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타 코우키
[clearfix]
1. 소개
일본의 남성 성우. 본명은 미야타 하루노리(宮田始典).
2006년, 제1회 성우 어워드에서 서브 캐릭터 남성부문 수상.
Say U 이벤트 4회에 모리카와 토시유키와 함께 한국을 방문했다.
2. 연기
원래 목소리톤이 높은 편으로 낮은 톤은 잘 내지 못한다고 한다. 그 탓인지 소년 역을 많이 했다. 그래선지 그가 맡은 역할을 한국과 북미에서는 여자 성우(ex.손정아[1] /도로시 일라이어스 판[2] )들이 맡는 일도 있다.
노에인의 후지하라 이사미처럼 평소보다 낮은 톤의 목소리를 낸 적은 있지만 변성기 이후인 고등학교 시절은 무리였는지 다른 성우를 썼다.
남성 성우치고는 특이한 목소리 때문에 호리우치 켄유에게 "헬륨가스 마신 거 같은 목소리" 라는 말을 들었다. 이 때문에 생긴 별명이 "헤리쨩".[3]
목소리가 얇고 높은 탓에 BL에서는 수나 BL이 아니더라도 연약한 캐릭터를 자주 맡았으며 2010년에는 드디어 男の娘 이 캐릭터 까지 맡게 되었다. 녹음 때 감독에게 연기할 때 남자임을 의식하냐고 물어봤더니 '아뇨. 완벽하게 여자로 해주세요' 라는 대답이 돌아왔다고...[4]
뭔가 그림자가 있는 캐릭터 연기가 특기라고(일본 위키피디아 출처). 그걸 잘 보여준 것이 암네시아의 우쿄.[5]
3. 이야깃거리
- 라디오 등에서는 S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드러운 분위기의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타 미츠오가 "귀여운 얼굴에 목소리도 귀여운데 독설을 내뱉는 포이즌(독) 같은 녀석(カワイコちゃんな顔して、声も可愛いのに、毒吐くポイズン野郎)" 이라고 한 적이 있는 걸 보면...
- 맛이 이상한 음식을 찾아 먹는 묘한 미식가로 유명하다. 카레를 싫어하며(오늘부터 마왕 1화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낫토라면 질색한다. 냄새를 못 견딘다나. 먹는 걸 상당히 좋아하는지 세이유 이벤트에서도 인스턴트 라면을 사 들고 등장. 단것을 좋아하는 편이라 아침에 막 일어나서 먹기 위해 단것을 사두는 일도 있다고. 참고로 취향은 일본과자 쪽(택틱스 DVD 영상 특전에서). 그런데 이래 놓고 165cm에 55kg(...)
- 성우가 된 계기가 의외로 실존적인 이유였는데 대학 시절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내가 죽고 나면 사람들에게 나는 무엇으로 기억될까' 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성우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 니코니코 대백과에 따르면 가창력이 정평이고 특히 캐릭터송을 불렀을 때 그 캐릭터와의 싱크로율이 좋다고. 그래서 그가 부른 캐릭터송에는 歌い分けの神[6] 라는 태그가 자주 붙는다. 일례로 1에서 4까지 시리즈 대대로 출연했던 머나먼 시공 속에서 시리즈의 캐릭터 송을 들으면 목소리만으로 어떤 캐릭터가 불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캐릭터에 맞춰 목소리를 조금씩 바꾸는 것은 성우들의 기본 소양이지만 캐릭터송을 부를 때는 자기 목소리로 돌아가기 일쑤다. 캐릭터송에서도 자신의 목소리가 아니라 캐릭터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대단한 일.
4. 주요 출연작
4.1. 애니메이션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우주인 타로 - 마을 사람들, 임타쿠
- 학교괴담 - 학생
- 그라비테이션 - 유키 에이리(소년기), 리포터
- 방가방가 햄토리 - 랑돌이(토라하무군)
- 육문천외 몬코레나이트 - 페가서스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ARIA THE NATURAL - 안톤
- 미라쿠루! 미미카 - 단다 하지메, 오지 노스케
- 그늘에서 지킨다 - 요모리 타스케
- 찾아라~! 파워스톤[8] - 시마(루이)
- 파워퍼프걸Z - 스네이크
- 천하통일 파이어비드맨 - DJ바쿠
- Black Blood Brothers - 세이(초대)
- 쾌걸 조로리 - 국왕
- 마지널 프린스 ~월계수의 왕자님~ - 미하일 류리코비치 넵스키
- 요시나가 씨 댁의 가고일 - 요시나가 카즈미
- 2007년
- 바람의 소녀 에밀리 - 테디 켄트
- 키라링☆레볼루션 - 와타루
- 게게게의 키타로 - 키노시타
- 사상최강의 제자 켄이치 - 아사미야 류토(소년기)
- 세인트 비스트 - 주작의 레이
- 노다메 칸타빌레 - 세가와 유토
- 머나먼 시공 속에서3 - 무사시보 벤케이
- 우리들의 - 모지 쿠니히코
- 2008년
- 부탁해! 마이멜로디 - 소라라 왕자, 베리
- 전력 우사기 - '''에이교, 코와모테인 애
- 노라미미 - 헤이호콘
