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爿'''나뭇조각 장
'''부수'''
'''획수'''
4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ョウ
'''일본어 훈독'''
だい
'''간체자'''
-
'''표준어 병음'''
qiáng
강희자전 부수
89{{{#!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90{{{#!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爿   →
91{{{#!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723E{{{#!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723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爿   →
U+724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1. 개요
2. 자형
3. 부수
3.1. 부수 예
3.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爿자는 나무를 세로로 쪼개고 두 쪽이 된 것의 왼쪽 부분을 의미한다.
갑골문을 형태를 미뤄 봤을 때에 침대를 세로로한 형상이며 본래의 의미는 침대였고 후에 나뭇조각의 의미가 생겨난걸로 고려된다 .
일본의 신자체나 중국의 간자체에서는 爿의 약자인 丬로 간략화 되었다.
유니코드는 723F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지 않았다.
의 좌우대칭 모양이다.
부수로 쓰일 때는 (장수 장)의 왼쪽 부분에 쓰인 것으로부터 '장수장변부'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정작 將은 이 부수가 아니라 (마디 촌) 부수에 속해 있다.

2. 자형


[image]
갑골문

3. 부수



명칭: 장수장변부
강희자전 안에 90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48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3.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爿 丬
4획

6획

10획

13획


3.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장수장변부
  • 일본: しょうへん
  • 미국: Radical half tree tru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