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宀'''집 면
'''부수'''
'''획수'''
3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미등재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メン, ベン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어 병음'''
mián
강희자전 부수
39{{{#!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40{{{#!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宀   →
41{{{#!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5B7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孿
U+5B8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宀   →
U+5B81{{{#!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상세
4. 용례

[clearfix]

1. 개요


'''집 면(宀).''' 집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5B80에 배정되어 있고, 한자검정시험에선 급수에 배정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모두 한자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고, 부수로 들어가서 한자를 만든다.

3. 부수



''' '머리' '''에 위치해서 한자를 만든다.
宀가 부수인 한자들은 이렇다 할 공통점이 거의 없을 정도로 여러 뜻들이 있지만 그나마 '집'과 관련된 한자가 다른 것보다 조금 많다.
집을 뜻하는 대표적인 한자로 家(집 가), 室(집 실), 宮(집 궁), 宇(집 우), 宙(집 주) 등이 있고,
다른 뜻으로는 定(정할 정), 容(얼굴 용), 寤(잠깰 오), 富(부유할 부) 등이 있다.
''' 부수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문서에도 나와있듯 穴은 제부수고, 穴 또한 머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다.
훈음은 '집 면'이지만 부수로 쓰일 때는 '갓머리'라고 불린다.

4. 용례


앞서 말했듯이 한자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