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리그/역대 한국인 선수 목록

 


1. 개요
2. 목록
2.1. J1리그
2.2. J2리그
2.3. J3리그


1. 개요


1993년 J리그 출범 이후부터 지금까지 J리그에서 활동한 한국인 선수들을 기록해 놓은 문서.
1993년 K리그 드래프트를 거부하고 노정윤산프레체 히로시마에 입단하면서 한국인 1호 J리거가 되었다. 이후 김도훈, 하석주, 최성용, 유상철, 홍명보, 황선홍, 최용수 등 90년대 국가대표팀의 주축 선수들이 J리그로 줄줄이 진출하면서 J리그에 한국인 선수 열풍이 불었고, 1999 시즌에는 황선홍이 리그 득점왕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 시기만 해도 K리그에서 최고 연봉이라고 해봐야 간신히 2억원을 넘는 정도였는데[1] J리그에서는 한국 대표급 선수에게 8~12억원 정도를 제시했다.
이후 2002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이 4강에 오르면서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유럽의 관심을 받게 되고, 더이상 J리그에서 전성기를 구가하는 국가대표급 한국인 선수를 영입하는 것은 어려워지면서 J리그 구단들은 한국인 유망주로 눈길을 돌린다.[2] 2009년에는 AFC에서 공식적으로 아시아 쿼터제를 인정하고 도입하면서 아시아 쿼터제로 주어진 +1의 외국인 선수 슬롯을 J리그의 거의 모든 구단이 대한민국 선수로 채우는 현상이 나타난다. 더이상 K리그 프로 구단에 비싼 이적료를 지불하지 않고 대학, 혹은 고등학교 선수 중 레이더에 들어온 선수들을 뽑아가는 현상에 대한축구협회에서는 K리그 선수수급에 비상을 느껴 2012년 하반기 프로 드래프트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해외 프로리그에 프로계약을 하고 입단하는 선수에 대해 계약 후 '''5년 동안''' 국내 복귀를 불허하는 이른바 '''5년룰'''을 만들어 선수유출을 막으려 할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에 김보경, 백성동, 박주호, 김진현, 한국영, 장현수, 조영철, 김진수 등 현재 국가대표의 주축이거나 혹은 과거 청소년대표의 에이스 소리를 들었던 선수들 다수가 J리그를 누볐다.
2015년부터 K리그에 드래프트가 사라지고, 2부리그인 K리그 2가 자리잡히면서 J리그로의 무분별한 진출은 많이 없어진다. 거기에 위 선수들 처럼 성공한 선수들보다 실패하고 축구 인생을 접은 선수들이 훨씬 많았기 때문에 위험부담도 컸고, J리그보다 어린 나이에 유럽에 나가 유소년팀부터 밟아가는 선수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이런저런 이유로 J리그에서 한국선수들은 과거보다 많이 보긴 힘들어졌다. 거기에 20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일본 불매운동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일본 정부의 허술한 대처로 인한 일본 생활의 불안정성 등 과거처럼 J리그가 매력적인 무대가 더 이상 아니게 되어 J리그에 있던 한국 선수들이 국내로 대거 돌아오는 현상이 근래 벌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골키퍼에 대한 수요는 그 어느때보다 높아 정성룡, 김승규, 권순태, 김진현 등 국가대표급 골키퍼들이 J리그에서 뛰고 있다.[3]
대한민국과 일본 간 역사적 배경 때문에 재일교포 선수들도 J리그에서 많이 뛰고 있다. 조총련계의 재일교포들은 북한 국적을 택하거나 조선적을 유지하지만 민단계 재일교포들은 대한민국 국적을 지니고 있다. J리그에서도 민단계 재일교포 선수들이 여럿 있는데 대표적인 선수는 박강조가 있다. J리그 통산 200경기 이상 뛰며 롱런한 미드필더였고 2000부터 2002년에는 K리그 성남 일화에서 활약하며 재일교포 첫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가 되었으니 꽤나 성공한 축구선수였다. 한편 조총련계 재일교포면서 대한민국 국적을 지니고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로 월드컵까지 나간 정대세도 J리그에서 오랜기간 활약한 공격수다. K리그 수원 삼성 이적 때 사상 초유의 대한민국-북한 이중국적을 FIFA로부터 인정받았기도 했고 현재도 국적은 대한민국 국적을 유지중이다. 이충성 같은 케이스도 드물지만 있는데 2006년까지 한국 국적을 유지하며 청소년 국가대표에도 뽑히던 공격수였으나 한국 내에서의 인종차별에 환멸을 느끼고 2007년 일본으로 귀화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 공격수로 2011년 아시안컵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J리그에선 FC 도쿄가시와 레이솔, 우라와 레즈 등에서 뛰었다.

