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가요계

 


1. 개요
2. 국내
2.1. 2020년 이전 상황
2.2. 정리
2.2.1. 1분기
2.2.2. 2분기
2.2.3. 3분기
2.2.4. 4분기
2.3. 연간 차트
2.3.1. 멜론 차트
2.3.2. 가온 차트
2.4. 1위 곡 목록
2.4.1. 멜론 차트
2.4.2. 가온 차트
2.5. 음악방송 1위곡 목록
2.6. 분석 및 총평
3. 해외
4. 관련 문서


1. 개요


2020년의 대중음악을 정리한 문서다.[1]
가요계에서는 애증의 해이다. 1월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19의 여파로 가요계도 침체기를 맞아 중위권 이상에 진입한 신규 음원들의 수가 적으며 대부분의 상위권 곡들이 롱런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더불어 여러 가수들의 콘서트 및 공연들도 취소되어 가요계의 침체기가 극심했다. 본문 참고.
반면에 방탄소년단블랙핑크 등이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K팝 열풍의 전성기를 맞이한 해이기도 하다.
2020년 중반에는 깡을 필두로 일명 숨듣명 노래들이 재평가되고 있으며, 트로트 열풍도 휘몰아쳤다.
미국 가요계의 경우 팬덤과 덤핑의 힘으로 1주씩 1위를 하는 싱글들과 압도적 라디오로 밀어붙여 잔잔히 롱런하는 싱글들이 대결구도를 이뤄 음악 시장을 라디오 vs 덤핑으로 양분해버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 국내



2.1. 2020년 이전 상황



2019년은 전체적으로 발라드가 강세를 보인 해였다. 하지만 상당수의 음원들이 음원 사재기에 대한 논란과 파동이 심하게 일었으며, 음원 차트가 그 공신력을 잃어버린 해로 남기도 했다. 그래서 그에 따른 반동으로 팝송이 다른 해에 비해 역주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음반의 경우 각 아이돌 그룹/솔로들의 성장세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 해였으며, 방탄소년단, TWICE, 강다니엘, 아이유 등이 각각 남녀 그룹, 남녀 솔로 초동 최고 기록을 전부 갈아엎어 눈길을 끌었다.

2.2. 정리



2.2.1. 1분기


  • 1월
2019년 연말부터 창모의 <METEOR>가 1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같은 앨범의 다른 노래 <빌었어>도 실시간 차트 10위권에 드는 등 연초부터 음원강자로서 창모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월 6일에는 윤하미니 5집을 발매해 타이틀곡 <먹구름>과 방탄소년단의 RM이 피쳐링해 화제를 모은 <WINTER FLOWER>가 차트 상위권에 자리잡았다. 같은 날 2019년 연말을 <아마두>로 휩쓴 딩고X다모임이 신곡 <달려>를 발매해 10위권 내에 드는 등 연말부터 이어진 힙합 열풍을 더했다.
매우 드문 일이지만 우주소녀의 <이루리>가 새해에 처음듣는 노래대로 이루어진다는 미신덕분에 2020년에 원하는 것을 이루고 싶다는 사람들의 마음으로 2020년 새해송이 되어 멜론 실시간 4위에 오르며 월초에 잠시 역주행을 했다.
1월 7일 백현낭만닥터 김사부 2의 OST <너를 사랑하고 있어>를 발매해 최고 순위 2위까지 올라간 후 상위권에 자리잡았다. 1월 9일에는 pH-1백예린이 <Nerdy Love>를 발매해 멜론 최고 순위 12위를 기록한 뒤 중상위권에 자리를 잡으며, 2019년 한 해동안 눈에 띄게 강해진 백예린의 음원파워[3]와 힙합 강세인 현 상황을 잘 보여주었다. 게다가 12일에 발매된 백예린의 사랑의 불시착 OST <다시 난, 여기> 역시 멜론 실시간 순위 1위에 올랐다.
1월 13일 지코가 디지털 싱글 <아무노래>를 발매하며 멜론 3위로 진입, 두 시간만에 1위로 올라서고 올해 첫 100만 이용자수를 찍으며 오랜만에 지코의 음원 파워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이로써 멜론 실시간 순위권에 힙합 곡이 10곡이 넘으며 유례없는 힙합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
1월 15일 태연정규 2집 리패키지를 발매하여 타이틀곡 <내게 들려주고 싶은 말>로 컴백했다. 멜론 실시간 순위 5위로 진입하여 2위까지 올랐으며 이후에도 5-10위권 사이를 계속 유지하였다. 본 앨범에 비해 화제성이나 파급력이 떨어지는 리패키지임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음원 성적을 보여주며 성공적으로 정규 2집 활동을 마쳤다. 거기다가 서울가요대상에서 <사계>로 '''음원 대상'''을 수상하며 2세대 걸그룹 최초로 그룹/솔로 모두 대상을 타는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1월 17일 방탄소년단이 2월 발매되는 정규 4집의 선공개곡 <Black Swan>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순위 2위로 진입하고, 6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다가 다시 지코에 의해 2위로 내려오며 전작들에 비해 아쉬운 음원 추이를 보여주었다. 1월 21일에는 폴킴청하의 듀엣곡 <Loveship>이 발매되어 실시간 최고 순위 2위를 찍고 중상위권에 안착하였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1월 6일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의 여파로 프로듀스 X 101을 통해 결성된 프로젝트 그룹 X1이 최종 해체하기로 결정지었다. 또한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최초로 그래미 어워즈 무대에 Lil Nas X와 함께 올라 이슈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돋보였던 가수는 단연 지코였다. 여러 셀럽들의 릴레이로 시작되어 순식간에 유행처럼 퍼진 '아무노래 챌린지'라는 신선하고 획기적인 마켓팅 방법은 단숨에 대중들의 이목을 끌었고 아주 성공적이었다. 이에 대한 결과로 챌린지에 힘입어 엄청난 화력을 유지하며 차트 1위를 장기집권하고 있다.
멜론/가온차트 1월 1위는 창모의 <METEOR>, 2위는 지코의 <아무노래>, 3위는 레드벨벳의 <Psycho>가 차지했다. 2019년 말부터 이어진 힙합 강세의 차트와 창모, 레드벨벳의 롱런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 2월
2월 3일 여자친구는 지난 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쏘스뮤직을 인수하여 레이블로 편입된 후 8번째 EP <回:LABYRINTH> 의 타이틀 곡 <교차로 (Crossroads)>로 컴백하였다. 멜론에서 10위로 진입해 최고 순위 8위를 기록하였으나, 계속되는 하락세를 보이다가 중하위권에 자리 잡았다. 결국 컴백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차트아웃하였다. 벅스에선 1위, 지니뮤직에선 2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2019년 데뷔해 해외 K-POP 글로벌 팬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던 에버글로우도 이날 첫 미니앨범 타이틀곡 <DUN DUN>으로 컴백했다. 국내에서의 반응은 미미했지만 아시아 KPOP 팬들의 큰 관심도 때문인지 유튜브 뮤비 조회수는 신인답지 않은 강세를 보였다.
2월 4일에는 마마무문별이 두 번째 솔로앨범 선공개곡으로 펀치와 함께 한 <낯선날>을 발매했다. 2월 6일에는 iKON이 미니 3집 타이틀곡 <뛰어들게>로 컴백하였지만 B.I 마약 사건 & 탈퇴로 인한 그룹 이미지 악화와 팬덤 축소로 전작과 같은 성적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2월 9일 Crush사랑의 불시착 OST <둘만의 세상으로 가>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3위로 진입한 뒤, 5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지만 일간 순위는 최고 2위를 기록해 <아무노래>의 철옹성을 뚫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날 V.O.S가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해>를 발매하며 멜론 실시간 순위 9위까지 올랐다. 2월 14일에는 마마무문별이 두번째 솔로 앨범 《Dark Side of the Moon》을 발매했다. 음원차트에선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지만 음반이 발매된 후 단 하루만에 역대 여성 솔로 가수 초동 4위[4]에 이름을 올렸다.
2월 15일 아이유사랑의 불시착 OST <마음을 드려요>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2위로 진입하고, 한 시간 뒤 1위로 올라섰다. 그 후 2월 16일 <아무노래>를 무려 '''5주'''만에 일간 1위에서 끌어내리며 새로운 1위에 올라섰다. 아이유의 OST 참여는 2011년 <내 손을 잡아> 이후로 9년 만으로, 별다른 홍보 없이도 드라마 화제성 + 아이유 음원 파워만으로 1위를 하는 데 성공하였다.
2월 17일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의 여파로 2019년 11월부터 활동 중단에 돌입했던 아이즈원정규 1집으로 3개월 만에 공식활동을 나섰다. 타이틀곡 <FIESTA>가 멜론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하여 데뷔 후 처음으로 실시간 차트 1위까지 올랐다. 특히 발매 하루만에 역대 여가수 음반 초동 순위 1위를 갈아치우고[5] 걸그룹 최초로 초동 '''30만장''' 대를 돌파하며 사건 이후 더 단단해진 팬덤의 힘을 입증하였다.
2월 21일 방탄소년단정규 4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ON>이 멜론 실시간 1위로 곧바로 진입하였고, 다른 수록곡들까지 전부 줄세우기에 성공하였다. 다만 지코와 아이유에게 막혀 일간 1위 달성에는 실패하였다. 음반 역시 발매 하루만에 다시 한 번 자신들의 초동 기록을 깨부수며 총 '''300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명실상부 강력한 방탄소년단의 팬덤 파워를 입증하였다. 같은 날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3씨야가 출연했다. 방송 이후 엄청난 화제성으로 씨야의 예전 히트곡인 <미친 사랑의 노래>, <사랑의 인사> 등이 중하위권에서 역주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1-2월에는 많은 OST들이 사랑을 받았는데, 1월부터 사랑의 불시착이 시청률 대박을 터뜨리면서 윤미래, 백예린, 김재환, 다비치, 송가인, 세정, Crush 등 많은 가수들이 참여한 OST가 차트인했고, 낭만닥터 김사부 2 OST로 백현, 거미, 찬열&펀치 등이 사랑받았다. 또 2월 말에는 이태원 클라쓰가 히트를 치면서 가호의 <시작>, 김필의 <그때 그 아인>이 차트인했다. 그외에도 달빛조각사 웹툰 OST 이승철의 <내가 많이 사랑해요> 역시 차트 중하위권에서 롱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멜론/가온 2월 월간 1위는 지코의 <아무노래>, 2위는 창모의 <METEOR>, 3위는 레드벨벳의 <Psycho>가 차지했다. 1월과 1,2위만 바뀐 모습을 보여주며 상위권 3곡이 얼마나 롱런하고 있는지[6]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특히 <아무노래>는 1위에서 내려간 후에도 다시 한 번 주간/일간 1위를 탈환하며 그 저력을 보여주었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쇼챔피언의 MC가 기존 김신영 단독 진행에서 ASTRO문빈, 산하VERIVERY강민 3인 체제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3월 7~8일 예정되어 있던 TWICE서울 앙코르 콘서트가 취소되었고, 4월부터 예정되어 있던 (여자)아이들의 월드 투어 콘서트 <I-LAND>도 취소되었다.

  • 3월
3월 5일 오반이 <어떻게 지내>를 발매하고 다음 날 실시간 10위권까지 올라오는데 성공하였다. 그 외 다른 차트에선 무려 방탄소년단, 지코, 아이유를 누르며 실시간 차트 1위를 차지해 실검까지 올라 사재기 논란을 빚었다.
3월 6일 NCT 127정규 2집 타이틀곡 <영웅>이 멜론 실시간 '''7위'''로 진입하여 11시에 최고 '''3위'''까지 올라가 화제가 되었다. 이는 일부 타 SM엔터테인먼트 소속가수들 팬덤의 지원과 NCT 팬들의 큰 성장으로 이뤄낸 성과이며, 바로 전작 <Superhuman>이 진입 48위, 정규 1집 타이틀곡 <Regular>가 진입 24위 였다는 점에서 확실히 알 수 있다. 음반 초동도 판매 시작 하루만에 커리어하이를 찍는 등 NCT의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3월 9일 ITZY미니 2집을 발매하며 타이틀 곡 <WANNABE>로 컴백하여 멜론 실시간 3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까지 올라서며, 아직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초반 음원 성적을 보여주었다. 또한 VICTON미니 6집을 발매하여 타이틀 곡 <Howling>으로 컴백하였다. 같은 날 태연이 생일을 기념하여 디지털 싱글 <HAPPY>로 컴백할 예정이었으나, 부친상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3월 13일 방탄소년단의 멤버 이태원 클라쓰의 OST <Sweet Night> 를 발표하며 진입 1위를 기록하였다. 또 다른 이태원 클라쓰 OST 가호의 <시작>도 일간 5위권 정도를 기록하며 드라마의 흥행과 맞물려 좋은 음원 성적을 보여주며, 3월 15일 일간 1위를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밖에 다른 OST들 김필의 <그때 그 아인>, 하현우의 <돌덩이>가 5위권에 진입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3월 25일 엠씨더맥스20주년 기념앨범의 선공개곡 <처음처럼>을 발매하여, 실시간 차트 14위로 진입 후 다음날 1위에 올라섰다. 다음날 WINNER 역시 정규 3집 선공개곡 <뜸>을 발매하여 실시간 차트 7위로 진입 후 최고 2위까지 올라서며 두 음원 강자들의 대결이 펼쳐졌다.
3월 30일 EXO의 멤버 수호솔로 데뷔 앨범을 발매하며 타이틀곡 <사랑, 하자>가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 후 7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다. 데뷔한지 어느덧 9년차를 맞은 EXO이지만 여전히 강력한 팬덤 파워를 입증하였고, 또 밴드 사운드 기반의 앨범이 좋은 평을 받았다.
멜론/가온 3월 월간 1위는 가호의 <시작>, 2위는 지코의 <아무노래>, 3위는 아이유의 <마음을 드려요>가 차지했다. 이태원 클라쓰, 사랑의 불시착 등 많은 OST 들이 사랑을 받은 한 달이었음이 잘 나타나며, 1월부터 차트를 점령하며 멜론 8주 1위[7]라는 대기록을 세운 <아무노래>의 롱런 역시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에버글로우미국 투어 콘서트를 진행하다 미국 내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일정 취소 후 조기 귀국하는 일이 있었다.

