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아이돌 그룹

 



1. 개요
2. 상세
3. 다국적 아이돌 그룹
3.1. 보이그룹
3.2. 걸그룹
3.3. 혼성그룹
4. 국적별 통계
5. 여담


1. 개요


'''다국적 아이돌 그룹'''은 하나의 아이돌 그룹에 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멤버들이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2. 상세


대부분의 다국적 그룹은 한국인 멤버와 외국인 멤버가 혼합되어 존재한다. 이 경우 외국인 멤버는 외국인이라는 차이점 때문에 한국에서 다른 멤버보다 더 큰 시선을 받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국인 멤버가 있다면 해당 국가의 팬들에게 관심 및 인지도와 언어적, 문화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외국인 멤버를 데뷔시키는 경우도 많다. 추가로 케이팝 아이돌 팀에 외국인 멤버가 포함됨으로써 의도치않게 해외에서 한류에 대한 반감[1]이 많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었다.
2000년대 후반 ~ 2010년대 초반 만해도 외국인 멤버는 거의 미국인 멤버가 많았으며, 그마저도 모두 '''한국계 교포'''들로만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2012년 EXO의 중국 진출 성공 이후로 중국 진출을 위해 중국인 멤버가 급격히 많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2017년 이후로는 남자 아이돌은 중국인 멤버의 수가 적어지고 있다. 중국인 멤버가 줄어드는 이유는 중국의 '''한한령''' 영향과, 예전 '''엑소 중국인 멤버들의 무단 탈퇴 사건'''과도 무관하지가 않아 보인다. 하지만 걸그룹은 여전히 대형이나 자본력이 있는 기획사 중심으로 중국인 멤버나 홍콩, 대만 멤버들이 골고루 섞여있는 편이다. 2018년 들어서 TWICE일본 진출이 대박을 터트린 이후로는 점점 일본인 멤버 비율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2] 대만인 멤버는 TWICE 쯔위가 데뷔한 이후로 급격히 늘어났다. 그리고 2PM 닉쿤을 계기로 태국인 멤버들도 많아졌다. 한국에서 데뷔하는 외국인 멤버들의 출신지가 주로 미국, 중국, 일본, 홍콩, 태국, 대만 쪽이 많으므로 기획사들은 그 나라에 현지 사무소를 개설하고 재능이 있어 보이는 아이돌, 연예인 지망생들을 스카우트하기도 한다. 그리고 서구권 출신으로는 주로 한국계 교포 멤버들만 있던 과거와는 달리 대만계 미국인 엠버마크, 또는 슈퍼주니어 M의 전 멤버 대만'''·'''홍콩계 캐나다인 헨리, EXO의 전 멤버 중국계 캐나다인 크리스처럼 한국계가 아닌 북미 출신 멤버들도 생기고 있다. 최근엔 방탄소년단의 북미, 유럽에서의 성공으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휴닝카이드리핀알렉스처럼 백인 혼혈 그리고 유럽권 국적의 K-POP 아이돌 멤버 역시 등장하는 추세다.
외국인 아이돌 지망생이 한국에서 데뷔를 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아시아에서 한류의 영향력과 K-POP국제적 인기로 인해서 한국에서 아이돌로 데뷔하게 된다면 소위 '케이팝 프리미엄'이라는게 생긴다. 이러한 프리미엄으로 인해서 한국 데뷔와 동시에 자국에서는 인기스타의 자리에 자연스럽게 올라서게 된다. 다만 한국에서도 해당 그룹이나 멤버가 어느 정도는 인기가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의 인기는 외국인 멤버의 자국 팬들에게 또 다른 '셀링포인트'가 된다. 그 예로 슈퍼주니어의 전 멤버 한경은 케이팝 최초의 중국인 멤버였기 때문에 중국에서 큰 사랑과 주목을 받았고 대박을 터뜨렸다. 동남아시아 한류의 중심지인 태국 출신의 아이돌인 닉쿤, 리사[3]는 데뷔와 동시에 태국 탑스타로 인정 받았으며, 태국 국민의 자랑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분위기이다. 거기다 부가적으로 태국 공연에 더 많은 관객수를 동원할 수 있고, 다양한 태국 광고에도 출연할 수도 있다.[4] 태국은 케이팝 인기가 동남아에서 제일 높은 나라이고 동남아시아 국가중에 공연 수익이 제일 높은 시장이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 문화적 영향력이 큰 나라이기 때문에 태국에서의 케이팝 인기가 타 동남아 국가로 번지기도 한다.
