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
* '''빨간 글씨'''는 그 기록이 한국프로야구 최고 또는 최다 기록임을 뜻한다.
1. 타자
1.1. 타율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2 | 백인천 | MBC 청룡 | '''0.412''' | 단일 시즌 최고 타율 2관왕(타율&출루율) '''유일무이 4할타자''' |
1983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1] 최장기간 연속 타율 1위 보유 | 0.369 |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1984 | 이만수 | 0.340 |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
1985 | 장효조 | 0.373 |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1986 | 0.329 | 최초 2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1987 | 0.387 | '''유일무이 3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
1988 | 김상훈 | MBC 청룡 | 0.354 | - |
1989 | 고원부 | 빙그레 이글스 | 0.327 | 역대 최저타율 타격왕 골든글러브 |
1990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0.335 |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1991 | 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0.348 | 골든글러브 |
1992 | 0.360 | 2년 연속 타격왕 골든글러브 | ||
1993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341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
1994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0.393 |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1995 | 김광림 |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 골든글러브 |
1996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346 | '''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
1997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0.344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
1998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342 |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1999 | 마해영 | 롯데 자이언츠 | 0.372 | -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박종호 | 현대 유니콘스 | 0.340 | 최초 스위치 타자 타격왕 골든글러브 |
2001 | 양준혁 | LG 트윈스 | 0.355 | 골든글러브 |
2002 | 장성호 | KIA 타이거즈 | 0.343 | 2관왕(타율&출루율) |
2003 | 김동주 | 두산 베어스 | 0.342 | 골든글러브 |
2004 | 클리프 브룸바 | 현대 유니콘스 | 0.343 | 최초 외국인 타격왕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05 | 이병규 | LG 트윈스 | 0.337 | 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
2006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0.336 |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2007 | 이현곤 | KIA 타이거즈 | 0.338 | 2관왕(타율&최다안타) |
2008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0.357 | 역대 최연소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2009 | 박용택 | LG 트윈스 | 0.372 | 골든글러브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0.364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0.357 | 2년 연속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
2012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0.363 | 2관왕(타율&출루율) |
2013 | 이병규 | LG 트윈스 | 0.348 | 역대 최고령 타격왕 골든글러브 |
2014 | 서건창 | 넥센 히어로즈 | 0.370 |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0.381 |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16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0.376 |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
2017 | 김선빈 | KIA 타이거즈 | 0.370 | 골든글러브 |
2018 | 김현수 | LG 트윈스 | 0.362 | - |
2019 | 양의지 | NC 다이노스 | 0.354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년 이만수 이후 첫 포수 타격왕 |
2020 | 최형우 | KIA 타이거즈 | 0.354 | 골든글러브 |
1.2. 안타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안타상은 1990년에 신설됐다.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1982 | 백인천 | MBC 청룡 | 103 | - |
1983 | 박종훈 | OB 베어스 | 117 (공동 1위) | '''신인왕'''&'''골든글러브'''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골든글러브 | ||
1984 | 홍문종 | 롯데 자이언츠 | 122 | 골든글러브 |
1985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133 | MVP&골든글러브 |
1986 | 이광은 | MBC 청룡 | 124 | 골든글러브 |
1987 | 이정훈 | 빙그레 이글스 | 124 | '''신인왕''' |
1988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131 | MVP&골든글러브 |
1989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137 | 골든글러브 |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1990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146 | 최초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
1991 | 장종훈 | 160 |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2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152 | 2관왕(최다안타&도루) 골든글러브 |
1993 | 김형석 | OB 베어스 | 147 | - |
1994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196 |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1995 | 최태원 | 쌍방울 레이더스 | 147 | - |
1996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151 | '''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
1997 | 이승엽 | 170 |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
1998 | 양준혁 | 156 |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
1999 | 이병규 | LG 트윈스 | 192 | 골든글러브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170 (공동 1위) |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 ||
장원진 | 두산 베어스 | - | ||
2001 | 이병규 | LG 트윈스 | 167 | '''유일무이 3년 연속 최다안타 1위'''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
2002 | 마해영 | 삼성 라이온즈 | 172 | 골든글러브 |
2003 | 박한이 | 170 | - | |
2004 | 홍성흔 | 두산 베어스 | 165 | 골든글러브 |
2005 | 이병규 | LG 트윈스 | 157 | 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
2006 | 이용규 | KIA 타이거즈 | 154 | 골든글러브 |
2007 | 이현곤 | 153 | 2관왕(타율&최다안타) | |