2. 목록



2.1. J1리그


순번
이름
포지션
소속팀
성적
기간
1
노정윤
FW
산프레체 히로시마
세레소 오사카
아비스파 후쿠오카
138경기 36골
64경기 5골
13경기 2골
1993~1997
1999~2001
2002
2
조귀재
DF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빗셀 고베
65경기
5경기
1994~1995
1997
3
곽경근
FW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0경기
1995
4
고정운
MF
세레소 오사카
29경기 3골
1997~1998
5
홍명보
DF
벨마레 히라츠카
가시와 레이솔
42경기
72경기 7골
1997.7~1998
1999~2001
6
박경환
DF
벨마레 히라츠카
0경기
1998
7
김도훈
FW
빗셀 고베
58경기 27골
1998~1999
8
하석주
MF/DF
세레소 오사카
빗셀 고베
17경기 2골
65경기 11골
1998.1~1998.9
1998.9~2000
9
김대의
MF
제프 유나이티드
4경기
1998
10
박강조
MF
교토 퍼플 상가
빗셀 고베
1경기
208경기 20골
1998~1999
2003~2005, 2007~2012
11
김황정
FW
제프 유나이티드
9경기 1골
1998~1999
12
황선홍
FW
세레소 오사카
가시와 레이솔[임대후완전이적]
36경기 30골
34경기 12골
1998.8~1999
2000.5~2002.8
13
최대식
MF
오이타 트리니타
31경기 4골
1999
14
유상철
DF/MF/FW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시와 레이솔
80경기 30골
33경기 14골
1999~2000, 2003.6~2004
2001~2002.7
15
최성용
DF
빗셀 고베
51경기
1999~2000
16
김현석
FW
베르디 가와사키
25경기 16골
2000
17
윤정환
MF
세레소 오사카
55경기 7골
2000~2001
18
박건하
FW
가시와 레이솔[임대]
5경기 1골
2000.3~2000.6
19
신병호
FW
요코하마 F. 마리노스
0경기
2000.4~2000.12
20
김도근
MF
베르디 가와사키
세레소 오사카
14경기
13경기
2000.5~2000.12
2001.1~2001.7
21
박지성
MF
교토 퍼플 상가
38경기 8골
2000.6~2000.12, 2002
22
최용수
FW
제프 유나이티드
주빌로 이와타
73경기 54골
15경기 1골
2001~2003
2005
23
오장은
MF
FC 도쿄
13경기
2001.8~2004
24
안효연
FW
교토 퍼플 상가
7경기 1골
2002
25
정용대
MF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가와사키 프론탈레
요코하마 FC
콘사도레 삿포로
9경기
7경기
12경기
11경기
2002, 2003~2004,
2005
2007
2008.7~2008.12
26
김근철
MF
주빌로 이와타
0경기
2002
27
안정환
FW
시미즈 S펄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8경기 14골
34경기 16골
2002.9~2003
2004~2005.6
28
김성길
MF/FW
오이타 트리니타
0경기
2003
29

FW
오이타 트리니타
1경기
2003.7~2003.12
30
김은중
FW
베갈타 센다이
10경기 2골
2003.9~2003.12
31
이우진
DF
도쿄 베르디
주빌로 이와타
24경기 1골
32경기
2004~2005
2010~2011
-
이충성[4]
FW
FC 도쿄
가시와 레이솔
0경기
8경기
2004
2005
32
조재진
FW
시미즈 S펄스
감바 오사카
101경기 45골
35경기 10골
2004.7~2007
2009~2010
33
최태욱
MF
시미즈 S펄스
25경기 5골
2005
34
김진규
DF
주빌로 이와타
반포레 고후
47경기 4골
4경기 1골
2005~2006
2011.7~2011.12
35