아이돌 트레이닝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갖춰진 곳도 전세계에서 거의 한국이 유일할 정도다.[5] 그래서 데뷔하는 절차도 투명하고, 높은 수준의 트레이닝을 받을 수 있다. 우주소녀의 중국인 멤버 선의, 미기는 중국판 프로듀스 창조 101에 참가하여 압도적인 기량을 펼쳤으며, 당시 아이돌 문화가 체계적으로 갖춰지지 않았던 중국에서 톱아이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글로벌 오디션해외에서 열리는 경우도 많으니 외국인들이 더 쉽게 한국에 와서 연습생이 되고 데뷔하는 편이다. 요즘에는 아예 해외 댄스학원에 한국 기획사가 직접 찾아가서 외국인을 스카우트하는 방식의 내방 오디션도 열린다.[6][7]
다국적 그룹의 약점은 출신지가 다양한 외국인 멤버들이 포함된 만큼 본인의 의지나 팩트에 상관없이 정치적인 이슈에 걸리면 지탄을 받기 쉽다. 각국마다 정치적 견해가 다르고 서로의 문화적인 오해로 인해 논란이 생기기도 한다. 쯔위의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사나일본 연호 사용 논란 선동 사건, 중국인 멤버들의 잇다른 남중국해의 중국 소유 지지로 동남아에서 비판이 있었고, 또한 홍콩 민주화 운동을 저지하는 홍콩 경찰을 지지함으로써 국내 및 홍콩 네티즌들에게 비판을 받은 사건, 또는 중국인 멤버 런쥔이 라디오에서 백두산을 한국말로 장백산이라고 호칭하여서 한국 네티즌에게 비판을 받은 사건 등이 있다. 정치적인 이슈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일본인 멤버들이 속한 그룹은 3월 1일(3·1절), 8월 15일(광복절), 8월 29일(경술국치일)에는 활동을 쉬는 제약을 받기도 한다.
다국적 그룹의 또 다른 약점으로 일부 외국인 멤버들이 한국 그룹 활동보다는 자국 개인 활동에 더 중점을 두면서 한국 팀 활동과 그룹 계약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도 한국 팬덤한국 대중들은 외국인 멤버를 K-POP의 일원으로 쉽게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편이다. 일단 한국 아이돌 그룹 안에 들어오기만 하면 한국인 멤버와 외국인 멤버를 차별하지 않고 그룹 멤버 겸 케이팝 가수로 똑같이 인정해준다. 개인적으로 어느 멤버를 더 좋아하고 덜 좋아하고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단순히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두지는 않는다. 이것도 외국인들이 한국 아이돌을 자연스럽게 지망할 수 있는 큰 이유이다.[8] 다만 서브컬처에서 K-POP 그룹 멤버의 정체성을 더 잘 살리기 위해 중국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드물지만 한국인 멤버가 없고 국적이 서로 다른 전원 외국인 멤버들로만 구성된 다국적 그룹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는 한국인 멤버가 없으므로 서툰 한국말로 인해 한국 팬들과의 소통이 어렵고, 한국 팬들이 문화적 공감대와 친근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성공의 확률이 매우 낮았고 인기를 얻기도 어려웠다. 이것은 다국적 아이돌 그룹에서 외국인 멤버들이 가진 장점이 더 커보이지만 한국인 멤버들의 존재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한국인 멤버가 한국에서 언어, 문화적 소통이 어렵다는 단점을 상쇄시켜 주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멤버의 장점이 부각되는 것이다. 즉, 다국적 아이돌 그룹은 외국인 멤버와 한국인 멤버가 함께 구성되었을때 장점이 극대화되어 시너지 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3. 다국적 아이돌 그룹


한국 국적이 없는 외국 국적 멤버만 기재합니다. 그룹을 탈퇴한 멤버는 취소선으로 표기합니다.

