 지킨 조선 왕조는 생전 황후(왕비)가 태후(대비)가 됐든 태황태후(대왕대비)가 됐든 시호는 무조건 황후(왕후)로 고정했다.[13] 고려 시대에 시호로 왕후를 받았는데 태후로 올려진 것도 당연히 예법에 맞지 않는다. 그래서 유학자 김부식이 이를 비판한 적 있으나, 올라간 태후 시호가 간혹 삭제되는 일은 있어도 태후 시호를 아예 없애지는 않았다.
살아있는 왕후를 태후로 올릴 땐 군주가 금부(金簿)와 옥책(玉冊)을 올리고 절일을 정했다. 각 도에선 하례하는 표문을 바쳤다. 대표적으로 숙종의 왕후이자 예종의 모후인 명의태후(明懿太后)는 아들 예종이 왕위에 오르자 황태후(皇太后)[14]로 올려지고 책문을 받았다. 또한 '천화전(天和殿) 숭명부(崇明府)'를 관저로 받고 절일이 '지원절(至元節)'로 정해졌다.
고려 말 원 간섭기부터 왕대비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충렬왕과 충선왕 때에는 기존의 천자국식 태후, 왕후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지 못하고 태후와 대비가 섞여서 쓰였다.[15] 이후 대비만 쓰다가 공민왕 때 반원 자주 정책으로 인해 다시 태후가 섞여서 쓰인다.
원간섭기 이후 태후를 존호나 시호로 받은 여성들은 다음과 같다.
  • 제국대장공주 : 왕태후를 시호로 받았으나 원나라에서 공주로 시호를 올린 것 때문에 삭제되었다.
  • 명덕태후 : 공민왕 때 왕대비, 이어서 왕태후가 되었으며 시호도 태후이다.
  • 노국대장공주 : 왕태후를 시호로 받았으나 원나라에서 공주로 시호를 올린 것 때문에 삭제되었다.

2.1.2. 조선 ~ 대한제국


조선 왕조는 초기에 왕태후를 사용했다. 삼국시대와 고려 시대엔 고인이어도 왕의 어머니에게 시호로 왕태후가 붙곤 했는데 신의왕후원경왕후에게도 이런 일이 있었다. 신의왕후는 태종 8년인 1408년에 승인순성신의왕태후(承仁順聖神懿王太后)로 격상하였다. 원경왕후는 훙서 후 창덕소열원경왕태후(彰德昭烈元敬王太后)의 시호를 받았다.[16]
이때를 마지막으로 갑오개혁 이전까지 시호에 왕후로 후의 칭호를 추존하는 것 이외에는 왕비에 대한 외왕내제의 형식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살아있을 동안에는 왕비, 중전, 대비, 왕대비, 대왕대비로 불렸다.
갑오개혁 이후에는 효정성황후가 명헌태후(明憲太后)로 불린 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명헌태후는 살아있는 동안 황태후로 있었으니 조선사에서 유일하게 직접적으로 왕대비가 아닌 황태후로 불린 인물이 되겠다.[17] 대한제국이 존속했다면 순종 사후에 태후가 되었을 순정효황후일제강점기대한제국 황실이 이왕가로 격하됨에 따라 순종 사후 이왕비에서 이왕대비가 되어 '창덕궁 대비 전하'로 불렸다.

2.2. 중국


유교라고는 했지만 부모에게 효를 다하는 것은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라, 태후는 일찍부터 존재했다. 최초의 태후는 진 소양왕의 모친으로 섭정을 했던 선태후. 최초의 황태후는 진시황의 모후 조희이며, 그 뒤를 이은 건 임조칭제를 행한 고황후 여씨. 마지막 황태후는 청나라 광서제의 황후였던 효정경황후(융유황후)이다.
에서는 적서 구분을 엄격히 하지않고 유목민 특성이 남아있어서 장자보다는 능력 위주로 뽑아 이전 왕조보다 태후가 두 명씩일 경우가 많았다. 선제의 정궁(선황 생존 시에 황후)을 모후황태후라 불렀고 황제의 생모(선황의 후궁)는 성모황태후라고 불렀다. 당연히 법적 정당성과 명령의 권위는 정궁이었던 모후황태후가 더 우월하고 지위도 높았다.[18] 청나라 말기의 서태후도 사실은 성모황태후였고 모후황태후는 함풍제의 정궁이었던 동태후였다. 실제로 동태후가 죽기 전까지 서태후는 동태후에게 예를 다해야 했다. 물론 동태후는 평상시 정치에 관심이 없고, 서태후만큼 예리하지 못했기 때문에 모든 일을 서태후한테 떠맡겼다고 전해진다.

