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선 정보/북한

 




1. 개요
2. 노선 목록
2.1. 간선 철도
2.2. 1지선 철도[1]
2.3. 2지선 철도
2.4. 전 구간의 역 항목이 작성된 노선
2.5.
3. 관련 항목


1. 개요


본 항목은 다음 링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힌다. #
본 항목에서 작성된 정보는 점촌역 구내에 있는[2] 게시판에 공개된 자료란 점에서 모두 공개된 정보이며,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정보는 이 정도가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철도는 '''국가중요안보시설'''인 만큼 함부로 외부에 정보를 퍼나르지 말 것.
북한의 교통수단중 핵심으로 꼽히며, 일제시대 때 비교적 많이 깔리고 철도를 중시하는 소련과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총 연장은 남한보다도 길다. 그리고 상황도 도로나 항공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
전반적인 철도 환경이 좋지 못해 노선중에는 단선의 비중이 높다. 신흥선 일부분이나 장진선함경남도, 함경북도에 있는 철도 중에는 협궤까지 남아 있다. 자세한 것은 북한의 철도 환경 항목을 참조.
북한철도의 특징으로는 물자 수송을 철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 특성상 3지선 철도가 있을정도로 지선이 미친 듯이 많다는 점이있다. 또한 지선끼리 인접했지만 연결되는 곳이 거의 없으며, 토해선같이 일제강점기때 건설한 노선도 일부러 끊어놓아서 지선을 만든 곳이 있을 정도로 순환선 취급을 할만한 노선이 별로 없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노선의 대부분은 북한의 중요지점에서 방사상 형태로 뻗어있다. 이럴 경우 노선의 집결점에서 제대로 조정하지 않으면 그 일대의 열차 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불러오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식의 노선을 만든 이유는 교통수단을 쉽게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는 추측이있다. 예를 들자면, 북한에서 어떤 지역의 철도교통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그 지역의 중심지에 연락만 하면 된다. 그러면 그 중심지와 연결된 모든 노선에 있는 열차는 다른 지역으로 절대로 갈 수 없다.
노선과 역명 자체에 청년이란 단어가 많이 들어가는것도 특징. 이는 북한의 청년돌격대가 강제로 동원돼서 공사한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통일되면 개명 및 지선의 정리, 재건설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위키에 북한 철도역에 대해 쓰고 있는 사람이 다른 사이트에 남긴 소감문.
데일리 nk에서 최신 북한 노선도를 입수했다. 링크 하지만 삼지연선이 홍수로 인해 유실되어 복구, 노선 및 역 명칭이 변경된 것은 반영이 안되어 있는걸 보면 철도 안내도가 홍수 전 혹은 복구 전에 만들어 진걸로 보이며 이 것을 보면 최신 북한 철도 안내도가 아니라 여태 까지 수집된 북한 철도 안내도들 중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북한 철도 안내도인 걸로 보인다. 이 노선도에 따르면 북한 전역의 노선도와 전철화(전기노선)된 구간, 증기 기관차내연 기관차가 운영하는 노선도를 확인할 수 있다.

2. 노선 목록


노선 정보표기일람
표기정보
기호
의미
기호
의미
기호
의미
전철화 여부

전철

일부 구간 전철

비전철
궤간

광궤

표준궤

협궤
특수 시설

강삭철도

스위치백

조차장
복선화 여부

복선

일부 구간 복선(20km 이상인 경우만 표기)

2.1. '''간선 철도'''


노선
기점역
종착역
길이
역 수
현재상황
기점접속노선
비고
평라선
평양역
라진역
782.5
138
◎ ■ □ ※
기준
[3][4]
강원선
고원역
평강역
145.1
23
◎ □
평라선

금강산청년선
안변역
감호역
102.5
17
● □
강원선
[5]
만포선
순천역
만포청년역
300.0
42
◎ □
평라선

백두산청년선
길주청년역
혜산청년역
141.6
22
◎ □
평라선

청년이천선
평산역
세포청년역
141.3
21
◎ □
평부선
[6]
평남선
평양역
온천역
89.9
19
◎ □
평부선/평의선

평덕선
대동강역
구장청년역
192.3
37
○ □
평부선

평부선
평양역
도라산역
186.5
31
◎ □
평라선/평의선
[7]
평의선
평양역
신의주청년역
224.8
32
◎ □
평라선/평부선

함북선
청진청년역
라진역
327.4
53
◎ ■ □ ◆
평라선
[8][9][10][11]
북부내륙선
만포청년역
혜산청년역
250.2
32
◎ □
만포선
[12]
황해청년선
사리원청년역
해주청년역
73.3
14
◎ □
평부선