3.1. 보이그룹


  • NRG (1997) - 문성훈 (미국)
  • 원타임 (1998) - 테디, 대니 (미국)
  • Y2K (1999) - 마츠오 유이치, 마츠오 코지 (일본)
  • god (1999) - 박준형, 데니 안, 손호영 (미국)
  • 테이크 (2003) - 이승현 (미국)
  • 슈퍼주니어 (2005) - (중국) / (미국)
    • 슈퍼주니어 M[9] (2008) - [10], 조미 (중국) / (캐나다)[11]
  • 2PM (2008) - (미국) / 닉쿤 (태국·미국 복수국적)
  • 유키스 (2008) - (마카오) / , (미국)
  • M.I.B (2011) - 강남 (일본)
  • 버스커 버스커 (2012) - 브래드[12] (미국)
  • BTOB (2012) - 프니엘 (미국)
  • 크로스진 (2012) - (일본) / , (중국)
  • 뉴이스트 (2012) - 아론 (미국)
  • EXO (2012) - (캐나다)[13] / , , 레이 (중국)[14]
  • GOT7 (2014) - 마크 (미국)[A] / 잭슨 (홍콩) / 뱀뱀 (태국)
  • 전설 (2014) - 로이 (중국)
  • B.I.G (2014) - 벤지 (미국)
  • 유니크 (2014) - 문한, 이보, 조이쉔 (중국)
  • DAY6 (2015) - Jae (미국·아르헨티나 복수국적)[15]
  • VAV (2015) - 제이콥, (중국)
  • 세븐틴 (2015) - 조슈아 (미국) / , 디에잇 (중국)
  • NCT (2016) - 마크 (캐나다) / 쟈니 (미국) / (태국) / 유타, 쇼타로 (일본) / 윈윈, 천러, , 샤오쥔, 런쥔 (중국) / 루카스 (홍콩) / 양양 (대만) / 헨드리 (마카오)[16]
  • 펜타곤 (2016) - 옌안 (중국) / 유토 (일본)
  • IN2IT (2017) - 아이젝 (말레이시아)
  • 온앤오프 (2017) - (일본)
  • Wanna One (2017) - 라이관린 (대만)
  • JBJ (2017) - 타카다 켄타 (일본) / 김용국 (중국)[B]
  • BLK (2017) - 요명명 (중국)
  • EXP Edition (2017) - 헌터, 코키 (미국) / 프랭키 (포르투갈·미국 복수국적) / 시메 (크로아티아·미국 복수국적): 국내 최초 멤버 전원이 한국계 혈통이 전혀 없는 순수 외국인으로만 이루어진 그룹이다.[17]
  • 더보이즈 (2017) - 케빈, 제이콥 (캐나다)
  • Stray Kids (2018) - 방찬, 필릭스 (호주)
  • T.E.N (2018) - 청쵸우스, 류양, 장한 (중국)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2019) - 휴닝카이 (미국)
  • 다크비 (2020) - 유쿠 (일본)
  • CRAVITY (2020) - 앨런 (미국)[A]
  • 트레저 (2020) - 요시, 마시호, 아사히, 하루토 (일본)
  • GHOST9 (2020) - 프린스 (태국)
  • 드리핀 (2020) - 알렉스 (독일)
  • P1Harmony (2020) - 기호 (캐나다), 소울 (일본)
  • ENHYPEN (2020) - 니키 (일본)
  • 미래소년 (2021) - 리안 (일본)