2.2.2. 2분기


  • 4월
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달에도 많은 OST들이 강세를 보였다.[8] 이번 달에는 슬기로운 의사생활이 인기를 끌며 주연 배우 조정석이 직접 부른 <아로하>[9], 조이의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10]이 차트 상위권에 자리잡았다.
4월 3일 미스터트롯 우승자 임영웅이 우승자 특전 음원 <이젠 나만 믿어요>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최고 6위까지 올랐다. 프로그램의 대흥행으로 인한 화제성과 탄탄한 트로트 장르의 팬층으로 인해, 트로트 장르로써는 이례적으로 상위권에 자리잡으며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다. 또한 미스터트롯의 다른 많은 음원들도 차트 중하위권에서 꾸준히 롱런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미스트롯부터 이어진 트로트 열풍을 이어갔다.
4월 6일 (여자)아이들미니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Oh my god>으로 컴백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8위로 진입하여 최고 4위까지 올랐다. 또한 음반 역시 초동 10만장을 넘기며, 퀸덤으로 인한 팬덤의 뚜렷한 성장세와 <LION> 음원의 흥행으로 비롯된 믿고 듣는 이미지까지 좋은 시너지를 일으켜 음원/음반 양 쪽에서 모두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같은 날 동방신기최강창민이 데뷔 17년 만에 솔로 데뷔 앨범을 발매하였다. 음원 차트에는 아쉽게도 진입하지 못하였지만, 음반 초동 6만장 이상을 기록하며 아직까지 탄탄한 팬덤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예상대로 봄을 맞이해 봄을 상징하는 대표곡들이 올해도 어김없이 또 한 번 차트인했는데, 특히 장범준의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는 다시 한 번 실시간 5위권에 진입했고, <벚꽃 엔딩> 역시 다시 차트인하며 장“봄”준의 위엄을 보여주었다. 그 외에도 아이유&HIGH4의 <봄 사랑 벚꽃 말고>, 로꼬&유주의 <우연히 봄>, 볼빨간사춘기의 <나만, 봄> 등이 다시 차트인했다.
4월 13일 Apink미니 9집을 발매하여 타이틀 곡 <덤더럼>으로 멜론 실시간 차트 7위로 진입하여 엠씨더맥스를 제치고 5시간 만에 실시간 차트 1위까지 올랐다. 이는 에이핑크에게 2015년 <Remember>이후 약 5년만의 음원차트 1위다. 걸그룹으로써는 이례적으로 9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동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대단한데, 아직까지 팬덤이 공고하고 대중성도 갖췄다는 점은 에이핑크가 걸그룹으로서 아주 모범적인 사례로 남을 수 있다는 걸 충분히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19년 실시간 1위를 달성한 걸그룹이 TWICE, 레드벨벳이 전부였다는 걸 생각하면, 에이핑크의 롱런은 남다른 의미를 가진다.
4월 14일에는 스타쉽의 신인 남자아이돌 CRAVITYBreak all the Rules로 데뷔했다. 멜론 실시간 차트에 90위로 진입하여 2020년 데뷔한 아이돌 그룹 중 처음으로 멜론 실시간 차트에 차트인했다.
4월 16일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인기에 힘입어 조정석의 <아로하>가 멜론 실시간 차트 1위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했다. 가수 겸 배우가 아닌, 전업 배우가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를 차지한 사례는 2011년 현빈의 <그 남자>[11], 2012년 김수현의 <그대 한 사람>[12], 2016년 박보검의 <그 사람>[13]이후 4번째이며, 일간/주간 1위를 거머쥔건 현빈 이후 9년만이다.
4월 22일 폴킴이 정규 2집 Part 2를 발매하여 타이틀곡 <우리 만남이>로 컴백하였다. 멜론 실시간 차트 12위로 진입하여 1위에 올랐지만 금방 자리를 내주며 차트에서 큰 힘을 발휘하지 못 하고 있다. 같은 날 APRIL이 1년 6개월이란 공백기를 깨고 미니 7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LALALILALA>로 컴백하였다. 멜론 실시간 차트 47위로 진입하여 전작에 비해 음원 부문에서 크게 발전하였고, 멤버들의 다양한 개인활동으로 공백기 동안 늘어난 팬덤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4월 23일에는 마마무솔라가 첫번째 솔로 앨범 《SPIT IT OUT》을 발매했다. 음원차트에선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지만 음반이 역대 솔로 음반 초동 20위, 역대 여자 솔로 음반 초동 4위를 기록했다.
4월 27일 오마이걸미니 7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살짝 설렜어>가 멜론 실시간 차트 5위로 진입한 후 2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다. 전작 <BUNGEE>가 27위 진입이었음을 생각하면 오마이걸 역시 퀸덤으로 인한 화제성 및 팬덤 상승의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음반 또한 발매 첫날에 자체 최고 초동 기록을 경신하는 등 팬덤 확장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록곡 <Dolphin>이 2달이 넘는 기간 동안 10위권에 꾸준히 머무르는 등 타이틀과 수록곡 전부 롱런하며 아주 좋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결국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4월 음원상까지 따내면서 성공적으로 활동을 끝마쳤다. 같은 날 청하 역시 첫 정규앨범 발매를 위한 선행 싱글 <Stay Tonight>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8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까지 기록하고 이후 차트 중위권에 자리를 잡았다.
4월 29일 NCT DREAM미니 4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Ridin'>이 멜론 실시간 차트 4위로 진입한 후 6시간 만에 1위에 올라섰다. 또한 음반 부문에서도 첫날 30만장 이상을 기록하며, 역대 NCT 유닛들을 통틀어서 음원/음반 모두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난 3월 NCT 127의 활동과 함께, 눈에 띄게 성장한 NCT의 팬덤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멜론차트 4월 1위는 엠씨더맥스의 <처음처럼>이, 2위는 조정석의 <아로하>가, 3위는 가호의 <시작>이 차지했다. 반면에 가온차트 4월 1위는 <아로하>가, 2위는 <시작>이, 3위는 <처음처럼>이 차지했다. 음원 최강자 다운 면모를 보여준 엠씨더맥스와 계속해서 꾸준히 사랑받는 OST의 활약을 확인할 수 있었고, Apink오마이걸과 같은 걸그룹의 재도약도 엿볼 수가 있었다.

  • 5월
5월 4일 태연이 디지털 싱글 <Happy>를 지난 3월 발매가 연기된 후 2달 만에 발매하였다. 발매 직후 멜론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한 뒤 1시간 만에 곧바로 1위로 오르며, 여전히 굳건한 팬덤과 믿고 듣는 독보적인 솔로 가수로써 자리잡은 태연의 모습을 입증했다. 특히 3월에 안타까운 일로 발매가 연기된 후 공개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응원이 쏟아지고 있다. 같은 날 ASTRO미니 7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Knock(널 찾아가)>로 컴백하였다.
5월 6일 아이유가 방탄소년단의 슈가의 피처링을 받고 낸 디지털 싱글 <에잇>이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로 가볍게 진입하며, 개편 이후 최초의 진입 지붕킥이 되었다. 현시점 최고의 대중성을 지닌 아이유와 최고의 팬덤을 가진 방탄소년단이 만나 발매 이전부터 화제가 되었으며, 2020년 두 번째 100만 이용자수를 기록하며[14] 그 화제성을 입증하였다.
5월 7일 볼빨간사춘기가 13일날 발매될 미니 앨범의 선공개곡이자 더블타이틀 중 하나인 <나비와 고양이>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2위로 진입하였다. 우지윤의 탈퇴 이후 안지영 솔로 체제의 첫 앨범이자, EXO의 백현의 피쳐링으로 화제를 모았고, 어제에 이틀 연속으로 '''최고의 대중성을 가진 여자 솔로+최정상급 남자 아이돌 멤버'''의 조합으로 음원강자들의 대결이 눈길을 끌었다.
5월 11일 DAY6미니 6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Zombie>가 멜론 실시간 차트 8위로 진입, 최고 순위 4위에 올랐다. 그 동안 훌륭한 곡 퀄리티와 멤버들의 실력에 비해 부족한 인지도와 음원 성적으로 아쉬운 모습을 보인 적이 많았는데, 이번 앨범을 기점으로 늘어난 팬덤을 바탕으로 새로운 음원 강자로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뉴이스트미니 8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I’m in Trouble>로 컴백하였다.
5월 13일 볼빨간사춘기가 선공개곡에 이어 미니 앨범을 발매하여, 다른 타이틀곡 <품>으로 컴백하였다. <품>은 멜론 실시간 차트 9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6위까지 올랐지만, 다음날 오후 30위권대까지 떨어지며 선공개곡으로 인한 화력 분산, 남돌 수록곡 줄세우기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나비와 고양이>는 앨범 발매에 힘입어 계속해서 실시간 2위를 유지하며, 일간 역시 2위를 탈환하며 좋은 모습을 계속해서 보여주었다.
5월 18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미니 2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세계가 불타버린 밤, 우린...>이 멜론 실시간 차트 5위로 진입하였고, 음반 역시 자체 최고 초동을 하루만에 경신하며 큰 팬덤의 성장을 보여주었다. 바로 다음날에는 NCT 127리패키지를 발매하여 타이틀곡 <Punch>가 역시 5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를 기록하였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만의 동화적인 감성과, NCT 특유의 미래적인 사운드와 화려한 퍼포먼스 등 각자만의 매력 포인트를 가진 보이그룹들이, 새로운 세대를 또 한 번 열어젖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5월 22일 전미도가 부른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가 발매와 동시에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했고, 다음날 9시 1위를 기록했다. 드라마에서 함께 호흡을 맞춘 조정석의 <아로하>도 1위를 찍은 후에도 꾸준히 2-3위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고, 조이의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가 7-8위권까지, 규현의 <화려하지 않은 고백>이 10위권까지 올라오는 등, 슬의생 OST들이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5월 25일 EXO의 멤버 백현미니 2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Candy>가 멜론 실시간 차트 2위로 진입한 뒤 1시간만에 곧바로 1위로 올라섰다. 음반 또한 발매 하루만에 60만장 이상이 팔리며 역대 남자 솔로 초동 기록[15]을 갱신하며 EXO 팬덤 내에서 쌓아올린 백현의 독보적인 개인 팬덤의 위력을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백현은 월초부터 피쳐링 활동에 이은 본인 솔로 앨범까지 전부 흥행에 성공하며, 자신의 솔로 커리어를 확실히 다졌다.
5월 28일 레이디 가가블랙핑크의 콜라보곡 <Sour Candy>가 레이디 가가의 정규 6집 발매 하루 전 선공개되었다.[16] 공개 직후 아이튠즈 전 세계 63개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고, 세계 각국의 주요 차트에서 자체 신기록을 세우는 등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미국 최대 음원 사이트인 애플뮤직에서 최고 14위까지 올라가며 K-POP 아이돌 그룹 최고 신기록을 세웠다.[17] 특히나 美 포브스에 따르면, 스포티파이 역사상 첫날 합산된 스트리밍 수가 걸그룹 음원으로서는 가장 높았다고 한다. 글로벌 종합 2위를 기록했다.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는 '''33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유튜브에서도 역대 여성 콜라보 곡들 중 24시간 내 가장 높은 조회수를 달성하였다.[18] 이는 블랙핑크가 전작인 SQUARE UP, KILL THIS LOVE에 이어 신기록 행진을 이어나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블랙핑크가 얼마나 큰 파급력을 보이고 있는지를 증명해주었다.
5월 29일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이 종영하면서 주연 배우 전미도가 부른 OST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가 장기 집권하고 있었던 아이유의 <에잇>을 누르고 일간 차트 1위에 올랐다. 또한 드라마의 마지막 OST <너에게 난, 나에게 넌>까지 멜론 실시간 차트 9위로 진입하고 상위권에 자리 잡으며, 마지막까지 유종의 미를 거두며 드라마의 인기를 체감할 수 있었다.
그 밖에 2년 전 발매된 의 <>이 유튜브에서 시대에 뒤쳐진 퍼포먼스, 가사, 의상 등으로 희회화되며 젊은층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 비의 출연과 함께 소개된 이후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힘 입어 각종 음원 차트에 재진입하며 역주행하고 있다.
멜론/가온 5월 1위는 아이유의 <에잇>이, 2위는 조정석의 <아로하>가, 3위는 오마이걸의 <살짝 설렜어>가 차지했다. 아이유의 독보적인 음원 파워와 4월 말부터 이어진 오마이걸의 약진이 돋보이는 대목이었으며, <아로하>는 두 달 연속 2위를 유지하는 롱런을 보여주었다.
음악 외적으로는 5월 30일을 끝으로 구구단미나쇼! 음악중심 MC 자리에서 하차하였다. 후임은 IZ*ONE김민주.

  • 6월
6월은 그야말로 '''걸그룹 대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3대 기획사의 K-POP 대표 걸그룹들인 TWICE블랙핑크, [19] 등이 컴백할 예정이기 때문. 이 외에 IZ*ONE, 우주소녀모모랜드도 걸그룹 컴백 대전에 합류한다. 또한 5월에 이어 선미, 헤이즈, 화사 등 굵직한 여성 솔로 가수들도 대거 컴백한다. 여름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6월, 오랜만에 뜨거운 컴백 대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한편, 멜론은 실시간 차트를 폐지한다고 밝혔다. 정확한 개편 시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개편 내용은 실시간 차트 대신 FLO와 동일하게 집계 기준이 최근 1시간에서 24시간으로 변경된다. 즉, 사실상 매 시간 업데이트 되는 일간 차트와 마찬가지이다. 음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떨지는 결과를 지켜 봐야 알겠지만, 현재 예상하기로는 '''사재기 문제와 심야 시간 남자 아이돌의 차트 줄세우기 현상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 사람이 동일한 음악을 여러 번 재생할 경우 일간 차트처럼 하루에 한 번만 반영되는지, 아니면 기존 실시간 차트처럼 한 시간에 한 번씩 반영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어차피 집계 기준이 최근 24시간이므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을 것이다. 다만, 이런 순기능뿐만 아니라 신규 발매 곡이나 역주행 곡이 이전보다 차트에 진입하기 어려워지는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
6월 1일, TWICE미니 9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MORE & MORE>가 멜론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했다. 발매 후 1시간 뒤 FLO를 제외한[20] 국내 모든 유료 음원 차트에서 1위에 올랐으며, 음반 또한 첫날 판매량 약 27만 장을 기록해 역대 여성 가수 첫날 판매량 1위를 기록하였고 초동 판매량은 약 33만 장을 달성해[21] 9개월이라는 꽤 긴 공백기를 보냈음에도 여전히 국내 팬덤의 저력과 굳건한 대중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6월 4일, H1GHR MUSIC 소속 박재범, HAON, 식케이, pH-1의 <깡> remix 버전을 공개했다. 유튜브 챌린지와 TV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출연을 통해 뜨거운 반응을 얻은 뒤 음원차트에서 매주 순위 상승을 이루며 역주행하고 있는 원곡 <깡>의 인기에 힘입어 순식간에 차트 상위권에 안착했고, 결국 오후 11시 멜론 차트 1위에 오르며 그 인기를 실감시켰다.
6월 10일 헤이즈가 미니 6집을 발매하여 더블 타이틀곡 <작사가>, <일이 너무 잘 돼>가 각각 멜론 실시간 차트 12위, 2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6위, 11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다음 날 곧바로 중하위권에서 맴도는 등 전작들에 비해 아쉬운 음원 추이를 보여주었다. 같은 날 엔플라잉, DIA도 컴백하였다. 6월 11일에는 모모랜드가 스페셜 앨범 Starry Night을 발매하였다.
6월 15일 IZ*ONE미니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환상동화>가 멜론 실시간 차트 2위로 진입한 뒤 한 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다. 음반 역시 발매 첫날 15만장 이상이 나가며 음원 뿐만 아니라 음반 강자로서의 면모 또한 보였고, 음반 발매 6일차에 전작이 기록했던 역대 걸그룹 초동 1위를 경신하였다. 같은 날 대한민국 최고의 여가수 중 한명인 이선희 역시 약 7년만에 새 앨범을 발매했다. 타이틀 곡 <안부>는 EXO의 찬열이 피쳐링에 참여해 힘을 모아서 멜론 실시간 차트 10위로 진입해 상위권에 머물고 있다.
또한 오랜만에 진정한 역주행 곡이 탄생했는데, 힙합 뮤지션 BLOO의 2017년 곡 <Downtown Baby>가 6월 14일 이효리놀면 뭐하니?에 출연하여 부른 이후 역주행을 거듭하다가 6월 18일 오전 7시 멜론 실시간 차트 1위에 등극하였다. 핑클 시절부터 여전히 최상위권인 이효리의 파급력과, 최근 몇 년간 반복된 사재기로 인한 역주행과는 확연히 다른 대중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었다.
6월 23일 세븐틴미니 7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Left & Right>가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하여 6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서고, 다른 수록곡들 역시 10등 안에 줄세우기에 성공하였다. 음반 역시 발매 첫날 46만장 이상을 팔아치웠고, 발매 5일차에 '''100만장'''을 돌파하며 보이그룹 최상급의 팬덤의 힘을 보여 주었다. 초동 100만장 돌파는 방탄소년단 이후 두 번째이며, 역대 보이그룹 초동 순위 3위에 올랐다.
6월 26일 BLACKPINK가 1년 2개월의 공백기를 깨고 디지털 싱글 <How You Like That>으로 컴백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위[22]로 진입한 뒤 한 시간만에 지붕킥을 기록하는 등 엄청난 음원 화력을 보여주며, 긴 공백기가 무색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특히 미국 iTunes Song Chart에서도 1위로 진입하는 등 블랙핑크의 글로벌한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23] 이번 싱글은 추후 발매될 정규 앨범의 선공개 싱글로, 올해 하반기 활발한 활동을 예고하여 팬들에게 기대감을 심어주었다.
6월 29일 화사미니 1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마리아 (Maria)>가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까지 올랐다. 같은 날 선미가 <보라빛 밤>으로 컴백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7위로 진입하여 최고 4위까지 올랐으며, 두 실력파 걸그룹 솔로들의 음원 대결이 눈길을 끌었다.
멜론/가온 차트 6월 1위는 아이유의 <에잇>이, 2위는 조정석의 <아로하>가, 3위는 전미도의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가 차지했다. 1위와 2위가 5월과 변하지 않았는데, 특히 <아로하>는 멜론 차트에서 4월, 5월, 6월 3달 연속 2위를 하는 진기록을 보여주었다.[24][25]