2.2. '''1지선 철도'''[13]


본선
노선
기점역
종착역
길이
역 수
현재상황
비고
평라선
대건선
신련포역
봉창역
34.5
9
◎ □

은산선
은산역
대건역
5.8
3
◎ □

천성탄광선
신창역
수양역
천성역
9.2
(11.9)
4
◎ □

고원탄광선
둔전역
장동역
17.6
4
● □

금야선
금야역
풍남역
8.7
2
◎ □

신흥선
함흥역
부전호반역
91.5
20
◎ ▣ ☆

서호선
함흥역
흥남역
17.6
8
● ▣

창흥선
창흥역
련흥역
8.3
2
◎ □

북청선
신북청역
상리역
51.7
12
● □

리원선
리원철산역
차호역
11.6
4
● □

두언선
오몽리역
여해진역
11.9
3
◎ □

허천선
단천청년역
홍군역
80.3
16
○ □

금골선
여해진역
무학역
83.4
18


일탄선
로동역
화대역

2
◎ □

고참탄광선
명천역
신명천역
4.3
2
◎ □

룡현선
룡현역
대향역

3
◎ □

강덕선
남강덕역
수성역
9.8
3


청진항선
청진청년역
청진항역
3.5
2


라진항선
라진역
라진항역
2.3
2


강원선
천내선
룡담역
천내역
4.4
2


문천항선
옥평역
고암역
10.3
2


송도원선
원산역
송도원역

2


원산항선
갈마역
원산항역
2.0
2


만포선
대각선
천동역
대각역

2


조양탄광선
개천역
조양탄광역
22.1
4


봉천탄광선
봉천역
봉천탄광역
2.0
2


개천탄광선
자작역
전진역
4.2
2


청년팔원선
구장청년역
구성역
40.2
6


룡문탄광선
어룡역
등립역
7.3
2


강계선
강계역
랑림역
56.8
12
★※

운하선
만포청년역
운하역
6.2
3


백두산청년선
백무선
백암청년역
무산역
191.7
27


불명
대오천역
오시천역

2


삼지연선
위연역
삼지연못가역
81.8
11


평남선
평양화전선
보통강역
평천역
3.7
2


보산선
강서역
보산역
5.0
2


평남대안선
강서역
평남대안역
11.7
2


룡강선
룡강역
마영역
18.3
5


불명
신남포역
도지리역

2


서해갑문선
평남신덕역
철광역
28.7
5


평덕선
불명
립석리역
명당역

4


불명
립석리역
고비역

3


덕산선
송가역
덕산역
1.7
2


삼등탄광선
삼등역
대리역
4.8
2


령대선
원창역
령대역
7.1
2


재동선
구정역
재동역
4.4
2


솔골탄광선
송남역
솔골역
4.4
2


관하선
북창역
관하역
2.6
2


득장선
북창역
석산역
17.7
5


불명
구현역
인포역

2


덕남선
남덕천역
덕남역
1.6
2


서창선
덕천역
서창역
11.6
3


장상선
향장역
장상역
1.9
2


룡암선
구장청년역
룡암역
4.6
2


평부선
송림선
황주역
송림청년역
11.1
3
◎ □

봉산선
봉산역
서봉산역
2.5
2
● □

평의선
화성선
서포역
동북리역
15.3
3
◎ □

시정선
간리역
시정역
8.0
2
◎ □

안주탄광선
문덕역
남동역
22.4
5


개천선
신안주청년역
개천역
29.1
6
◎ □

구봉산선
청천강역
동남흥역
15.4
4


박천선
맹중리역
박천역
9.3
2
● □

평북선
정주청년역
청수역
120.7
12
◎ □

철산선
동림역
동천역
12.5
2
● □

백마선
염주역
남신의주역
44.3
7
● □

다사도선
룡천역
다사도항역
24.1
6
● □

덕현선
남신의주역
덕현역
37.3
6
● □

강안선
신의주청년역
강안역
1.7
2
● □

함북선
무산선
고무산역
무산역
57.9
13
◎ □ ◆
[14]
회령탄광선
회령청년역
유선역
11.7
2


세천선
신학포역
중봉역
14.4
3
◎ □

동포선
종성역
동포역
15.6
2


성평선
강안리역
성평역
11.5
2


고건원선
신건역
고건원역
9.8
2


춘두선
송학역
춘두역

2


회암선
학송역
오봉역
10.4
4


홍의선
홍의역
적지역