FW
가시와 레이솔
5경기
2005.3~2005.8
36
김정우
MF
나고야 그램퍼스
52경기 7골
2006~2007
37
조우진
MF
산프레체 히로시마
0경기
2006~2007
38
조영철
FW
요코하마 FC
알비렉스 니가타
오미야 아르디자
9경기
79경기 18골
76경기 7골
2007
2009~2011
2012~2014
39
김동섭
FW
시미즈 S펄스
0경기
2007~2009
40
배승진
DF
요코하마 FC
0경기
2007
41
박종진
MF
제프 유나이티드
10경기
2007~2008.6
42
오범석
DF
요코하마 FC
10경기
2007.7~2007.12
43
김남일
MF
빗셀 고베
54경기 1골
2008~2009
44
김근환
DF/FW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몬테디오 야마가타
사간 도스
알비렉스 니가타
65경기 6골
4경기
31경기 1골
19경기 2골
2008.8~2009, 2011
2010
2012
2013
45
박주호
MF/DF
가시마 앤틀러스
주빌로 이와타
19경기
34경기 2골
2009
2010~2011.6
46
박동혁
DF
감바 오사카
가시와 레이솔
9경기 1골
31경기 2골
2009.1~2009.7
2009.7~2009.12, 2011
47
정동호
DF
요코하마 F. 마리노스
5경기
2009~2010
48
이정수
DF
교토 상가 FC
가시마 앤틀러스
32경기 5골
10경기 3골
2009
2010.1~2010.7
49
박원재
DF
오미야 아르디자
21경기 1골
2009
50
최정한
FW
오이타 트리니타
32경기 1골
2009, 2013
51
김병석
MF
몬테디오 야마가타
22경기 2골
2009~2010
52
이근호
FW
주빌로 이와타
감바 오사카
36경기 13골
52경기 19골
2009.4~2010.6
2010.7~2011
53
서용덕
MF
오미야 아르디자
FC 도쿄
5경기
0경기
2009.6~2010.7
2010.7~2010.12
54
박주성
DF
베갈타 센다이
79경기
2010~2012
55
김영기
GK
쇼난 벨마레
오이타 트리니타
0경기
0경기
2010
2013
56
김정야
DF
감바 오사카
사간 도스
베갈타 센다이
70경기 4골
8경기 0골
26경기 0골
2011~2012, 2014~2017
2013
2018~
56
김신영
FW
반포레 고후
3경기
2011.1~2011.7
57
이종민[5]
DF/MF
아비스파 후쿠오카
0경기
2011.1~2011.6
58
권한진
DF
가시와 레이솔
쇼난 벨마레
4경기 1골
4경기 0골
2011~2012
2013.1~2013.7
58
조병국
DF
베갈타 센다이
주빌로 이와타
28경기
44경기 7골
2011
2012~2013
59
배천석
FW
빗셀 고베
3경기
2011.7~2012.12
59
김민우
DF/MF
사간 도스
161경기 20골
2012~2016
60
여성해
DF
사간 도스
66경기 1골
2012.1~2014.5
58
김영근
MF
알비렉스 니가타
2경기
2012
59
김진수
DF
알비렉스 니가타
66경기 1골
2012.1~2014.6
60
이근호[1993]
FW
오미야 아르디자
0경기
2012
61
백성동
MF
주빌로 이와타
사간 도스
31경기 3골
36경기 2골
2012~2013
2015~2016.6
62
이기제
DF
시미즈 S펄스
57경기 1골
2012~2014
63
황석호
DF
산프레체 히로시마
가시마 앤틀러스
시미즈 S펄스
56경기 3골
36경기
58경기 1골
64
이대헌
MF
산프레체 히로시마
0경기
2012~2013
65
장현수
DF
FC 도쿄
88경기 8골
2012~2013, 2017.7~2019.7
66
이광선
DF
빗셀 고베
15경기 1골
2012
61
김재환
DF
콘사도레 삿포로
9경기
2012.7~2012.12
62
한상운
FW
주빌로 이와타
5경기
2012.7~2012.12
63
김현성
FW
시미즈 S펄스
12경기 3골
2012.8~2012.12