2.2.3. 3분기


  • 7월
7월 1일 지코가 미니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Summer Hate>가 멜론 실시간 차트 4위로 진입하여 다음날 아침 8시 1위에 올랐다. <아무노래>의 대흥행으로 인한 대중들의 기대감과 요즘 <깡>과 놀면 뭐하니?로 인해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의 피쳐링으로 화제를 모아 음원 차트에서 순항 중이며, 결국 1월 <아무노래>에 이어서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7월 음원상을 따내며 한 해 동안 2개의 월간 음원상을 수상하는데 성공하였다.
7월 6일 레드벨벳의 첫 유닛 레드벨벳-아이린&슬기미니 1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Monster>가 멜론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하여 6시간 만에 1위로 올라섰다. 음반 역시 발매 첫날부터 8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레드벨벳 본체보다도 많은 판매량을 보이며 흥행에 성공하였다. 같은 날 청하가 4월에 이어서 정규 1집 2번째 선공개곡 <PLAY>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3위로 진입하여 최고 7위까지 오르며 곧 발매된 정규앨범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한편, 7월 6일자로 iOS를 제외한 모든 플랫폼에서 멜론 실시간 차트가 '''24 Hits'''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었다. 멜론 측의 공식 설명에 따르면 매 시간 최근 24시간 동안의 이용량 중 스트리밍 40%+다운로드 60%를 반영한 차트로,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플랫폼에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7월 7일 아침, iOS 멜론도 업데이트 되면서 멜론 실시간 차트는 표면적으로는 사라지게 되었다.
7월 11일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결성된 유재석, 이효리, 의 3인조 프로젝트 그룹 싹쓰리가 <여름 안에서>를 발매하며[26], 멜론 실시간 차트 8위로 진입하여 다음날 3위까지 올랐다. 또 24 Hits 차트에는 21시에 67위로 차트인하여 5위권에 자리잡아, 프로그램의 흥행과 맞물려서 좋은 음원 성적을 보이고 있다.
7월 13일 EXO세훈찬열로 이루어진 유닛 그룹 EXO-SC정규 1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10억뷰>가 멜론 실시간 차트 9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까지 올랐다. 하지만 24 Hits 차트에서는 중하위권을 전전했는데 멜론 차트의 개편이 팬덤만이 주 음원소비층이었던 남자 아이돌 그룹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첫 사례가 되었다. 음반은 발매 첫날 26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자체 최고 초동 기록을 달성하였다. 같은 날 여자친구미니 9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Apple>이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였다. 음원은 전작들에 비해서 아쉬운 성적을 보였지만, 초동 기간동안 6만장 이상의 음반을 팔아치우면서 커리어하이를 달성하며, 여전히 굳건한 팬덤의 힘을 보여주었다. 7월 18일 멜론에서 3위를 유지하고 있던 <마리아 (Maria)>가 화사나 혼자 산다 출연 이후 오전 1시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로 올라섰다가, 아침부터 2위를 유지하며 음원이 나온지 3주 가량 지났음에도 좋은 유지력을 보이고 있다.
7월 18일 싹쓰리가 정식 데뷔곡 <다시 여기 바닷가>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로 곧바로 진입하고, 24 Hits 차트에서도 19시에 94위로 곧바로 진입해 다음 날 아침 1위에 오르며 프로그램의 화제성에 힘입어 폭발적인 음원 화력을 보이고 있다.
7월 22일 전소미가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며 1년만에 컴백했다. 타이틀곡 <What You Waiting For>는 멜론 실시간 차트 2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4위에 올랐다. 같은 날 소녀시대효연이 DJ HYO 이름으로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Dessert>로 컴백하였다.
7월 23일 이하이AOMG와 계약 후 첫 디지털 싱글 <홀로>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4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에 오르며, 어제에 이어 여자 솔로 가수들이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같은 날 슈퍼주니어규현이 1년 동안 계절별로 한 곡씩 발매하는 ‘PROJECT : 季’의 시작을 알리며 첫 번째 여름 싱글로 <Dreaming>을 발매하였다.
7월 25일 싹쓰리가 세번째 싱글 <그 여름을 틀어줘>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5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에 올랐다. 24 Hits 차트에서도 발매 다음날 최고 순위 4위까지 오르며 앞서 싹쓰리가 발매한 두 싱글들인 <여름 안에서>, <다시 여기 바닷가>와 함께 차트 최상위권을 독식했다.
7월의 마지막 주에도 강다니엘, 윤두준, 소유, 에이프릴, 에릭남, 제시 등 많은 가수들이 컴백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 갔다. 특히, 제시의 <눈누난나> 음원은 매주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위권에서 웃도며 2015년 <쎈언니> 이후 오랜간만에 가수로서 괄목한 성적을 보였다.
멜론 차트 7월 1위는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이, 2위는 지코의 <Summer Hate>이, 3위는 화사의 <마리아 (Maria)>가 차지했다. 반면 가온 차트 7월 1위는 <How You Like That>이, 2위는 <마리아 (Maria)>가, 3위는 <Summer Hate>가 차지했다. 세 가수 모두 4주가 넘는 기간동안 최상위권을 지키며 롱런하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7월 3일~4일 AOA의 전 멤버 권민아신지민이 자신을 10년 이상 괴롭혀왔다고 폭로해서 큰 논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신지민은 AOA를 탈퇴하는 등의 파장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AOA 지민 권민아 괴롭힘 논란 참조. 같은 날 볼빨간사춘기의 안지영과 우지윤 사이 불화설 역시 수면에 떠오르면서, 여러모로 시끄러운 주말이 되었다.
그리고 7월 17일을 마지막으로 배우 신예은골든차일드최보민뮤직뱅크 MC에서 하차하였다. 후임은 오마이걸아린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 8월
8월 1일 싹쓰리 멤버들의 솔로곡 <Linda>[27], <신난다>[28], <두리쥬와>[29]가 발매되었다. 멜론 실시간 차트에 각각 15위, 17위, 21위로 차트인 하여 세 곡 모두 10위권까지 상승하며, 싹쓰리 멤버들의 화제성과 음원 파워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특히 <Linda>는 <다시 여기 바닷가>에 이어 멜론에서 최고 순위 2위까지 오르고 그외 음원차트에서는 1위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8월 3일 (여자)아이들이 싱글 <DUMDi DUMDi>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2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6위에 올랐다. 이후 중위권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역주행하며 발매 2주가 넘은 8월 19일 0시에 최고 순위를 5위로 경신하였다. 같은 날 강다니엘이 지난 7월 발매한 선공개곡에 이어 미니 2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깨워 (Who U Are)>가 멜론 실시간 차트 53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48위에 올랐다.
8월 7일 YG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12인조 보이그룹 트레저첫번째 싱글을 발매하며 마침내 데뷔했다. 타이틀곡 <BOY>는 그간 항상 데뷔하자마자 음원차트 1위를 차지했던 YG엔터테인먼트의 선배 아이돌들과 다르게 유의미한 음원 성적을 보이지 못하며 국내에서는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뜨거운 반응을 보이며 높은 유튜브 조회수를 보였다. 또한 음반 역시 발매 첫날 12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신인답지 않은 판매량으로 눈길을 끌었다.
8월 11일 AOA의 전 메인보컬 초아가 그룹 탈퇴 이후 3년여만에 드라마 그놈이 그놈이다 OST <난 여기 있어요>를 발매하며 가요계 복귀에 시동을 걸며, 화제가 되었다. 이후 신생 기획사와 계약을 했다는 기사가 올라오며 가요계 복귀가 확실시 되었다. 8월 12일에는 박진영선미와 디지털 싱글 <When We Disco>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최고 순위 3위에 올랐다.
8월 17일 ITZY미니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Not Shy>가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에 올랐다. 음반 역시 발매 4일차에 10만장을 돌파하며 초동 10만장을 돌파한 6번째 걸그룹이 되며 팬덤의 힘을 입증하였다. 같은 날 구구단세정이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Whale>이 멜론 실시간 차트 6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5위에 올랐으며, 드림캐쳐 또한 미니 5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Boca>로 컴백하였다.
8월 21일 방탄소년단이 디지털 싱글 <Dynamite>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위로 가볍게 진입한 뒤, 24 Hits 차트에서도 발매 한 시간만에 곧바로 75위로 진입하여 발매 후 5일이 지난 8월 26일 4시 1위에 올라서며, 영어곡임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음원 화력을 보여주며 굳건한 팬덤의 힘을 증명하였다. 위의 몇 사례를 보았듯이 팬덤의 힘으로 24 Hits 1위를 오르는 것은 불가능한데, 그런 의미에서 이번 노래는 대중성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매 후 24시간 유튜브 최다 조회수''', '''글로벌 스포티파이 1위 진입''', '''스포티파이에서 2020년 발표된 노래 중 가장 높은 첫날 스트리밍 기록''' 등 여러 굵직한 기록들을 다시 한 번 세우며 점점 더 세계적으로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2020년 9월 5일자 '''빌보드 싱글 차트 1위'''를 달성하며 한국인 최초로 빌보드 1위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남기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의 히트곡이 되었다.
8월 23일 규현이 다음 웹툰 취향저격 그녀의 OST <내 마음이 움찔했던 순간>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위에 올랐다. 지난 7월에 발매한 산들이 부른 같은 웹툰의 OST <취기를 빌려> 역시 발매 후 한 달이 지나서 최고 순위 '''2위'''까지 오르는 등 롱런하는 모습을 보이며, 두 OST 모두 차트 상위권에 자리잡는데 성공하였다.
8월 28일 BLACKPINK가 정규 1집 발매를 위한 2번째 싱글로 <Ice Cream>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6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까지 올랐다. 또한 2020년 9월 12일자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13위로 데뷔하여 블랙핑크의 싱글들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다. 이번 디지털 싱글은 셀레나 고메즈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여 화제가 되며 10월에 발매될 정규 앨범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끌어올렸다.
멜론 차트 8월 1위는 싹쓰리의 <다시 여기 바닷가>가, 2위는 화사의 <마리아 (Maria)>가, 3위는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이 차지하였다. 반면 가온 차트 8월 1위는 <다시 여기 바닷가>가, 2위는 <마리아 (Maria)>가, 3위는 싹쓰리의 <그 여름을 틀어줘>가 차지하였다. 5주가 넘는 기간 동안 1위를 지킨 싹쓰리의 음원 파워와, 7월부터 롱런 중인 화사와 블랙핑크의 활약이 돋보이는 대목이었다.

  • 9월
9월 1일 러블리즈가 1년 4개월의 공백기를 깨고 미니 7집을 발매하여 컴백하였다. 타이틀곡 <Obliviate>는 멜론 실시간 차트 3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9위에 올랐다. 9월 3일에는 슈퍼주니어-D&E미니 4집을 발매하였다. 타이틀곡 <B.A.D>는 멜론 실시간 차트 진입에는 실패했지만, 음반은 발매 첫날 14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15년이라는 연차가 무색한 탄탄한 팬덤을 입증하였다.
9월 7일 오마이걸유아솔로 데뷔 앨범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숲의 아이 (Bon voyage)>가 멜론 실시간 차트 20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2위에 올랐다. 같은 날 샤이니태민정규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Criminal>이 24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3위에 올랐다. 에이핑크김남주 역시 솔로 데뷔 싱글 <Bird>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90위로 진입하며, 아이돌 출신 솔로 가수들이 음원 대결을 펼쳤다.
9월 9일 오반이 디지털 싱글 <축하해>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2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5위에 올랐다. 지니 차트에서는 2위까지 오르며 지난 3월에 발매한 <어떻게 지내>에 이어 또 한 번 사재기 논란이 소소하게 일었다.
9월 15일 태연SBS 드라마 브람스를 좋아하세요?의 OST <내일은 고백할게>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5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0위에 올랐고 그외 차트는 1위까지 오르며 믿고 듣는 OST퀸임을 증명했다. 같은 날 청하tvN 드라마 청춘기록의 OST <You're In My Soul>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00위로 진입하였다.
9월 18일 트레저두 번째 싱글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사랑해>로 한 달만에 초고속으로 컴백하였다. 멜론 차트에서는 아쉽게 진입하지 못하였지만, 음반은 짧은 컴백텀에도 불구하고 하루만에 11만장 이상을 팔아치우고 발매 6일차엔 자체 최고 초동 기록을 달성하는 등, 탄탄한 팬덤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9월 21일 더보이즈미니 5집을 발매하여 로드 투 킹덤 우승 이후 약 3개월만에 컴백하였다. 타이틀곡 <The Stealer>는 멜론 실시간 차트 12위로 진입하여 최고 5위에 올랐고, 음반 역시 초동 기간에만 20만장 이상을 팔며 자체 최고 초동 기록을 달성하며 로드 투 킹덤 이후 늘어난 팬덤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날 에버글로우미니 2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LA DI DA>로 컴백하였다.
9월 22일 10cm가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Tight>가 멜론 실시간 차트 10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위에 오르며 음원강자 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같은 날 백현청춘기록 OST <나의 시간을>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2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4위에 올랐고, IZ*ONE조유리가 데뷔 후 처음으로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OST <My Love>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65위로 진입하였다.
또한, 스탠딩에그의 2012년 발매곡 <오래된 노래>가 임영웅이 TV조선 예능 프로그램 사랑의 콜센타에서 부른 이후로 8월부터 서서히 역주행하기 시작하여 9월 23일 23시에 최고 순위 4위를 달성하였다.
9월 27일 정은지가 다음 웹툰 취향저격 그녀의 OST <너의 밤은 어때>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20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위에 올랐다. 앞서 발매한 산들, 규현과 함께 차트 최상위권에 자리잡으며 믿고 듣는 OST 라인업을 완성시켰다. 같은 날 헤이즈펀치브람스를 좋아하세요? OST <밤하늘의 저 별처럼>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40위로 진입하여 7위까지 올랐다.
멜론/가온 차트 9월 1위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2위는 산들의 <취기를 빌려>가, 3위는 제시의 <눈누난나>가 차지하였다. 9월에 뚜렷한 음원강자의 컴백이 없었던 관계로 8월부터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오던 3곡이 상위권을 차지하였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9월 28일 한 네티즌이 자신이 박경에게 학교폭력으로 시달렸음을 폭로해 큰 논란이 되었다. 작년 11월 사재기 저격 발언으로 꽤 많은 대중들의 지지를 받았었지만, 사건 이후 그에 대한 여론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나빠지고 말았다. 그 와중에 송하예의 소속사 대표가 꾸민 일이라는 논란이 제기되는 등 많은 후폭풍이 있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2.2.4. 4분기