3.2. 걸그룹


  • 베이비복스 (1997) - (미국)
  • 몰리#s-4 (1996) - 제니퍼[18] (캐나다)
  • 써클 (1998) - 오가와 아야코, 에구치 유카, 바이슈에[19] (일본): 국내 최초로 한국인과 한국 혈통이 없는 비한국계 외국인 멤버가 함께 있으며 한··대만[20] 3개국 출신 멤버로 이루어진 다국적 아이돌 그룹으로서 그 당시에는 매우 센세이션한 시도였다.
  • 샤크라 (2002) - 려원 (호주)
  • 밀크 (2001) - (미국)
  • 이삭 N 지연 (2002) - 이삭 (미국)
  • 천상지희 The Grace (2005) - 스테파니 (미국)
  • 소녀시대 (2007) - , 티파니 (미국)
  • 카라 (2007) - (미국)
  • 애프터스쿨 (2009) - (미국)
  • f(x) (2009) - 빅토리아 (중국) / 엠버 (미국)[A]
  • HAM (2009) - 가현 (중국)
  • miss A (2010) - , 페이 (중국)
  • 라니아 (2011) - (태국) / 라리사 (브라질•일본 복수국적)[21] / (태국) / (미국)[22] / (중국)
  • 타이니지 (2012) - 민트 (태국)
  • 스카프 (2012) - 하나 (일본)[23] / , 타샤 (싱가포르)
  • 피에스타 (2012) - 차오루 (중국) / (미국)
  • 써니데이즈 (2013) - (중국)
  • 레이디스 코드 (2013) - 애슐리 (미국)
  • 포텐 (2014) - TEM (미국)
  • D.Holic (2014) - 레나 (일본), (중국)
  • 디아크 (2015) - (미국)
  • CLC (2015) - (태국) / 엘키 (홍콩)
  • 트위티 (2015) - 아야 (일본)
  • TWICE (2015) - 모모, 사나, 미나[24] (일본) / 쯔위 (대만)
  • 믹스 (2016) - 한나, 아리, 리야 (중국)
  • 우주소녀 (2016) - 선의, 성소, 미기 (중국)
  • I.O.I (2016) - 주결경 (중국)[25]
  • O21 (2016) - 루루, 유리 (중국) / 리나 (일본) / 웨이양 (필리핀)
  • 구구단 (2016) - 샐리 (중국)
  • BLACKPINK (2016) - 리사 (태국)
  • 드림캐쳐 (2017) - 한동 (중국)
  • H.U.B (2017) - 루이 (일본)
  • PRISTIN (2017) - 주결경 (중국)[26] / 카일라 (미국)[27]
  • 마이달링 (2017) - 하루카, 미츠키 (일본)
  • 애플비 (2017) - 샌디 (캐나다)
  • 버스터즈 (2017) - 타카라 (일본)
  • 샤샤 (2018) - 완린 (중국) / 챠키 (일본)
  • (여자)아이들 (2018) - 우기 (중국) / 민니 (태국) / 슈화 (대만)
  • 네이처 (2018) - , 오로라 (중국) / 하루 (일본)
  • 이달의 소녀 (2018) - 비비 (홍콩)
  • 공원소녀 (2018) - 미야 (일본) / 소소 (대만)
  • IZ*ONE (2018) - 미야와키 사쿠라, 야부키 나코, 혼다 히토미 (일본)
  • 지비비 (2018) - 체리스 (싱가포르)
  • FANATICS (2019) - 지아이[28] (대만) / 시카 (중국)[29]
  • 체리블렛 (2019) - , 레미, 메이 (일본) / (대만)
  • 에버글로우 (2019) - 이런 (중국)
  • 로켓펀치 (2019) - 쥬리 (일본)
  • woo!ah! (2020) - 소라 (일본)
  • 시크릿넘버 (2020) - 디타 (인도네시아) / 데니스 (미국) / 레아 (일본)[30]
  • 블랙스완 (2020) - 파투 (벨기에)[31], 레아 (브라질 • 일본 복수국적)[32]
  • 보토패스 (2020) - 최상 (중국) [33] / 리아 (일본)
  • 루나솔라 (2020) - 유우리 (일본)
  • aespa (2020) - 닝닝 (중국), 지젤 (일본)
  • 블링블링 (2020) - 아야미, 마린 (일본)
  • TRI.BE (2021) - 켈리, 지아 (대만) / 미레 (일본)

3.3. 혼성그룹



4. 국적별 통계


'''국적별 인원 통계'''





55명[34]
44명
39명[35]
10명
8명[36]



'''복수국적'''
'''기타'''
9명
3명
3명
5명[37]
5명[38]
데뷔한 그룹의 인원만 기재합니다. 홍콩, 마카오는 중국의 특별행정구이기에 중국 쪽으로 포함하고 각주를 기재합니다. 복수국적자는 복수국적 항목에 카운트하고 각주를 기재합니다. 인원이 추가되면 카운트를 해주세요.