2.2. J2리그


순번
이름
포지션
소속팀
성적
기간
1
박영호
DF
사간 도스
20경기 1골
1999~2000
2
김황정
FW
반포레 고후
31경기 5골
2000~2001
3
최문식
MF
오이타 트리니타
9경기 2골
2001
4
박지성
MF
교토 퍼플 상가
38경기 3골
2001
5
안효연
FW
교토 퍼플 상가
요코하마 FC
39경기 8골
18경기 3골
2001
2009
6
신병호
FW
미토 홀리호크
28경기 11골
2001.6~2001.12
7
안선진
MF
미토 홀리호크
50경기
2001.6~2002
8
김성길
MF/FW
오이타 트리니타
0경기
2002
9
정용대
MF
세레소 오사카
요코하마 FC
콘사도레 삿포로
요코하마 FC
11경기
44경기 2골
10경기
39경기 1골
2002.7~2002.12
2006
2007.7~2007.12
2009
10
윤정환
MF
세레소 오사카
사간 도스
26경기 2골
67경기 3골
2002
2006~2007
11
노정윤
FW
아비스파 후쿠오카
33경기 5골
2003
12
김근철
MF
쇼난 벨마레
74경기 4골
2003~2004
13
최용수
FW
교토 퍼플 상가[임대]
33경기 20골
2004
14
김도균
MF
교토 퍼플 상가
17경기
2004
15
문제천
MF
도쿄 베르디
0경기
2005~2006
-
이충성[6]
FW
가시와 레이솔
31경기 8골
2006
16
이종민[7]
DF/MF
몬테디오 야마가타
도치기 SC
아비스파 후쿠오카
마쓰모토 야마가
0경기
0경기
2경기
0경기
2006
2009
2010
2012
17
박강조
MF
빗셀 고베
43경기 10골
2006
18
최성용
DF
요코하마 FC
자스파구사츠 군마
22경기
48경기
2006
2008~2010
19
강효
FW
빗셀 고베
0경기
2006.1~2006.8
20
김태연
MF
빗셀 고베
에히메 FC
미토 홀리호크
파지아노 오카야마
도쿄 베르디
5경기
27경기
47경기 2골
22경기 1골
0경기
2006
2008
2009
2010
2011.1~2011.6
21
김유진
DF
사간 도스
요코하마 FC
40경기 3골
19경기
2006
2010
22
김동찬[8]
FW
미토 홀리호크
1경기
2006~2007
23
김상우
FW
도쿠시마 보르티스
31경기 1골
2006~2007
24
김영기
GK
쇼난 벨마레
아비스파 후쿠오카
94경기
0경기
2007~2009, 2011~2012
2013.7~2013.12
25
김신영
FW
세레소 오사카
사간 도스
반포레 고후
에히메 FC
8경기 1골
48경기 8골
65경기 15골
10경기
2007.1~2007.6
2007.6~2008
2009~2010
2011.7~2011.12
26