  • 10월
10월 2일 BLACKPINK가 데뷔 후 4년 만에 정규 1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Lovesick Girls>가 멜론 실시간 차트 3위로 진입하여 최고 2위까지 올랐다. 24 Hits 차트에서도 다음 날 오후 3위까지 빠르게 오르고 최고 순위 2위를 찍으며, 첫 정규앨범다운 성적을 보여주었다. 음반 역시 '''단 하루 만에 589,3**장을 판매하며 역대 걸그룹 초동, 총판 기록을 모두 갈아치우고, 총 689,0**장'''을 판매하며 '''역대 여자가수 초동 1위'''를 달성했다. 이후 북미/유럽 판매량까지 더해 앨범 발매한지 한달도 안 되어 총 판매량 '''120만장''' 판매고를 돌파하며 가요계 역사상 여가수로서는 90년대 초반 김완선에 이어 수십년만에 등장한 2번째 밀리언셀러이며 역대 K-POP 걸그룹 음반 판매량 1위를 갱신했다.
10월 5일을 기준으로 멜론 역사상 새로운 기록들이 나왔다. 우선 화사의 <마리아 (Maria)>가 '''14주 연속''' 주간 차트 TOP5에 차트인하며 '''주간 차트 TOP5 연속 차트인 역대 1위'''의 기록을 세웠다.[30] 또한, 10월 12일 아이유의 <에잇>의 경우 '''23주 연속''' TOP10에 차트인하며 '''주간 차트 TOP10 연속 차트인 역대 1위''' 기록을 세우며[31] 두 곡 다 어마어마한 롱런을 보여주었다.
10월 6일 에일리미니 5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우리 사랑한 동안>이 멜론 실시간 차트 5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3위에 올랐다. 같은 날 매드 클라운이 프로듀싱 EP를 발매하여, 래퍼가 아닌 프로듀서로써의 역량을 증명하며 호평을 받았다.
10월 8일 FNC엔터테인먼트의 보이그룹 P1Harmony가 포스트 아포칼립스장르의 세계관영화인 피원에이치(P1H): 새로운 세계의 시작을 공개했다.
규현이 ‘PROJECT : 季’의 일환으로 지난 7월에 이어 가을 싱글 <내 마음을 누르는 일 (Daystar)>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3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7위에 올랐다. 같은 날 위키미키미니 4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COOL>로 컴백하였다.
10월 10일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결성된 엄정화, 이효리, 제시, 화사의 4인조 프로젝트 그룹 환불원정대가 데뷔 싱글 <DON'T TOUCH ME>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2위로 진입하여 1시간만에 1위에 오르며, 싹쓰리의 바통을 이어받아 높은 화제성을 입증하였다.[32] 24 Hits 차트에서도 발매 2시간 만에 53위로 곧바로 진입하여 다음날 15시 1위에 오르며, 폭발적인 음원 성적을 보여주었다.
10월 12일 NCT가 모든 멤버들이 참여한 완전체 정규 2집이 발매되어 타이틀곡 <Make A Wish (Birthday Song)>이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위에 올랐다. 음반 또한 발매 첫날부터 30만장 이상을, 총 초동 판매량은 64만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눈에 띄게 늘어난 팬덤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10월 13일자 빌보드 싱글차트에서 방탄소년단이 참여한 Jawsh 685, Jason Derulo의 <Savage Love>의 리믹스 버젼이 '''1위'''에 오르며, 방탄소년단의 2번째 빌보드 1위곡이 탄생하였다. 이에 따라 <Savage Love>가 멜론 실시간 차트 5위권까지 상승하였고, 24 Hits 차트에서도 10위내에 진입하는 등 화제가 되었다.
10월 14일 로꼬가 제대 후 처음으로 EP를 발매하여 헤이즈가 피쳐링한 타이틀곡 <잠이 들어야>가 멜론 실시간 차트 10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6위에 올랐다. 24 Hits 차트에서도 4시간 만에 9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15위에 올랐다. 10월 16일에는 AKMU이수현이 데뷔 후 6년만에 솔로 데뷔 싱글 <ALIEN>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였다.
10월 19일 세븐틴스페셜 앨범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HOME;RUN>이 멜론 실시간 차트 5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에 올랐다. 음반 역시 짧은 컴백텀에도 불구하고 93만장 이상의 초동을 달성해 독보적인 음반 판매량을 자랑하였다. 같은 날 임창정정규 16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힘든 건 사랑이 아니다>가 멜론 실시간 차트 8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에 올랐다. 24 Hits 차트에서도 최고 2위까지 오르며, 발라드의 계절이 돌아왔음을 느낄 수 있었다. 같은 날 B1A4도 3년 만에 정규 4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영화처럼>이 멜론 실시간 차트 62위로 진입하였다.
10월 20일 크러쉬가 입대를 앞두고 마지막으로 EP를 발매하여 태연과 함께한 타이틀곡 <놓아줘>로 컴백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4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3위에 올랐다. 24 Hits 차트에서도 최고 5위까지 오르며 믿고 듣는 음원강자들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날 마마무미니 10집 발매에 앞서 선공개곡 <딩가딩가 (Dingga)>를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9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7위에 올랐다.
10월 24일 자정 장범준히든 싱어 탈락 공약의 일환으로 디지털 싱글 <잠이 오질 않네요>를 기습 발매하였다. <잠이 오질 않네요>는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5위에 올랐고, 24 Hits 차트에서도 최고 3위까지 올랐다.
10월 26일 TWICE정규 2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I CAN'T STOP ME>가 멜론 실시간 차트 6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5위에 올랐다. 같은 날 투모로우바이투게더미니 3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5시 53분의 하늘에서 발견한 너와 나>가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7위에 올랐다.
10월 28일 10월8일 세계관영화를 먼저 선보인 P1Harmony가 오후 6시 첫번째 미니앨범인 DISHARMONY: STAND OUT을 발표했다. 데뷔와 동시에 포브스,빌보드 등 여러 곳에서 글로벌 루키의 탄생을 집중조명했다.
폴킴이 디지털 싱글 <너도 아는>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0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4위에 올랐고, 24Hits 차트에서도 최고 12위까지 올랐다.
멜론 차트 10월 1위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2위는 블랙핑크의 <Lovesick Girls>가, 3위는 환불원정대의 <DON'T TOUCH ME>가 차지하였다. 특히 <Dynamite>는 1위에서 내려온 뒤 다시 한 번 1위를 탈환하며, 그 저력을 보여주었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10월 20일 한 에디터가 자신의 SNS에 레드벨벳아이린에게 갑질을 당했음을 폭로하여 큰 논란이 되었고, 결국 22일 아이린이 사과문을 올리며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자세한 건 레드벨벳 아이린 갑질 사건 참조. 또한 10월 29일에는 EXO찬열의 전 여자친구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그의 문란한 사생활을 폭로하여 또 한 번 논란이 일었다. 찬열은 현재까지 별다른 입장 표명을 하진 않은 상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11월
11월 3일 마마무미니 10집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AYA>가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7위에 올랐다. 24Hits 차트에서도 최고 순위 29위에 오르며, 전작들에 비해서 약간 아쉬운 음원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음반 발매 하루만에 10만장 이상이 팔리며 데뷔 이후 최초로 초동 판매량 10만장을 돌파하며[33], 더욱 단단해진 팬덤을 입증하였다.
11월 4일 볼빨간사춘기싱글 앨범을 발매하여 타이틀곡 <Dancing Cartoon>이 멜론 실시간 차트 9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7위에 올랐다. 24Hits 차트에서는 최고 순위 17위에 올랐다.
11월 6일 밴드 잔나비가 오랜 공백을 깨고 1년 8개월만에 새 미니앨범으로 컴백했다. 타이틀곡 <가을밤에 든 생각>이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 하여 최고 순위 4위에 올랐고, 24Hits 차트에서 최고 순위 19위까지 달성하였으며 그 외 음원 사이트에서는 1위를 달성하였다.
11월 9일 여자친구정규 3집을 발매하여, 멜론 실시간 차트 11위로 진입하였다. 허나 24Hits 차트에선 90위권대에 머무르다 차트 아웃했고, 음반 판매량도 전작은 물론 전전작보다도 줄어들면서 팬덤 붕괴가 나타나고 있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자친구의 국내 팬덤 연령대가 다른 걸그룹 팬덤들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음반 판매량이나 스트리밍 순위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점을 감안해도, 최근 걸그룹들이 대부분 음반 판매량에 있어서 상승세를 타고 있는 점에 비하면 매우 대비되는 부분. 일각에선 호불호가 갈리는 컨셉 변화, 2019년 하반기부터 계속되고 있는 MBC 출연 불발 등 빅히트 인수 이후의 행보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실망한 팬들이 대거 이탈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1월 12일 STAYC데뷔 싱글을 발매했다. 벅스 차트에서 최고 순위 17위에 오르는 등 음원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데뷔 싱글임에도 초동 10000장을 넘겼다.
11월 16일 BTOB의 두 번째 유닛 BTOB 4U데뷔 앨범을 발매하였다.
11월 17일 aespa데뷔 디지털 싱글을 발매했다. 레드벨벳 이후 첫 나오는 걸그룹답게 관심이 컸으며 K-POP 음악그룹 데뷔 뮤직비디오 조회수 1위를 차지하였다. 같은 날 모모랜드싱글 3집으로 컴백하였다.
11월 20일 방탄소년단스페셜 앨범을 발매했다. 앨범 종류 한장이라는 불리한 조건에서도 초동이 200만장을 훌쩍 넘기며 진행중이고 음원성적도 24hits 100위로 타이틀곡 Life Goes On이 진입한 이후 계속해서 상승하여 전곡 24hits 차트인[34] Life Goes On은 1위곡 Dynamite에 이어 멜론 차트 2위를 기록하며 '''멜론차트 개편이후 첫 줄세우기'''를 보여주었다.
11월 21일 쇼미더머니 9의 음원 미션이 올라왔는데, 지난 시즌과는 달리 높은 화제성을 보여주었고, 그 중 VVS는 실시간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더니 '''24 Hits 차트에서도 1위를 기록하였다!'''
멜론, 가온 차트 11월 1위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2위는 임창정의 <힘든 건 사랑이 아니다>가, 3위는 블랙핑크의 <Lovesick Girls>가 차지하였다.

