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군.
북쪽으로는 정읍시, 서쪽으로는 고창군과 함평군, 영광군에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동쪽으로는 담양군과 접한다. 호남고속도로나 호남선철도 이용할 경우 전라북도나 그 북쪽 지역에서 광주광역시로 갈 때 반드시 거치게 되는 일종의 전라남도의 입구 역할을 한다. 광주권에 속하는 광주의 위성도시이다.
[image]
장성군청. 주소는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영천로 200(舊 영천리 1061-2).
2. 역사
백제 때 고시이현(古尸伊縣), 구사진혜현(臼斯珍兮縣), 소비혜현(所非兮縣)이었다.
통일신라 때 경덕왕의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고시이현은 갑성군(岬城郡), 구사진혜현은 진원현(珍原縣), 소비혜현은 삼계현(森溪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 갑성군은 장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장성군과 삼계현은 영광군의 속현이 되고 진원현은 나주목에 예속되었다.
1172년 장성군과 진원현이 영광과 나주에서 분리되고 감무가 파견되었다.
1256년 몽고 제 6차 침공이 있을 때 입암산성에서 몽고군을 격퇴하였다.
조선 초인 1413년 장성과 진원에 현감이 파견되었다. 당시 장성현 중심지는 북일면 오산리였다.
1590년 필암서원이 건립되었다.
1600년 장성현이 진원현을 흡수하여 읍치를 영천리에 두었다.
1665년 장성현이 도호부로 승격되어 읍치가 성산리로 이전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군이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을 대파하였다.
1895년 23부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주부 장성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라남도 장성군이 되었다.
1906년 창평군 갑향면과 영광군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갑향면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영광군 삼북면, 내동면, 현내면을 합해 삼계면으로, 영광군 삼남면, 외서면을 합해 삼서면으로, 영광군 외동면과 함평군 대화면을 합해 동화면으로 장성군에 편입되어 장성면,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삼면, 북상면, 북하면의 13개면으로 개편되었다.
1921년 장성군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30년 북삼면을 장성면에 합면하여 12개면으로 바뀌었다.
1943년 10월 1일 장성면이 장성읍으로 승격되고 읍소재지가 성산리에서 다시 영천리로 이전되면서 1읍, 11개면으로 바뀌었다.
1975년 10월 1일 장성호 건설로 북상면이 폐지되어 장성읍, 북일면, 북하면에 분할 편입되어 1읍, 10개면으로 바뀌었다. 1983년 남면 삼태리 일부가 광주시로 편입되었다.
3. 교통
철도는 장성역, 백양사역이 있으며, 이 중 장성역은 2020년 기준 KTX 정차역이다.[2][3] 이외에도 무궁화호와 ITX-새마을도 정차한다. 장성터미널에서 광주광역시를 제외한 타지역으로 가는 버스편이 심하게 부실한 탓에 철도가 강세를 보인다.
[image]
장성군의 대표적인 농어촌버스 중 하나인 100번.
장성공용버스터미널 ~ 광주 롯데백화점(금남로)를 연결해주는 100번 시리즈 버스의 배차간격은 평일/주말 15분 내외로 상당히 많은 편이다. 광주까지 40분 내외로 갈 수 있으나, 시계외요금이 존재한다. 2015년 기준 성인이 1700원이다.
하지만, 군내 버스라면? '''일단 맘 편히 먹고 포기하자.''' 군내 버스의 대부분의 종점은 장성시외버스터미널과 장성역 두 개의 종점에서 각기 다른 방면으로 운행하지만, 배차간격은 일 6회가 많은 거다(...) 포기하자.군내버스 시간표 일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가 진원면 등 일부 지역까지 운행한다. 눈물나는 배차간격이 문제일 뿐.
논외로 2010년 교통카드 단말기 사업에 의해 장착이 되었으며, 이후 광주광역시에서 쓰는 단말기와 같은 것으로 교체가 되었다. 참고로 시내버스는 광주광역시와 달리 승하차 태그 개념이 아니라, 터미널에서 탈 경우 그냥 타고 내릴 때 앞문으로 내리며 요금을 내고, 터미널이 아닌 곳에서 터미널 방면으로 탈 경우 타면서 요금을 내고 뒷문으로 내리는 식이다. 당연히 환승은 없다.(..) 단, 광주 100번 시리즈 노선은 탈 때 요금을 찍은 후에 내릴 때 하차 태그를 찍어 환승이 가능하다. 그 영향인지, 장비가 바뀌면서 나름 안내방송도 되고, 비록 군에서 홍보하고 있지 않지만 [4]
시외버스의 경우에는 장성읍에 장성공용버스터미널, 상무대, 사창리(삼계면) 정류장, 장성댐에서 시외버스가 운행중이다. 상무대에서는 유스퀘어가 일 11회 (광신고속), 상무대에서 상당히 가까이에 있는 함평군 문장터미널에서 일 4회의 시외버스가 운행중이다. 사창리(삼계면) 정류장은 인근 상무대 근무 군인들의 수요로 인해 광주로 가는 버스가 1시간 단위로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여기에 겹처 시외도 같이 운행된다. 장성댐은 관광수요로 인해서 운행되고 있는 계통이다.