5. 여담


  • 국적이 가장 다양한 그룹은 NCT다. 다인조 그룹인만큼 한국, 일본, 중국(한족, 조선족, 홍콩, 마카오 포함), 태국, 대만, 미국, 캐나다 등으로 출신 국가가 가장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 드물긴 하지만 멤버 전원이 같은 국적의 외국인[39]인 경우도 있었으나, 이 경우는 국적이 서로 다른 멤버가 없으므로 다국적 그룹이라 하지는 않는다.
  • 일본과 중국에도 다국적 그룹이 존재는 하지만 각각 혼혈[40]과 화교[41] 정도가 끝.

[1] 특히 중국인 멤버들과 일본인 멤버들이랑 동남아 출신 멤버들이 그렇다. 과거에는 일방적으로 해외 팬들만 한류를 좋아했다면 현재는 케이팝 그룹 안에 외국인 멤버들이 포함됨으로써, '''쌍방향'''으로 외국인 멤버들도 한국 팬들에게 사랑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TWICE는 일본인 멤버가 3명이나 있었기 때문에 한일관계가 매우 안좋았던 시기에도 일본의 반한 감정에서 상당 부분 자유로울 수 있었다고 한다.[2] 뿐만 아니라 일본 내에서 부는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 아이돌 그룹으로 데뷔하려는 일본의 젊은 세대들이 많다. 전형적인 일본의 아이돌 그룹보다 해외진출에 대한 포부가 큰 일본의 젊은이들이 한국의 연예기획사로 찾아오는 경우도 늘어났고, 특히 니지프로젝트와 같은 국내 기획사 소속 현지화 아이돌 그룹 선발 오디션에도 응모하는 케이스도 있다. 결국에는 현지화 그룹도 생기는 등 여러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3] 태국 팬들은 특히 리사가 화교 혼혈 하이쏘가 아니라는 점을 좋게 받아들인다.[4] 실제로 갓세븐은 태국인 멤버 뱀뱀의 존재 때문에 태국에서 광고를 많이 찍었다.[5] 일본은 기획사에서 트레이닝을 시켜주는 시스템이 아니다. 대체적으로 일본의 아이돌 문화는 '성장형 아이돌' 팬들과 함께 성장해간다는 생각이 깔려 있어서, 기획사에서는 따로 연습생을 트레이닝 시켜주지 않는다. 그나마 최근에 한국의 아이돌이 국제적인 인기를 얻게되자 EXILE 소속의 걸그룹 이걸스쟈니스 주니어 시스템이 비슷하게 따라하고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한국 기획사의 연습생 트레이닝 시스템처럼 체계적이지는 못하다. 미국의 미키 마우스 클럽이 있지만 이건 TV 프로그램상으로 아이들을 트레이닝 시켜주는 방식으로, 기획사가 트레이닝 시켜주는 거와는 차원이나 방식이 다르다.[6] 인도네시아인 디타, 일본인 타카라가 그런 방식으로 한국에서 데뷔하게 되었다.[7] 때로는 역으로 해외 댄스학원 출신들이 한국 기획사가 내는 해외 멤버 선발 공고를 보고 찾아가기도 한다. 니지프로젝트에 응시한 많은 일본인들이 그 예.[8] 오히려 아이돌 문화가 한국, 중국보다 일찍 발달한 일본이 아이돌 그룹에 외국인 멤버를 받아들이는 일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며 아예 받지 않는다. 일본의 인기 아이돌 걸그룹인 AKB48은 전부 일본인으로만 구성되었다가, 2015년에 처음으로 대만인 멤버 마챠링을 선발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남자, 여자 아이돌 그룹에서는 외국인을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 지경으로 그만큼 외국인 멤버에 대해서 부정적이며 배타적이다. 중국 아이돌도 일본과 비슷하게 혼혈이나 교포를 제외하면 외국인 멤버를 쉽게 찾는 것이 힘들 정도로 배타적이다.[9] 슈퍼주니어의 중국 유닛. 2013년 국내 앨범이 발매되었으며 국내 음악방송 무대에서도 활동했다.[10] 슈퍼주니어한경과 동일인이다.[11] 대만계인 동시에 홍콩계다.[12] 순수 백인계 미국인이다.[13]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캐나다로 이민 가서 귀화했다.[14] 레이를 제외하고 모두 중화권에서 개인 활동을 하기 위해 팀을 탈퇴했다.[A] A B C 대만계 미국인이다.