  • 12월
  • 2월 7일 IZ*ONE미니 4집을 발매했다. 또한 이날 Melon차트 역사상 최초로 방탄소년단 <Dynamite>가 15주 연속 주간차트 TOP5에 진입하며 주간차트 TOP5 연속 차트인 역대 1위의 기록을 세웠다.[35][36] 12월 10일 백예린정규 2집을 발매했다. 전 정규앨범보다는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지만, 다수의 수록곡이 24 Hits 차트와 일간 차트에 진입하면서 여전한 음원파워를 보여주었다. 12월 15일 태연미니 4집을 발매했다. 수록곡 전 곡이 멜론 24Hits 차트에 진입했고, Galaxy를 제외한 모든 곡이 일간 차트에도 진입에 성공하여 또 하나의 기록을 써내려갔다.[37] 12월 18일 TWICE 디지털 싱글을 발매했다. 12월 24일 머라이어 캐리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크리스마스 이브 19시의 24Hits 차트 1위를 차지하였다. 12월 25일 일간 TOP 10에 캐롤이 5곡이 올라오며, 캐롤이 다소 부진했던 2019년에 비해 매우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멜론 차트 12월 1위는 쇼미더머니 9의 가, 2위는 방탄소년단의 가, 3위는 장범준의 <잠이 오질 않네요>가 차지하였다. 한편 가온 차트 12월 1위는 쇼미더머니 9의 가, 2위는 방탄소년단의 가, 3위는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2020)>가 차지하였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12월 초 아이돌들의 연쇄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있었다. 업텐션비토고결, 에버글로우시현이런, 솔로가수 청하, 골든차일드 봉재현 등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 여파로 인해 2021 설 아육대가 조기에 취소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그리고 12월 30일을 끝으로 구구단이 해체되면서, I.O.I 파생 그룹 중 프리스틴에 이어 두 번째로 비참한 결말을 맺었다. === 연간 차트 === ==== 멜론 차트 ==== ||<-7> {{{#white 2020년 멜론 연간 차트[38][* 주간/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재, 좋아요수는 발표일 기준으로 이후 수정하지 말 것]}}} || || 연간순위 || 아티스트명 || 곡명 || 좋아요수 || 주간순위 || 월간순위 || 앨범명 || || 1위 || 지코 || 아무노래 || 252,500 || 8주 1위 || 1위 || 아무노래 || || 2위 || 창모 || METEOR || 249,362 || 2주 1위 || 1위 || Boyhood || || 3위 || 조정석 || 아로하 || 209,279 || 3주 1위 || 2위 ||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Part 3 || || 4위 || 장범준 ||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 276,282 || - || - || 멜로가 체질 OST Part 3 || || 5위 || 아이유 || 에잇(Prod.&Feat. SUGA of BTS) || 341,593 || 5주 1위 || 1위 || 에잇 || || 6위 || 아이유 || Blueming || 287,860 || - || - || Love poem || || 7위 || 노을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173,717 || - || -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 8위 || 가호 || 시작 || 203,878 || 2주 1위 || 1위 || 이태원 클라쓰 OST Part.2 || || 9위 ||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 409,678 || - || - || MAP OF THE SOUL : PERSONA || || 10위 || 레드벨벳 || Psycho || 210,238 || 2위 || - || 'The ReVe Festival' Finale || ==== 가온 차트 ==== ||<-7> 2020년 가온 연간 차트[39][40] || || 연간순위 || 아티스트명 || 곡명 || 가온지수 || 주간순위 || 월간순위 || 앨범명 || || 1위 || 지코 || 아무노래 || 991,888,968 || 7주 1위 || 1위 || 아무노래 || || 2위 || 창모 || METEOR || 922,076,675 || 2주 1위 || 1위 || Boyhood || || 3위 || 조정석 || 아로하 || 869,270,427 || 3주 1위 || 1위 ||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Part.3 || || 4위 || 장범준 ||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 915,887,603 || - || - || 멜로가 체질 OST Part.3 || || 5위 || 아이유 || Blueming || 837,811,392 || - || - || Love poem || || 6위 || 아이유 || 에잇 (Prod.&Feat. SUGA of BTS) || 822,502,029 || 4주 1위 || 2달 1위 || 에잇 || || 7위 || 노을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733,352,695 || - || -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 8위 || AKMU ||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 694,652,782 || - || - || 항해 || || 9위 || 레드벨벳 || Psycho || 693,910,356 || 2위 || - || 'The ReVe Festival' Finale || || 10위 || 가호 || 시작 || 693,685,582 || 3주 1위 || 1위 || 이태원 클라쓰 OST Part.2 || === 1위 곡 목록 === ==== 멜론 차트 ==== ||<-5> 멜론차트 1위 곡 목록 || || || 가수 || 일간 1위 횟수 || 주간 1위 횟수 || 월간 1위 || || METEOR || 창모 (CHANGMO) || 12일[41] || 2주[42] || 1월 1위 || || 아무노래 || 지코 (ZICO) || 52일 || 8주 || 2월 1위 || || 마음을 드려요 || 아이유 || 10일 || 1주 || - || || 시작 || 가호 (Gaho) || 11일 || 2주 || 3월 1위 || || 처음처럼 || 엠씨더맥스 (M.C the MAX) || 19일 || 2주 || 4월 1위 || || 덤더럼(Dumhdurum) || Apink (에이핑크) || 1일 || - || - || || 아로하 || 조정석 || 20일 || 3주 || - || || 우리 만남이 || 폴킴 || 1일 || - || - || || 에잇(Prod.&Feat. SUGA of BTS) || 아이유 || 33일 || 5주 || 5월 1위
    6월 1위 || ||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 || 전미도 || 5일 || 1주 || - || || MORE & MORE || TWICE || 1일 || - || - || || 깡 Official remix || 식케이 (Sik-K), pH-1, 박재범, 김하온 (HAON) || 4일 || - || - || || Downtown Baby || 블루 (BLOO) || 8일 || 2주 || - || || How You Like That || BLACKPINK || 21일 || 3주 || 7월 1위 || || Summer Hate (Feat. 비) || 지코 (ZICO) || 1일 || - || - || || 다시 여기 바닷가 || 싹쓰리 (유두래곤, 린다G, 비룡) || 39일 || 5주 || 8월 1위 || || Dynamite || 방탄소년단 || 75일 || 11주[43] || 9월 1위
    10월 1위
    11월 1위 || || DON’T TOUCH ME || 환불원정대 || 14일 || 2주 || - || || VVS (Feat. JUSTHIS) (Prod. GroovyRoom)[44] || 미란이, 먼치맨, Khundi Panda, 머쉬베놈 || 37일 || 5주 || 12월 1위 || ||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Mariah Carey || 2일[45] || - || - || ==== 가온 차트 ==== ||<-5> 가온 디지털 차트 1위 곡 목록 || || || 가수 || 주간 1위 횟수 || 월간 1위 || 월간 음원상[46] || || METEOR || 창모 (CHANGMO) || 2주[47] || 1월 1위 || - || || 아무노래 || 지코 (ZICO) || 7주 || 2월 1위 || 1월 1위 || || 마음을 드려요 || 아이유 || 1주 || - || - || || ON || 방탄소년단 || 1주 || - || 2월 1위 || || 시작 || 가호 (Gaho) || 3주 || 3월 1위 || - || || 처음처럼 || 엠씨더맥스 (M.C the MAX) || 1주 || - || 3월 1위 || || 아로하 || 조정석 || 3주 || 4월 1위 || - || || 살짝 설렜어 (Nonstop) || 오마이걸 || - || - || 4월 1위 || || 에잇(Prod.&Feat. SUGA of BTS) || 아이유 || 4주 || 5월 1위
    6월 1위 || 5월 1위 || ||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 || 전미도 || 2주 || - || - || || Downtown Baby || 블루 (BLOO) || 2주 || - || - || || How You Like That || BLACKPINK || 3주 || 7월 1위 || 6월 1위 || || Summer Hate (Feat. 비) || 지코 (ZICO) || - || - || 7월 1위 || || 다시 여기 바닷가 || 싹쓰리 (유두래곤, 린다G, 비룡) || 5주 || 8월 1위 || - || || Dynamite || 방탄소년단 || 11주 || 9월 1위
    10월 1위
    11월 1위 || 8월 1위 || || Bad Boy || 청하, Christopher || - || - || 9월 1위 || || Lovesick Girls || BLACKPINK || - || - || 10월 1위 || || DON’T TOUCH ME || 환불원정대 || 2주 || - || - || || Life Goes On || 방탄소년단 || - || - || 11월 1위 || || VVS (Feat. JUSTHIS) (Prod. GroovyRoom) || 미란이, 먼치맨, Khundi Panda, 머쉬베놈 || 5주 || 12월 1위 || - || || What Do I Call You || 태연 (TAEYEON) || - || - || 12월 1위 || === 음악방송 1위곡 목록 === ||<-10> 지상파 음악방송 1위곡 목록[48][49][50] || ||<|2><-2> 시기 ||<-2> KBS 뮤직뱅크 ||<-2> MBC 쇼! 음악중심 ||<-2> SBS 인기가요 || || 가수 || 곡명 || 가수 || 곡명 || 가수 || 곡명 || ||<|4> 1월 || 1주 || 레드벨벳 || Psycho || 레드벨벳 || Psycho || 레드벨벳 || Psycho || || 2주 || 레드벨벳 || Psycho || 레드벨벳 || Psycho || 레드벨벳 || Psycho || || 3주 || SF9 || Good Guy || 레드벨벳 || Psycho || 레드벨벳 || Psycho || || 4주 || 레드벨벳 || Psycho ||<-2> 결방 || 지코 || 아무노래 || ||<|5> 2월 || 1주 || 지코 || 아무노래 || 지코 || 아무노래 || 지코 || 아무노래 || || 2주 || 지코 || 아무노래 || 지코 || 아무노래 || 지코 || 아무노래 || || 3주 || 여자친구 || 교차로 || 지코 || 아무노래 || 여자친구 || 교차로 || || 4주 || 지코 || 아무노래 || 지코 || 아무노래 || 노을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 || 5주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4> 3월 || 1주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 2주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 3주 || 방탄소년단 || ON || 방탄소년단 || ON || ITZY || WANNABE || || 4주 || NCT 127 || 영웅 || 방탄소년단 || ON || ITZY || WANNABE || ||<|4> 4월 || 1주 || 강다니엘 || 2U || 강다니엘 || 2U || ITZY || WANNABE || || 2주 || 수호 || 사랑, 하자 || 수호 || 사랑, 하자 || 수호 || 사랑, 하자 || || 3주 || (여자)아이들 || Oh my god || (여자)아이들 || Oh my god || (여자)아이들 || Oh my god || || 4주 || 에이핑크 || 덤더럼 || 에이핑크 || 덤더럼 || 에이핑크 || 덤더럼 || ||<|5> 5월 || 1주 || GOT7 || NOT BY
    THE MOON
    || 에이핑크 || 덤더럼 || 에이핑크 || 덤더럼 || || 2주 || NCT DREAM || Ridin' || 오마이걸 || 살짝 설렜어 || 오마이걸 || 살짝 설렜어 || || 3주 || 오마이걸 || 살짝 설렜어 ||<-2> 결방 || 아이유 || 에잇 || || 4주 || 뉴이스트 || I’m in Trouble || 뉴이스트 || I’m in Trouble || 아이유 || 에잇 || || 5주 || NCT 127 || Punch || NCT 127 || Punch || 아이유 || 에잇 || ||<|4> 6월 || 1주 || 백현 || Candy ||<-2> 결방 || 백현 || Candy || || 2주 || TWICE || MORE & MORE || TWICE || MORE & MORE || TWICE || MORE & MORE || || 3주 || TWICE || MORE & MORE || TWICE || MORE & MORE || TWICE || MORE & MORE || || 4주 || IZ*ONE || 환상동화 || IZ*ONE || 환상동화 || IZ*ONE || 환상동화 || ||<|4> 7월 || 1주 || 세븐틴 || Left & Right || 세븐틴 || Left & Right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 2주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 3주 || 레드벨벳-아이린&슬기 || Monster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 4주 || 세훈&찬열 || 10억뷰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화사 || 마리아 || ||<|5> 8월 || 1주 || 블랙핑크 || How You Like That || 싹쓰리 || 다시 여기 바닷가 || 화사 || 마리아 || || 2주 || 화사 || 마리아 ||<-2> 결방 || 화사 || 마리아 || || 3주 || 강다니엘 || 깨워 || 강다니엘 || 깨워 || (여자)아이들 || 덤디덤디 || || 4주 || 화사 || 마리아 || 싹쓰리 || 다시 여기 바닷가 || (여자)아이들 || 덤디덤디 || || 5주 || ITZY || Not Shy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4> 9월 || 1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 2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 3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블랙핑크 || Ice Cream || || 4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블랙핑크 || Ice Cream || ||<|5> 10월 || 1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2> 결방 || 블랙핑크 || Ice Cream || || 2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블랙핑크 || Lovesick Girls || || 3주 || 블랙핑크 || Lovesick Girls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블랙핑크 || Lovesick Girls || || 4주 || NCT U || Make A Wish ||<-2> 결방 || 블랙핑크 || Lovesick Girls || || 5주 || 세븐틴 || HOME;RUN || 방탄소년단 || Dynamite || 세븐틴 || HOME;RUN || ||<|4> 11월 || 1주 || TWICE || I CAN’T STOP M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TWICE || I CAN'T STOP ME || || 2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Dynamite || TWICE || I CAN'T STOP ME || || 3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2> 미집계 || 태민 || 이데아 (IDEA:理想) || || 4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4> 12월 || 1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 2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방탄소년단 || Life Goes On || || 3주 || IZ*ONE || Panorama ||<-2> 결방 || IZ*ONE || Panorama || || 4주 || 방탄소년단 || Dynamite ||<-2> 결방 || 태연 || What Do I Call You || 방탄소년단가 25관왕을, 이 12관왕을 달성하며 여전히 기복 없는 인기를 자랑했다. 지코가 <아무노래>를 통해 별다른 활동 없이 음원 성적만으로 10관왕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고, 레드벨벳 역시 가 연초부터 음악방송 1위를 휩쓸며 총 9관왕을 달성하였다. 그 아래로는 블랙핑크이 8관왕을, TWICE, 방탄소년단이 6관왕을, 에이핑크의 <덤더럼>과 화사의 <마리아>가 5관왕을 달성했다. 후반기 1위를 달성한 가수의 숫자가 적은 편인데,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방탄소년단이 를 앞세운 압도적인 음원 성적으로 1위를 쓸어가버리는 일이 일어나서 그렇다. 그나마 3주 퇴출이 있는 인기가요는 어느 정도 다양한 가수들이 1위를 한 편이다. === 분석 및 총평 === 2019년까지 성행했던 음원 사재기는 잠잠해졌고[51], 코로나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집콕 등으로 중장년층 이상의 TV 시청 시간이 늘어나며 트로트와 복고 열풍이 대중문화계를 집어삼켰다. 또한 눈에 띄는 부분으로, 2019년보다 흥행하는 힙합 곡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보통 한국 가요계에서는 발라드나 댄스팝 곡이 제일 인기가 많은 장르이고, 힙합은 발라드와 팝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트의 상위권에서는 보기 힘든 장르였다. 한국 가요계에서 힙합 장르로 메인 스트림에 진출하더라도 빅뱅, 블랙핑크와 같이 팝과 어우러진 복합 장르의 형태로 나타나거나 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리쌍과 같이 R&B류 힙합이 주를 이루었다. 랩 뮤직의 힙합이 차트를 차지한 경우가 흔치 않은데 그중 쇼미더머니가 대표적이다. 하나 쇼미더머니가 방영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힙합곡[52]들이 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힙합 이상으로 음원 차트를 지배한 것이 바로 각종 드라마의 OST들이었다.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해서 사랑의 불시착, 낭만닥터 김사부 2, 이태원 클라쓰, 슬기로운 의사생활 등 각종 드라마의 소비량이 급증했고, 그로 인해서 많은 드라마 OST들이 음원 차트 최상위권을 점령했다. 대표적으로 아이유의 <마음을 드려요>, 가호의 <시작>, 조정석의 <아로하>, 전미도의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가 멜론 차트 1위에 올랐으며 그 외에도 백현의 <너를 사랑하고 있어>, 백예린의 <다시 난, 여기>, 크러쉬의 <둘만의 세상으로 가>, 김필의 <그때 그 아인>, 하현우의 <돌덩이>, 조이의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등이 상위권에서 롱런했다. 2019년 음원 사재기 등의 영향으로 완전히 침체되어 있었던 팝 장르 곡들이 다시 부흥했으나 차트 개편 이후 많은 가수들이 쉽사리 차트에 오르기 어려워졌다. 2016년부터 명실상부 국내 대표 걸그룹으로 불리였던 트와이스는 2019년부터 음원차트에서 상대적으로 미약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걸그룹 대표 음원강자였던 마마무 역시 개편된 음원시장 속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Psycho로 뛰어난 음원 성적을 보였던 레드벨벳 역시 멤버 아이린의 논란으로 인해 앞으로의 활동 역시 이어나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그와 반대로 데뷔 9년차를 맞이한 에이핑크가 5년만에 다시 차트 1위를 차지하며 가는 롱런을 보여주었고 오마이걸 또한 타이틀곡 <살짝 설렜어>와 수록곡 모두 우수한 음원 성적을 보이며 데뷔 5년 만에 가요계 정상에 올라섰다.[53] 매번 새로운 기록을 경신해나가며 국내외 통틀어 음반, 음원, 화제성 모든 분야에서 블랙핑크의 독보적인 질주가 돋보인 해였다 그 외 아이유의 <에잇>도 팝록 장르의 곡으로써 좋은 음원 성적을 보여주었으며 2019년에 발매한 또한 꾸준히 중상위권을 유지하며 엄청난 롱런 파워를 보이고 있다. 화사의 <마리아>와 제시의 <눈누난나> 역시 우수한 음원 성적으로 올해 가장 흥한 댄스팝 곡들 중 가장 두드러진다. 또한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초대박을 치면서 2019년부터 이어져온 트로트 열풍을 한 층 더 끌어올렸다. 음원 차트 상위권에도 미스터트롯 출연진들이 부른 노래들이 상위권에 대거 오르기도 했고, 특히 미스터트롯을 통해서 중장년층이 스트리밍, 유튜브 등 동영상 조회수 올리기 등 아이돌 팬덤의 홍보 방식을 따르게 되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화력은 보통 아이돌 팬덤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수준이다. 실제로 MBC 쇼! 음악중심 2020년 4월 11일 방송에 특별 출연한 영탁임영웅의 무대들은 80만대의 조회수를 기록 중인데, 이는 같은 날 출연한 다른 인기 아이돌 무대들의 조회수보다 10배에서 심한 경우 2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게다가 미스터트롯 TOP7 출연진들이나, 기타 트로트 가수들이 방송에 나오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여러 방송들도 자체 최고 시청률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고, 방송국들도 자연스럽게 다양한 트로트 관련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에 예능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하던 아이돌들은 섭외 일선에서 밀려나버렸고, 이는 20~30대에서마저도 아이돌 관심도가 많이 사라지게 만들었다. 당연히 아이돌 팬덤은 이러한 상황을 만든 주범이라고 할 수 있는 TV조선, 그리고 유산슬로 트로트 붐의 전조를 깔아놓은 놀면 뭐하니?에 이를 갈고 있다. 그럼에도 트로트 팬덤은 트로트만 보면 그만이라는 태도로 어그로를 끌고 있으며, 걸핏하면 여기저기서 나오는 트로트에 식상함과 염증을 느껴 아예 TV를 안 보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정작 트로트 가수 중 누구도 음원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지 못하고 잘해야 중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하나 음반 부문으로 오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9월 말 발매한 김호중의 정규앨범 <우리家>가 초동 주 첫날 판매량부터 당시 걸그룹 음반 초동 1위 기록을 아득히 눌러버리고 최종 초동 판매량도 53만장 가량 기록하면서 아이돌 팬덤들을 경악케 했다. SNS 상에서 과거곡들을 재조명하며 일종의 밈을 형성하는 현상이 많이 보였는데 대표적으로 비의 <깡>, 2PM의 <우리집>, 제국의 아이들 <후유증>등이 있다. 특히, 그 중 <깡>은 TV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 까지 소개되며 인기를 더욱 가중시켰다. 또한 2019년부터 잔잔하게 불어온 레트로 열풍에 힘 입어 놀면 뭐하니?가 여름 가요계 시장을 선도했다. 2000년대를 주름잡았던 최고의 탑스타인 이효리놀면 뭐하니? 방송을 통해 유재석프로젝트 혼성그룹을 결성하면서 음원차트를 석권했고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방탄소년단이 2월에는 MAP OF THE SOUL : 7으로 컴백하여 초동 337만장을 기록하고 세계 5대 음악 시장의 앨범 차트 1위를 모두 석권하였다. 8월에는 디지털 싱글 Dynamite로 컴백하며 영어곡임에도 Melon차트 일간 75일 1위, 가온 디지털 차트 11주 1위를 달성하는 등 국내 차트를 퍼펙트 올킬하며 대히트를 쳤고,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차트 HOT 100 1위를 차지하고 연이어 그래미 어워드의 본상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에 노미네이트되는 등, 상당한 업적을 쌓아올리며 K-POP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연말에는 사재기가 서서히 대두되고 있는데,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54]이 사재기 논란에 휩싸인 채 차트 5위권 안에 들며 멜론의 24hit 개편이 의미가 없어졌다며 욕을 먹고 있다. == 해외 == 빌보드의 싱글 차트 2020년 Year-End 순위 The Weeknd의 <Blinding Lights>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뒤를 이어 Post Malone의 <Circles>, Roddy Ricch의 <The Box>, Dua Lipa, DaBaby의 ROCKSTAR가 순서대로 2~5위를 달성했다. 종합하자면 올해는 여성 아티스트의 초강세, 스트리밍 차트 하락세와 라디오 차트의 급부상, 강한 팬덤과 상술로 인한 날먹1위, 롱런곡들의 저력을 보여준 한 해라고 볼 수 있겠다. 특히 라디오 플랫폼은 2020년 가요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2019년 이후로 전성기를 맞은 아리아나 그란데저스틴 비버, 레이디 가가와의 합작 싱글들을 통해 전성기의 폼을 올해도 이어갔다. 또한 2020년 초 팝 씬에서는 더 위켄드의 <Blinding Lights>, 두아 리파, 도자 캣신스팝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장르인 신스웨이브, 뉴트로 댄스팝 싱글들이 크게 히트했다. 특히 의 경우 40주 간 Top 5, 49주 간 Top 10에 머물며 가장 긴 시간 이름을 올린 곡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서브 차트인 R&B 차트(46주 1위), 라디오 차트(26주 1위)에서도 각종 최장기 기록들을 경신했다. 힙합 씬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로디 리치가 11주 연속 1위를 달성하였고, 도자 캣메건 디 스탤리언 등 신흥 여성 래퍼들도 빌보드 1위를 차례로 따내며 입지를 다졌으며, 다베이비도 빌보드 1위에 등극하였다. 기존 래퍼들도 키드 커디, 니키 미나즈가 커리어 최초 빌보드 1위를 달성했고, 퓨처 이라는 히트곡을 내며 꾸준한 힙합 강세를 이어 나갔다. 포스트 말론가 무려 39주에 머물며 Blinding Lights 다음으로 긴 시간 이름을 올린 곡이 되었다.[55] 하반기에는 Cardi B메건 디 스탤리언의 <WAP>이 엄청난 스트리밍량을 앞세워 큰 인기를 끌었다. 그와는 별개로 빌보드 차트에서 대부분의 1위곡들이 페이올라, 믹스 편법, 들로 인하여 1주씩밖에 1위를 하지 못하자 팬들의 성토가 많다.[56] 미국 현지 내에서는 거의 2018-2019년 대한민국 연쇄 음원 사재기 파동급으로 큰 논란이 일고 있는 문제이다.[57] 이런 문제에 대하여 많은 음악팬들이 여러 가지 의견들을 내고 있는데, 이 와중에 로디 리치의 경우 11주-비연속7주라는 어마어마한 메가히트곡들을 내며 본인이 누구인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58] 그리고 Blinding Lights, Circles, Mood 등이 장기 1위를 달성하자 많은 팬들이 환호하는 상황.[59] 또한 팝 씬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여성 솔로들의 약진이 두드러진 한 해였다. 이 해에만 테일러 스위프트, 아리아나 그란데, 두아 리파같은 아티스트들이 평가, 성적 모두를 잡는 정규앨범[60]들을 발매하여 가요계를 이끌고 있다. 작년에 세계를 자신의 음악스타일로 휩쓴 빌리 아일리시의 경우 My Future같은 싱글들이 롱런에 실패하며[61] 조금 하락세를 겪나 했지만, 11월 발매한 싱글 Therefore I Am이 다시 1집 스타일로 회귀하여 각종 스트리밍 차트 1위를 석권하며 빌보드 1위로 예측되고 있다...[62] 그러나 라디오에서 수치가 딸리며 2위 달성, 1위는 실패했다. 그리고 해리 스타일스 또한 남성 아티스트들이 지지부진하던 팝 씬에서 Fine Line이라는 명반을 내고 Adore You, Watermelon Sugar같은 대중적으로도 성공한 싱글들을 발매하며 매우 성공했던 소속그룹 '원디렉션'의 이미지를 벗고 현재 남성 솔로 팝 아티스트들 중 대표주자가 되었다. 반면 라틴팝의 경우 전성기인 2017~2018년보다는 하락세이다. 가장 큰 이유는, 라틴팝이 강세인 스트리밍 플랫폼이 미국 내에서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 실제로 스트리밍 차트에서는 라틴팝이 계속 강세이지만 보수적인 미국 리스너들은 대부분 영어 노래를 라디오에서 찾아듣는 성향이 강하고, 따라서 라틴팝은 라디오 플랫폼에서 설 자리가 없어지는데 2020년 가요계에서 라디오 플랫폼이 어마어마한 파괴력을 행사하는지라 졸지에 라틴팝은 하락세를 걷게 되었다.[63] 연말의 경우 2019년 못지 않은 캐롤송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에 이어 완벽히 캐롤송 밈이 미국에 정착한 듯. 특히 스트리밍에서 캐롤송이 강세를 보였다.[64] 특히나 2021년 1월 2일 차트에서 TOP 5 전부 캐롤이 차지하며 연말을 화려하게 장식했다.[65] == 관련 문서 == * 한국 음원시장 [[분류:2020년
12월 7일 IZ*ONE미니 4집을 발매했다. 또한 이날 Melon차트 역사상 최초로 방탄소년단 <Dynamite>가 '''15주 연속''' 주간차트 TOP5에 진입하며 '''주간차트 TOP5 연속 차트인 역대 1위'''의 기록을 세웠다.[66][67]
12월 10일 백예린정규 2집을 발매했다. 전 정규앨범보다는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지만, 다수의 수록곡이 24 Hits 차트와 일간 차트에 진입하면서 여전한 음원파워를 보여주었다.
12월 15일 태연미니 4집을 발매했다. 수록곡 전 곡이 멜론 24Hits 차트에 진입했고, Galaxy를 제외한 모든 곡이 일간 차트에도 진입에 성공하여 또 하나의 기록을 써내려갔다.[68]
12월 18일 TWICE 디지털 싱글을 발매했다.
12월 24일 머라이어 캐리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크리스마스 이브 19시의 24Hits 차트 1위를 차지하였다.
12월 25일 일간 TOP 10에 캐롤이 5곡이 올라오며, 캐롤이 다소 부진했던 2019년에 비해 매우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멜론 차트 12월 1위는 쇼미더머니 9의 <VVS>가, 2위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3위는 장범준의 <잠이 오질 않네요>가 차지하였다. 한편 가온 차트 12월 1위는 쇼미더머니 9의 <VVS>가, 2위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3위는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2020)>가 차지하였다.
음원차트 외 소식으로는, 12월 초 아이돌들의 연쇄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있었다. 업텐션비토고결, 에버글로우시현이런, 솔로가수 청하, 골든차일드 봉재현 등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 여파로 인해 2021 설 아육대가 조기에 취소 결정이 내려지기도 했다.
그리고 12월 30일을 끝으로 구구단이 해체되면서, I.O.I 파생 그룹 중 프리스틴에 이어 두 번째로 비참한 결말을 맺었다.

