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E/역대 PPV
1. 1980년대
2. 1990년대
2.1. 1990년
2.2. 1991년
2.3. 1992년
2.4. 1993년
2.5. 1994년
2.6. 1995년
2.7. 1996년
2.8. 1997년
2.9. 1998년
2.10. 1999년
3. 2000년대
3.1. 2000년
3.2. 2001년
3.3. 2002년
3.4. 2003년
3.5. 2004년
3.6. 2005년
3.7. 2006년
3.8. 2007년
3.9. 2008년
3.10. 2009년
4. 2010년대
4.1. 2010년
4.2. 2011년
4.3. 2012년
4.4. 2013년
4.5. 2014년
4.6. 2015년
4.7. 2016년
4.8. 2017년
4.9. 2018년
4.10. 2019년
5. 2020년대
1. 1980년대
1.1. 1985년
1.2. 1986년
1.3. 1987년
1.4. 1988년
1.5. 1989년
2. 1990년대
2.1. 1990년
2.2. 1991년
2.3. 1992년
2.4. 1993년
2.5. 1994년
2.6. 1995년
2.7. 1996년
2.8. 1997년
2.9. 1998년
2.10. 1999년
3. 2000년대
3.1. 2000년
3.2. 2001년
3.3. 2002년
3.4. 2003년
3.5. 2004년
3.6. 2005년
3.7. 2006년
3.8. 2007년
WWE/역대 PPV/2007년
3.9. 2008년
WWE/역대 PPV/2008년
3.10. 2009년
WWE/역대 PPV/2009년
4. 2010년대
4.1. 2010년
WWE/역대 PPV/2010년
4.2. 2011년
WWE/역대 PPV/2011년
4.3. 2012년
WWE/역대 PPV/2012년
4.4. 2013년
WWE/역대 PPV/2013년
4.5. 2014년
WWE/역대 PPV/2014년
4.6. 2015년
WWE/역대 PPV/2015년
4.7. 2016년
WWE/역대 PPV/2016년
4.8. 2017년
WWE/역대 PPV/2017년
4.9. 2018년
WWE/역대 PPV/2018년
4.10. 2019년
WWE/역대 PPV/2019년
5. 2020년대
5.1. 2020년
WWE/역대 PPV/2020년
5.2. 2021년
WWE/역대 PPV/2021년
[1] 무하마드 알리와 팻 패터슨이 특별 심판을 맡았다. 이외 레슬매니아 메인 이벤트 중 유일한 태그 팀 경기.[2] 토너먼트 형식으로 열린 PPV로 토너먼트 결승이 메인이벤트로 열렸다.[3] 공석이 된 챔피언을 정하는 토너먼트의 결승이다[4] 특별 심판 제시 벤투라[5] 이 때는 로얄럼블에 레슬매니아 챔피언십이 걸려있지 않았다[6] WWF 챔피언[7] 인터컨티넨탈 챔피언[8] 최초의 위너 테이크 올(Winner Takes All)[9] 이 경기는 앞선 제거 경기의 승자들만으로 치러진 결승전이었다.[10] 코로넬 무스타파는 과거 아이언 쉬크라는 기믹으로 등장했었다[11] 특별심판 : 시드 저스티스[12] 2015년까지 유일하게 30인 매치에서 WWE 챔피언십이 걸린 케이스였으나 2016년 두번째로 30인 매치에서 WWE 챔피언십이 개최.[B] A B C D E F G H I J K DQ승[13] 원래 메인 이벤트는 브렛 하트 vs 요코주나였지만 이 경기는 요코주나의 매니저인 미스터 후지의 반칙을 틈타 요코주나가 승리했으나 이후 어째선지 헐크 호건 vs 요코주나의 경기가 펼쳐져서 헐크 호건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14] 카운트아웃 승[15] 로얄럼블 역사상 유일한 공동 우승[16] 특별심판 : 로디 파이퍼[17] 킹 오브 더 링 결승이 아니다. 킹 오브 더 링 우승자는 오웬 하트[18] 진짜 언더테이커의 승리. 가짜역을 맡은 레슬러는 브라이언 리[19] 특별심판 : 척 노리스[20] 특별심판 : 팻 패터슨[21] 이 뒤에도 3경기가 더 다크매치로 열렸다. 