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欠'''하품 흠
'''부수'''
'''획수'''
4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1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ケン[1]
'''일본어 훈독'''
あくび[2]
'''간체자'''
-
'''표준어 병음'''
qiàn
강희자전 부수
75{{{#!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76{{{#!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
77{{{#!wiki style="margin:-3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6B1F{{{#!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6B20{{{#!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U+6B21{{{#!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낱말
4. 부수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1. 개요


欠자는 하품을 의미한다. 또한 후에 부족하다의 뜻도 생기게 됐다.
글자의 자원은 설문해자에 의하면 气가 人의 위에서 나온 모습이라 설명하고, 갑골문과 같은 고문자 연구에서는 입을 벌린 인간의 형상을 본떴다는 견해도 있다.
일본의 신자체에서는 欠자가 (이지러질 결) 자를 대체하여 파손하다, 부족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다만 흠결(欠缺, 일본어 발음 けんけつ kenketsu)이라는 단어만큼은 欠자와 缺자가 나란히 같이 있기 때문에, 이 어휘에 한해서는 현대 일본어에서도 "欠欠"나 "欠々"등으로 표기하지 않고 "欠缺"로 표기한다. 때문에 '흠결'이라는 어휘가 한국어에서는 그럭저럭 쓰이지만, 일본어에서는 구 제국 시절에 쓰인 것이나 법률용어 등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는 않으며, 등의 다른 어휘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유니코드는 6B20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1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image]
[image]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낱말


  • (欠)[3]
  • 흠결(欠缺)

4. 부수



명칭: 하품흠부
강희자전 안에 76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35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입을 크게 벌린 동작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4.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2획

8획

10획

11획

18획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하품흠부
  • 중국: 欠字旁
  • 일본: あくび, かける
  • 미국: Radical lack

[1] 상용독음 범위 밖[2] 상용독음 범위 밖[3] '흠집', '하자', '결점'이라는 뜻의 흠.