2.3. 연간 차트



2.3.1. 멜론 차트


'''2020년 멜론 연간 차트[69][70]'''
'''연간순위'''
'''아티스트명'''
'''곡명'''
'''좋아요수'''
'''주간순위'''
'''월간순위'''
'''앨범명'''
'''1위'''
'''지코'''
'''아무노래'''
252,500
'''8주 1위'''
'''1위'''
아무노래
'''2위'''
'''창모'''
'''METEOR'''
249,362
'''2주 1위'''
'''1위'''
Boyhood
'''3위'''
'''조정석'''
'''아로하'''
209,279
'''3주 1위'''
'''2위'''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Part 3
'''4위'''
'''장범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276,282
-
-
멜로가 체질 OST Part 3
'''5위'''
'''아이유'''
'''에잇(Prod.&Feat. SUGA of BTS)'''
341,593
'''5주 1위'''
'''1위'''
에잇
'''6위'''
'''아이유'''
'''Blueming'''
287,860
-
-
Love poem
'''7위'''
'''노을'''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173,717
-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8위'''
'''가호'''
'''시작'''
203,878
'''2주 1위'''
'''1위'''
이태원 클라쓰 OST Part.2
'''9위'''
'''방탄소년단'''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409,678
-
-
MAP OF THE SOUL : PERSONA
'''10위'''
'''레드벨벳'''
'''Psycho'''
210,238
'''2위'''
-
'The ReVe Festival' Finale

2.3.2. 가온 차트


'''2020년 가온 연간 차트[71][72]'''
'''연간순위'''
'''아티스트명'''
'''곡명'''
'''가온지수'''
'''주간순위'''
'''월간순위'''
'''앨범명'''
'''1위'''
'''지코'''
'''아무노래'''
991,888,968
'''7주 1위'''
'''1위'''
아무노래
'''2위'''
'''창모'''
'''METEOR'''
922,076,675
'''2주 1위'''
'''1위'''
Boyhood
'''3위'''
'''조정석'''
'''아로하'''
869,270,427
'''3주 1위'''
'''1위'''
슬기로운 의사생활 OST Part.3
'''4위'''
'''장범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915,887,603
-
-
멜로가 체질 OST Part.3
'''5위'''
'''아이유'''
'''Blueming'''
837,811,392
-
-
Love poem
'''6위'''
'''아이유'''
'''에잇 (Prod.&Feat. SUGA of BTS)'''
822,502,029
'''4주 1위'''
'''2달 1위'''
에잇
'''7위'''
'''노을'''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733,352,695
-
-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8위'''
'''AKMU'''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694,652,782
-
-
항해
'''9위'''
'''레드벨벳'''
'''Psycho'''
693,910,356
'''2위'''
-
'The ReVe Festival' Finale
'''10위'''
'''가호'''
'''시작'''
693,685,582
'''3주 1위'''
'''1위'''
이태원 클라쓰 OST Part.2

2.4. 1위 곡 목록



2.4.1. 멜론 차트


'''멜론차트 1위 곡 목록'''
''''''
'''가수'''
'''일간 1위 횟수'''
'''주간 1위 횟수'''
'''월간 1위'''
'''METEOR'''
'''창모 (CHANGMO)'''
12일[73]
2주[74]
'''1월 1위'''
'''아무노래'''
'''지코 (ZICO)'''
52일
8주
'''2월 1위'''
'''마음을 드려요'''
'''아이유'''
10일
1주
-
'''시작'''
'''가호 (Gaho)'''
11일
2주
'''3월 1위'''
'''처음처럼'''
'''엠씨더맥스 (M.C the MAX)'''
19일
2주
'''4월 1위'''
'''덤더럼(Dumhdurum)'''
'''Apink (에이핑크)'''
1일
-
-
'''아로하'''
'''조정석'''
20일
3주
-
'''우리 만남이'''
'''폴킴'''
1일
-
-
'''에잇(Prod.&Feat. SUGA of BTS)'''
'''아이유'''
33일
5주
'''5월 1위'''
'''6월 1위'''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
'''전미도'''
5일
1주
-
'''MORE & MORE'''
'''TWICE'''
1일
-
-
'''깡 Official remix'''
'''식케이 (Sik-K), pH-1, 박재범, 김하온 (HAON)'''
4일
-
-
'''Downtown Baby'''
'''블루 (BLOO)'''
8일
2주
-
'''How You Like That'''
'''BLACKPINK'''
21일
3주
'''7월 1위'''
'''Summer Hate (Feat. 비)'''
'''지코 (ZICO)'''
1일
-
-
'''다시 여기 바닷가'''
'''싹쓰리 (유두래곤, 린다G, 비룡)'''
39일
5주
'''8월 1위'''
'''Dynamite'''
'''방탄소년단'''
75일
'''11주'''[75]
'''9월 1위'''
'''10월 1위'''
'''11월 1위'''
'''DON’T TOUCH ME'''
'''환불원정대'''
14일
2주
-
'''VVS (Feat. JUSTHIS) (Prod. GroovyRoom)[76] '''
'''미란이, 먼치맨, Khundi Panda, 머쉬베놈'''
37일
5주
'''12월 1위'''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riah Carey'''
2일[77]
-
-

2.4.2. 가온 차트


'''가온 디지털 차트 1위 곡 목록'''
''''''
'''가수'''
'''주간 1위 횟수'''
'''월간 1위'''
'''월간 음원상'''[78]
'''METEOR'''
'''창모 (CHANGMO)'''
2주[79]
'''1월 1위'''
-
'''아무노래'''
'''지코 (ZICO)'''
7주
'''2월 1위'''
'''1월 1위'''
'''마음을 드려요'''
'''아이유'''
1주
-
-
'''ON'''
'''방탄소년단'''
1주
-
'''2월 1위'''
'''시작'''
'''가호 (Gaho)'''
3주
'''3월 1위'''
-
'''처음처럼'''
'''엠씨더맥스 (M.C the MAX)'''
1주
-
'''3월 1위'''
'''아로하'''
'''조정석'''
3주
'''4월 1위'''
-
'''살짝 설렜어 (Nonstop)'''
'''오마이걸'''
-
-
'''4월 1위'''
'''에잇(Prod.&Feat. SUGA of BTS)'''
'''아이유'''
4주
'''5월 1위'''
'''6월 1위'''
'''5월 1위'''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
'''전미도'''
2주
-
-
'''Downtown Baby'''
'''블루 (BLOO)'''
2주
-
-
'''How You Like That'''
'''BLACKPINK'''
3주
'''7월 1위'''
'''6월 1위'''
'''Summer Hate (Feat. 비)'''
'''지코 (ZICO)'''
-
-
'''7월 1위'''
'''다시 여기 바닷가'''
'''싹쓰리 (유두래곤, 린다G, 비룡)'''
5주
'''8월 1위'''
-
'''Dynamite'''
'''방탄소년단'''
11주
'''9월 1위'''
'''10월 1위'''
'''11월 1위'''
'''8월 1위'''
'''Bad Boy'''
'''청하, Christopher'''
-
-
'''9월 1위'''
'''Lovesick Girls'''
'''BLACKPINK'''
-
-
'''10월 1위'''
'''DON’T TOUCH ME'''
'''환불원정대'''
2주
-
-
'''Life Goes On'''
'''방탄소년단'''
-
-
'''11월 1위'''
'''VVS (Feat. JUSTHIS) (Prod. GroovyRoom)'''
'''미란이, 먼치맨, Khundi Panda, 머쉬베놈'''
5주
'''12월 1위'''
-
'''What Do I Call You'''
'''태연 (TAEYEON)'''
-
-
'''12월 1위'''

