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爿'''나뭇조각 장
|
| | '''획수'''
| 4획
|
| 미등재
| | 1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ョウ
|
'''일본어 훈독'''
| だい
|
|
| -
|
'''표준어 병음'''
| qiáng
|
|
강희자전 부수
|
89{{{#!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爻 | 90{{{#!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爿 →
| 91{{{#!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片 |
-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
| '''부수+획'''
|
| '''육서'''
|
|
|
| |
'''주음부호'''
|
| '''창힐수입법'''
|
| '''사각호마'''
|
|
|
| '''광둥어 병음'''
|
| '''민남어 병음'''
|
| |
'''일본어 오음'''
|
| '''일본어 한음'''
|
| '''일본어 당음'''
|
| '''학년'''
|
| '''상용한자표'''
|
| |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 더보기2 ]
| U+723E{{{#!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爾 | U+723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爿 →
| U+724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牀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 부수 ]
|
[clearfix]
1. 개요
爿자는 나무를 세로로 쪼개고 두 쪽이 된 것의 왼쪽 부분을 의미한다.
갑골문을 형태를 미뤄 봤을 때에 침대를 세로로한 형상이며 본래의 의미는 침대였고 후에 나뭇조각의 의미가 생겨난걸로 고려된다 .
일본의
신자체나 중국의
간자체에서는 爿의 약자인 丬로 간략화 되었다.
유니코드는 723F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지 않았다.
片의 좌우대칭 모양이다.
부수로 쓰일 때는
將(장수 장)의 왼쪽 부분에 쓰인 것으로부터 '장수장변부'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정작 將은 이 부수가 아니라
寸(마디 촌) 부수에 속해 있다.
2. 자형
3. 부수
명칭: 장수장변부
강희자전 안에 90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48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爿 丬
|
4획
| 牀
|
6획
| 牂
|
10획
| 牄
|
13획
| 牆
|
3.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장수장변부
- 일본: しょうへん
- 미국: Radical half tree tru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