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隶'''미칠 이/대
'''부수'''
'''획수'''
8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미등재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およ-ぶ

'''간체자'''
-
'''표준어 병음'''


강희자전 부수
170{{{#!wiki style="margin: -3px 0px; font-size: 16px"
171{{{#!wiki style="margin: -3px 0px; font-size: 16px"←   隶   →
172{{{#!wiki style="margin: -3px 0px; font-size: 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더보기2 ]  
U+96B5{{{#!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U+96B6{{{#!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隶   →
U+96B7{{{#!wiki style="margin: -4px; font-size: 18px"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부수
2.1. 나라별 부수명칭
3. 유의자

[clearfix]

1. 개요


미칠 이/대(隶).
유니코드는 96B6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분류되지 않는다.
손을 나타내는 又자와 尾자의 생략형의 합자인 회의자로 꼬리를 잡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국에서는 간체자로 쓴다.
(미칠 급)과 함께 '영향이 미치다'할 때의 "미치다'의 뜻이다. 정신이 미친다는 뜻의 경우에는 (미칠 광), (미쳐 날뛸 창) 등을 쓴다.

2. 부수



명칭 : 미칠이부
강희자전에 171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열두 자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 특정한 분야를 나타내는 뜻은 없다.
음부로 쓰일 경우 , 이, 체, 태 등의 음을 갖는다. '강'에는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데, 항목에 그 이유가 설명되어 있다.

2.1.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れいづくり
  • 일본 : てい, かなえ
  • 영미 : Radical slave

3. 유의자


  • (미칠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