2.5. 음악방송 1위곡 목록


'''지상파 음악방송 1위곡 목록'''[80][81][82]
'''시기'''
'''KBS 뮤직뱅크'''
'''MBC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
'''가수'''
'''곡명'''
'''가수'''
'''곡명'''
'''가수'''
'''곡명'''
1월
1주
'''레드벨벳'''
'''Psycho'''
'''레드벨벳'''
'''Psycho'''
'''레드벨벳'''
'''Psycho'''
2주
'''레드벨벳'''
'''Psycho'''
'''레드벨벳'''
'''Psycho'''
'''레드벨벳'''
'''Psycho'''
3주
SF9
Good Guy
레드벨벳
Psycho
레드벨벳
Psycho
4주
레드벨벳
Psycho
결방
지코
아무노래
2월
1주
'''지코'''
'''아무노래'''
'''지코'''
'''아무노래'''
'''지코'''
'''아무노래'''
2주
'''지코'''
'''아무노래'''
'''지코'''
'''아무노래'''
'''지코'''
'''아무노래'''
3주
여자친구
교차로
지코
아무노래
여자친구
교차로
4주
지코
아무노래
지코
아무노래
노을
늦은 밤 너의
집 앞 골목길에서

5주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3월
1주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2주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3주
방탄소년단
ON
방탄소년단
ON
ITZY
WANNABE
4주
NCT 127
영웅
방탄소년단
ON
ITZY
WANNABE
4월
1주
강다니엘
2U
강다니엘
2U
ITZY
WANNABE
2주
'''수호'''
'''사랑, 하자'''
'''수호'''
'''사랑, 하자'''
'''수호'''
'''사랑, 하자'''
3주
'''(여자)아이들'''
'''Oh my god'''
'''(여자)아이들'''
'''Oh my god'''
'''(여자)아이들'''
'''Oh my god'''
4주
'''에이핑크'''
'''덤더럼'''
'''에이핑크'''
'''덤더럼'''
'''에이핑크'''
'''덤더럼'''
5월
1주
GOT7
NOT BY
THE MOON

에이핑크
덤더럼
에이핑크
덤더럼
2주
NCT DREAM
Ridin'
오마이걸
살짝 설렜어
오마이걸
살짝 설렜어
3주
오마이걸
살짝 설렜어
결방
아이유
에잇
4주
뉴이스트
I’m in Trouble
뉴이스트
I’m in Trouble
아이유
에잇
5주
NCT 127
Punch
NCT 127
Punch
아이유
에잇
6월
1주
백현
Candy
결방
백현
Candy
2주
'''TWICE'''
'''MORE & MORE'''
'''TWICE'''
'''MORE & MORE'''
'''TWICE'''
'''MORE & MORE'''
3주
'''TWICE'''
'''MORE & MORE'''
'''TWICE'''
'''MORE & MORE'''
'''TWICE'''
'''MORE & MORE'''
4주
'''IZ*ONE'''
'''환상동화'''
'''IZ*ONE'''
'''환상동화'''
'''IZ*ONE'''
'''환상동화'''
7월
1주
세븐틴
Left & Right
세븐틴
Left & Right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2주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3주
레드벨벳-아이린&슬기
Monster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4주
세훈&찬열
10억뷰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화사
마리아
8월
1주
블랙핑크
How You Like That
싹쓰리
다시 여기 바닷가
화사
마리아
2주
화사
마리아
결방
화사
마리아
3주
강다니엘
깨워
강다니엘
깨워
(여자)아이들
덤디덤디
4주
화사
마리아
싹쓰리
다시 여기 바닷가
(여자)아이들
덤디덤디
5주
ITZY
Not Shy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9월
1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2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3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블랙핑크
Ice Cream
4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블랙핑크
Ice Cream
10월
1주
방탄소년단
Dynamite
결방
블랙핑크
Ice Cream
2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블랙핑크
Lovesick Girls
3주
블랙핑크
Lovesick Girls
방탄소년단
Dynamite
블랙핑크
Lovesick Girls
4주
NCT U
Make A Wish
결방
블랙핑크
Lovesick Girls
5주
세븐틴
HOME;RUN
방탄소년단
Dynamite
세븐틴
HOME;RUN
11월
1주
TWICE
I CAN’T STOP ME
방탄소년단
Dynamite
TWICE
I CAN'T STOP ME
2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Dynamite
TWICE
I CAN'T STOP ME
3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미집계
태민
이데아 (IDEA:理想)
4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12월
1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2주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방탄소년단
Life Goes On
3주
IZ*ONE
Panorama
결방
IZ*ONE
Panorama
4주
방탄소년단
Dynamite
결방
태연
What Do I Call You
방탄소년단은 <Dynamite>가 25관왕을, <ON>이 12관왕을 달성하며 여전히 기복 없는 인기를 자랑했다. 지코가 <아무노래>를 통해 별다른 활동 없이 음원 성적만으로 10관왕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고, 레드벨벳 역시 <Psycho>가 연초부터 음악방송 1위를 휩쓸며 총 9관왕을 달성하였다. 그 아래로는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이 8관왕을, TWICE의 <MORE & MORE>, 방탄소년단의 <Life Goes On>이 6관왕을, 에이핑크의 <덤더럼>과 화사의 <마리아>가 5관왕을 달성했다. 후반기 1위를 달성한 가수의 숫자가 적은 편인데,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방탄소년단이 <Dynamite>를 앞세운 압도적인 음원 성적으로 1위를 쓸어가버리는 일이 일어나서 그렇다. 그나마 3주 퇴출이 있는 인기가요는 어느 정도 다양한 가수들이 1위를 한 편이다.

2.6. 분석 및 총평


2019년까지 성행했던 음원 사재기는 잠잠해졌고[83], 코로나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집콕 등으로 중장년층 이상의 TV 시청 시간이 늘어나며 트로트와 복고 열풍이 대중문화계를 집어삼켰다.
또한 눈에 띄는 부분으로, 2019년보다 흥행하는 힙합 곡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보통 한국 가요계에서는 발라드나 댄스팝 곡이 제일 인기가 많은 장르이고, 힙합은 발라드와 팝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트의 상위권에서는 보기 힘든 장르였다. 한국 가요계에서 힙합 장르로 메인 스트림에 진출하더라도 빅뱅, 블랙핑크와 같이 팝과 어우러진 복합 장르의 형태로 나타나거나 에픽하이, 다이나믹 듀오, 리쌍과 같이 R&B류 힙합이 주를 이루었다. 랩 뮤직의 힙합이 차트를 차지한 경우가 흔치 않은데 그중 쇼미더머니가 대표적이다. 하나 쇼미더머니가 방영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힙합곡[84]들이 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힙합 이상으로 음원 차트를 지배한 것이 바로 각종 드라마의 OST들이었다.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해서 사랑의 불시착, 낭만닥터 김사부 2, 이태원 클라쓰, 슬기로운 의사생활 등 각종 드라마의 소비량이 급증했고, 그로 인해서 많은 드라마 OST들이 음원 차트 최상위권을 점령했다. 대표적으로 아이유의 <마음을 드려요>, 가호의 <시작>, 조정석의 <아로하>, 전미도의 <사랑하게 될 줄 알았어>가 멜론 차트 1위에 올랐으며 그 외에도 백현의 <너를 사랑하고 있어>, 백예린의 <다시 난, 여기>, 크러쉬의 <둘만의 세상으로 가>, 김필의 <그때 그 아인>, 하현우의 <돌덩이>, 조이의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등이 상위권에서 롱런했다.
2019년 음원 사재기 등의 영향으로 완전히 침체되어 있었던 팝 장르 곡들이 다시 부흥했으나 차트 개편 이후 많은 가수들이 쉽사리 차트에 오르기 어려워졌다. 2016년부터 명실상부 국내 대표 걸그룹으로 불리였던 트와이스는 2019년부터 음원차트에서 상대적으로 미약한 성적을 보이고 있으며, 걸그룹 대표 음원강자였던 마마무 역시 개편된 음원시장 속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Psycho로 뛰어난 음원 성적을 보였던 레드벨벳 역시 멤버 아이린의 논란으로 인해 앞으로의 활동 역시 이어나갈 수 있을지 미지수다. 그와 반대로 데뷔 9년차를 맞이한 에이핑크가 5년만에 다시 차트 1위를 차지하며 가는 롱런을 보여주었고 오마이걸 또한 타이틀곡 <살짝 설렜어>와 수록곡 <Dolphin> 모두 우수한 음원 성적을 보이며 데뷔 5년 만에 가요계 정상에 올라섰다.[85] 매번 새로운 기록을 경신해나가며 국내외 통틀어 음반, 음원, 화제성 모든 분야에서 블랙핑크의 독보적인 질주가 돋보인 해였다 그 외 아이유의 <에잇>도 팝록 장르의 곡으로써 좋은 음원 성적을 보여주었으며 2019년에 발매한 <Blueming>과 <Love poem> 또한 꾸준히 중상위권을 유지하며 엄청난 롱런 파워를 보이고 있다. 화사의 <마리아>와 제시의 <눈누난나> 역시 우수한 음원 성적으로 올해 가장 흥한 댄스팝 곡들 중 가장 두드러진다.
또한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초대박을 치면서 2019년부터 이어져온 트로트 열풍을 한 층 더 끌어올렸다. 음원 차트 상위권에도 미스터트롯 출연진들이 부른 노래들이 상위권에 대거 오르기도 했고, 특히 미스터트롯을 통해서 중장년층이 스트리밍, 유튜브 등 동영상 조회수 올리기 등 아이돌 팬덤의 홍보 방식을 따르게 되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화력은 보통 아이돌 팬덤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수준이다.
실제로 MBC 쇼! 음악중심 2020년 4월 11일 방송에 특별 출연한 영탁임영웅의 무대들은 80만대의 조회수를 기록 중인데, 이는 같은 날 출연한 다른 인기 아이돌 무대들의 조회수보다 10배에서 심한 경우 2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게다가 미스터트롯 TOP7 출연진들이나, 기타 트로트 가수들이 방송에 나오면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여러 방송들도 자체 최고 시청률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고, 방송국들도 자연스럽게 다양한 트로트 관련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에 예능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하던 아이돌들은 섭외 일선에서 밀려나버렸고, 이는 20~30대에서마저도 아이돌 관심도가 많이 사라지게 만들었다. 당연히 아이돌 팬덤은 이러한 상황을 만든 주범이라고 할 수 있는 TV조선, 그리고 유산슬로 트로트 붐의 전조를 깔아놓은 놀면 뭐하니?에 이를 갈고 있다. 그럼에도 트로트 팬덤은 트로트만 보면 그만이라는 태도로 어그로를 끌고 있으며, 걸핏하면 여기저기서 나오는 트로트에 식상함과 염증을 느껴 아예 TV를 안 보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정작 트로트 가수 중 누구도 음원 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지 못하고 잘해야 중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하나 음반 부문으로 오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9월 말 발매한 김호중의 정규앨범 <우리家>가 '''초동 주 첫날 판매량부터 당시 걸그룹 음반 초동 1위 기록을 아득히 눌러버리고''' 최종 초동 판매량도 53만장 가량 기록하면서 아이돌 팬덤들을 경악케 했다.
SNS 상에서 과거곡들을 재조명하며 일종의 밈을 형성하는 현상이 많이 보였는데 대표적으로 비의 <깡>, 2PM의 <우리집>, 제국의 아이들 <후유증>등이 있다. 특히, 그 중 <깡>은 TV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 까지 소개되며 인기를 더욱 가중시켰다. 또한 2019년부터 잔잔하게 불어온 레트로 열풍에 힘 입어 놀면 뭐하니?가 여름 가요계 시장을 선도했다. 2000년대를 주름잡았던 최고의 탑스타인 이효리놀면 뭐하니? 방송을 통해 유재석프로젝트 혼성그룹을 결성하면서 음원차트를 석권했고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방탄소년단이 2월에는 MAP OF THE SOUL : 7으로 컴백하여 '''초동 337만장을 기록'''하고 '''세계 5대 음악 시장의 앨범 차트 1위를 모두 석권'''하였다. 8월에는 디지털 싱글 Dynamite로 컴백하며 영어곡임에도 Melon차트 일간 75일 1위, 가온 디지털 차트 11주 1위를 달성하는 등 국내 차트를 퍼펙트 올킬하며 대히트를 쳤고,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차트 HOT 100 1위'''를 차지하고 연이어 '''그래미 어워드의 본상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에 노미네이트'''되는 등, 상당한 업적을 쌓아올리며 K-POP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연말에는 사재기가 서서히 대두되고 있는데,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86]이 사재기 논란에 휩싸인 채 차트 5위권 안에 들며 멜론의 24hit 개편이 의미가 없어졌다며 욕을 먹고 있다.

3. 해외



빌보드의 싱글 차트 2020년 Year-End 순위 The Weeknd의 <'''Blinding Lights'''>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뒤를 이어 Post Malone의 <Circles>, Roddy Ricch의 <The Box>, Dua Lipa의 <Don't Start Now>, DaBaby의 ROCKSTAR가 순서대로 2~5위를 달성했다.
종합하자면 올해는 '''여성 아티스트의 초강세''', '''스트리밍 차트 하락세와 라디오 차트의 급부상''', '''강한 팬덤과 상술로 인한 날먹1위''', '''롱런곡들의 저력'''을 보여준 한 해라고 볼 수 있겠다. 특히 '''라디오 플랫폼'''은 2020년 가요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었다.
2019년 <thank u, next> 이후로 전성기를 맞은 아리아나 그란데저스틴 비버, 레이디 가가와의 합작 싱글들을 통해 전성기의 폼을 올해도 이어갔다. 또한 2020년 초 팝 씬에서는 더 위켄드의 <Blinding Lights>, 두아 리파의 <Don't Start Now>, 도자 캣의 <Say So> 등 신스팝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장르인 신스웨이브, 뉴트로 댄스팝 싱글들이 크게 히트했다. 특히 <Blinding Lights>의 경우 '''40주 간 Top 5''', '''49주 간 Top 10'''에 머물며 가장 긴 시간 이름을 올린 곡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서브 차트인 R&B 차트('''46주 1위'''), 라디오 차트('''26주 1위''')에서도 각종 최장기 기록들을 경신했다.

