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보수주의

 


[image]
보수주의의 상징, 청기.
1. 개요
2. 인물
3. 대표적 정당
4. 같이 보기


1. 개요


National conservatism.
내이션(Nation)[1] 정체성을 기반으로 보수주의의 한 갈래이다. 한마디로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이다.
사실 내셔널리즘 자체가 한국으로 1:1 번역이 불가능한 개념이긴 하지만 '내셔널 보수주의'라는 명칭은 학술적으로 쓰이지도 않을 뿐더러 너무 어색하기 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와 마찬가지로 나무위키에서도 '국민보수주의'라는 명칭으로 쓴다.
먼저 내셔널리즘의 얘기를 한다면 2차 대전 이후 파시즘과 같은 전체주의 체제를 낳은 사상에 대한 반성으로 인해서 내셔널리즘은 분화되었다. 크게 두가지인데 혈연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하는 민족(Ethnic group)의 의미로 내이션(Nation) 개념을 사용하는 민족주의적인 내셔널리즘과, 내이션(Nation)을 '시민'이나 '국민'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시민 내셔널리즘으로 나뉜다. 둘 다 Nation-state를 주장하지만 이때 nation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다른 해석을 하는 것이다. 시민 내셔널리즘측은 기존의 Ethnic group 중심의 민족주의는 타민족에 대한 배타성이 커져 정치적 극단주의로 흘러갈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민족주의 성향의 국민보수주의 정당은 극우정당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며, 시민 내셔널리즘은 전자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럴 위험성이 적다고 본다. 하지만 시민 내셔널리즘 성향의 국민보수주의 정당도 정치적 배타성이 두드러지고 반동주의, 정치적 극단주의로 흘러간다면 극우정당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반면 민족주의적인 내셔널리즘 측에서는, 파시즘과 같은 전체주의 체제는 극단적인 케이스이며, 민족주의적인 내셔널리즘이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별 문제 없이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국민보수주의의 특징은 사회문화적으로는 사회보수주의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반세계화 전략에 따라서 강력한 반이민정책을 주장한다는 것이다. 경제정책도 사회보수주의와 비슷하게 국가별로 상이하다. 쉽게 생각한다면 사회보수주의가 좀 더 국민공동체를 지키고 옹호하기 위해서 극단화된 우익의 정파가 국민보수주의로 보면 편하다. 정치적 스펙트럼 상으로는 우익과 극우의 경계선상에 걸쳐 있다고 평가받는다.
의외로 복지국가를 주장하는 중도좌파적인 성향의 사람들이 국민보수주의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국민공동체 바깥의 이민자들로 인해서 복지비용이 증가하면서 복지국가 시스템의 경제적 토대가 점차 무너지자, 이민자들을 무임승차자로 규정하며 이민자에 대한 분노로 인해서 중도좌파가 국민보수주의로 전향하는 것이다. 이외에 중도우파 성향의 국민자유주의가 보수화되면서 국민보수주의가 되는 경우가 흔하다. 유럽권에 횡행한 유럽회의주의적인 국민보수주의 정당의 배경에는 이런 점이 존재한다.[2][3]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과거 1950~1980년대 보수정권이 이러한 성향을 가졌다고 지적받는다. 대표적으로 화교에 대한 각종 차별정책을 예로 든다. 왜냐하면 구한말~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화교가 대한민국 경제에 꽤나 많은 부분을 차지했는데 이승만 정권부터 시작해서 박정희 정권 등을 이어가면서 민족주의적 내셔널리즘의 관점에서 유무형의 차별을 가했기 때문이다. 이 시기 보수정권들은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1950년 창고봉쇄령과 화폐개혁 그리고 1962년의 외국인 토지 소유 금지 등의 정책을 펼쳤고 이로 인해서 화교들은 큰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화농이 몰락하고 화상들도 헐값에 땅을 팔게 된 것이다.
1990년대 중국과의 수교와 김영삼 정권이 각종 자유주의적인 개혁정책을 펼치면서 세계화 전략에 따라서 자유보수주의로 정책을 전환하기 전까지 이런 국민보수주의 이념에 따라서 국민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내셔널리즘적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정책이 많이 이뤄졌다.
대다수가 강경우파 내지는 극우파이다. 중도우파들은 자유보수주의 또는 보수자유주의를 보통 추구한다.