DF
사간 도스
6경기
2008
27
조영철
FW
요코하마 FC
알비렉스 니가타
24경기 1골
5경기
2008
2019
28
배승진
DF
자스파구사츠 군마[임대]
도쿠시마 보르티스
요코하마 FC
19경기
93경기 6골
98경기 4골
2008
2009~2011
2012~2013, 2018
29
박주호
MF/DF
미토 홀리호크
24경기
2008
30
차지호
DF/MF
로아소 구마모토
32경기
2008~2009.7
31
강효일
FW
FC 기후
4경기
2008
32
박종진
MF
미토 홀리호크
9경기
2008.7~2008.12
33
권석근
MF
로아소 구마모토
2경기
2008.8~2008.12
34
오민석
MF
로아소 구마모토
0경기
2008.8~2008.12
35
박상태
FW
로아소 구마모토
0경기
2008.8~2008.12
36
이창강
GK
파지아노 오카야마
40경기
2009~2011
37
김광민
DF
파지아노 오카야마
18경기 1골
2009
38
서관수
MF
FC 기후
18경기
2009
39
차동훈
FW
FC 기후
1경기
2009
40
박준경
FW
FC 기후
18경기 2골
2009~2010
41
김동섭
FW
도쿠시마 보르티스
11경기
2009~2010
42
김진현
GK
세레소 오사카
113경기
2009, 2015~2016
43
조성환
DF
콘사도레 삿포로
36경기
2009~2010.7
44
정정현
FW
쇼난 벨마레
0경기
2009.1~2009.7
45
박주성
DF
베갈타 센다이
34경기 2골
2009
46
조성진
DF
로아소 구마모토
콘사도레 삿포로
52경기 1골
37경기 1골
2009~2011
2013
47
최근식
FW
도치기 SC
로아소 구마모토
74경기 12골
17경기 1골
2009~2011
2012
48
최정한
FW
오이타 트리니타
102경기 18골
2010~2012, 2014.1~2014.7
49
김진현
GK
세레소 오사카
251경기
2010~2014, 2017~
50
박동혁
DF
가시와 레이솔
34경기 4골
2010
51
김민우
DF/MF
사간 도스
52경기 11골
2010~2011
52
여성해
DF
사간 도스
마츠모토 야마가
자스파구사츠 군마
56경기 2골
1경기
16경기
2010~2011
2017.1~2017.7
2017.7~2017.12
51
정동호
DF
가이나레 돗토리
25경기 1골
2011
52
서용덕
MF
카탈레 도야마
118경기 13골
2011~2014
53
김병석
MF
사간 도스
17경기 4골
2011
54
김영근
MF
카탈레 도야마
60경기 1골
2013~2014
55
이근호[1993]
FW
기라반츠 기타큐슈
5경기 1골
2013
56
이광선
DF
빗셀 고베
아비스파 후쿠오카
22경기 2골
66경기 2골
2013
2014~2015
56
권한진
DF
자스파구사츠 군마
로아소 구마모토
55경기 1골
41경기 5골
2013.7~2014.12
2015
56
백성동
MF
주빌로 이와타
V-바렌 나가사키
27경기 2골
18경기 0골
2014
2016.7~2016.12
57
이대헌
MF
V-바렌 나가사키
도치기 SC
13경기
9경기
2014
2015.1~2015.7
54
김남일
MF
교토 상가 FC
27경기 1골
2015

2.3. J3리그


순번
이름
포지션
소속팀
성적
기간
1
김영기
GK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1경기
2014~2016
2
이근호[1993]
FW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23경기 3골
2014
3
김정야
DF
감바 오사카 U-23
2경기 0골
2016~2017
[1] 심지어 김병지, 최용수, 김도훈 등을 두고 구단들이 공개적으로 최고 연봉 경쟁을 벌였는데도 그렇다.[2] 여기에는 대학 중퇴 선수가 잭팟이 터진 박지성의 사례가 한몫하며, 2003년 이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정치 안정과 경기 호황으로 주머니가 얇아진 J리그에서 남미 선수들 영입에 부담이 커진 것도 작용하였다. 요컨대 긁어 보는 것.[3] 골키퍼는 포지션 특성상 유럽 진출이 쉽지 않아 위 문단의 상황이 아직도 유효하기 때문. 조현우마저도 월드컵 이후 국제적인 관심을 한몸에 받았음에도 유럽 진출이 번번이 좌절될 정도. 이렇게 한국을 비롯한 외국인 선수가 J리그 골키퍼를 독식하자 일본내 축구계도 자국인 골키퍼 가뭄에 대해 경보를 보이는 중이다.#[임대후완전이적] [임대] A B C [4] 2007년 1월 일본으로 귀화[5] 백암고 출신 1987년생 선수.[1993] A B C [6] 2007년 1월 일본으로 귀화[7] 백암고 출신 1987년생 선수.[8] 1981년생 공격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