장성공용버스터미널에서는 일 4회의 센트럴시티(금호고속)이나 광주광역시 유스퀘어 가는 경우를 제외하곤 거의 없다고 보는편이 맞다. 그냥 답없다. 여기서는 당장 영광, 함평은 인접 군인데도 바로 가는 시외버스가 없다.
도로는 호남고속도로가 장성군 남북을 관통하며, 고창담양고속도로가 동서를 가로지르는 나름대로 복 받은 지역. 국도는 로드 넘버원과 24번 국도가 있어 차로 이동할 때는 그리 불편하지 않다.
4. 산업
쌀농사 위주의 농업 지역이며, 특별한 자원이 없어 공업은 그리 발전하지 않았다. 장성읍과 인접해 있는 고려시멘트나 유진기업 등 시멘트 공장이 그나마 큰 공장이며, 대부분 농업 지역이다.
그러나 잎새주로 유명한 보해양조 주조공장과 동화 농공단지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광주지역 고등학생들이 수능 끝나면 현장학습 가는 곳 중에 하나다. 택배물류의 중심지 전남쪽으로 오는 택배는 거진 장성을 거쳐서 온다.
삼서면의 지역 특산물로는 천연잔디로서 전국 생산량의 57%를 재배·공급하고 있다.
5. 금융
6. 관광
내장산 국립공원이 전라북도와 같이 걸쳐져 있고, 주변에 백양사와 농업용 댐이지만 관광지로 개발된 장성호가 있어 관광도 이뤄지고 있다. 내장산과 백양사는 단풍 시즌에는 광주를 비롯한 전북, 전남 지역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든다. 다만 백양사 지역은 같은 내장산인 정읍의 내장사 지구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편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필암서원이 있고, 조림 생태숲이 있어 산림욕에 좋은 축령산이 있다.
홍길동이 장성에서 태어났다고 했던걸 이용했는지, 홍길동생가와 홍길동테마파크가 있다.
사적으로 지정된 입암산성, 여름에도 시원한 남창계곡, 영화 태백산맥, 내 마음의 풍금, MBC 드라마 왕초 등의 촬영지인 금곡영화촌 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편 군 차원에서 ''''옐로우시티'''' 컬러 마케팅을 진행중이다. 옐로우시티 건축디자인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주민들도 동참중이라고 한다.# 이는 황룡강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며 황색은 금색을 연상케 해 부(富)를 부르는 색으로 알려진 지라 추진했다고 군에서 설명했다. 이후 '황룡강 노란꽃잔치'에 매년 100만 명이라는 관광객이 찾는 등 효과도 거뒀다.# 한편 이에 반발하거나 압력이 있었단 주장도 있다.##
7. 교육
초등학교 13개, 중학교 8개, 고등학교 4개, 대학교와 특수학교[5] 는 없다.
8. 정치
점점 1개 선거구에 해당하는 군이 늘어나고 있다(...) 상무대의 영향이 있지만 민주당계 정당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군인의 표심이 보수정당의 득표율을 높이기는 하지만 대선 득표율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삼계면이라는 지역 안에서조차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사항이 있다면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최초로 부부가 나란히 자치단체장을 역임한 곳이라는 것이다. 유두석-이청 군수 부부가 바로 그들이다.[13]
8.1. 관련 문서
9. 국방
장교들의 꿈과 같은 장성이라는 동네 이름 덕분인지 광주광역시 서구 일대에 있던 상무대가 지금은 장성군 삼서면 일대로 이전하였다. 과거 상무대가 있던 자리가 지금의 상무지구. 상무대 소속의 육군기계화학교가 있어 전차의 무한궤도의 흔적을 국도에서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상무대에 있는 주요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으며, 상무대 자체에서 발생하는 경제활동도 상당한 편이다.