2008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168 |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2009 | 172 |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174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176 |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
2012 | 손아섭 | 158 | 골든글러브 | |
2013 | 172 |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 ||
2014 | 서건창 | 넥센 히어로즈 | '''201''' | 단일 시즌 최다 안타[3] 시즌 128경기 체제에서 기록한 것이다.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유일무이 200안타''' |
2015 | 유한준 | 188 | 골든글러브 | |
2016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95 |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
2017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193 | 골든글러브 |
2018 | 전준우 | 190 |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 |
2019 | 호세 페르난데스 | 두산 베어스 | 197 | 골든글러브 '''외국인 선수 최초 최다안타 1위''' |
2020 | 199 |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
1.3. 홈런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2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22 | - |
1983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27 |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
1984 | 23 | 최초 2년 연속 홈런왕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
1985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22 (공동 1위) | '''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최초 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 ||
1986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21 | 역대 최소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87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22 | 유일한 2루수 홈런왕&골든글러브 |
1988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30 | 최초 단일 시즌 30홈런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
1989 | 26 | 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
1990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28 | 유일한 유격수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91 | 35 |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2 | 41 | 최초 단일 시즌 40홈런 달성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3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28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4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25 | 최초 좌타자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1995 | 김상호 | OB 베어스 | 25 | 최초 잠실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6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 |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
1997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32 | 역대 최연소 홈런왕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8 | 타이론 우즈 | OB 베어스 | 42 | 외국인 최초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 |
1999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54 | 최초 단일 시즌 50홈런 달성 '''5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박경완 | 현대 유니콘스 | 40 | '''MVP'''&'''골든글러브''' |
2001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39 | MVP&골든글러브 |
2002 | 47 |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2003 | '''56''' |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개인 5번째 홈런왕'''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 ||
2004 | 박경완 | SK 와이번스 | 34 | - |
2005 | 래리 서튼 | 현대 유니콘스 | 35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2006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26 |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2007 | 심정수 | 삼성 라이온즈 | 31 | 역대 최저 타율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
2008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31 |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2009 | 김상현 | KIA 타이거즈 | 36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44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30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2012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31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3 | 37 |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2014 | 52 | 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 ||
2015 | 53 | '''유일무이 4년 연속 홈런왕''' '''최초 2년 연속 50홈런''' 2관왕(홈런&타점) | ||
2016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40 (공동 1위) |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최정 | SK 와이번스 | 골든글러브 | ||
2017 | 46 | 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
2018 | 김재환* | 두산 베어스 | 44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2019 | 박병호 | 키움 히어로즈 | 33 | '''개인 5번째 홈런왕''' 골든글러브 |
2020 | 멜 로하스 주니어 | kt wiz | 47 | 최초 스위치 히터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1.4. 타점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1982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69 | - |
1983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74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84 | 80 | 최초 2년 연속 타점 1위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
1985 | 87 | '''최초 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 ||
