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广'''집 엄
|
| | '''획수'''
| 3획
|
| 미등재
| | 미등재
|
|
| -
|
'''일본어 음독'''
| ゲン
|
'''일본어 훈독'''
| -
|
|
| |
'''표준어 병음'''
| ān guǎng
|
|
강희자전 부수
|
52{{{#!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幺 | 53{{{#!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广 →
| 54{{{#!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廴 |
-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
| '''부수+획'''
|
| '''육서'''
|
|
|
| |
'''주음부호'''
|
| '''창힐수입법'''
|
| '''사각호마'''
|
|
|
| '''광둥어 병음'''
|
| '''민남어 병음'''
|
| |
'''일본어 오음'''
|
| '''일본어 한음'''
|
| '''일본어 당음'''
|
| '''학년'''
|
| '''상용한자표'''
|
| |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 더보기2 ]
| U+9F9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幾 | U+9FA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广 →
| U+9FA1{{{#!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庀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 부수 ]
|
[clearfix]
1. 개요
'''집 엄(广).''' 집, 넓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5E7F에 배정되어있고,
한자검정시험에는 배정되어 있지 않다.
원래 의미로는 용례가 거의 없다. 대신,
중국에선
廣(
넓을 광)의
간체자로 많이 쓰인다.
''' '엄' '''에 위치해서 한자를 만든다. 부수로서는 꽤 중요한 글자다.
广부수가 쓰인 한자는 대부분
집이나
건물에 관련된 한자이다.
대표적인 한자로
廣(
넓을 광),
序(
차례 서), 康(편안할 강), 庫(창고 고) 등이 있다.
훈음은 '집 엄'이지만 부수로 쓰일 땐 '엄호'이다.
4. 용례
사람들이 잘 아는 단어는 '''전혀''' 없다. 다만 왜란 때의 의병장 김득복의 호가 동엄(東广)으로 그가 남긴 동엄실기(東广實紀)가 있고, 구한말의 의병장
정환직(鄭煥直) 역시 호가 동엄으로 그가 남긴 동엄집(東广集)이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