다크 메인이벤트는 '''브리티쉬 불독vs오웬하트'''로 시간초과로 무승부처리[22] 다크 메인이벤트는 '''디 언더테이커vs카마'''의 캐스킷 매치로 언더테이커의 승리[23] WWF 챔피언[24] 인터컨티넨탈 챔피언[25] WWF 태그팀 챔피언[26] WWF 태그팀 챔피언[27] 커버 당한 사람의 챔피언십이 커버한 상대에게로 넘어가는 Winners takes all 방식. 물론 태그 팀 챔피언십은 둘 다 넘어간다.[28] 다크 메인이벤트에선 언더테이커가 킹 마벨을 싱글매치에서 승리[29] 다크 메인이벤트로 8인 태그매치가 있었다[30] 다크 메인이벤트는 언더테이커와 골더스트(c)의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으로 언더테이커의 카운트아웃 승[31] 다크 메인이벤트로 언더테이커가 맨카인드를 상대로 승리[32] 미스터 퍼펙트가 특별 장외 인포서로 출연[33] 다크 메인이벤트에선 사이코 시드가 베이더를 싱글매치에서 승리[34] 다크 메인이벤트는 숀 마이클스(c)가 골더스트를 WWF 챔피언십에서 승리[35] 다크 메인이벤트로 숀 마이클스가 맨카인드에게 승리[36] 다크 메인이벤트로 리전 오브 둠이 태그 팀 챔피언 오웬 하트와 더 브리티쉬 불독을 상대로 DQ로 승리[37] 특별심판: 숀 마이클스[38] 영국과 캐나다에만 방송됨[39] 2003년에 동명의 RAW 브랜드의 PPV가 개최되었다.[40] 이 경기가 바로 그 유명한 몬트리올 스크류잡 사건!!!!!!!!!![41] 숀 마이클스는 캐스킷 매치 도중 등 부상을 입어 1차 은퇴 후 2002년에야 복귀하였다.[42] 마이크 타이슨이 특별 장외 인포서로 출연[A] A B C D E F G H I J 영국에만 방송됨[43] 특별 심판으로 빈스 맥맨,장외 인포서로 언더테이커가 출연[44] 케인과 언더테이커가 서로를 핀하면서 타이틀이 공석이 된다[45] 특별심판 : 스티브 오스틴[46] 토너먼트로 치러진 WWF 챔피언십 결정전 결승, 이 서바이버 시리즈는 제거매치가 없는 서바이버 시리즈 이기도 하다.[47] 특별심판 : 제럴드 브리스코[E] A B 특별 심판: 셰인 맥맨[48] 특별 심판 : 빈스 맥맨,셰인 맥맨[49] 오웬 하트가 사망한 문제의 PPV[50] 특별심판 : 제시 벤투라[51] 스티브 오스틴이 외부 인포서로 등장[52] 캑터스 잭은 패배로 은퇴한다[D] A B 특별 심판: 숀 마이클스[53] 승리하는 팀이 모든 타이틀을 가져가는 위너 테이크 올(Winners takes all)[54] WWF 챔피언[55] 월드 챔피언[56] 스티브 오스틴은 커트 앵글을 상대로 WWF 챔피언 벨트를 방어하고, 크리스 제리코는 더 락과 상대하여 새로운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결승전은 Winner takes all이다.[57] 특별심판 : 실반 그라니에[58] 카운트 아웃,DQ 로도 타이틀이 이동한다[59] 특별심판 : 믹 폴리[60] 서브미션 매치,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 스틸 케이지 매치 중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케이지 매치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61] 바비드 와이어 스틸 케이지 매치로 탈출할 수 없게 만드나, JBL이 초크슬램을 맞고 링바닥을 뚫고 들어가게 되자 기어서 탈출했다.[62] 에디 게레로의 마지막 PPV[63] 도전자 후보 숀 마이클스, 빅 쇼, 케인 중 가장 많은 투표를 받은 마이클스가 챔피언쉽에 합류 [64] 존 시나의 '''WWE 챔피언십''', 킹 부커의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빅 쇼의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중 어느 것을 걸고 셋이서 경기를 할지 인터넷 투표를 한 결과 킹 부커의 월드 헤비웨이트 타이틀을 걸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