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image]
[image]
말레이어 : Lapangan Terbang Antarabangsa Kuala Lumpur
영어 :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
타밀어 : கோலாலம்பூர் பன்னாட்டு வானூர்தி நிலையம்
중국어 : 吉隆坡国际机场/吉隆坡國際機場
IATA : KUL
ICAO : WMKK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관문 공항. 공항 자체는 쿠알라룸푸르 시 안쪽이 아닌, 대한민국으로 치면 경기도에 해당하는 슬랑오르(Selangor) 주의 스팡(Sepang) 구역에 위치해 있다. 물론 동명의 공항이 진짜로 쿠알라룸푸르 안에 있었는데 지금은 문을 닫았다. 물론 수도권이기 때문에 사실 쿠알라룸푸르 내라고 봐도 상관은 없다. 인천국제공항 및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과 같은 케이스.
1965년부터 1998년까지 말레이시아의 관문 역할을 했고, 한국의 김포국제공항과 유사한 위상이었던 수방 국제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1993년 계획이 시작되어 1998년 착공되었다.
말레이시아의 국적사인 말레이시아 항공 및 아시아 지역 최대의 저가 항공사인 에어아시아, 그리고 말린도항공의 허브이다. 에어아시아는 저가항공 터미널 LCCT에서 2014년 5월에 이곳으로 옮겼다. 정확히는 klia2.# 말린도항공의 경우 klia2에서 운항하다가, 2016년 3월부로 메인터미널(KLIA1)로 옮겼다.
대한민국 노선으로는 인천에서 말레이시아 항공과 대한항공, 에어아시아 엑스가 운항하고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에서도 에어아시아 엑스가 운행하고 있다.[2]
[image]
풀 서비스 캐리어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말레이시아 항공과 대한항공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klia2의 오픈에 따라 KLIA의 메인터미널의 명칭이 KLIA1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묵살되고 명칭은 그대로 KLIA 메인 터미널이다. 하지만 이용객들, 직원들 모두 KLIA1으로 부른다. 통상 "터미널 1"이라고 하기도 한다.
1998년 개항과 함께 문을 열었는데, 일본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이 터미널은 구 공항인 수방 국제공항의 지금은 사라진 터미널 1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다만 시대에 맞춰 한층 더 세련된 것이 특징이며, 그 멋은 인천국제공항이나 홍콩 국제공항에 꿀리지 않는다. 근데 위성으로 보면 은근 작아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작지는 않으며 탑승동(Satellite Terminal)과 연결된다.
[image]
2013년 말에 문을 연 터미널 2. 1터미널보다는 더 큰데, 원래에는 그림과는 다른 디자인으로 계획되었으나 결국 그림대로 지어졌다.
에어아시아, 에어아시아 엑스 등의 저비용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에어아시아 엑스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A380이 밑으로 들어갈 수 있는 Satellite와 Terminal을 잇는 브릿지가 있다. 한국행 항공편은 Satellite 구석에서 항상 출도착하기 때문에 출도착시 많이 걸어야 되고 도착시에는 많이 올라갔다 내려와야 한다.
추후 계획에 따르면 터미널 1용인 탑승동 1 옆에 탑승동 2를 지어 이 터미널과 연결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공항철도에 해당하는 KLIA 익스프레스와 KLIA 트랜짓이 운행하고 있다.
KL 센트럴 역에서는 두 교통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KLIA 트랜짓은 KL 센트럴 역에서 KLIA2 까지 대략 39분, KLIA 익스프레스는 KLIA2 까지 대략 33분 정도 걸린다. 가격은 둘 다 RM55(어린이는 RM25)[5] 으로 공항에 빨리 가야 하는 일이 있으면 당연히 KLIA 익스프레스를 타는 것을 권한다.
참고로 KLIA 익스프레스 노선 한정으로 KL 센트럴 역에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출국 시 탑승권 발급과 수하물 위탁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링크 단, 말레이시아 항공, 캐세이패시픽항공, 말린도항공 한정. 서울 삼성동 도심공항터미널(최소 3시간 전)과는 달리 비행기 출발 2시간 전까지 체크인을 허용해 준다.
온라인 또는 모바일 앱에서 탑승권을 결제하거나, 역마다 위치한 셀프 키오스크에서 탑승권을 구입할 경우 1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터미널 2 전용 활주로(활주로 3) 바로 옆에 터미널 1 전용 활주로(활주로 1)와 바로 평행하고 똑바른 위치로 활주로 4를 만들 계획이 있으며, 터미널 1 전용 탑승동 바로 옆 공터에 터미널 2 전용 탑승동을 지을 예정이다.
초기 계획에는 활주로 4에서 왼쪽으로 90도 틀어서 활주로 5를 만들고, 터미널 1 바로 위에 터미널 3을 만드는 매우 크고 아름다운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계획에서는 지금의 터미널 2가 빠진 것으로 보아 현재는 용도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2월 13일 klia2 건물 3층에서 김정남이 여성 2인조에게 독가스인 VX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확산성이 강한 독가스를 엄청난 유동인구가 있는 국제공항에서 사용해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VX 제거를 위해 화학부대를 보내는 등 한바탕 소동을 빚었다.