1986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74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87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76 |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88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89 |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
1989 | 유승안 | 빙그레 이글스 | 85 | 골든글러브 |
1990 | 장종훈 | 91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
1991 | 114 | 최초 단일 시즌 100타점 달성 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2 | 119 | '''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3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91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4 | 양준혁 | 87 | - | |
1995 | 김상호 | OB 베어스 | 101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6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108 |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
1997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14 |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1998 | 타이론 우즈 | OB 베어스 | 103 | 외국인 최초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MVP''' |
1999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23 | '''5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115 | 골든글러브 |
2001 | 타이론 우즈 | 두산 베어스 | 113 | - |
2002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26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03 | 144 | 2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 ||
2004 | 이호준 | SK 와이번스 | 112 | - |
2005 | 래리 서튼 | 현대 유니콘스 | 102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2006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88 |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2007 | 심정수 | 삼성 라이온즈 | 101 |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
2008 | 카림 가르시아 | 롯데 자이언츠 | 111 | 골든글러브 |
2009 | 김상현 | KIA 타이거즈 | 127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133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18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2012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105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3 | 117 | 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2014 | 124 | '''3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 ||
2015 | '''146''' | 단일 시즌 최다 타점 '''유일무이 4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 | ||
2016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144 |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
2017 | 다린 러프 | 124 | - | |
2018 | 김재환* | 두산 베어스 | 133 |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
2019 | 제리 샌즈 | 키움 히어로즈 | 113 | 골든글러브 |
2020 | 멜 로하스 주니어 | kt wiz | 135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1.5. 득점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득점상은 2000년에 신설됐다.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1982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55 (공동 1위) | - |
백인천 | MBC 청룡 | - | ||
1983 | 이해창 | 65 | - | |
1984 | 62 (공동 1위) | 최초 2년 연속 득점 1위 | ||
홍문종 | 롯데 자이언츠 | 골든글러브 | ||
1985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67 | '''신인왕'''&'''골든글러브''' |
1986 | 김재박 | MBC 청룡 | 67 | 골든글러브 |
1987 | 이광은 | 66 | 골든글러브 | |
1988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81 | 골든글러브 |
1989 | 김성한 | 93 | 골든글러브 | |
1990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91 | 골든글러브 |
1991 | 장종훈 | 104 | 최초 단일 시즌 100득점 달성 '''MVP'''&'''골든글러브''' | |
1992 | 106 | 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 ||
1993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85 | 골든글러브 |
1994 | 113 | 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 ||
1995 | 전준호 | 롯데 자이언츠 | 93 | 골든글러브 |
1996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94 | 골든글러브 |
1997 | 112 | 2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 ||
1998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00 | 골든글러브 |
1999 | 128 | 2년 연속 득점 1위 '''5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109 | '''유일무이 3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
2001 | 이병규 | LG 트윈스 | 107 |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
2002 | 이승엽 | 삼성라이온즈 | 123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03 | 115 | 2년 연속 득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 ||
2004 | 이종범 | KIA 타이거즈 | 100 | - |
2005 | 박용택 | LG 트윈스 | 90 (공동 1위) | 2관왕(득점&도루) |
제이 데이비스 | 한화 이글스 | 최초 외국인 득점 1위 골든글러브 | ||
2006 | 박한이 | 삼성 라이온즈 | 89 | 골든글러브 |
2007 | 고영민 | 두산 베어스 | 89 | 골든글러브 |
2008 | 이종욱 | 98 | 골든글러브 | |
2009 | 정근우 | SK 와이번스 | 98 (공동 1위) | 골든글러브 |
최희섭 | KIA 타이거즈 |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99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전준우 | 97 | - | |
2012 | 이용규 | KIA 타이거즈 | 86 | 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
2013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91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4 | 서건창 | '''135''' | 단일 시즌 최다 득점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130 |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16 | 정근우 | 한화 이글스 | 121 | - |
2017 | 로저 버나디나 | KIA 타이거즈 | 118 | 골든글러브 |
2018 | 전준우 | 롯데 자이언츠 | 118 | '''2관왕'''(최다안타&득점) |
2019 | 김하성 | 키움 히어로즈 | 112 | 골든글러브 |
2020 | 멜 로하스 주니어 | kt wiz | 116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1.6. 도루
- 2001년까지는 무관심 도루가 적용되지 않았다.