[15] 속지주의 국가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고 미국으로 이민갔기 때문에 아르헨티나, 미국 이중국적이다. jae는 이후 팬미팅에서 아르헨티나 국적을 포기하였고, 현재는 미국 여권만을 소지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런데 주 아르헨티나 대한민국 대사관의 설명으로는 답변일 2019년 7월 1일 기준 아르헨티나 국적은 국적포기가 불가능하다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출처 대한민국에서는 이런 경우 외국국적 포기각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영토에서는 아르헨티나인의 권리를 모두 포기한다고 개인 차원에서 선언할 수 있다. 미국 국적법이 대한민국 국적법과 상이하더라도 아르헨티나 국적을 포기했다는 것은 미국 영토 기준에서 아르헨티나 시민권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의 외국국적 포기각서를 제출했을 가능성이 높다. 즉, 아르헨티나 정부 입장에서는 여전히 아르헨티나 국적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은 이중국적을 허용하기 때문에 정치인, 공무원, FBI, CIA 등이 아니라면 이중국적자 또는 귀화자에게 굳이 타 국적의 포기각서 제출을 요구하지 않는다. 결론은 미스테리.[16] NCT의 중국 팀 WayV2020년 9월 21일을 기준으로 공식적인 NCT의 유닛이 되었다.[B] [17] 한국에서 정식으로 데뷔했고 한국어 노래로 활동했다. 국내 음악방송 KBS1 열린음악회, 쇼챔피언, 엠카운트다운, 더 쇼, 심플리케이팝에 출연했다. 또한 음악 예능프로그램 불후의 명곡 2, 팬텀싱어 2에 멤버 시메가 출연하였다.[18]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고 한다.[19] 바이슈에는 대만에서 일본으로 이민을 간 화교이다.[20] 당시 언론과 방송에서는 중국인 멤버라고 소개했다.[21] 브라질과 일본의 혼혈이다. 2001년생이기 때문에 아직 국적선택을 하지 않았다.[22] 백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흑백혼혈 미국인이다.[23] 시크릿넘버레아와 동일인이다.[24] 출생 당시에는 미국과 일본의 이중국적이었지만, 미국 국적을 포기할 예정이라고 발언한 적이 있고 현재는 만 22세가 넘었기 때문에 단독 일본 국적으로 추정한다.[25] PRISTIN주결경과 동일인이다.[26] I.O.I주결경과 동일인이다.[27] 한국 혼혈이지만 단독 미국 국적이다.[28] FANATICS-FLAVOR로 먼저 데뷔.[29] 중국·일본 혼혈이다.[30] 스카프의 하나와 동일인이다.[31] 세네갈에서 태어나고 벨기에로 이민가서 귀화했다. 한국 가요계 최초로 혼혈이 아닌 순수 흑인 멤버다.[32] 라니아의 라리사와 동일인이다.[33] 걸그룹 아이러브의 멤버였다가 재데뷔[34] 홍콩 4명, 마카오 2명 포함, 대만 미포함[35] 대부분 한국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이다.[36] 미국같이 대부분 한국계 캐나다인, 아시아계 캐나다인이다.[37] 닉쿤 - 태국, 미국 / Jae 아르헨티나, 미국 / 프랭키 - 포르투갈, 미국 / 시메 - 크로아티아, 미국 / 레아 브라질, 일본[38] 필리핀 1명, 말레이시아 1명, 인도네시아 1명, 벨기에 1명, 독일 1명[39] 1997년 데뷔한 지누션과 2000년 데뷔한 남성 듀오 골뱅이가 있다. 멤버 전원이 외국인인 그룹으로는 대한민국 최초다. 두 그룹 다 멤버 2명이 모두 미국인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다국적 그룹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누션 멤버 전원이 한국계 미국인이고, 골뱅이 멤버 중 1명은 순수 백인계 미국인, 1명은 한국계 혼혈 미국인이다. 또 2012년 데뷔한 테이스티는 멤버 2명 전원 한국계 중국인, 2018년 한국에서 데뷔앨범을 발표한 HONEY POPCORN도 멤버 5명이 전원 일본인이다.[40] 그나마 혼혈인 이중국적이나 일본 국적이 대부분이다.[41] 주로 대만(단 하나의 중국 생각 때문에 중국에선 외국인 멤버로 카운트를 하지 않는다), 태국이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