힙합 씬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로디 리치의 <The Box>가 11주 연속 1위를 달성하였고, 도자 캣메건 디 스탤리언 등 신흥 여성 래퍼들도 빌보드 1위를 차례로 따내며 입지를 다졌으며, 다베이비의 <ROCKSTAR>도 빌보드 1위에 등극하였다. 기존 래퍼들도 키드 커디, 니키 미나즈가 커리어 최초 빌보드 1위를 달성했고, 퓨처도 <Life Is Good> 이라는 히트곡을 내며 꾸준한 힙합 강세를 이어 나갔다. 포스트 말론은 <Circles>가 무려 39주에 머물며 Blinding Lights 다음으로 긴 시간 이름을 올린 곡이 되었다.[87]
하반기에는 Cardi B메건 디 스탤리언의 <WAP>이 엄청난 스트리밍량을 앞세워 큰 인기를 끌었다.
그와는 별개로 빌보드 차트에서 대부분의 1위곡들이 페이올라, 믹스 편법, 들로 인하여 1주씩밖에 1위를 하지 못하자 팬들의 성토가 많다.[88] 미국 현지 내에서는 거의 2018-2019년 대한민국 연쇄 음원 사재기 파동급으로 큰 논란이 일고 있는 문제이다.[89]
이런 문제에 대하여 많은 음악팬들이 여러 가지 의견들을 내고 있는데, 이 와중에 로디 리치의 경우 11주-비연속7주라는 어마어마한 메가히트곡들을 내며 본인이 누구인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90] 그리고 Blinding Lights, Circles, Mood 등이 장기 1위를 달성하자 많은 팬들이 환호하는 상황.[91]
또한 팝 씬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여성 솔로들의 약진이 두드러진 한 해'''였다. 이 해에만 테일러 스위프트, 아리아나 그란데, 두아 리파같은 아티스트들이 평가, 성적 모두를 잡는 정규앨범[92]들을 발매하여 가요계를 이끌고 있다. 작년에 세계를 자신의 음악스타일로 휩쓴 빌리 아일리시의 경우 My Future같은 싱글들이 롱런에 실패하며[93] 조금 하락세를 겪나 했지만, 11월 발매한 싱글 Therefore I Am이 다시 1집 스타일로 회귀하여 각종 스트리밍 차트 1위를 석권하며 빌보드 1위로 예측되고 있다...[94] 그러나 라디오에서 수치가 딸리며 2위 달성, 1위는 실패했다. 그리고 해리 스타일스 또한 남성 아티스트들이 지지부진하던 팝 씬에서 Fine Line이라는 명반을 내고 Adore You, Watermelon Sugar같은 대중적으로도 성공한 싱글들을 발매하며 매우 성공했던 소속그룹 '원디렉션'의 이미지를 벗고 현재 남성 솔로 팝 아티스트들 중 대표주자가 되었다. 반면 라틴팝의 경우 전성기인 2017~2018년보다는 하락세이다. 가장 큰 이유는, '''라틴팝이 강세인 스트리밍 플랫폼이 미국 내에서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 실제로 스트리밍 차트에서는 라틴팝이 계속 강세이지만 보수적인 미국 리스너들은 대부분 영어 노래를 라디오에서 찾아듣는 성향이 강하고, 따라서 라틴팝은 라디오 플랫폼에서 설 자리가 없어지는데 2020년 가요계에서 라디오 플랫폼이 어마어마한 파괴력을 행사하는지라 졸지에 라틴팝은 하락세를 걷게 되었다.[95]
연말의 경우 2019년 못지 않은 캐롤송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9년에 이어 완벽히 캐롤송 밈이 미국에 정착한 듯. 특히 스트리밍에서 캐롤송이 강세를 보였다.[96]
특히나 2021년 1월 2일 차트에서 '''TOP 5 전부''' 캐롤이 차지하며 연말을 화려하게 장식했다.[97]

4. 관련 문서



[1] 아래 차트 순위는 멜론 일간 순위 기준으로 작성한다.[2] 1월과 2월의 월간 차트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며, 아무노래의 1위 롱런에도 어느 정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3] 백예린의 단독 콘서트 역시 30초만에 매진되었다.[4] 1위 아이유 《Love poem》, 2위 태연 《Purpose》, 3위 태연 《My Voice[5] 기존 1위는 TWICE의 <FANCY YOU>[6] 특히 <METEOR>와 <Psycho>[7] 빅뱅의 <마지막 인사>, 소녀시대의 <Gee>와 공통으로 당시 멜론 최장 주간 1위, 현재는 방탄소년단의 <Dynamite>가 9주 1위에 성공하며 기록을 경신했다.[8] 2월부터 OST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이유로 집에서 볼 수 있는 넷플릭스, 드라마 등의 소비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9] 의 리메이크곡[10] 베이시스의 리메이크곡[11] 시크릿 가든 OST[12] 해를 품은 달 OST[13] 구르미 그린 달빛 OST [14] 최고 이용자수는 1,347,822명[15] 종전 기록은 강다니엘의 <color on me>[16] 블랙핑크와 외국 가수의 콜라보는 Dua Lipa와의 <Kiss And Make Up> 이후 두 번째이다.[17] 그 전 최고 순위는 방탄소년단의 <작은 것들을 위한 시> 38위.[18] 대단한 것은 이 영상이 공식 뮤비가 아닌 오디오 영상이었다는 것이다.[19] 앨범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7월 6일로 연기되었다.[20] 실시간 집계를 하지 않고 24시간 단위로 집계를 하는 FLO에서는 85위로 첫 진입을 했다.[21] 당시 역대 여성 가수 초동 2위에 올랐다. 현재 기록은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참조[22] 2020년 걸그룹 중 유일하며, 진입 이용자수 또한 1위이다.[23] 전작 KILL THIS LOVE는 34위로 진입하여 8시간 뒤 1위로 올라섰다.[24] 가온에서는 1위 - 2위 - 2위[25] 아무노래는 2-1-2위 기록.[26] 듀스을 커버했다.[27] 린다G feat. 윤미래[28] 비룡 feat. 마마무[29] 유두래곤 feat. S.B.N[30] 기존 기록은 13주 연속을 기록한 에일리의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31] 기존 기록은 22주 연속을 기록한 빅뱅의 <거짓말>[32] 유재석이 가수로써 직접 활동한 싹쓰리와는 달리 '지미 유'라는 부캐로 프로듀싱을 맡았다.[33] 전체 걸그룹 중 7번째이다.[34] 대화만 나오는 skit도 최고 순위 65위까지 올랐다.[35] 종전 기록은 화사의 14주 연속 주간차트 TOP5 진입이다.[36] 2020년 12월 28일 기준으로 18주 연속 주간차트 TOP5에 진입하였다.[37] 멜론 차트 개편 이후 싱글을 제외하고 24Hits에 전곡을 진입시킨 가수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태연이 전부이다.[38] 2021. 02. 09. 공개[39] 2020년 1월 8일 공개[40] 주간, 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록[41] 2019년 누적 19일[42] 2019년 누적 3주[43] 멜론 사상 최초 두 자릿수 주간 1위 기록[44] 2021년에도 기록이 존재한다.[45] 전체 4일[46]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의 월간 음원 수상자[47] 2019년 누적 3주[48] 한 음악방송에서 트리플크라운, 혹은 3주 이상 1위 곡에는 금색 배경, 지상파 올킬 곡에는 볼드체 처리. 뮤직뱅크와 쇼! 음악중심은 트리플크라운 제도가 없지만 3주 1위를 차지할 경우 트리플 크라운으로 간주한다.[49] 비지상파 음악 방송인 THE SHOW, SHOW CHAMPION, 엠 카운트다운 등은 제외한다.[50] 문서가 내용도 없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매주 주말마다 다음 한 주씩만 추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5관왕 이상 달성한 경우에만 표 아래에 별도로 서술한다.[51] 그나마 오반의 <어떻게 지내> 및 런치의 <어떻게 지내 (답가)>가 사재기로 의심 받았지만, 2019년만큼 높은 순위를 독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신인가수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이 신인치고 너무 높은 순위를 기록하기도 했다.[52] , <아무노래>, <깡 Official remix>, , , 가 모두 올해 차트 1위를 기록한 힙합 트랙들이다.[53] 다만 상기한 마마무의 경우 멜론 차트가 24 Hits 차트로 개편한 후에 음원을 발매했기 때문에 후술한 두 걸그룹보다 더 음원차트에 난항을 겪고있다.[54] 리메이크 곡이다.[55] 다만 포스트 말론의 , 도자 캣의 는 아티스트는 힙합 아티스트지만 노래가 힙합으로 보기 애매하다. Circles는 잔잔한 팝, 포크 스타일 노래이고 Say So는 신스팝 노래이다.[56] 다만 BTS의 Dynamite의 경우 자국시장에서도 굉장한 대히트를 기록하였고 빌보드에서도 3주 1위를 하였기 때문에 여기에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그리고 메건 디 스탈리온의 Savage와 도자 캣의 Say So, 해리 스타일스의 Watermelon Sugar는 이전부터 대중적 인기가 많았기에 미국 현지내 이들을 날로 먹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여론도 있다. 특히 해리 스타일스의 Watermelon Sugar의 경우 해리 스타일스의 또다른 히트곡 Adore You가 전형적인 대중적 롱런곡이기 때문에 더욱 분류 논란이 크다.[57] 그러나 미국 내에서는 대부분 유명 가수들이 팬덤의 힘으로 달성하는 것인데, 대한민국의 음원 사재기의 경우 아무도 모르는 가수가 어느 날 일어나보니 차트 1위가 되어 있는 상황(...)인지라 결이 다르다는 의견이 크다.[58] 이마저도 비연속 7주 ROCKSTAR의 경우 모든 날먹으로 평가되는 곡들을 배제할 시 빌보드 10주 1위는 가능했다.[59] 특히 Mood의 경우 팬덤빨이 강한 빌리 아일리시의 Therefore I Am을 이겼다는 점에서 많은 대중들이 호평하고 있다. 그러나 빌리의 Therefore I Am은 상술을 전혀 쓰지 않았다는 것이 함정...[60] 다만 아리아나 그란데의 positions는 대중적 평가는 좋으나 평단의 평가가 조금 나쁘다.[61] My Future는 최고순위 6위에 3주동안 차트에 머물렀고, Everything I Wanted는 최고순위 8위에 33주동안 머물며 롱런했다. 둘다 빌리 아일리시 정규1집과는 다른 느낌의 소프트, 이지리스닝 스타일 트랙이다.[62] 11월 2주차에 연말차트 집계가 마갑되고 11월 3주차부터 그 다음해 연말차트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 노래가 My Future처럼 3주밖에 차트에 있지 않거나 하지 않은 이상 연말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63] Dakiti 정도가 메가히트 라틴팝으로 여겨지지만 역시 빌보드 1위는 차지하지 못했다.[64] 이미 역대급 캐롤 광풍으로 여겨진 2019년에도 12월 24일이 되어야 캐롤송이 스포티파이 줄세우기를 했는데, 올해는 2020년 초부터 캐롤송들이 스포티파이에 줄세우기를 하고 있다!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빌보드 1위를 차지할 즈음 스포티파이에서는 10위권에 머물렀는데, 올해는 12월이 시작되자마자 줄세우기가 시작된 것.[65] TOP 25중에는 20곡이 캐롤이였으며, 비 캐롤중 최고순위는 7위를 차지한 'Mood'였다.[66] 종전 기록은 화사의 <Maria>의 14주 연속 주간차트 TOP5 진입이다.[67] 2020년 12월 28일 기준으로 18주 연속 주간차트 TOP5에 진입하였다.[68] 멜론 차트 개편 이후 싱글을 제외하고 24Hits에 전곡을 진입시킨 가수는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태연이 전부이다.[69] 2021. 02. 09. 공개[70] 주간/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재, '''좋아요수는 발표일 기준으로 이후 수정하지 말 것'''[71] 2020년 1월 8일 공개[72] 주간, 월간 순위는 2위까지 기록[73] 2019년 누적 19일[74] 2019년 누적 3주[75] 멜론 사상 최초 두 자릿수 주간 1위 기록[76] 2021년에도 기록이 존재한다.[77] 전체 4일[78]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의 월간 음원 수상자[79] 2019년 누적 3주[80] 한 음악방송에서 트리플크라운, 혹은 3주 이상 1위 곡에는 금색 배경, 지상파 올킬 곡에는 볼드체 처리. 뮤직뱅크와 쇼! 음악중심은 트리플크라운 제도가 없지만 3주 1위를 차지할 경우 트리플 크라운으로 간주한다.[81] 비지상파 음악 방송인 THE SHOW, SHOW CHAMPION, 엠 카운트다운 등은 제외한다.[82] 문서가 내용도 없이 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매주 주말마다 다음 한 주씩만 추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5관왕 이상 달성한 경우에만 표 아래에 별도로 서술한다.[83] 그나마 오반의 <어떻게 지내> 및 런치의 <어떻게 지내 (답가)>가 사재기로 의심 받았지만, 2019년만큼 높은 순위를 독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신인가수 경서의 밤하늘의 별을이 신인치고 너무 높은 순위를 기록하기도 했다.[84] <METEOR>, <아무노래>, <깡 Official remix>, <Downtown Baby>, <How You Like That>, <Summer Hate>가 모두 올해 차트 1위를 기록한 힙합 트랙들이다.[85] 다만 상기한 마마무의 경우 멜론 차트가 24 Hits 차트로 개편한 후에 음원을 발매했기 때문에 후술한 두 걸그룹보다 더 음원차트에 난항을 겪고있다.[86] 리메이크 곡이다.[87] 다만 포스트 말론의 <Circles>, 도자 캣의 <Say So>는 아티스트는 힙합 아티스트지만 노래가 힙합으로 보기 애매하다. Circles는 잔잔한 팝, 포크 스타일 노래이고 Say So는 신스팝 노래이다.[88] 다만 BTS의 Dynamite의 경우 자국시장에서도 굉장한 대히트를 기록하였고 빌보드에서도 3주 1위를 하였기 때문에 여기에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많다. 그리고 메건 디 스탈리온의 Savage와 도자 캣의 Say So, 해리 스타일스의 Watermelon Sugar는 이전부터 대중적 인기가 많았기에 미국 현지내 이들을 날로 먹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여론도 있다. 특히 해리 스타일스의 Watermelon Sugar의 경우 해리 스타일스의 또다른 히트곡 Adore You가 전형적인 대중적 롱런곡이기 때문에 더욱 분류 논란이 크다.[89] 그러나 미국 내에서는 대부분 유명 가수들이 팬덤의 힘으로 달성하는 것인데, 대한민국의 음원 사재기의 경우 아무도 모르는 가수가 어느 날 일어나보니 차트 1위가 되어 있는 상황(...)인지라 결이 다르다는 의견이 크다.[90] 이마저도 비연속 7주 ROCKSTAR의 경우 모든 날먹으로 평가되는 곡들을 배제할 시 빌보드 10주 1위는 가능했다.[91] 특히 Mood의 경우 팬덤빨이 강한 빌리 아일리시의 Therefore I Am을 이겼다는 점에서 많은 대중들이 호평하고 있다. 그러나 빌리의 Therefore I Am은 상술을 전혀 쓰지 않았다는 것이 함정...[92] 다만 아리아나 그란데의 positions는 대중적 평가는 좋으나 평단의 평가가 조금 나쁘다.[93] My Future는 최고순위 6위에 3주동안 차트에 머물렀고, Everything I Wanted는 최고순위 8위에 33주동안 머물며 롱런했다. 둘다 빌리 아일리시 정규1집과는 다른 느낌의 소프트, 이지리스닝 스타일 트랙이다.[94] 11월 2주차에 연말차트 집계가 마갑되고 11월 3주차부터 그 다음해 연말차트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 노래가 My Future처럼 3주밖에 차트에 있지 않거나 하지 않은 이상 연말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95] Dakiti 정도가 메가히트 라틴팝으로 여겨지지만 역시 빌보드 1위는 차지하지 못했다.[96] 이미 역대급 캐롤 광풍으로 여겨진 2019년에도 12월 24일이 되어야 캐롤송이 스포티파이 줄세우기를 했는데, 올해는 2020년 초부터 캐롤송들이 스포티파이에 줄세우기를 하고 있다!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빌보드 1위를 차지할 즈음 스포티파이에서는 10위권에 머물렀는데, 올해는 12월이 시작되자마자 줄세우기가 시작된 것.[97] TOP 25중에는 20곡이 캐롤이였으며, 비 캐롤중 최고순위는 7위를 차지한 'Mood'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