연도 | 이름 | 소속 | 기록 | 비고 |
1982 | 김일권 | 해태 타이거즈 | 53 | - |
1983 | 48 | 최초 2년 연속 도루왕 | ||
1984 | 41 | '''최초 3년 연속 도루왕''' | ||
1985 | 김재박 | MBC 청룡 | 50 | 골든글러브 |
1986 | 서정환 | 해태 타이거즈 | 43 | - |
1987 | 이해창 | 청보 핀토스 | 54 | - |
1988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58 | 골든글러브 |
1989 | 김일권 | 태평양 돌핀스 | 62 | 골든글러브 |
1990 | 48 | 2년 연속 도루왕, 역대 최다 도루왕 수상 총 5회 | ||
1991 | 이순철 | 해태 타이거즈 | 56 | 골든글러브 |
1992 | 44 | 2년 연속 도루왕 2관왕(최다안타&도루)&골든글러브 | ||
1993 | 전준호 | 롯데 자이언츠 | 75 | - |
1994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84''' | 단일 시즌 최다 도루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1995 | 전준호 | 롯데 자이언츠 | 69 | 골든글러브 |
1996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57 | 골든글러브 |
1997 | 64 | 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 ||
1998 | 정수근 | OB 베어스 | 44 | - |
1999 | 두산 베어스 | 57 | 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47 | '''3년 연속 도루왕''' | ||
2001 | 52 | '''최초 4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 ||
2002 | 김종국 | KIA 타이거즈 | 50 | 골든글러브 |
2003 | 이종범 | 50 | 골든글러브 | |
2004 | 전준호 | 현대 유니콘스 | 53 | - |
2005 | 박용택 | LG 트윈스 | 43 | 2관왕(득점&도루) |
2006 | 이종욱 | 두산 베어스 | 51 | - |
2007 | 이대형 | LG 트윈스 | 53 | 골든글러브 |
2008 | 63 | 2년 연속 도루왕 | ||
2009 | 64 | '''3년 연속 도루왕''' | ||
2010 | 66 | '''4년 연속 도루왕''' | ||
2011 | 오재원 | 두산 베어스 | 46 | - |
2012 | 이용규 | KIA 타이거즈 | 44 | 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
2013 | 김종호 | NC 다이노스 | 50 | - |
2014 | 김상수 | 삼성 라이온즈 | 53 | - |
2015 | 박해민 | 60 | '''4년 연속 도루왕''' | |
2016 | 52 | |||
2017 | 40 | |||
2018 | 36 | |||
2019 | 박찬호 | KIA 타이거즈 | 39 | - |
2020 | 심우준 | kt wiz | 35 | 역대 도루왕 중 최저 타율(0.235)&출루율(0.291) |
1.7. 장타율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고장타율상은 1984년에 신설됐다.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2 | 백인천 | MBC 청룡 | 0.740 | - |
1983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0.618 | 골든글러브 |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4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0.633 |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1985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0.575 | '''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
1986 | 김봉연 | 0.514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
1987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0.579 |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88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0.577 |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
1989 | 0.512 | 최초 2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골든글러브''' | ||
1990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0.545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1991 | 0.640 | 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2 | 0.659 | '''유일무이 3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1993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598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
1994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0.590 |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1995 | 장종훈 | 한화 이글스 | 0.562 | '''유일무이 4번째 장타율왕'''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1996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624 | '''3관왕'''(타율&장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
1997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0.636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
1998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0.621 | 골든글러브 |
1999 | 0.733 | 2년 연속 장타율 1위 '''5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송지만 | 한화 이글스 | 0.622 | 골든글러브 |
2001 | 펠릭스 호세* | 롯데 자이언츠 | 0.695 | 외국인 최초 장타율 1위 2관왕(장타율&출루율) |
2002 | 이승엽 | 삼성라이온즈 | 0.689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03 | 심정수 | 현대 유니콘스 | 0.720 |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04 | 클리프 브룸바 | 0.608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2005 | 래리 서튼 | 0.592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
2006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0.571 |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
2007 | 0.600 | 2년 연속 장타율 1위 골든글러브 | ||
2008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0.622 |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2009 | 김상현 | KIA 타이거즈 | 0.632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0.667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0.617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
2012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0.561 |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2013 | 0.602 | 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
2014 | 강정호 | 0.739 | 골든글러브 |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0.790''' | 단일 시즌 최고 장타율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16 | 0.679 | 2년 연속 장타율 1위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
2017 | 최정 | SK 와이번스 | 0.684 |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
2018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0.718 |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19 | 양의지 | NC 다이노스 | 0.574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20 | 멜 로하스 주니어 | kt wiz | 0.680 |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
