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豸'''벌레 치
'''부수'''
'''획수'''
7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미등재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チ, タイ
'''일본어 훈독'''
とける
'''간체자'''
-
'''표준어 병음'''
zhì
강희자전 부수
152{{{#!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153{{{#!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豸   →
154{{{#!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8C77{{{#!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8C78{{{#!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豸   →
U+8C79{{{#!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낱말
4. 부수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豸자는 설문해자에 따르면 긴 등뼈 가진 사냥감을 느릿느릿 다가가 엿보다 죽이려는 모습을 본떴다라 설명하고 있으며 그 외의 견해로는 고문자를 미루어 봤을 때 큰 입을 긴 신체의 위에 놓은 형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豸자는 벌레 혹은 다리가 없는 벌레의 뜻 또한 지니고 있는데, 이아(爾雅)에 따르면 벌레의 안쪽 다리가 있는 것이 蟲이고 다리가 없는 것이 豸라 하며 따라서 蟲豸는 벌레의 총칭이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선악을 판단한다는 전설 속 신수인 해태를 이르기도 한다
유니코드는 8C78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지 않는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낱말


  • 해태(獬豸) [1]

4. 부수



명칭: 갖은돼지시변부
강희자전 안에 153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40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맹수(주로 고양잇과 동물들)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4.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3획
豹 豺 豻
5획
豾 豿 貀 貁 貂 貃
6획
貄 貅 貆 貇 貈 貉 貊
8획
貎 貏
20획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갖은돼지시변부
  • 일본: むじなへん
  • 미국: Radical Badger

[1] 중국·일본에서는 豸를 해태의 의미로서도 한국 한자음 '치'에 해당하는 음으로 읽는 것이 보편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