2


두만강선
물골역
두만강역
9.4
2


승리선
선봉역
승리역
4.2
2


혜산만포청년선
안골선
문악역
안골역
2.9
2


운봉선
상풍강역
구운봉역

2


황해청년선
은률선
은파역
철광역
117.8
19


배천선
장방역
은빛역
59.7
11


옹진선
해주청년역
옹진역
40.4
10



2.3. '''2지선 철도'''


지선본선
노선
기점역
종착역
길이
역 수
현재상황
비고
대건선
직동탄광선
대건역
직동탄광역
8.5
4
◎ □

은산선
성산인입선
학산역
매봉역
4.1
2
◎ □

신흥선
장진선
영광역(신흥선)
사수역
58.9
14
◎ ▣ ☆

허천선
만덕선
허천역
만덕역
10.3
3
◎ □ ★

삼지연선
보천선
가림역
대평역
31.5
9


득장선
명학선
득장역
명학역
2.6
2


서창선
신성선
서덕천역
신성역
4.0
2


불명
철기산역
회둔역

2


불명
철기산역
형봉역

2


룡강선
후산선
후산역
양막역
3.7
2


안주탄광선
청남선
룡림역
청남역

7

[15]
구봉산선
청화력선
구봉산역
청화력역

2


평북선
구성선
구성역
분강역
61.6
7


불명
신온역
대관리역

2


압록강선
부풍역
압록강역
4.1
2


수풍선
부풍역
수풍역
2.5
2


구성선
불명
연중역
마평역

3


백마선
불명
석하역
봉화역

2


은률선
장연선
수교역
장연역
17.1
4


옹진선
정도선
왕신역
정도역

2


부포선
신강령역
부포역
19.1
5


다사도선
불명
룡암포역
룡암포항역





2.4. 전 구간의 역 항목이 작성된 노선



2.5.



3. 관련 항목



[1] 기술 순서는 기점에서 종점으로 갈 때 갈라지는 순서.[2] 의왕철도박물관 1층에도 같은 물건이 있으니 철도박물관에 가 볼 사람들은 참고하자.[3] 영업거리상 길이는 800.5km. 이는 평양역부터 간리역까지는 경의선 철도를 공유하기 때문이다.[4] 청진청년역부터 라진역까지는 혼합선.[5] 동해북부선이 바로 얘다. 이 친구는 '''위치 특성상''' 지선이 없다.[6] 중부 내륙지방 - 즉 탄광이 있을 확률이 매우 높은 곳 - 을 지나가는데도 이 청년이천선에는 '''지선이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 이유는 휴전선과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이며, 군사시설용 비밀노선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7] 개성역까지의 길이. 도라산역까지의 거리는 204.9km.[8] 조총련계 출판사인 학우서방에서 발행한 최신조선지도에는 청진역이 아닌 반죽역으로 나와 있다. 또한 일제시기 기준으로 청진~회령~나진 간 거리는 331.1km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다만 영업상으로는 청진청년역이 기점.[9] 또한 이 노선은 시점역과 종점역이 모두 평라선과 연계된다. 즉 휘감아 우회하기.[10] 홍의역~라진역 구간은 1524mm 광궤가 같이 깔려 있다.[11] 수성역 - 고무산역간 34.1km가 복선. 이는 무산선에서 넘어오는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해당 복선 구간의 진행 방향 좌측 선로는 무산선 전용, 우측 선로는 함북선 전용이다.[12] 이것이 소위 말하는 북부철길.[13] 기술 순서는 기점에서 종점으로 갈 때 갈라지는 순서.[14] 철송청년역 - 무산역 구간은 단선.[15] 이 노선은 분기 후 막 휘돌면서 다른 노선과 합류되는 노선이다. 자세한 건 안주탄광선 문서를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