- 파천황유희 - 타키
- 2009년
- 2010년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아르자나 이논
- 나루토 질풍전 - 쵸쥬로, 쇼우세키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츠치야 코우타
- 바쿠만 - 이시자와 히데미츠
-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 토비
- 2011년
- 카드파이트 뱅가드 - 바르만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이! - 츠치야 코우타
- 하느님의 메모장 - 소령
- 파이-브레인 신의 퍼즐 - 큐빅 가로아
- 효게모노 - 모난
- 원피스 - 와다츠미, 델린저
- 2013년
- 2015년
- 2016년
- 아이카츠 스타즈! - 사시다
- 듀얼 마스터즈 VSRF - 카츠에몬
- 나메코: 세계의 친구들 - 로봇 나메코
- 하이큐!! - 타시로 히데미
- 2017년
- 웃는 세일즈맨 NEW - 아마에 마사오
- THE REFLECTION - 레이스
- 보루토 - 쵸쥬로
- 100% 파스칼 선생님 - 카와하
- 2018년
- 도검난무 하나마루 - 호쵸 토시로
- 스낵 월드 - 데미
- 노예구 -나와 23인의 노예- - 스미다 즈시오우마루
- 2019년
- 부기팝은 웃지 않는다 - 에코즈
- 노부나가 선생님의 어린 아내 - 아츠다 란마
- 스타☆ 트윙클 프리큐어 - 올림피오
- 귀멸의 칼날 - 무라타
- 2020년
- 허구추리 - 일대의 주인, 요괴들
4.1.1. OVA/극장판
- 쇼콜라의 마법 - 카카오 테오브로마
- 실바니안 패밀리 비디오 - 마론 강아지 소년(데니스)
- 진 유리색의 눈(OVA) - 마나베 히로시
- 명탐정 코난 극장판 침묵의 15분 - 타치하라 토마/다비
- 크레용 신짱 극장판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 피로시
4.2. 게임
- Amnesia - 우쿄
- Glass Heart Princess - 호시노 카나타
- S.Y.K ~신설서유기~ - 옥룡
- Vitamin X - 키누가사 쇼지로
- 기동전사 건담 외전: 미싱 링크 - 앨버트 벨
- 그랑블루 판타지 - 필리 [10]
- 나데프로 - 로미오, 미야케 사토시
- 단간론파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 - 후지사키 치히로[11]
- 도검난무-ONLINE- - 호쵸 토시로
- 드래곤 퀘스트 8 3DS판 - 챠고스
- 머나먼 시공 속에서 - 1의 나가레야마 시몬, 2의 아키후미, 3의 무사시보 벤케이, 4의 나기
- 방과후는 백은의 조사 - 쿠즈노하 렌
- 별의 왕녀 ~우주의식에 눈뜬 요시츠네~ - 키산타
- 브레이브 사가(용자성전 반간) - 사카시타 히로
- 아가씨 탐정 ~오피스 러브 사건모~ - 코우지
- 아야시노미야 - 토키 텐조우
- 앨리스 시리즈 - 페터 화이트
- 와일드 암즈 어드밴스드 서드 - 알프레드 슈뢰딩거
- 위험한 사랑의 수사실 - 존 스미스
- 유리의 숲 - 무로 노조무
- 영원한 7일의 도시 - 비엔
- 절대절망소녀 - 후지사키 타이치 [12]
- 찾아라! 파워스톤[13] - 시마
- 코믹파티 - 타테남
- 파랜드 심포니 - 애디
- 판타스틱 포츈 - 아이슈 세리언
- 하급생 - 타카다 신지
- 하카레나 하트 - 미즈호 스바루
- 꿈왕국과 잠자는 100명의 왕자님 - 틴플러
4.3. 특촬
4.4. 외화
[1] 이치노미야 칸타로, 애디 등.[2] 후지사키 치히로 등[3] 헬륨의 일본식 발음인 ヘリウム(헤리우무)에서 유래.[4] 후속작에는 그 캐릭터의 아버지 연기도 맡게 되는데 동일 성우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전혀 다른 보이스를 선보인다.[5] 미야타의 연약한 목소리만 듣다가 우쿄의 흑화 목소리를 들으면 엄청 낯설게 들릴 정도.[6] 캐릭터송을 부르는 성우의 가창력과 해당 캐릭터의 싱크로율이 좋을 경우 붙는 태그.[7] 엔딩 크레딧에 25화까지는 미야타 하루노리로, 26화부터 미야타 코우키로 바뀌어 나온다.[8] 원제 タマ&フレンズ 探せ!魔法のプニプニストーン(타마&프렌즈 찾아라! 마법의 푸니푸니스톤)[9] 극중극의 주인공.[10] 이벤트 「로보미 외전」에서 등장하는 사천왕 중 한 명. 여장남자 캐릭터.[11] 이 캐릭터는 아예 완전한 여성의 톤으로 연기한 특이 케이스. 감독의 머릿속이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12] 위의 단간론파 1의 후지사키 치히로의 아버지. 즉 부녀가 동일 성우다.[13] 원제 タマ&フレンズ 探せ!魔法のプニプニストーン(타마&프렌즈 찾아라! 마법의 푸니푸니스톤)[14] 원판을 제외한 대다수의 국가에서 변성기 온 남자 목소리를 선호하는 데 반해 일본판에서는 진짜 어린 소년처럼 중성적인 목소리로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