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釆'''분별할 변
'''부수'''
'''획수'''
7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ハン, ベン
'''일본어 훈독'''
わかれる

'''간체자'''
-
'''표준어 병음'''
biàn

강희자전 부수
164{{{#!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165{{{#!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釆   →
166{{{#!wiki style="margin: -3px; font-size: 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이체자'''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더보기2 ]  
U+91C5{{{#!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U+91C6{{{#!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釆   →
U+91C7{{{#!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부수
3.1. 부수 예
3.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釆자는 분별하다의 뜻을 의미한다.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따르면 짐승의 손톱이 갈라져있는 형상을 본떴다 설명하고 있다. 사냥꾼이 동물의 족적으로부터 사냥감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에서 분별의 의미가 생겨났다한다.
유니코드는 91C6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특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부수



명칭: 분별할변부
강희자전 안에 165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4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분별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또한 采자는 본래 爪와 木자의 회의자이지만 해서에서의 자형이 釆과 닮아있어서 釆의 부수로 분류되었다 한다.

3.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1획

4획

5획

13획


3.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분별할변부
  • 일본: のごめ, のごめへん
  • 미국: Radical distingu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