[image]
말레이어 : Lapangan Terbang Antarabangsa Kuala Lumpur
영어 : Kuala Lumpur International Airport
타밀어 : கோலாலம்பூர் பன்னாட்டு வானூர்தி நிலையம்
중국어 : 吉隆坡国际机场/吉隆坡國際機場
IATA : KUL
ICAO : WMKK
1. 개요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관문 공항. 공항 자체는 쿠알라룸푸르 시 안쪽이 아닌, 대한민국으로 치면 경기도에 해당하는 슬랑오르(Selangor) 주의 스팡(Sepang) 구역에 위치해 있다. 물론 동명의 공항이 진짜로 쿠알라룸푸르 안에 있었는데 지금은 문을 닫았다. 물론 수도권이기 때문에 사실 쿠알라룸푸르 내라고 봐도 상관은 없다. 인천국제공항 및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과 같은 케이스.
1965년부터 1998년까지 말레이시아의 관문 역할을 했고, 한국의 김포국제공항과 유사한 위상이었던 수방 국제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1993년 계획이 시작되어 1998년 착공되었다.
2. 공항 정보
말레이시아의 국적사인 말레이시아 항공 및 아시아 지역 최대의 저가 항공사인 에어아시아, 그리고 말린도항공의 허브이다. 에어아시아는 저가항공 터미널 LCCT에서 2014년 5월에 이곳으로 옮겼다. 정확히는 klia2.# 말린도항공의 경우 klia2에서 운항하다가, 2016년 3월부로 메인터미널(KLIA1)로 옮겼다.
대한민국 노선으로는 인천에서 말레이시아 항공과 대한항공, 에어아시아 엑스가 운항하고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에서도 에어아시아 엑스가 운행하고 있다.[2]
2.1. KLIA 메인 터미널
[image]
풀 서비스 캐리어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말레이시아 항공과 대한항공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klia2의 오픈에 따라 KLIA의 메인터미널의 명칭이 KLIA1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묵살되고 명칭은 그대로 KLIA 메인 터미널이다. 하지만 이용객들, 직원들 모두 KLIA1으로 부른다. 통상 "터미널 1"이라고 하기도 한다.
1998년 개항과 함께 문을 열었는데, 일본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이 터미널은 구 공항인 수방 국제공항의 지금은 사라진 터미널 1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다만 시대에 맞춰 한층 더 세련된 것이 특징이며, 그 멋은 인천국제공항이나 홍콩 국제공항에 꿀리지 않는다. 근데 위성으로 보면 은근 작아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작지는 않으며 탑승동(Satellite Terminal)과 연결된다.
2.2. klia2 (2청사)[3]
[image]
2013년 말에 문을 연 터미널 2. 1터미널보다는 더 큰데, 원래에는 그림과는 다른 디자인으로 계획되었으나 결국 그림대로 지어졌다.
에어아시아, 에어아시아 엑스 등의 저비용 항공사들이 이용하는 터미널이다. 에어아시아 엑스의 인천행 항공편은 여기서 출발한다. A380이 밑으로 들어갈 수 있는 Satellite와 Terminal을 잇는 브릿지가 있다. 한국행 항공편은 Satellite 구석에서 항상 출도착하기 때문에 출도착시 많이 걸어야 되고 도착시에는 많이 올라갔다 내려와야 한다.
추후 계획에 따르면 터미널 1용인 탑승동 1 옆에 탑승동 2를 지어 이 터미널과 연결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3. 운항 노선
3.1. 국제선
3.2. 국내선
3.3. 화물 노선
4. 철도 연계
4.1.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역
공항철도에 해당하는 KLIA 익스프레스와 KLIA 트랜짓이 운행하고 있다.
KL 센트럴 역에서는 두 교통 모두 이용할 수 있는데, KLIA 트랜짓은 KL 센트럴 역에서 KLIA2 까지 대략 39분, KLIA 익스프레스는 KLIA2 까지 대략 33분 정도 걸린다. 가격은 둘 다 RM55(어린이는 RM25)[5] 으로 공항에 빨리 가야 하는 일이 있으면 당연히 KLIA 익스프레스를 타는 것을 권한다.
참고로 KLIA 익스프레스 노선 한정으로 KL 센트럴 역에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출국 시 탑승권 발급과 수하물 위탁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링크 단, 말레이시아 항공, 캐세이패시픽항공, 말린도항공 한정. 서울 삼성동 도심공항터미널(최소 3시간 전)과는 달리 비행기 출발 2시간 전까지 체크인을 허용해 준다.
온라인 또는 모바일 앱에서 탑승권을 결제하거나, 역마다 위치한 셀프 키오스크에서 탑승권을 구입할 경우 10%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4.2.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청사역
5. 장래 계획
터미널 2 전용 활주로(활주로 3) 바로 옆에 터미널 1 전용 활주로(활주로 1)와 바로 평행하고 똑바른 위치로 활주로 4를 만들 계획이 있으며, 터미널 1 전용 탑승동 바로 옆 공터에 터미널 2 전용 탑승동을 지을 예정이다.
초기 계획에는 활주로 4에서 왼쪽으로 90도 틀어서 활주로 5를 만들고, 터미널 1 바로 위에 터미널 3을 만드는 매우 크고 아름다운 계획이 있었으나, 당시 계획에서는 지금의 터미널 2가 빠진 것으로 보아 현재는 용도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6. 사건사고
2017년 2월 13일 klia2 건물 3층에서 김정남이 여성 2인조에게 독가스인 VX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확산성이 강한 독가스를 엄청난 유동인구가 있는 국제공항에서 사용해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VX 제거를 위해 화학부대를 보내는 등 한바탕 소동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