10. 하위 행정구역
11. 출신 인물
- 고영신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前 언론인
- 고은아 : 배우
- 김인직 : 유튜버, BJ[14]
- 기동민 : 제20, 21대 국회의원[15]
- 김경록
- 김경수 (조선 중기 문신, 의병)
- 김경진 : 정치인
- 김동일(1941)
- 김병조 : 코미디언
- 김녹영 : 정치인
- 김병수 : 정치인
- 김상순(1900)
- 김상현 : 정치인, 6선 국회의원
- 김양수(1950)
- 김영수(소령) : 장성군 삼계면 출신. 前 해군사관학교 출신 직업군인, 현 국방권익연구소 연구소장
- 김용우 : 4성장군. 제 47대 육군참모총장. 장성이 배출한 장성
- 김익중 (한말 의병장)
- 김인후 : 조선 인종의 스승이었고 을사사화에 반대하여 귀향했으며 신라~조선에서 유교에 기여한 18인을 기리는 문묘에 배향됨.
- 김재구 : 한국기원 前 바둑기사 8단
- 김재식 : 정치인
- 김정식 : 가톨릭 CCM 뮤지션
- 김황식 : 대법관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 김효석 : 중앙대 교수와 3선 의원을 지냈다.
- 김흥식
- 미르(본명: 방철용)
- 박수량 : 청백리로서 형조판서를 지냈다. 사후 청렴의 상징으로 백비가 세워진 것으로 유명하다.
- 박태영 (정치인, 前 전남도지사)
- 백군기 : 군인(대장), 제3야전군사령관 출신으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장성이 배출한 장성. 現 경기도 용인시장.
- 변이중 (조선 중기 문신)
- 변진갑
- 변희봉 (영화배우, 탤런트)
- 손창완 : 現 한국공항공사 사장
- 송광운
- 송흠 : 청백리와 효자로 유명했으며 병조판서와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 '삼마태수'라는 별명이 있었는데, 원래 당시 사또들은 7~8필의 말을 타고 다니는데 이 사람은 세 필의 말만 끌고 다니면서 공직을 수행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다. 젊은 시절 고향 선배이자 과거급제 선배인 <표해록>의 저자 최부에게 꾸지람을 듣고 반성하여 청렴한 공직생활을 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 신극정
- 유두석 : 現 장성군수
- 이건기 (前 서울특별시 행정2부시장)
- 이병완
- 이종남(1919)
- 임우진
- 정진권
- 조영규(조선 중기 무신)
- 조은석
- 최경환 : 정치인, 前 국회의원.[16] 김대중 前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
[1] 2021년 1월 주민등록인구[2]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이 개통하기 전 까지는 호남선의 KTX 정차역으로 일부 KTX 편성이 정차하였으나,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더 이상 KTX가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나 2019년 10월 말부터 다시 정차하게 되었다.[3] 그러나 이는 호남고속선이 아닌, 고속선 개통 이전처럼 서대전역 경유로 운행하기 때문에 굉장히 느린 편이다. 빠르게 가고 싶다면 장성역이나 백양사역에서 무궁화호, ITX-새마을을 이용해 정읍역으로 가거나, 장성터미널에서 정읍행 시외버스를 이용, 정읍역에서 열차를 이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아예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것이 낫다.[4] 현재는 폐지됨[괄호] A B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수완]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하남공단] A B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상무]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광주]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5] 전국에서 장애아가 꽤 많은 수준에 속한다. 이 때문에 이 지역 학교들은 특수반이 5,6반까지 있다.[6] 상무대 본부가 위치한 곳으로서 다수의 육군 교육기관 및 배후 주거단지가 있는 동네[7] 거소·선상 2위는 민생당 김연관 후보(5표, 4.90%)이다.[8] 상무대 본부가 위치한 곳으로서 다수의 육군 교육기관 및 배후 주거단지가 있는 동네[9] 14.3.12 의원직 사퇴(전남도지사선거 출마)[10] 14.7.30 재보궐선거[11] 07.1.21 군수직 상실(선거법 위반)[12] 07.4.25 재보궐선거[13] 여담으로 경기도 연천군에서는 김규배 전 군수의 친동생인 김규선 현 군수가 형에 이어서 나란히 재선에 성공해 최초로 형제가 한 지역의 자치단체장을 역임하는 기록을 남겼다.[14] 전라도 광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내 광주가 고향이라 해도 이상 없다.[15] 지역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16] 당시 지역구는 광주광역시 북구 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