1.8. 출루율
- 1985년까지는 출루율 공식이 (안타+볼넷+몸에 맞은 공)/(타수+볼넷+몸에 맞은 공)으로, 희생플라이가 분모에 포함되지 않았다.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2 | 백인천 | MBC 청룡 | 0.497 | 2관왕(타율&출루율) |
1983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0.475 |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1984 | 0.424 | 최초 2년 연속 출루율 1위 골든글러브 | ||
1985 | 0.467 | '''최초 3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1986 | 0.436 | '''유일무이 4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1987 | 0.461 | '''유일무이 5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
1988 | 김성래 | 0.459 | 골든글러브 | |
1989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0.409 | 골든글러브 |
1990 | 0.432 | 2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1991 | 장효조 | 롯데 자이언츠 | 0.452 | '''유일무이 6번째 출루율왕''' |
1992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0.461 | 골든글러브 |
1993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436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
1994 | 이종범 | 해태 타이거즈 | 0.452 |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1995 | 장종훈 | 한화 이글스 | 0.424 |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1996 | 홍현우 | 해태 타이거즈 | 0.453 | 골든글러브 |
1997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0.453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
1998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450 |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1999 | 이승엽 | 0.458 | '''5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
2000[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 | 장성호 | 해태 타이거즈 | 0.436 | - |
2001 | 펠릭스 호세* | 롯데 자이언츠 | '''0.503''' | 외국인 최초 출루율 1위 단일 시즌 최고 출루율 2관왕(장타율&출루율) |
2002 | 장성호 | KIA 타이거즈 | 0.445 | 2관왕(타율&출루율) |
2003 | 심정수 | 현대 유니콘스 | 0.478 |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04 | 클리프 브룸바 | 0.468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
2005 | 김재현 | SK 와이번스 | 0.445 | 골든글러브 |
2006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0.445 | 골든글러브 |
2007 | 김동주 | 두산 베어스 | 0.457 | 골든글러브 |
2008 | 김현수 | 0.454 |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
2009 | 로베르토 페타지니 | LG 트윈스 | 0.468 | - |
2010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0.444 |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 |
2011 | 0.433 | 2년 연속 출루율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 ||
2012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0.474 | 2관왕(타율&출루율) |
2013 | 0.444 | 2년 연속 출루율 1위 | ||
2014 | 0.463 | '''3년 연속 출루율 1위''' | ||
2015 | 에릭 테임즈 | NC 다이노스 | 0.497 |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
2016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0.475 | 골든글러브 |
2017 | 최형우 | KIA 타이거즈 | 0.450 | 골든글러브 |
2018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0.457 |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19 | 양의지 | NC 다이노스 | 0.438 |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
2020 | 박석민 | 0.436 | - |
1.9. 승리타점
- 최다승리타점상은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존재했다가 1990년에 폐지되고 대신에 최다안타상이 신설됐다.
연도 | 이름 | 소속팀 | 기록 | 비고 |
1982 | 양세종 | OB 베어스 | 9 | 골든글러브 |
1983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13 |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
1984 | 김용철 | 롯데 자이언츠 | 11 (공동 1위) | 골든글러브 |
이광은 | MBC 청룡 | |||
1985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13 |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
1986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15 | 골든글러브 |
1987 | 김형석 | OB 베어스 | 11 | - |
1988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17''' |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4]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안타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1999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4관왕 달성이다. |
1989 | 15 | 유일무이 2년 연속 승리타점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5]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득점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1999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3관왕 달성이다. |
2. 투수
3. 이야깃거리
- 최다안타상, 최고장타율상, 최다득점상, 최다탈삼진상, 최다홀드상, 최다세이브상은 프로 원년부터 존재한 상들이 아니기 때문에 특정 해의 다관왕 수상자들은 당시에는 저평가받았다. 예를 들면 1982년에는 최다안타상, 최고장타율상이 없었기 때문에 그 해 백인천은 2관왕(타율&출루율)에 그치는데,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2000년부터의 기준으로 보면 프로 원년에 5관왕을 달성한 것이다.
반면에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존재한 최다승리타점상 덕분에 이만수는 1983년과 1985년에 3관왕을 달성했지만, 2000년 이후의 기준으로 보면 2관왕이다.
4. 관련 문서
[1] 최장기간 연속 타율 1위 보유[2] A B C D E F G H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A B C D E F G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3] 시즌 128경기 체제에서 기록한 것이다.[4]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안타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1999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4관왕 달성이다.[5]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득점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1999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3관왕 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