2.3.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의 경우 유목사회의 풍습 및 외척 경계 목적으로 황제가 정식 황후나 황태자를 임명하지 않고 하렘의 여러 후궁들에게 아들들을 얻은 후 황제가 죽으면 아들들이 서로 싸워 이긴 아들이 다음 황제가 되고 패한 아들들은 사형당하거나 평생 감금당하는 제도가 있었다. 따라서 황제의 모후인 태후(Valide Sultan, 발리데 술탄)는 궁정 내에서 황제 다음가는, 때로 황제가 어리거나 유약할 경우 황제보다도 더 큰 권력을 갖게 되었다.

3. 서양


서양에서는 죽은 남편으로부터 재산과 지위를 상속받은 과부를 Dowager라고 불렀고, 황후도 마찬가지로 황제가 죽으면 Empress에 Dowager를 붙어서 Empress Dowager라고 불렀다.

4. 나무위키에 항목이 개설된 태후들



4.1. 실존인물


살아서 태후가 된 경우만 넣는다. 태황태후가 된 경우는 제외.

4.1.1. 한국



4.1.2. 중국



4.1.3. 일본



4.1.4. 오스만 제국



4.1.5. 서양



4.2. 가상인물


[1] 곤원은 태후를 비유하는 별칭이다.[2] 문모는 중국 주나라 문왕의 왕비이다.[3] 역시 태후를 비유하는 별칭.[4] 고려국왕이 만년을 산다는 뜻으로 임금을 찬양하는 것이다.[5] 입춘을 맞이해 축하하는 뜻으로 전각 기둥에 붙히는 문장을 의미한다.[6] 예를 들어 중국의 전한의 고황후 박씨는 후궁이었지만 황제의 친모-친조모라서 황태후-태황태후가 되었다(그녀가 황후의 지위를 얻은 건 후한 광무제 때다). 한국에선 고구려의 부여태후와 신라의 지소부인은 남편이 왕으로 추존되지 않았음에도 왕의 친모라서 왕태후가 되었다.[7] 한국어 위키백과에 황제의 증조모를 가리킨다는 태상황태후 항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다른 언어판의 태상황후로 연결된다. 해괴한 항목으로, 태상황태후라는 작위는 어느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없으므로 주의.[8] 경수태후(景垂太后)라고도 한다.[9] 고려사 후비 열전의 서문에도 이렇게 설명했다.[10] 현종의 어머니 헌정왕후는 사후 경종의 왕후로서 왕후 시호를 받았다. 이후 아들 현종이 왕위에 오른 뒤 왕태후, 이어 현화사비 기록으로 대왕태후까지 시호가 올라간다.[11] 고종(고려) 때는 황태후를 시호로 받은 왕후가 태황태후로 또 올라간 경우도 있다.[12] 대표적으로 공민왕이 자신의 아내인 노국대장공주에게 왕태후 시호를 주었다.[13] 이는 황제(왕)도 똑같다. 예를 들면 이성계는 왕 → 상왕 → 태상왕까지 다 해봤지만 시호는 대왕(후 황제)으로 고정됐다.[14] 동국통감 기록.[15] 충렬왕이 어머니를 순경태후로 추존하거나 충선왕이 어머니 제국대장공주에게 태후 시호를 올렸던 것.[16] 숙종 9년인 1683년에 태후라는 작위가 제후국인 조선에는 맞지 않다고 하여 둘 다 시호에 있는 왕태후에서 태(太)자를 뺐다.[17] 그녀가 왕대비였을 당시, 대비는 왕대비의 줄임말이 아니라 왕대비보다 낮은 지위였다. 지위 체계가 바뀐 이유는 헌종 당시에 대비들이 많았기 때문이었는데, 갑오개혁으로 왕대비가 왕태후로 격상되었을 당시 살아 있는 대비는 효정왕후 한 명뿐이었다. 그래서 저리 구별할 필요가 없어서인지 대한제국 때 황태후로 격상되었음에도 그녀는 갑오개혁 이후로 사망할 때까지 명헌태후라고 불렸다.[18] 고증이 뛰어난 드라마 후궁견환전에서는 황제의 생모가 지위는 낮아도 권력이 있다고 하였다. 즉 혈연상 황제에게 법적으로는 모후황태후가 모후지만 성모황태후가 생모이므로 어느 정도 권력이 있다는 것. 하지만 여전히 성모황태후는 후궁 출신이기 때문에 정궁 출신인 모후황태후한테 절을 하고 예의를 지켜야 했다.[19] 측천무후는 태황태후 대신 황태후 다음에 황제랑 태상황제로 살았다. [20] 외전에서 유드고가 황제의 자리에 오른 뒤 태후가 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