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龠'''피리 약
'''부수'''
'''획수'''
17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미등재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ヤク
'''일본어 훈독'''
ふえ
'''간체자'''
-
'''표준어 병음'''
yuè
강희자전 부수
213{{{#!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214{{{#!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龠   →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이체자'''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9F9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9FA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龠  →
U+9FA1{{{#!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출전
4. 부수

[clearfix]

1. 개요


피리 약(龠). 관악기나 피리를 뜻하는 한자다.
고대 중국에서 도량형의 기준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현대에는 부수 용도 외에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이제는 정작 그 부수로서도 거의 안 쓰이며 이 한자를 부수로 삼는 한자 가운데서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자는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유니코드는 9FA0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어있지 않다.
부는 구멍이 있는 대나무 관을 나란히 엮어서 팬플룻 형태로 만든 피리를 본뜬 상형자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출전


사전
내용
원본
설문해자
樂之竹管,三孔,以和眾聲也。从品侖。侖,理也。凡龠之屬皆从龠。以灼切

강희자전
[ 펼치기 · 닫기 ]
《唐韻》以灼切《集韻》《韻會》《正韻》弋灼切,𠀤音藥。《說文》樂之竹管,三孔,以和衆聲也。从品侖。侖,理也。《博雅》龠謂之笛,有七孔。《詩·邶風》左手執龠。
又作籥。《爾雅·釋樂》大籥謂之產,其中謂之仲,小者謂之箹。《春秋·宣八年》壬午猶繹,萬入去籥。《註》籥,管也。
又《正韻》量名。器狀似爵,以康爵祿。《前漢·律歷志》龠者,黃鍾律之實,躍微動氣而生物也。容千二百黍,合龠爲合,十合爲升,十升爲斗,十斗爲斛。《字彙》樂之竹管𠀤謂之龠,惟黃鍾之管,實以黍米,積之而成五量之名。說文,樂龠字,本作龠。別作籥字,註:書僮竹笘也。謂編竹習書也。今以龠爲龠合字,以籥爲樂籥字,後世遂因之,字从品从侖。俗省作二口。

1538 페이지

4. 부수



명칭: 피리약부
강희자전 안에 214번째에 수록되어 있는 부수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21개이다.
부수로 붙을 땐 피리나 악기 음율 화성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龥(부를 유) · 龡(불 취) · 龢(화할 화)
부수 한자 중에서 '''17획'''으로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