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耒'''가래/쟁기 뢰
'''부수'''
'''획수'''
6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ライ
'''일본어 훈독'''
すき
'''간체자'''
-
'''표준어 병음'''
lěi
강희자전 부수
126{{{#!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127{{{#!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耒   →
128{{{#!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이체자'''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8011{{{#!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8012{{{#!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耒   →
U+8013{{{#!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부수
3.1. 부수 예
3.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耒자는 농지를 갈기 위한 땅을 풀을 베는 농기구인 가래를 의미하거나 혹은 그 막대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가래는 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기구를 의미한다.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따르면 木으로 잡초를 나타내는 丯를 갈아 엎는 모양을 본떴다 설명하고 있다.
유니코드는 8012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특급으로 분류된다.
옛날 자전에는 새김이 '장기 뢰'라고 적혀 있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장기'는 쟁기의 옛날 표기.

2. 자형


[image]
[image]
대전체
소전체

3. 부수



명칭: 가래뢰부
강희자전 안에 127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84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농기나 경작에 관한 뜻을 나타내며 측변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3.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2획

4획
耕 耗
8획

11획


3.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가래뢰부
  • 일본: すきへん, らいすき
  • 미국: Radical p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