2. 인물


※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만큼 대한민국의 정치인의 경우 민주화 이후 정치인들은 서술하지 말 것

3. 대표적 정당


  • 그리스 : 독립 그리스인, 그리스 솔루션
  • 노르웨이 : 진보당[8]
  • 대만 : 중국 국민당, 신당
  • 대한민국 : 국민의힘 일부[9], 자유의새벽당
  • 덴마크 : 덴마크 인민당, 뉴라이트
  • 독일 : 파란당, 독일을 위한 대안
  • 러시아 : 통합 러시아당, 조국당
  • 몽골 : 민주당
  • 미국 : 공화당 일부[10]
  • 브라질 : 사회자유당, 애국자당, 브라질을 위한 동맹
  • 세르비아 : 세르비아 진보당 일부, 세르비아 급진당
  • 스웨덴 : 스웨덴 민주당
  • 스위스 : 스위스 인민당
  • 스페인: 인민당 일부, VOX
  • 영국 : 민주연합당, 영국 독립당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자유당
  • 이스라엘 : 리쿠드, 유대인의 집
  •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형제들, 북부동맹
  • 인도 : 인도 인민당, 시브 세나
  • 일본 : 자유민주당, 희망의 당[11]
  • 칠레 : 독립민주연합
  • 캐나다 : 캐나다 인민당
  • 터키 : 정의개발당, 민족주의행동당
  • 파키스탄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폴란드 : 법과 정의, 통합 폴란드
  • 프랑스: 국민연합, 약진하는 공화국
  • 핀란드 : 청색미래당, 핀인당
  • 헝가리 : 청년민주동맹, 요빅
  • 호주 : 일국당
  • 유럽연합 : 유럽 보수개혁연합 일부, 정체성 민주당
과거의 정당으론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 국가인민당도 대표적이였다. 이 당은 독일 제국 시절 귀족층과 지주들로 이루어진 반동적 우익정당이였고 일부는 나치에 협력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의 경우 김구의 한국독립당과 박정희의 민주공화당이 대표적인 국민보수주의 정당이였다.

4. 같이 보기


[1] 흔히 국민이나 민족 등으로 번역된다. 내셔널리즘(Nationalism) 할때 그 내이션이다.[2] 전자의 경우로는 사회보수주의+국민보수주의이면서 동시에 복지국가의 존속을 지지하는 경제적 개입주의자들이 많은 유럽의 극우파 정당들이 있다. 후자의 경우로는 오스트리아 자유당과 독일을 위한 대안이 원래 국민자유주의 정당이었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3] 다만 국민사회주의(좌파 민족주의)계열은 원래 좌파여서 극우파로 전향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는 않다. 다만 스탈린주의적 극좌로 전향하는 경우는 흔하다.[4] 아소 다로같은 혐한은 아니지만 외신에도 평하듯 일본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우익 포퓰리스트는 맞다.[5] 청년 시절엔 보수당 소속이였다. 또 세간의 오해와 다르게, 패라지가 극우성향인 것은 아니다. 현재 그가 이끌고 있는 브렉시트당도 빅텐트 정당이다.[6] 실제로 프랑코의 경우 보통 파시스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진짜로 파시스트인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물론 어찌 됐든 간에 극우정치인임은 부정할 수 없다.[7] 한때는 아베 신조도 저리가라 할 정도로 극우성향을 보였으나 지금은 논조가 중도화되었다.[8] 유럽의 우파포퓰리즘 정당들 중에서는 제일 온건한 성향을 띄기 때문에 주로 극우 포퓰리즘 정당보다는 단순 우익 국민보수주의 정당으로만 평가받는다.[9] 신보수주의에 기반해서 우익대중주의적 태도를 견지하며 보수성향의 서민들의 지지를 지향하는 홍준표가 대표적인 국민보수주의 성향의 정치인으로 꼽힌다. 홍준표는 현재 무소속이지만 친홍계 상당수가 국민의힘에 존재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국민의힘에 복당할 가능성이 높다.[10] 당 주류 중 비-티파티 계열은 자유보수주의 성향을 띄지만 티파티계열과 친트럼프 계열은 국민보수주의 성향을 띤다.[11] "Where Koike's new political party lost hope". The Japan Times. 13 November 2017. Retrieved 3 July 2020. One look at these three points may give the false impression that Kibo no To pursued liberal-leaning policies. But the rest of its campaign platform was totally conservative, calling for market fundamentalism on economic issues and featuring a nationalistic political age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